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2226A - 반도체소자 제조용 로봇 암(robot arm) - Google Patents

반도체소자 제조용 로봇 암(robot a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2226A
KR980012226A KR1019960030145A KR19960030145A KR980012226A KR 980012226 A KR980012226 A KR 980012226A KR 1019960030145 A KR1019960030145 A KR 1019960030145A KR 19960030145 A KR19960030145 A KR 19960030145A KR 980012226 A KR980012226 A KR 980012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arm
support portion
width
semiconductor device
wa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엽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3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12226A/ko
Publication of KR980012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2226A/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반도체소자 제조용 로봇 암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소정간격 분리되어 있는 제2 지지부가 형성된 단부를 포함하는 로봇 암에 있어서, 상기 로봇 암의 단부의 폭을 다른 부위의 폭보다 크게하여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폭을 넓힌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웨이퍼 이송시 텅스텐 핀이 부러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소자 제조용 로봇 암(robot arm)
본 발명은 웨이퍼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이퍼의 이동에 사용되는 로봇 암(robot arm)에 관한 것이다. 웨이퍼를 챔버 내로 이송시키거나 챔버로부터 외부로 이송시키고자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웨이퍼 이송장치는 로봇 암이다. 로봇 암에 의해 웨이퍼가 이송되는 방법을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서셉터(susceptor)에 장착되어 있는 웨이퍼가 서셉터를 관통하는 텅스텐 핀(pin)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들어올려진 웨이퍼와 서셉터 사이에 로봇 암이 끼워진 후, 웨이퍼는 로봇 암 위에 놓이게 된다. 이때, 종래의 로봇 암에 의해 핀이 부러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도 1은 종래 로봇 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로봇 암은 통상 알루미늄 재질로 되어 있으며, 그 단부가 소정의 간격(s1)으로 분리 되어 제1 지지부(1)와 제2 지지부(3)로 나뉘어 있다. 이는, 웨이퍼를 들어올리기 위해 로봇 암이 웨이퍼와 서셉터 사이에 끼워질 때, 로봇 암과 웨이퍼를 들어올리고 있는 핀이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종래의 로봇 암은 일자형으로 만들어지고 웨이퍼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일정 폭 이상으로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에, 로봇 암 단부에 만들어질 수 있는 상기 분리 간격(s10에는 한계가 있으며, 통상적으로 핀의 두께에 약간의 여유를 두고 만들어진다. 따라서 장비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웨이퍼를 받쳐주는 텅스텐 핀과 상기 로봇 암의 제1 지지부(1) 또는 제2 지지부(3)가 부딪혀 텅스텐 핀이 부러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 텅스텐 핀의 부러짐이 방지되고, 정전기 및 휘어짐 발생이 방지된 로봇 암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로봇 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상기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소정간격 분리되어 있는 제2 지지부가 형성된 단부를 포함하는 로봇 암에 있어서, 상기 로봇 암의 단부의 폭을 다른 부위의 폭보다 크게하여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의 폭을 넓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제조용 로봇 암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로봇 암은 세라믹으로 제조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20∼40㎜의 간격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웨이퍼 이송시 텅스텐 핀이 부러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암은 그 단부가 소정의 간격(s2)으로 분리되어 제1 지지부(10)와 제2 지지부(12)로 나뉘어져 있다. 여기에서 종래와는 달리 로봇 암의 단부는 그 폭이 일자형의 폭보다 넓게 만들어져 있으며, 따라서 제1 및 제2 지지부(10 및 12)의 폭이 종래와 동일한 경우, 제1 지지부(10)와 제2 지지부(12)사이의 간격(s2)은 종래보다 크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암은 알루미늄 대신 세라믹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종래 발생되던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소정간격 분리되어 있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로봇 암 단부의 폭을 일자형 로봇 암의 폭보다 크게하여 소정간격을 종래보다 넓힘으로써, 웨이퍼 이송시 텅스텐 핀이 부러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세라믹으로 제조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소정간격 분리되어 있는 제2지지부가 형성된 단부를 포함하는 로봇 암에 있어서, 상기 로봇 암의 단부의 폭을 다른 부위의 폭보다 크게하여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의 폭을 넓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제조용 로봇 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암은 세라믹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제조용 로봇 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는 20∼40㎜의 간격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 제조용 로봇 암.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30145A 1996-07-24 1996-07-24 반도체소자 제조용 로봇 암(robot arm) KR980012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145A KR980012226A (ko) 1996-07-24 1996-07-24 반도체소자 제조용 로봇 암(robot a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145A KR980012226A (ko) 1996-07-24 1996-07-24 반도체소자 제조용 로봇 암(robot a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2226A true KR980012226A (ko) 1998-04-30

Family

ID=6624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145A KR980012226A (ko) 1996-07-24 1996-07-24 반도체소자 제조용 로봇 암(robot a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122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102056A (ja) ウエハー支持具
KR20010041263A (ko) 둥근 수평 아암을 갖는 슬립 가능한 수직형 래크
KR19990008205A (ko) 슬립 방지 수직 선반
US5863334A (en) Strength-enhanced quartz boat
KR980012226A (ko) 반도체소자 제조용 로봇 암(robot arm)
KR200232212Y1 (ko) 반도체 에칭장비의 웨이퍼 업/다운용 지지대
KR100512166B1 (ko) 반도체 웨이퍼 핸들링장치
KR19990009929U (ko) 반도체 웨이퍼용 보트
KR200198430Y1 (ko) 반도체에싱장비의웨이퍼이송용패들암
KR100479302B1 (ko) 반도체장치이송용캐리어
KR0181907B1 (ko) 반도체 웨이퍼 고정장치
KR0131996Y1 (ko) 반도체 산화막형성 공정용 보트
KR100490046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유리 기판 이송 장치의 유리 기판 탑재부
KR19980030958A (ko) 반도체 웨이퍼 핸들러의 핑거
KR200205147Y1 (ko) 반도체웨이퍼용티이저
KR20030006222A (ko) 웨이퍼 미끄러짐 방지 장치
KR19990073893A (ko) 반도체소자 제조장치
KR100783282B1 (ko) 정열 챔버의 정열대
KR19980044621U (ko) 웨이퍼 이송용 아암
KR20020080924A (ko) 반도체 웨이퍼 이송용 캐리어
KR20000026267A (ko) 진공 카세트 엘리베이터 장치
KR19990041715U (ko) 웨이퍼 지지용 클램프.
KR20040107933A (ko) 웨이퍼 이송로봇용 블레이드
KR19990012272A (ko) 안정된 웨이퍼 로딩과 그 유지를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웨이퍼 패드
KR20020089897A (ko) 반도체장치의 제조를 위한 로드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