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02179A2 -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02179A2
WO2011002179A2 PCT/KR2010/004144 KR2010004144W WO2011002179A2 WO 2011002179 A2 WO2011002179 A2 WO 2011002179A2 KR 2010004144 W KR2010004144 W KR 2010004144W WO 2011002179 A2 WO2011002179 A2 WO 2011002179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okbunja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skin wrinkl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414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02179A3 (ko
Inventor
김동현
박준성
유선혜
권대혁
고현주
박원석
김덕희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US13/381,78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107431A1/en
Priority to JP2012517393A priority patent/JP5889185B2/ja
Priority to CN2010800291473A priority patent/CN102470096B/zh
Publication of WO2011002179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02179A2/ko
Publication of WO2011002179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02179A3/ko
Priority to HK12109663.3A priority patent/HK1168799A1/xx
Priority to US13/778,176 priority patent/US919894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bokbunj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ore particularly, by containing a bokbunja extract processed by using the herbal medicine processing agent, inhibits the formation of the SNARE complex and inhibits the release of neurotransmitter ski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n excellent effect of improving wrinkles.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stability in formulations compared to existing skin wrinkle improvers, and exhibits a similar effect to Botox that has been used in conventional wrinkle improvement procedures, thereby greatly improving skin wrinkles without side effects.
  • the synaptic vesicle containing the neurotransmitter When the neurotransmitter is discharged, the synaptic vesicle containing the neurotransmitter must be fused with the presynaptic membrane to form a pathway between the two boundaries.
  • the protein that provides the fundamental force of membrane fusion is three protein complexes called SNARE (solubl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
  • SNARE solubl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
  • Membrane fusion between the synaptic vesicles and the presynaptic membrane opens the neurotransmitter pathway, involving the t-SNARE complex attached to the target membrane and the v-SNARE attached to the vesicle.
  • t-SNARE is a complex of a protein called Syntaxin 1a and a protein called SNAP-25. These SNARE proteins are twisted like pretzel.
  • the membrane fusion results in rearrangement of lipid bilayer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art.
  • Biofilms are strongly pushed against each other, so these membranes are not spontaneously fused and have a strong force from outside to overcome the repulsion between the membranes.
  • the formation of the SNARE complex is a source of force to overcome the intermembrane repulsive force, and is a key phenomenon of exocytosis including the release of neurotransmitters.
  • the nerve terminal (nerve terminal) is loaded with synaptic vesicles.
  • BoNT Botulinum neurotoxin, abbreviated as Botox
  • Botox is a protease that cleaves SNARE protein, a key protein involved in neurotransmitter release. Botox cleaves SNARE proteins, blocking neurotransmission and consequently paralyzing the muscle cells that Botox has infiltrated. Whereas botox blocks neurotransmission by irreversibly cutting the SNARE protein, the so-called “coating botox” is a kind of "competitive inhibitor” that inhibits neurotransmission by inhibiting the formation of the SNARE complex.
  • Argireline the main ingredient of current Botox products, has a weakness that its effects are uncertain, its price is disadvantageous due to the nature of synthetic peptides, and it is not consumer friendly.
  • Developing neurotransmission suppression using natural extracts can provide significantly cheaper raw materials than peptide materials, and because it is a natural product, it is more accessible to consumers when developing the final product. do.
  • the traditional method of herbal medicine is said to be a traditional pharmaceutical technology, such as merger, agreement, shame, spores, legislation and investigation.
  • This is a pharmaceutical technology that changes the original properties of the medicine by processing the medicine based on the herbal theory.
  • Foam is a term that includes the selection of the correct form of a drug, detoxification, purification, heat treatment, and processing with aids.
  • the sieve is added together with a supplement, to meet the needs of the medical care, an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medication according to the dialectic.
  • Different types of treatments are used for the drug preparation, and therefore have different properties and actions, and thus the action of the drug entrained is different.
  • supplements There are many types of supplements currently used, which can be largely divided into liquid supplements and solid supplements.
  • Liquid supplements include alcohol, vinegar, brine, honey, ginger juice, licorice juice, black bean juice, saline solution, unsweetened water, horse oil, milk, stool or lime water.
  • Solid ingredients include rice, bran, alum, tofu, soil, flour or sand.
  • the purpose of taking herbal medicines is to keep the drug clean, to facilitate storage, to reduce or eliminate the toxicity and side effects of the drug, to change the drug to make the drug more effective, to enhance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drug, This is to get rid of bad smell and taste so that it can be taken well.
  • Wrinkles in the skin are the most pronounced skin aging manifestations caused by endogenous factors such as age and stress, or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ir pollution or ultraviolet radiation. Wrinkles occur on the face, neck, neck, elbows, armpits, hands, and feet on the forehead, around the eyes, between the legs, and around the mouth. Most are noticeable around 30 years of age, and their number, depth and range increase with age.
  • the main cause of wrinkle formation is that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ed in skin tissues by skin aging process form crosslinks in collagen fibers and elastic fibers, which occupy most of the skin dermis constituents, and change the formation and decomposition of these fibers. can do.
