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670A - 지하구조물용 뚜껑 - Google Patents

지하구조물용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670A
KR980009670A KR1019970033236A KR19970033236A KR980009670A KR 980009670 A KR980009670 A KR 980009670A KR 1019970033236 A KR1019970033236 A KR 1019970033236A KR 19970033236 A KR19970033236 A KR 19970033236A KR 980009670 A KR980009670 A KR 980009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x portions
convex
convex portion
small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9692B1 (ko
Inventor
히로요시 다카나
쥰지 와다
교죠 사하라
Original Assignee
우라카미 노리유키
히노데스이도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라카미 노리유키, 히노데스이도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라카미 노리유키
Publication of KR980009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뚜껑본체의 표면에 설치되는 볼록부의 배치 패턴 및 볼록부의 형상을 최적화함으로써 설치환경에 관계없이 장기간에 걸쳐 미끄러짐 방지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지하구조물용 뚜껑을 제공한다.
뚜껑본체(3)의 표면에 각각 독립된 볼록부(4a, 5a, 6a)를 일정하게 배치한 지하구조물용 뚜껑에 있어서, 볼록부돌출부 중 일부 또는 전부에는 그 상면에 소볼록부(4b, 4c, 5b, 5c, 6b)를 형성함과 동시에 최상단의 소볼록부(4b, 4c, 5b, 5c, 6b) 및 소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볼록부를 그 최상면의 크기가 직경 25mm의 원 안에 수납되도록 하고, 또한 볼록부(4a, 5a, 6a) 또는 소볼록부(4b, 4c, 5b, 5c, 6b)의 외관과 이에 인접하는 볼록부돌출부 또는 소볼록부(4b, 4c, 5b, 5c, 6b)의 외곽과의 각각의 최단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10∼30mm로 한다.

Description

지하구조물용 뚜껑
존 발명은 지하구조물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륜차 등 차량의 타이어 미끄러짐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지하구조물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 명세서의 「지하구조물용 뚜껑」이란, 하수도의 지하 매설물, 지하 구조시설 등과 지상을 연결하는 개구부를 폐쇄하는 맨홀 뚜껑, 대형 철뚜껑, 오수구 뚜껑, 전력·통신용 지하시설기기나 지하케이블 등을 보호하는 개폐가능한 공동홈용 철뚜껑, 송전용 철뚜껑, 배전용 철뚜껑, 상수도나 가스배관에 있어서의 노면 밑의 매설 도관 및 그 부속기기와 지상을 연결하는 개폐문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소화전 뚜껑, 제수밸브 뚜껑, 칸막이밸브 뚜껑, 공기밸브 뚜껑, 가스배관용 뚜껑, 야수기 뚜껑 등을 총칭한다.
보드나 차도 등에 설치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의 표면에는 그 장식을 겸한 요철모양이 형성되어 우천시 등에 보행자나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있다.
미끄러짐 방지하기 위해 표면 모양을 개량한 뚜껑본체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실개소 58-42252호 공보 및 실개소 63-86156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들 공보에 기재된 것은 뚜껑본체의 표면에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들 볼록부의 상면에 작은 요철을 마련하고나, 볼록부 이외의 패인 부분에도 작은 볼록부를 형성한 것이다. 즉, 뚜껑본체의 표면의 요철모양뿐아니라 더욱 작은 요철을 마련함으로써 연속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표면 조도(roughness)를 크게하여 마찰 저항을 높임으로써 미끄러짐 방지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뚜껑본체 표면의 볼록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작은 요철은 차량 통과시 타이어와 접촉하여 마찰되기 때문에 설치 후의 시간 경과에 따라 이 작은 요철이 마모되어 마찰저항이 약해지기 때문에 미끄러짐 방지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설치 직후에도 토사나 빗물 등이 작은 요철의 함몰 부분에 고이면 타이어에 대한 마찰저항이 효율적으로 작용되지 못하고, 마찬가지로 미끄러짐 방지효과가 저하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구조에서는 뚜껑본체의 표면 조도를 크게하여 마찰저항을 높이고자 하였으나, 단지 작은 요철을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미끄러짐 방지성능을 자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없고, 또한 토사나 빗물등이 개재된 경우에는 다초보다 미끄러짐 방지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뚜껑본체의 표면에 설치하는 볼록부의 배치 패턴 및 볼록부의 현상을 최적화함으로써 설치환경에 관계없이 장기간에 걸쳐 미끄러짐 방지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지하구조물용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용용 뚜껑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평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예에 있어서의 볼록부와 소볼록부의 구체적 예로서, 제2도(a)는 사시도, 제2도(b)는 종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예에 있어서의 볼록부왓의 형상 및 그 위치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4도는 다양한 종단면 형상을 갖는 볼록부간의 간격(L)을 정의하기 위한 볼록부의 배열에 대한 간격(L)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제5도는 볼록부간의 간격(L)을 정의하기 