KR101114934B1 - 고무 장갑 - Google Patents

고무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934B1
KR101114934B1 KR1020090099332A KR20090099332A KR101114934B1 KR 101114934 B1 KR101114934 B1 KR 101114934B1 KR 1020090099332 A KR1020090099332 A KR 1020090099332A KR 20090099332 A KR20090099332 A KR 20090099332A KR 101114934 B1 KR101114934 B1 KR 10111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rubber gloves
support
gloves
gl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2598A (ko
Inventor
인 상 정
Original Assignee
인 상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 상 정 filed Critical 인 상 정
Priority to KR1020090099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934B1/ko
Priority to JP2012600042U priority patent/JP3182864U/ja
Priority to PCT/KR2010/007070 priority patent/WO2011049328A2/ko
Publication of KR20110042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2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58Three-dimensional gloves
    • A41D19/0062Three-dimensional gloves made of one layer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82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장갑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고무장갑에 있어서, 상기 고무장갑이 별도의 거치수단이 없이 고무장갑 자체만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무장갑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고무장갑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가 구비된 지지수단에 의해 세운 상태로 건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에 관한 것이다.
고무장갑, 지지수단, 지지부, 건조, 보관

Description

고무 장갑{The rubber glove}
본 발명은 고무 장갑에 관한 것으로, 고무장갑이 별도의 거치수단을 수반하지 않고도 세운 상태로 보관이 이루어지게 하여 자연건조가 이루어 지는 고무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장갑은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물과 같은 액체를 차단하는 방수의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주방이나 식당 등에서 설겆이를 하거나 물을 이용하여 특정 대상물을 씻기는 경우 손에 물기가 묻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해 고무장갑을 착용하게 된다.
그러나, 고무장갑의 내부로 외부의 물이 유입되거나, 인체의 피부에서 발생된 땀 등으로 인해 고무장갑의 내부에 습기가 발생되곤 한다. 이때, 습기가 남아 있는 고무장갑이 방치된 경우 고무장갑의 내부에서 악취가 발생되어 불쾌감을 유발하거나, 박테리아 균과 같은 유해한 균이 서식되어 인체에 피부병을 유발하는 등의 악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고무장갑을 사용하고 난 후 고무장갑을 거치시켜 고무장갑의 내부를 건조시켜야 하는데, 통상적인 고무장갑이 유연한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고무장갑을 세운 상태로 건조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특히, 고무장갑 자체만으로 바닥면에 세워두고 건조시킬 수 없었다.
그에 따라, 통상적으로 고무장갑의 내부를 건조하기 위해서는, 고무장갑을 뒤집어서 건조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고무장갑을 뒤집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고무장갑을 뒤집어서 건조한 후 다시 뒤집어서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던 것이다. 특히, 고무장갑은 인체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부가 한번에 뒤집어 지지 않아 일일히 사용자가 뒤집어 주거나, 고무장갑에 바람을 불어 넣는 등의 불편함이 초래되었던 것이다.
또한, 고무장갑은 빨래집게와 같은 것으로 집어서 매달아 두거나, 봉이나 의자 등에 접어서 거치하거나, 걸이수단이 구비된 건조대에 거치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거치되어 건조되기도 한다.
그러나, 봉이나 의자와 같은 것에 고무장갑을 접어서 거치하는 경우 고무장갑을 거치하기는 편하나 고무장갑의 내부 습기가 원활하게 건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집게 또는 건조대와 같은 별도의 거치수단을 구비하여 고무장갑을 거치하는 경우 고무장갑을 건조하기 위해 거치되는 과정이 사용자를 번거롭게 하며, 비용이 증가되어 사용자가 사용을 기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던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별도의 거치수단이 없이 고무장갑 자체만으로 고무장갑이 바닥면에서 세운 상태로 건조할 수 있는 고무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을 세운 상태에서 통풍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고무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의 하부가 고무장갑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여, 고무장갑이 바닥면에 세워지게 하는 고무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이 꺽여 접히지 않게 하여, 고무장갑을 세운 상태가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고무장갑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을 세운 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고무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이 구부러지지 않고, 곧게 세운 상태로 지지되게 하는 고무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상적인 고무장갑에 있어서, 상기 고무장갑이 지지수단에 의해 세운 상태로 건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고무장갑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고무장갑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로 형성되고, 