  • Antioxidants such as vitamin E, beta-carotene, vitamin C, and glutathione used to inhibit skin aging, and substances that enhance dermal collagen synthesis, such as radical scavengers and vitamin A, have been used to improve skin wrinkles. It has been used as a substance. However, most of these cosmetic active ingredients have strong skin irritation or are unstable in the formulation itself, resulting in discoloration, discoloration, and precipitation, and the inherent activity of raw materials is reduced.
  •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the natural raw materials having an excellent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when manufacturing a cosmetic composition using the bokbunja extract was found to have excellent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containing bokbunj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hibiting the formation of the SNARE complex and preventing the release of neurotransmitters by containing the bokbunj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s not only excellent effect to improve skin wrinkles, but also less side effects to the skin using natural materials Reduces skin irritation In addition, it is excellent in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skin wrinkle improvers, and exhibits a similar effect to the Botox that has been used in the conventional wrinkle improvement procedure to greatly improve the wrinkles of the skin without side effects.
  • 1 is a graph showing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membrane fusion phenomenon by the bokbunja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neurotransmitter release inhibitory effect in PC12 cells by the bokbunja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containing bokbunj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bokbunja (Rubus coreanu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uit of the bokbunja strawberry (Rubus coreanus Miquel), has no smell, taste is sweet and sweet and warm properties.
  • Bokbunja boosts renal function and is used in oil wells, dreams, and urination. It is used for weakening eyesight, lightens the body and makes the head black. It also helps a woman conceive and tender and beautiful skin. As pharmacological action, anti-inflammatory action, antioxidant action and anti-helicobacter pylori action have been reported.
  • Bokbunja of the present invention inhibits the formation of a solubl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 (SNARE) complex and inhibits the release of neurotransmitters. This exhibits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Botox, which has been conventionally used for skin wrinkle improvement procedures, and can greatly improve wrinkles of the skin without side effects.
  • SNAR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
  • the bokbunja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reated with foam before extracting the bokbunja with a solvent.
  • Bokbunja is treated by boiling, steaming, roasting, roasting, or mixing them. More specifically, when boiled 60 ⁇ 100 °C, 30 minutes ⁇ 2 hours / steaming 120 ⁇ 150 °C, 3 ⁇ 6 hours / when roasting 100 ⁇ 180 °C, 10 minutes ⁇ 1 hour / when baking 80 ⁇ 100 °C, It is easily selected from 10 minutes to 1 hour. If the treatment temperature and the treatment time are out of range, the effect of the foam treatment may be lowered or a change of components may occur.
  • liquor vinegar, brine, honey, ginger juice, licorice juice, black bean juice, saline solution, unsweetened water, horse oil, milk, stool, lime water, rice, bran , Alum, tofu, soil, flour or sand.
  • Extraction of bokbunj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arried out by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water or an organic solvent is added to a foam-treated bokbunja, reflux extraction and deposition are carried out, the residue and the filtrate are separated by filtration and centrifugation of the filter cloth, and the separated filtrate i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 bokbunja extract.
  • the organic solvent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lected from ethanol, methanol, butanol, ether, ethyl acetate, chloroform or a mixed solvent of these organic solvents and water, and preferably 80% ethanol is used.
  • the extr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10 ⁇ 80 °C
  • the extraction time is preferably 6 ⁇ 24 hours. If the extraction temperature and the extraction time is out of the extraction efficiency may be lowered or a change of components may occur.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the bokbunja extract in an amount of 0.000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is is because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0001% by weight, the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cannot be obtained, and if the content is more than 30% by weight, the increase in effect is not large.
  •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as a flexible lotion, astringent lotion, nourishing lotion, nourishing cream, massage cream, essence, pack, foundation, lipstick or powder found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1kg of dried bokbunja is mixed well with 200ml of brine (aged using traditional Onggi in cool shade, and the brine concentration is 8 ⁇ 10% and 20 ⁇ 30% of the dry weight of bokbunja) and sealed to be completely absorbed.
  • the bokbunja which had been completely absorbed by the brine, was placed in a herb container at 150 ° C., then roasted for 30 minutes, and dried in the shade.
  • 5 L of an 80% ethanol aqueous solution was added thereto, followed by extraction under reflux three times, followed by immersion at 15 ° C for 1 day. Thereafter, the residue and the filtrate were separated through filter cloth filtration and centrifugation. The separated filtrate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295 g of Bokbunja salt extract.
  • SNARE proteins called SNAP25 (NMO11428), Trustsin 1a (AF217197) and VAMP2 (NMO12663) were purified from E. coli Codon (+) RIL, Novagen transformed by biological techniques, respectively. .
  • palmitoyl oleoyl phosphatidylcholine (POP) (62 mol%)
  • dioleoyl phosphatidylserine (DOPS) 35 mol%)
  • POP palmitoyl oleoyl phosphatidylcholine
  • DOPS dioleoyl phosphatidylserine
  • the mixture was mixed so that the molar concentration was 1: 1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and then mixed with a liposomal unlabeled fluorescent material so that the molar ratio was 100: 1.
  • VAMP2 was bound to a molar ratio of 50: 1 with the liposome containing the fluorescent material.