위한 볼록부의 배열에 대한 간격(L)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예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일례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으로, (a)는 그 배치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7도(b)는 제7도(a)의 B-B선 화살표로 표시한 돌출부의 단면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제8도는 제6도의 예에 있어서의 다른 돌출부를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제8도(a)는 그 배치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8도(b)는 제8동(a)의 C-C선 화살표 표시되는 돌출부의 단면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제9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의 예에 있어서의 돌출부의 일례를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제10(a)도는 그 배치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10(b)도도는 제10(a)도의 D-D선 화살표로 나타낸 돌출부의 단면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제11도는 제9도의 돌출부가 마모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12도는 볼록부의 상면의 3개소에 소볼록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볼록부의 바깥테두리를 엣지부로 한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3도는 볼록부 상면의 3개소에 소볼록부를 형성하여 그 바깥테두리를 엣지부로 한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뚜껑본체 2 : 볼록부
2a : 소볼록부 3 : 뚜껑본체
3a : 테두리부 3b : 바닥면
4 : 돌출부 4a : 볼록부
4b,4c : 소볼록부 5 : 뚜껑본체
5a : 볼록부 5b,5c : 소볼록부
6 : 돌출부 6a : 볼록부
6b : 소볼록부 15 : 볼록부
15a : 소볼록부 15b : 배출홈
15c :엣지부 16 : 볼록부
16a : 소볼록부 16b : 배출홈
16c : 엣지부
본 발명은, 뚜껑본체의 표면에 각각 독립된 볼록부를 일정한 모양으로 배치한 지하구조물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는 그 상면에 소볼록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소볼록부 중 최상단 소볼록부 및 소볼록부가 형성되지 않은 볼록부를 그 최상면 크기가 지름25mm의 원 안에 수납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볼록부 또는 소볼록부의 외곽과, 이에 인접하는 볼록부 또는 소볼록부의 외곽의 각각의 최단간격 중 적어도 하나르 10m∼30mm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구성과 함께 뚜껑본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붑분에 예각형태의 엣지부를 갖는 볼록부 및/또는 소볼록부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뚜껑본체의 표면에 오목부와 볼록부에 의한 요철모양이 형성된 지하구조물용 뚜껑에 있어서, 뚜껑본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예각형태의 엣지부를 갖는 볼록부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볼록부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는 그 상면에 소볼록부를 형성하고, 뚜껑본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예각형태의 엣지부를 갖는 볼록부 및/또는 소볼록부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소볼록부가 형성된 볼록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는 상기 볼록부의 높이를 소볼록부가 형성된 다른 볼록부의 높이보다도 높게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뚜껑본체의 표면에 독립적으로 형성된 볼록부나 소볼록부끼리의 외곽 간격은 뚜껑본체를 통과하는 차량의 타이어가 구를 때에 이 타이어에 반복적으로 부하되는 결합력의 작용점의 간격과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인접하는 볼록부나 소볼록부 간의 외곽 간격의 크기에 따라 타이어 대한 결합력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연구해 보면 타이어에의 적합한 결합력의 작용형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타이어에 대한 결합력의 작용형태에 관하여 적합한 볼록부나 소볼록부끼리의 외곽간겨과 그들 형상을 특정화한 것으로서, 소볼록부를 포함하여 우선 서로 인접하는 돌출부들 간의 외곽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10m∼30mm로 함과 동시에 돌출부의 최상면의 평면 형상이 지름 25mm의 원에 포함되는 크기로 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나 소볼록부의 외주측에 예각형태의 엣지부를 설치하면 예각형태의 엣지부에의한 타이어에의 결합력이 증가된다.
소볼록부나 엣지부를 뚜껑본체에 형성된 모든 볼록부에 형성하면 뚜껑본체의 전면에서 최상의 미끄러짐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볼록부들 중 일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뚜껑본체의 표면에 일정한 모양으로 배치함으로써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소볼록부가 형성된 볼록부들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상기 볼록부의 높이를 소볼록부가 형성된 다른 볼록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면 소볼록부가 마모되어 상기 볼록부가 표출된 시점을 뚜껑본체의 교체시기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즉, 상기 볼록부가 표출된 시점에서는 다른 볼록부에 형성된 소볼록부가 아직 남아 있기 때문에, 이 때를 뚜껑본체의 교체 시기의 기준으로 하면 미끄러짐 방지성능의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지하구조물용 뚜껑의 뚜껑본체의 평면도이다.