지지수단에는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통풍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하부 지지부는, 상기 고무장갑의 삽입구에서 상부로 연장된 띠의 형태로, 상기 고무장갑의 두께보다 두꺼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부 지지부는, 상기 고무장갑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선의 형태로, 상기 고무장갑의 두께보다 두꺼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지수단에는, 상기 고무장갑에 연장된 상기 상부 지지부를 지지하는 보강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지수단에는, 상기 상부 지지부의 연장된 길이를 짧게 하는 파단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고무장갑 자체만으로 고무장갑이 바닥면에서 세워질 수 있게 함으로써, 별도의 거치수단이 없어도 고무장갑을 간편하게 세워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세운 고무장갑이 보관되면서 자연적으로 건조되어 고무장갑을 재사용하는 경우 보다 위생적으로 고무장갑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을 세운 상태에서 고무장갑 내부의 습기가 배출되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게 통풍부를 구비함으로써, 고무장갑이 세워진 상태에서 고무장갑의 내부가 밀폐되지 않고 환기가 이루어져 고무장갑이 원활하게 건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의 하부가 고무장갑의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두꺼운 띠의 형태의 지지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무장갑을 바닥면에 세운 상태에도 고무장갑의 하부가 쉽게 주저않거나, 접히지 않게 되어 고무장갑을 보다 쉽게 세울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고무장갑의 제조시 일체로 제작할 수 있어 제조공정이 간소화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이 꺽여 접히지 않게 두꺼운 선의 형태의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고무장갑을 세운 상태에서도 고무장갑의 상부가 쉽게 꺽이거나, 접혀지지 않고 고무장갑의 원형을 유지한 상태로 세워지게 되는 효과와, 고무장갑이 세워진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을 세운 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 지게 보강 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고무장갑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를 보강 지지부가 지지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가 고무장갑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장갑이 구부러지지 않고, 고무장갑을 세운 상태가 유지되게 파단부를 형성함으로써, 연장된 상부 지지부가 자체의 길이에 의해 구부러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가 곧은 상태로 상기 고무장갑을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지수단을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적인 고무장갑에 있어서, 고무장갑 자체만으로 고무장갑이 바닥면에서 세운 상태로 건조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고무장갑(100)에 지지수단(10)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고무장갑(100)의 각 부분을 사용자가 손을 삽입하는 삽입구(101)와, 손바닥, 손등, 손가락이 삽입되게 되는 손부(102)와, 상기 손부(102)의 하부에서 인체의 팔목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팔목부(103)와, 상기 팔목부(103)의 하부에서 상기 삽입구(101)까지 연장되어 인체의 팔목이 삽입되는 아래팔부(104)로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10)은, 상기 고무장갑(100)의 하부를 바닥면에서 지지되게 하는 하부 지지부(11)와, 상기 고무장갑(100)의 상부에 형성된 아래팔부(104)와 팔목부(103)와 손부(102)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12)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10)은 상기 고무장갑(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고무장갑(100)에 상기 아래팔부(104)가 형성되지 않고, 상,하 길이가 짧은 경우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팔목부(103)와 손부(102)만 지지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상기 하부 지지부(11)는, 상기 고무장갑(100)의 하부를 상기 고무장갑(100)의 두께(t)보다 두꺼운 두께(T)를 가지게 형성한 것으로, 상기 고무장갑(100)이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고무장갑(100)의 하중에 의해 상기 고무장갑(100)의 하부가 쉽게 접히지 않게 한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하부 지지부(11)는 상기 고무장갑(100)의 하부에 두껍게 형성되므로, 상기 고무장갑(100)을 착용하거나, 착탈하기 위한 잦은 접촉이나 당김에도 상기 고무장갑(100)의 하부가 찢어지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부(11)는, 상기 고무장갑(100)의 삽입구(101)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하여 상기 고무장갑(100)의 하부에서 띠의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무장갑(100)의 하부가 접히거나, 주저앉지 않고 상기 고무장갑(100)의 손부(102)와 팔목부(103) 및 아래팔부(104)를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하부 지지부(11)는, 상기 고무장갑(100)의 사용에 불편하지 않게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하부 지지부(11)는, 상기 고무장갑(100)과 같은 재질로 상기 고무장갑(100)과 일체로 형성하거나, 실리콘, 합성수지재, 섬유재 등을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상기 하부 지지부(11)와 같이 상기 고무장갑(100)의 두께(t1)보다 두꺼운 두께(T1)를 가지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고무장갑(100)의 상부에 형성된 손부(102)와, 팔목부(103)와, 아래팔부(104)가 쉽게 접히지 않게 하여 상기 고무장갑(100)이 세워지게 하고, 상기 고무장갑(100)을 세운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상기 하부 지지부(11)의 상부로부터 상기 고무장갑(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상기 