  • the two types of lyposomes were subjected to dialysis with stirring at 4 ° C. for 24 hours using a 10 kDa dialysis membrane, followed by mixing at a ratio of 3: 7 (v-vesicle: t-vesicle), SNAP-25, and trust.
  • fluorescence intensity in FIG. 1 means membrane fusion between SNARE proteins, low fluorescence intensity indicates an excellent membrane fusion inhibitory effect.
  • the black circle represents the path through which the control reaction proceeds.
  • the bokbunja extract has a lower fluorescence intensity than the control group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f inhibiting the membrane fusion between SNARE proteins, in particular bokbunja main jeokje extract (Example 3) was inhibited membrane fusion than other experimental groups The effect was excellent.
  •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control group was set as a reference and the relative percent membrane fusion inhibition in bokbunja extract was calcul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the group treated with bokbunja extract was superior to the membrane fusion inhibitory effect than the control group does not contain the bokbunja extract, bokbunja main jeokje extract of Example 3 compared to the other bokbunja extract inhib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was excellent. Therefore, the bokbunja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an excellent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by effectively inhibiting the membrane fusion between SNARE proteins.
  • PC12 cells were cultured in a collagen coated plate (60 mm dish) in Ham's F12K medium containing 10% fetal calf serum, 5% fetal bovine serum and antibiotics. Subculture is inhaled medium, pipetted with 2 ml of PBS and pipetted to separate the cells from the dish wall, centrifuged at 1,000 xg for 5 minutes to collect the cells, and then pipetted with fresh medium to disperse the cell pellet. and placed in a fresh culture plate and cultured in the incubator is 37 °C, CO 2 gas of 5% is supplied. [ 3 H] -noradrenaline used in the experiment was purchased from Amersham.
  • Bokbunja main jeokje extract of Example 3 has a relatively high inhibitory effect of the release of neurotransmitters Appeared. Therefore, the bokbunja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an excellent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by inhibiting the release of neurotransmitters.
  • a nourishing lotion containing Bokbunja syrup extract was prepared with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2 below.
  • Example 3 5.0 Squalane 5.0 Beeswax 4.0 Polysorbate 60 1.5 Sorbitan sesquioleate 1.5 Liquid paraffin 0.5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s 5.0 glycerin 3.0 Butylene glycol 3.0 Propylene glycol 3.0 Carboxy Vinyl Polymer 0.1 Triethanolamine 0.2 Preservative, coloring, flavoring Quantity Purified water Remaining amount Sum 100
  • a flexible lotion containing Bokbunja syrup extract was prepared with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3 below.
  • Example 3 5.0 glycerin 3.0 Butylene glycol 2.0 Propylene glycol 2.0 Carboxy Vinyl Polymer 0.1 PEG 12 nonylphenyl ether 0.2 Polysorbate 80 0.4 ethanol 10.0 Triethanolamine 0.1 Preservative, coloring, flavoring Quantity Purified water Remaining amount Sum 100
  • Nourishing cream containing Bokbunja syrup extract was prepared with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4 below.
  • Example 3 5.0 Polysorbate 60 1.5 Sorbitan sesquioleate 0.5 PEG60 Cured Castor Oil 2.0 Liquid paraffin 10.0 Squalane 5.0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s 5.0 glycerin 5.0 Butylene glycol 3.0 Propylene glycol 3.0 Triethanolamine 0.2 Preservative, coloring, flavoring Quantity Purified water Remaining amount Sum 100
  • Example 3 5.0 Beeswax 10.0 Polysorbate 60 1.5 Sorbitan sesquioleate 0.8 PEG60 Cured Castor Oil 2.0 Liquid paraffin 40.0 Squalane 5.0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s 4.0 glycerin 5.0 Butylene glycol 3.0 Propylene glycol 3.0 Triethanolamine 0.2 Preservative, coloring, flavoring Quantity Purified water Remaining amount Sum 100
  • a pack containing Bokbunja syrup extract was prepared with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6 below.
  • Example 3 5.0 Polyvinyl alcohol 13.0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0.2 glycerin 5.0 Allantoin 0.1 ethanol 6.0 PEG 12 nonylphenyl ether 0.3 Polysorbate 60 0.3 Preservative, coloring, flavoring Quantity Purified water Remaining amount Sum 100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okbunja chimju extract having the composition of Formulation Example 3 was applied to 12 women over 40 years old (average age 44.5 years) for 12 weeks around wrinkled eyes (2 times / day, 0.2 g / Times) Prior to cosmetic application (T 0 ) and 12 weeks after cosmetic application (T 12 ) through the objective evaluation of subjects and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subject by classifying according to the seventh grade according to the criteria score table in Table 7 to improve the improvement of skin wrinkles ( ⁇ W)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8 to 9 be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방 가공 기술인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고 신경전달물질 방출을 저해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피부 주름 개선제들에 비해 제형 내 안정성이 뛰어나고, 종래의 주름 개선용 시술에 사용되어왔던 보톡스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부작용 없이 피부의 주름을 크게 개선시킨다.

Description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방 가공 기술인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고 신경전달물질 방출을 저해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피부 주름 개선제들에 비해 제형내 안정성이 뛰어나고, 종래의 주름 개선용 시술에 사용되어왔던 보톡스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부작용 없이 피부의 주름을 크게 개선시킨다.