제1도에 잇어서, 뚜껑본체(1)는 땅에 설치된 수납틀(미도시)에 대하여 종래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테이퍼 결합되는 것으로, 그 표면에는 평면형상이 정육각형인 볼록부(2)를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볼록부(2)는 그 외곽 테두리가 인접하는 볼록부(2)의 외곽테두리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든 볼록부(2)의 상면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평면외곽형상을 작게 한 소볼록부(2a)가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제2도에 명확히 나타난 바와 같이, 볼록부(2)는 그 평면형상이 정육각형이고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소볼록부(2a)는 볼록부(2)의 외곽형상에 대하여 서로 닮은꼴로서, 그 상면의 높이도 동이랗ㄴ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소볼록부(2a)의 각각의 상면의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3도는 제1도에서의 A-A선 화살표에 의한 종단면도에 해당하는 도면으로, 인접하는 볼록부(2) 및 소볼록부(2a)의 위치관계를 타이어(50)의 외곽과 함께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볼록부(2)의 각각에 형성된 소볼록부(2a)간의 외곽 간격(L)을 10∼30mm로 함과 동시에, 모든 소볼록부(2a)에 대해 그 최상면의 평면형상은 직경이 25mm의 원 안에 포함된다는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볼록부(2)를 뚜껑본체(1)의 표면 전면에 배치하고 있는데, 뚜껑본체(1)의 표면에 휘장 등의 마크나 문자를 넣는 경우 또는 외주측에 테두리를 설치한 경우에는 그것들을 제외한 부분에 볼록부(2)를 배치한다. 또한, 소볼록부(2a)도 볼록부(2)들 저체에 대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볼록부(2)들 중 일부에 대해 분산시킨 패턴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소볼록부(2a)와 소볼록부(2a)가 형성되지 않은 볼록부(2)의 높이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에서의 볼록부들 간의 외곽 간격(L)을 정의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명을 간단히 하기위해 소볼록부(2a)가 형성되지 않은 볼록부(2)들 간의 간격(L)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간격(L)은 볼록부(2)의 종단면의 형상에 관계없이 인접하는 볼록부(2, 2)의 타이어가 결합하는 점들간의 길이를 기본으로 한다. 즉, 제4도(a)에 도시된 직사각형 조단면 형상에서는 상단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는 모서리부들 간의 길이이고, 제4도(b)에서의 사디리꼴의 종단면형상을 갖는 것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상단 모서리부들 간의 길이이다. 또한, 제4도(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이나 구형의 종단면형상의 경우에는 가장 높은 점들 간의 길이로 한다.
또한, 볼록부(2)간의 간격(L)의 정의로서, 제4도에 도시된 타이어가 결합되는 점들간의 길이와 함께, 서로 최단 거리에 상당하는 선분의 길이를 간격(L)의 또다른 조건으로 한다. 죽,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2)가 육각형의 평면형상일 경우에는 제4도(a)의 볼록부(2)의 격사상의 배치 및 제4도(b)와 같은 배치 등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는, 도면 중 화살표가 붙은 선붕에 해당하는 길이를 간격(L)으로 한다. 예를들어 제5도(a) 배치일 때는 모서리부들 간의 길이나 대향하는 변간의 길이가 간격(L)이 되고, 제5도(b)의 배치이면 모두 대향하는 변간의 길이를 간격(L)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소볼록부(2a)들 간의 외곽 간격(L)을 10m∼30mm로 함과 동시에, 모든 소볼록부(2a) 또는 소볼록부(2a)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의 볼록부(2)에 대해 그 최상면의 평면형상을 지름 25mm의 원 안에 포함 시킨다는 조건의 근거는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간격(L)이나 평면형상의 크기에 대한 조건은 볼록부(2)와 소볼록부(2a)를 포함한, 요컨대 돌출부의 배치패턴이나 형상에 관한 조건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볼록부나 소볼록부를 총칭하여 간단히「돌출부」로 설명한다.
일반 도로 등에 설치되는 맨홀 뚜껑의 뚜껑본체(1)에 있어서 차량타이어의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기준은, 비 등으로 젖은 노면의 마찰저항과 적어도 동등이상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일반도로에서 비 등으로 젖은 노면의 마찰저항은, 예컨대 「SAFETY DRIVE 교통메뉴얼(발행: 비자 등 택배업무안전운전관리협회, p.7」에 기재된 바에 의하면 0.45∼0.6의 범위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타이어에 대한 마찰저항이 0.45이상이 되는 뚜껑본체(1)의 돌출부의 형태 및 배치패턴을 특정한 것이다.