고무장갑(10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게, 두께를 가지는 선의 형태로 다수개를 연장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두께와 폭을 가지고 연장되게 형성되거나, 띠의 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상기 하부 지지부(11)의 상부에서 소정거리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고무장갑(100)이 세워질 수 있는 정도의 거리만 분리되게 형성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전술한 하부 지지부(11)와 같이 사용자가 고무장갑(100)을 사용하는데 불편하지 않게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 지지부는, 상기 고무장갑(100)과 같은 재질로 상기 고무장갑(1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실리콘, 합성수지재, 섬유재 등이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수단(10)은 상기 고무장갑(100)을 세운 상태에서 상기 고무장갑(100)의 내부가 바닥면에 의해 밀폐되지 않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다수 개의 통기홈으로 형성된 통풍부(1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자가 고무장갑(100)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통풍부(13)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상기 통풍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11)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3은 고무장갑의 팔목부까지 연장된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도 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지지부(12)가 상기 하부 지지부(11)에서 상기 팔목부(103)까지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부(12)에 의해 상기 손부(102)의 신축성이나, 유연성이 감소되지 않게 상기 상부 지지부(12)를 상기 팔목부(103)까지만 연장되게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구부리거나, 펴거나, 물건을 집는 등의 움직임이 많은 손부(102)에서 상기 상부 지지부(12)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상기 손부(102)가 쉽게 접히지 않거나, 꺽여지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상부 지지부(12)를 상기 팔목부(103)까지만 연장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고무장갑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써, 상기 지지수단(10)이 상기 고무장갑(10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지지수단(10)이 상기 고무장갑(100)의 내측에 형성되더라도, 상기 지지수단(10)의 하부 지지부(11)는 고무장갑(100)의 두께(t)보다 두꺼운 두께(T)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12) 또한 상기 고무장갑의 두께(t1)보다 두꺼운 두께(T1)로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상기 고무장갑(100)의 내측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고무장갑(100)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고무장갑(100)의 내부에 물이나, 습기가 있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에 상기 고무장갑(100)이 더 밀착되어 쉽게 손이 빠지지 않게 되는데, 상기 상부 지지부(12)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고무장갑(100)이 사용자의 피부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게 되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면적이 적어지게 볼록하게 형성되거나, 홈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강 지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지지부(12)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 지지부(14)를 더 형성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 보강 지지부(14)는, 상기 상부 지지부(12)와 교차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12)와 같이 두꺼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강 지지부(14)는 상기 상부 지지부(12)가 좌,우측으로 쉽게 꺽이거나 접히지 않게 상기 상부 지지부(12)를 지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보강 지지부(14)는 선의 형태이거나, 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파단부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써, 도시돤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10)에 파단부(15)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파단부(15)는 상기 상부 지지부(12)가 일정 거리 끊어져서 연장되게 한 것으로, 상기 고무장갑(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상부 지지부(12)가 구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파단부(15)는 연장된 상부 지지부(12)를 끊어지게 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12)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상기 상부 지지부(12)가 곧은 상태를 유지하게 한 것이다. 물론, 상기 파단부(15)는 최소한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 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지지수단을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고무장갑의 팔목부까지 연장된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고무장갑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강 지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파단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수단 11 : 하부 지지부
12 : 상부 지지부 13 : 통풍부
14 : 보강 지지부 15 : 파단부
100 : 고무장갑 101 : 삽입구
102 : 손부 103 : 팔목부
104 : 아래팔부