신경전달물질의 배출 시에 신경전달물질을 담고 있는 시냅스 소포 (synaptic vesicle)는 시냅스전막 (presynaptic membrane)과 융합되어야 두 경계 간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막융합의 근원적인 힘을 제공하는 단백질은 SNARE (solubl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라고 불리는 3종의 단백질 복합체이다. 시냅스 소포와 시냅스전막 간의 막융합에 의해 신경전달물질 배출 통로가 열리게 되는데 표적막 (target membrane)에 부착되어 있는 t-SNARE 복합체와 소포 (vehicle)에 부착되어 있는 v-SNARE가 관여한다. t-SNARE는 신탁신 (Syntaxin) 1a라고 하는 단백질과 SNAP-25라고 하는 단백질 2종의 복합체이다. 이들 SNARE 단백질은 꽈배기처럼 꼬여 있다. 상기 막융합시에는 당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지질 이중층 (lipid bilayer)의 재배열이 일어나게 된다. 생체막들은 서로 강하게 밀어내고 있으므로 이들 막은 자발적으로 융합되지 않고 외부에서 강한 힘이 주어져 막들간의 반발력을 극복하여야 하는데, 이때 막들간의 반발력을 이겨낼 정도의 강한 힘을 만들어 내는 것이 바로 SNARE 단백질이다. 즉, SNARE 복합체의 형성은 막간 반발력을 극복하는 힘의 원천이며, 신경전달물질의 배출을 포함하는 세포외 배출작용 (exocytosis)의 핵심 현상인 것이다. 한편, 근육의 이완과 수축을 조절하기 위하여 근육의 상층에서는 신경근육 접합부 (neuromuscular junction)가 있으며, 이 신경 말단 (nerve terminal)에는 시냅스 소포가 장전되어 있다. BoNT (Botulinum neurotoxin, 이하 보톡스로 약술함)은 신경전달물질 배출에 관여하는 핵심 단백질인 SNARE 단백질을 절단하는 프로테아제 (protease)이다. 보톡스는 SNARE 단백질을 절단함으로써 신경전달을 차단하고 결과적으로 보톡스가 침투된 근육세포가 마비되도록 한다. 보톡스가 SNARE 단백질을 비가역적으로 절단함으로써 신경의 전달을 차단하는 반면, 소위 "바르는 보톡스"는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함으로써 신경전달을 방해하는 일종의 "경쟁적 저해제"이다. 현재 바르는 보톡스 제품의 주성분인 아르기렐린은 효과가 불확실하고, 합성 펩타이드의 특성상 가격적으로 불리하며, 소비자 친화적이지도 않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다.
천연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신경전달 억제를 개발하는 것은 펩타이드 소재에 비하여 월등히 저렴한 원료를 제공할 수 있고, 천연물 소재이므로 최종 제품 개발 시 소비자에게 친화적으로 접근 가능하므로 펩타이드 소재에 비해 산업적 응용이 수월한 형태라 사료된다.
한편, 포제법은 한방의 전통제약기술로서 합화, 합약, 수치, 포자, 법제 및 수사 등으로 일컬어진다. 이는 한방이론에 근거하여 약재를 가공 처리함으로써 약재 본래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제약기술이라 할 수 있다.
포제는 약물의 형태가 바른 것을 선별하고 잡질을 제거하며 정제, 가열처리, 보조물을 이용한 가공 등이 포함된 용어이다. 포제는 경우에 따라서 보료를 가하여 함께 포제하는데, 이러한 것은 의료의 요구에 부합되는 것이며, 변증에 따른 용약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이다. 약물의 포제에 사용하는 보료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각기 다른 성질과 작용이 있으며, 이로 인해 포제한 약물이 일으키는 작용도 각기 다르다. 현재 사용되는 보료의 종류는 비교적 많은 편인데, 크게 액체 보료와 고체 보료로 구분할 수 있다. 액체 보료는 술, 식초, 소금물, 꿀, 생강즙, 감초즙, 흑두즙, 식염수, 미감수, 마유, 젖, 동변 또는 석회수 등이 사용된다. 고체 보료로는 쌀, 밀기울, 백반, 두부, 흙, 합분 또는 모래 등이 있다.
한약재를 포제하는 목적은 약물을 청결하게 하고, 저장을 용이하게 하며, 약물의 독성과 부작용을 저하시키거나 제거하고, 약성을 변화시켜 약을 더욱 효과적으로 만들며, 약물의 치료 효과를 증강시키고, 약재의 나쁜 냄새와 맛을 없애 복용하기 좋게 하기 위함이다.
피부의 주름은 연령의 증가 및 스트레스 등의 내인적인 요인 또는 대기오염이나 자외선 조사와 같은 외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가장 두드러진 피부 노화의 외관상의 특징이다. 주름은 이마, 눈 주변, 양미간 및 입 주변 등의 안면이나 목, 목둘레, 팔꿈치, 겨드랑이, 손 및 발 등의 신체 각 부위에 생긴다. 대부분 30세 전후부터 눈에 띄기 시작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 수나 깊이 및 범위가 증가해간다. 이러한 주름 생성의 주된 원인은 피부 노화 과정에 의해 피부조직에 생긴 활성 산소종이 최종적으로 피부 진피 구성성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교원섬유와 탄력섬유에 가교를 형성시키고 이들 섬유의 생성 및 분해를 변화시켜 일어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피부 노화를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비타민 E, 베타-카로틴, 비타민 C 및 글루타치온 (glutathione) 등의 항산화제나 라디칼 소거제와 비타민 A와 같은 진피 콜라겐 합성을 증진시키는 물질 등이 현재까지 피부 주름을 개선해주는 물질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료 활성 성분들은 대부분 피부 자극이 강하거나 그 자체가 제형 내에서 불안정하여 변색, 변취 및 침전 등이 발생하고 원료 고유의 활성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 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천연 원료에 관하여 연구한 결과, 복분자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SNARE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고 신경전달물질 방출을 막아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 재료를 사용하여 피부에 부작용이 적고 피부 자극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피부 주름 개선제들에 비해 제형 내 안정성이 뛰어나고, 종래의 주름 개선용 시술에 사용되어왔던 보톡스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부작용이 없이 피부의 주름을 크게 개선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분자 추출물에 의한 막융합 현상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분자 추출물에 의한 PC12 세포에서의 신경전달물질 방출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복분자(Rubus coreanus)는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uel)의 열매이며, 냄새가 없고 맛은 시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다. 복분자는 신 기능을 북돋아 유정, 몽정 및 유뇨 등에 사용하며 시력약화에 쓰이고 몸을 가볍게 하며 머리를 검게 한다. 또한, 여자의 잉태를 돕고 살결을 부드럽고 아름답게 하기도 한다. 약리작용으로 항염 작용, 항산화 작용 및 항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작용이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복분자는 SNARE (soluble N-ethylmaleimide-sensitive factor attachment protein receptor) 복합체의 형성을 저해하고 신경전달물질 방출을 저해하여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이는 종래에 피부 주름 개선용 시술에 사용되어왔던 보톡스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부작용이 없이 피부의 주름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복분자 추출물은 복분자를 용매로 추출하기 전 포제 처리될 수 있다. 건조한 복분자를 삶거나, 찌거나, 불에 볶거나, 불에 굽는 공정 또는 이들이 혼합된 공정 등을 통해 복분자를 포제 처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삶는 경우 60~100℃, 30분~2시간/ 찌는 경우 120~150℃, 3~6시간/ 볶는 경우 100~180℃, 10분~1시간/ 굽는 경우 80~100℃, 10분~1시간에서 용이하게 선정된다. 상기 처리 온도 및 처리 시간을 벗어나면 포제 처리의 효과가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보료를 가하여 함께 포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보료로는 술, 식초, 소금물, 꿀, 생강즙, 감초즙, 흑두즙, 식염수, 미감수, 마유, 젖, 동변, 석회수, 쌀, 밀기울, 백반, 두부, 흙, 합분 또는 모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복분자의 추출과정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제 처리된 복분자에 물 또는 유기용매를 넣고, 환류 추출하여 침적시킨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복분자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에탄올을 사용한다. 이때, 추출 온도는 10~80℃가 바람직하며, 추출 시간은 6~24시간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상기에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은 이후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상온에서 냉침, 가열 및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용매를 증발,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복분자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30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이는 그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이면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고, 30중량% 초과이면 함량 증가에 비해 그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립스틱 또는 파우더 파운데이션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분자 생품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복분자 1 kg에 80% 에탄올 수용액 5 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복분자 추출물 285 g을 얻었다.
[실시예 2] 복분자 청초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복분자 1kg을 초제 용기에 넣은 다음 150℃ 에서 30분 동안 볶은 후 그늘에 말렸다. 80%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은 후,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복분자 청초 추출물 250g을 얻었다.
[실시예 3] 복분자 주증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복분자 1kg을 황주 300㎖(서늘한 음지에서 전통 옹기를 사용하여 숙성시키며 복분자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20~30% 비율로 사용함)에 축축해지도록 1시간 동안 담가 두고 이것을 찜기에 담아 100~150℃를 유지시키면서4시간 동안 찐 다음 그늘에 말렸다. 80%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복분자 주증 추출물 260g을 얻었다.
[실시예 4] 복분자 염자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복분자 1kg을 소금물 200㎖(서늘한 음지에서 전통 옹기를 사용하여 숙성시키며 소금물의 농도는 8~10%이고 복분자 건조 중량에 대하여 20~30% 비율로 사용함)에 잘 혼합시킨 후 밀폐시켜 완전히 흡수되도록 1시간 동안 방치하고, 소금물이 완전히 흡수된 복분자를 150℃의 초제 용기에 넣은 다음 30분 동안 볶은 후 그늘에 말렸다. 80% 에탄올 수용액 5ℓ를 넣고, 3회 환류 추출한 다음, 15℃에서 1일간 침적시켰다. 그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복분자 염자 추출물 295g을 얻었다.