Claims (7)

  1. 통상적인 고무장갑에 있어서,
    상기 고무장갑(100)이 지지수단(10)에 의해 세운 상태로 건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수단(10)은, 상기 고무장갑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11)와;
    상기 고무장갑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12);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10)에는, 공기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통풍부(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11)는, 상기 고무장갑(100)의 삽입구(101)에서 상부로 연장된 띠의 형태로, 상기 고무장갑(100)의 두께보다 두꺼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12)는, 상기 고무장갑(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선의 형태로, 상기 고무장갑(100)의 두께보다 두꺼운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10)에는, 상기 고무장갑(100)에 연장된 상기 상부 지지부(12)를 지지하는 보강 지지부(14)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10)에는, 상기 상부 지지부(12)의 연장된 길이를 짧게 하는 파단부(15)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장갑.
KR1020090099332A 2009-10-19 2009-10-19 고무 장갑 KR101114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332A KR101114934B1 (ko) 2009-10-19 2009-10-19 고무 장갑
JP2012600042U JP3182864U (ja) 2009-10-19 2010-10-15 ゴム手袋の支持手段
PCT/KR2010/007070 WO2011049328A2 (ko) 2009-10-19 2010-10-15 고무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332A KR101114934B1 (ko) 2009-10-19 2009-10-19 고무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598A KR20110042598A (ko) 2011-04-27
KR101114934B1 true KR101114934B1 (ko) 2012-03-06

Family

ID=43900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332A KR101114934B1 (ko) 2009-10-19 2009-10-19 고무 장갑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82864U (ko)
KR (1) KR101114934B1 (ko)
WO (1) WO201104932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768B1 (ko) 2013-02-06 2014-09-2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고무장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928B1 (ko) * 2013-09-10 2014-11-25 장환준 걸어놓기 용이한 꺾이는 고무장갑
KR101648681B1 (ko) * 2015-12-04 2016-08-23 임기창 고무장갑
JP2019014991A (ja) * 2017-07-06 2019-01-31 株式会社ピカコーポレイション 手袋
WO2019013410A1 (ko) * 2017-07-11 2019-01-17 장창훈 다목적 고정 장치
CN112075699A (zh) * 2020-09-29 2020-12-15 江苏顶洁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便于内部空气流通的pvc手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750Y1 (ko) * 2004-03-19 2004-06-22 남호성 목 부분이 흘러내리지 않는 고무 장갑
JP2004225217A (ja) 2003-01-24 2004-08-12 Atom Kk 手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0028U (ko) * 1977-02-04 1978-09-02
JPS6451620U (ko) * 1987-09-25 1989-03-30
JP2004036060A (ja) * 2002-07-08 2004-02-05 Masao Sakai 防水手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5217A (ja) 2003-01-24 2004-08-12 Atom Kk 手袋
KR200353750Y1 (ko) * 2004-03-19 2004-06-22 남호성 목 부분이 흘러내리지 않는 고무 장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768B1 (ko) 2013-02-06 2014-09-2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고무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2598A (ko) 2011-04-27
WO2011049328A2 (ko) 2011-04-28
WO2011049328A3 (ko) 2011-09-29
JP3182864U (ja)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934B1 (ko) 고무 장갑
KR20090011186U (ko) 욕실 청소용 슬리퍼
JP5643518B2 (ja) 洗髪に有用な手袋
KR20080006195U (ko) 보호장갑을 내포한 고무장갑
EP3210483A1 (en) Rubber glove
JP2003169744A (ja) 手袋の着脱スタンド
JP6537878B2 (ja) ウエットスーツ着脱補助具
KR200353535Y1 (ko) 장갑형 수세미
KR100776491B1 (ko) 내주면에 밀착성 방지를 위한 고무장갑의 성형방법
KR101295588B1 (ko) 음이온이 첨가된 이중보온 고무장갑
KR200367862Y1 (ko) 고무장갑
KR200356348Y1 (ko) 고무장갑
KR200445047Y1 (ko) 발매트
JP5774795B1 (ja) 洗浄具
KR101384771B1 (ko) 물 흘러 내림 방지 팔목밴드
KR20060029174A (ko) 에어 고무장갑
KR102637670B1 (ko) 세족용 슬리퍼
KR101442768B1 (ko) 고무장갑
CN214179292U (zh) 一种橡胶手套
KR20100005711U (ko) 고무장갑
JP3075535U (ja) 手 袋
KR200412577Y1 (ko) 팔뚝착용 물 흘러내림 방지구
KR20090012792U (ko) 고무장갑
JP3090366U (ja) サポーターおよびサポーター状踵保護靴下
KR200406867Y1 (ko) 걸 고리가 부착된 고무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