[시험예 1] 막융합 저해 효과
상기 실시예 1~4에서 수득한 복분자 추출물에 대한 막융합 저해 효과를 시험하였다. SNARE 단백질들을 생산하기 위해 생물학 기법으로 형질전환된 대장균 (E. coli Codon (+) RIL, Novagen)으로부터 각각 SNAP25 (NMO11428), 신탁신 1a (AF217197) 및 VAMP2 (NMO12663)라 불리는 SNARE 단백질들을 정제하였다. 우선 형광물질이 표지된 미세한 피막입자인 라이포좀 (liposome)을 만들기 위해 팔미토일 올레오일 포스파티딜콜린 (Palmitoyloleoyl phosphatidylcholine; POPC)(62mol%), 디올레오일 포스파티딜세린 (Dioleoyl phosphatidylserine; DOPS)(35mol%), 1-올레오일-2-[N-(7-니트로-2,1,3-벤족사디아졸-4-일)아미노]카프로일 포스파티딜세린(1-oleoyl-2-[N-(7-nitro-2,1,3-benzoxadiazol-4-yl)amino]caproyl phosphatidylserine; NBD-PS)(1.5mol%) 및 형광물질인 로다민(Rhodamin-PE, 1.5mol%)을 혼합하여 10Mm 라이포좀 (v-vesicle)을 만들었고, 형광물질이 표지되지 않은 라이포좀을 만들기 위해 DOPS와 POPC를 몰농도가 35:65가 되도록 혼합하여 50Mm 라이포좀 (t-vesicle)을 만들었다. 정제된 SNAP25와 신탁신 1a로 구성된 복합체를 만들기 위해 몰농도가 1:1이 되도록 혼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형광물질이 표지되지 않은 라이포좀과 몰비율이 100:1이 되도록 혼합하였고, VAMP2는 형광물질이 들어있는 라이포좀과 몰비율이 50:1로 결합시켰다. 그리고 나서 상기 두 종류의 라이포좀은 10kDa 투석막을 이용하여 4℃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투석 과정을 거친 후 3:7 (v-vesicle:t-vesicle)의 비율로 섞은 뒤, SNAP-25, 신탁신 1a 및 VAMP-2를 포함하는 상기 혼합물에 대조군인 메탄올과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복분자 추출물을 각각 40㎍/㎖ 농도로 가하였다. 이어서, 형광 강도 측정 기기 (모델명: SpectraMax M2, 제조사: Molecular Device)를 이용하여 형광 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형광 강도는 SNARE 단백질간의 막 융합 현상을 의미하기 때문에, 형광 강도가 낮다는 것은 막융합 저해 효과가 우수함을 나타낸다. 검은색 원형은 대조군 반응 (control reaction)이 진행되는 경로를 나타낸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복분자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형광 강도가 낮아 SNARE 단백질간의 막 융합 현상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복분자 주증 추출물(실시예 3)은 다른 실험군보다 막융합 저해 효과가 우수하였다.
대조군의 형광 강도를 기준으로 설정하고 각각 복분자 추출물에서의 상대적인 막 융합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복분자 추출물의 막융합 저해 효과
시료명 막 융합 저해율(%)
대조군(Control) 100
실시예 1 복분자 생품 추출물 51
실시예 2 복분자 청초 추출물 48
실시예 3 복분자 주증 추출물 0
실시예 4 복분자 염자 추출물 53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복분자 추출물로 처리한 군은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대조군보다 막융합 저해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실시예 3의 복분자 주증 추출물은 다른 복분자 추출물들에 비해 막융합 저해 효과가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분자 추출물은 SNARE 단백질간의 막융합 현상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시험예 2] PC12 세포에서의 신경전달물질 방출 저해 효과
PC12 세포는 콜라겐 코팅한 플레이트(60mm dish)에 10% 태아 송아지 혈청과 5% 태아 소 혈청, 항생물질이 들어간 Ham's F12K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계대배양은 배지를 흡입한 후 PBS 2 ㎖을 넣고 피펫팅하여 세포를 디시(dish) 벽으로부터 분리하여 1,000 xg 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모은 후, 새로운 배지를 넣어 피펫팅하여 세포 펠렛을 분산하여 새로운 배양 플레이트에 넣고 37℃, 5%의 CO2 가스가 공급되는 배양기내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3H]-노르아드레날린은 Amersham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PC12 세포의 플레이트에서 배지를 흡입한 후 PBS를 넣고 세포를 플레이트 벽으로부터 떼어낸 후 세포수를 헤마사이토미터로 측정하여 2x105cell/㎖의 농도로 새로운 배지에 분산하여 접종하였다. 24시간 후 노르아드레날린 검정 완충액 ([3H]-NA, 1.5μCi/㎖)을 첨가한 후 탄산가스 배양기에서 90분간 도입하였다. 반응 후 완충액을 제거한 후 PBS로 3회 세정한 후 새로운 배지에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복분자 추출물 10㎍/㎖ 농도로 넣고 30분간 반응시켰다. 양성대조군으로 베라파밀을 사용하고 상기 복분자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고농도의 K+ 완충액을 넣은 후 12분간 탄산가스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상등액을 회수하여 [3H]- 노르아드레날린의 방출을 저해하는지를 신틸레이션 카운터(scintillation counter)로 측정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복분자 추출물이 PC12 세포내에서 도파민 유도체인 노르아드레날린의 방출을 저해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고농도의 K+ 완충액을 기준으로 각 실험군의 노르아드레날린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험에 사용된 복분자 염자 추출물을 제외하고 나머지 복분자 추출물은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실시예 3의 복분자 주증 추출물은 신경전달물질의 방출 저해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분자 추출물은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저해시킴으로써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고자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영양화장수
복분자 주증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 화장수를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표 2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3 5.0
스쿠알란 5.0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유연화장수
복분자 주증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를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표 3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3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크림
복분자 주증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표 4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3 5.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PEG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마사지크림
복분자 주증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사지크림을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표 5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3 5.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PEG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팩
복분자 주증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을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표 6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3 5.0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시험예 3] 복분자 주증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주름 개선 임상효과
상기 제형예 3의 조성을 갖는 복분자 주증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40세 이상의 여성 10명(평균연령 44.5세)을 대상으로 주름이 있는 눈가를 중심으로 12주간 도포(2회/일, 0.2g/회)하도록 하였다. 화장료 도포 전(T0)과 화장료 도포 12주 후(T12)에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와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를 통해 하기 표 7의 기준 점수표에 따라 7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함으로써 피부주름의 개선정도(ΔW)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9에 나타내었다.
표 7 기준 점수표
피부 주름 평가 기준 점수
극히 심하게 악화 -3
악화 -2
약간 악화 -1
변화 없음 0
약간 개선 1
개선 2
매우 개선 3
표 8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
구분 평균주름 개선정도(ΔW)
T0 T12
피검자 1 0 2
피검자 2 0 2
피검자 3 0 3
피검자 4 0 1
피검자 5 0 2
피검자 6 0 2
피검자 7 0 2
피검자 8 0 3
피검자 9 0 1
피검자 10 0 3
ΔW(T12-T0) 2.1
표 9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
구분 평균주름 개선정도(ΔW)
T0 T12
피검자 1 0 2
피검자 2 0 3
피검자 3 0 3
피검자 4 0 2
피검자 5 0 2
피검자 6 0 2
피검자 7 0 2
피검자 8 0 2
피검자 9 0 1
피검자 10 0 3
ΔW(T12-T0) 2.0
상기 표 8~9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복분자 주증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12주 동안 도포한 경우, 숙련자의 객관적 평가와 피검자의 주관적 평가에서 평균 주름 개선 정도가 각각 2.1및 2.0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현저한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3)

  1. 복분자(Rubus corean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분자 추출물이 복분자를 추출하기 전 포제 처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분자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3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0/004144 2009-06-25 2010-06-25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11002179A2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81,784 US20120107431A1 (en) 2009-06-30 2010-06-25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rubus coreanus extract for diminishing skin wrinkles
JP2012517393A JP5889185B2 (ja) 2009-06-30 2010-06-25 トックリイチゴ酒蒸抽出物の製造方法
CN2010800291473A CN102470096B (zh) 2009-06-30 2010-06-25 一种含有覆盆子提取物的改善皮肤皱纹用化妆品组合物
HK12109663.3A HK1168799A1 (en) 2009-06-30 2012-09-28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rubus coreanus extract for diminishing skin wrinkles
US13/778,176 US9198945B2 (en) 2009-06-25 2013-02-27 Cosmetic compositoin containing a rubus coreanus extract for diminishing skin wrink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8901 2009-06-30
KR20090058901 2009-06-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3/381,784 A-371-Of-International US20120107431A1 (en) 2009-06-25 2010-06-25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rubus coreanus extract for diminishing skin wrinkles
US13/778,176 Division US9198945B2 (en) 2009-06-25 2013-02-27 Cosmetic compositoin containing a rubus coreanus extract for diminishing skin wrink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02179A2 true WO2011002179A2 (ko) 2011-01-06
WO2011002179A3 WO2011002179A3 (ko) 2011-05-19

Family

ID=4341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4144 WO2011002179A2 (ko) 2009-06-25 2010-06-25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20107431A1 (ko)
JP (1) JP5889185B2 (ko)
KR (1) KR101736775B1 (ko)
CN (1) CN102470096B (ko)
HK (1) HK1168799A1 (ko)
WO (1) WO201100217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240B1 (ko) * 2018-08-23 2019-09-02 주식회사 하울바이오 Snare 복합체를 억제하는 항-vamp2 항체 및 이의 용도
US11224564B2 (en) 2018-06-29 2022-01-18 Hoseo Universit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omposition comprising erigeron annuus flower essential oil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muscular disea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7568B2 (en) * 2007-07-10 2013-12-31 Medy-Tox, Inc. Pharmaceutical liquid composition of botulinum toxin with improved stability
CN103110560A (zh) * 2012-12-14 2013-05-22 吴江市德佐日用化学品有限公司 一种修复型护手霜的制备方法
KR101314680B1 (ko) * 2013-01-04 2013-10-04 주식회사 다솔 복분자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US9480731B2 (en) * 2013-12-12 2016-11-01 Medy-Tox, Inc. Long lasting effect of new botulinum toxin formulations
CN109803673A (zh) 2016-09-13 2019-05-24 阿勒根公司 非蛋白质梭菌毒素组合物
KR102249419B1 (ko) * 2018-11-15 2021-05-07 김영배 복분자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310943B1 (ko) 2019-05-16 2021-10-07 재단법인 포항테크노파크 산딸기 추출물 분말 및 산딸기씨 분말을 함유하는 바디 스크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97991B1 (ko) 2019-10-11 2021-09-07 주식회사 하울바이오 SNARE 복합체를 억제하는 항-Syntaxin 1A 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274841B1 (ko) 2019-10-16 2021-07-12 주식회사 하울바이오 Snare 복합체를 억제하는 항-snap 25 항체 및 이의 용도
KR102367726B1 (ko) * 2019-11-01 2022-02-2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성숙 복분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561292B1 (ko) 2022-05-20 2023-07-27 한도숙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킨 신경전달물질 펜타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4280A (ko) * 2005-10-24 2007-04-27 금산고려홍삼 주식회사 황토와 홍삼 성분이 함유된 미용팩
KR20080008491A (ko) * 2006-07-20 2008-01-24 주식회사 참 존 복분자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3342A (ja) * 1994-09-05 1996-03-19 Ichimaru Pharcos Co Ltd 覆盆子抽出物含有皮膚外用剤または浴用剤
US20030152545A1 (en) * 2000-12-01 2003-08-14 Park Hyo Suk Topical liquid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reof
JP2002241299A (ja) * 2001-02-13 2002-08-28 Ichimaru Pharcos Co Ltd メイラード反応修復剤
CN1245953C (zh) * 2004-05-17 2006-03-22 刘贤英 一种中药生物祛皱嫩肤化妆品及其制备工艺
JP2007186457A (ja) * 2006-01-13 2007-07-26 Ichimaru Pharcos Co Ltd トリプタ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その利用
JP4800049B2 (ja) * 2006-01-31 2011-10-26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mTORを活性化する製剤及びmTORを活性化する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4280A (ko) * 2005-10-24 2007-04-27 금산고려홍삼 주식회사 황토와 홍삼 성분이 함유된 미용팩
KR20080008491A (ko) * 2006-07-20 2008-01-24 주식회사 참 존 복분자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4564B2 (en) 2018-06-29 2022-01-18 Hoseo Universit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Composition comprising erigeron annuus flower essential oil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neuromuscular disease
KR102017240B1 (ko) * 2018-08-23 2019-09-02 주식회사 하울바이오 Snare 복합체를 억제하는 항-vamp2 항체 및 이의 용도
WO2020040481A1 (ko) * 2018-08-23 2020-02-27 주식회사 하울바이오 Snare 복합체를 억제하는 항-vamp2 항체 및 이의 용도
CN111868092A (zh) * 2018-08-23 2020-10-30 哈坞生物科技株式会社 抑制snare复合体的抗vamp2抗体及其用途
US11958897B2 (en) 2018-08-23 2024-04-16 Hauul Bio Anti-VAMP2 antibody for inhibiting snare complex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98945B2 (en) 2015-12-01
CN102470096B (zh) 2013-12-18
US20130171282A1 (en) 2013-07-04
WO2011002179A3 (ko) 2011-05-19
HK1168799A1 (en) 2013-01-11
CN102470096A (zh) 2012-05-23
JP2012532097A (ja) 2012-12-13
US20120107431A1 (en) 2012-05-03
JP5889185B2 (ja) 2016-03-22
KR20110001915A (ko) 2011-01-06
KR101736775B1 (ko)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02179A2 (ko)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8670943A (zh) 一种保湿、美白、淡斑植物提取物组合物
CN106977586B (zh) 一种促进组织修复的美洲大蠊新多肽及应用
KR20070069204A (ko) 이상 단백질 제거용 조성물
KR20090056397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조성물
KR20100135871A (ko) 섬유모세포의 증식 및/또는 활성을 자극하는 활성 성분
EA021777B1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кстракт венериной мухоловки dionaea muscipula,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кожи и придатков кожи
KR20200063855A (ko) 밀크씨슬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용 조성물
JP2001163794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20130010250A (ko) 허니부쉬 추출물 또는 이의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2001158728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KR102104214B1 (ko) 포타슘 알룸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08396A (ko) 편백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1484549B (zh) 一种美洲大蠊组织修复因子pa1及其应用
KR101650020B1 (ko) 스노우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5863225B2 (ja) 美肌用組成物
KR101065356B1 (ko) 동백박(동백종실 껍질 분말) 및 그 추출물의 이용
KR20140026819A (ko) 진피 및 우슬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JPH01102011A (ja) 皮膚化粧料
KR20130102712A (ko)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WO2022169066A1 (ko) 금화규 유래 콜라겐아미노산을 이용한 기능성 콜라겐 조성물
KR101290790B1 (ko) 한방 나노좀을 함유하는 피부트러블 개선 및 진정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9164090A1 (ko) 앉은 부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20110089626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0029147.3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7943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517393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381784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79431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