즉, 마찰저항을 0.45이상으로 크게하기 위해서는 타이어가 뚜껑본체(1)의 표면을 통과할 때 타이어가 뚜껑본체(1)의 돌출부와 서로 끼워맞춤 결합되는 점의 수를 늘려야 할 뿐만아니라 타이어를 충분히 변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본 발명자가 타이어에 대한 마찰저항과 간격(L) 및 돌출부의 최상면의 크기와의 관계에 대해 연구한 결과, 이하의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간격(L)이 너무 작으면타이어의 변형도 작아져 미끄러짐도 미끄러짐작아진다.
(2) 간격(L)이 너무 크면 타이어가 돌출부들간의 뚜껑본체(1)의 움푹 패인 바닥면에 접촉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타이어의 변형이 작아지거나,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라서는 타이어가 바닥면을 통과할 뿐, 타이어의 변형이 촉진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폭이 좁은 타이어에서는 현저히 나타난다.
(3) 돌출부의 최상면의 크기가 너무 크면 뚜껑본체(1) 전체적으로 타이어와의 결합점의 수가 감소됨과 동시에 타이어가 뚜껑본체(1)의 표면을 통과할 때 타이어가 변형되는 반복 회수도 줄어든다.
이상에서 필요한 마찰저항을 얻기 위해서는 돌출부들 간의 간격 및 그 최상면의 크기를 적정히 설정해야만 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타이어 종류와의 관련서도 충분히 고려하여 간격(L) 및 돌출부의 최상면의 크기와 마찰저항과의 관계에 관해서 연구와 고찰을 거듭한 바, 마찰저항을 0.45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간격(L)이 10∼30mm, 돌출부의 최상면의 크기가 직경 25mm인 원 안에 포함된다는 조건을 만조시키면 된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돌출부의 최상면의 형상이 작을수록 타이어와의 결합력은 증강되고, 미끄러짐 방지효과가 향상됨은 명백하다. 이러한 견지로부터, 돌출부는 예를 들어 제4(c)에 도시된 삼각형상의 종단면으로 했을 경우와 같이 상단이 점점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이 경우 타이어와의 결합부분은 점으로 엄밀히 말하면 그 평면적으로 제로에 상당하게 됨으로써, 돌출형상 부분의 최상면의 크기는 지름 25mm의 원 안에 포함된다는 조건을 만족한다.
한편, 돌출부의 높이에 있어서는, 그것이 극단적으로 낮으면, 간격(L)이 지나치게 긴 경우와 마찬가지로 타이어가 오목부의 바닥며에 접촉하게 되어 타이어의 변형에 의한 미끄러짐 방지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수 없게 된다. 따라서, 최소한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갖기 위해서는 돌출부의 높이는 1mm이상으로 하는 것이 경험적으로 보더라도 타당하다. 한편, 돌출부의 높이의 상한으로서는 미끄러짐 방지 효과면에서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현실적으로는 돌출부의 높이를 6mm이상으로 하면 돌출부가 부러지기 쉬운 폐해도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경험적으로 판단하면 6mm 정도를 그 최대높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돌출부는 그 평면형상에 관계없이 그 높이를 1∼6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볼록부(2)의 상면에 소볼록부(2a)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볼록부(2)와 소볼록부(2a)의 각각의 높이를 1∼6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출부가 복수의 단부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각 단부의 각각의 높이를 1∼6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돌출부에 대해서는 그 최상면의 평면형상의 크기가 지경 25mm인 원 안에 포함되도록 하며, 인접하는 돌출부들 사이에 앞에서 정의한 간격(L)을 유지시키고 그 높이 제1도∼6mm라는 조건을 만족 시킴으로써 미끄러짐 방지에 대한 최상의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실시예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2)의 상면까지의 높이에 대한 소볼록부(2a)의 높이 및 볼록부(2)의 평면적에 대한 소볼록부(2a)의 평면적의 각 비율은, 소볼록부(2a)가 마모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50)가 소볼록부(2a)에만 결합되고, 돌출부(2)의 상면에는 타이어(50)가 접촉되지 않을 정도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볼록부(2a)가 점차 마모된다 해도 그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볼록부(2)가 타이어에 접촉되기 때문에 소볼록부(2a)가 마모되어 그 모서리부가 둥글게 되는 등으로 인해 타이어(50)와의 결합력이 저하된다해도 새롭게 볼록부(2)의 모서리부에 의한 결합력이 작용함으로써 미끄럼 방지 효과의 저하를 억제 할 수 있다. 따라서, 뚜껑본체(1)의 사용기간의 연장이 가능하게 되고 통과차량이 많은 설치환경에서도 장기간에 결쳐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소볼록부(2a)들 간의 외곽 간격뿐만 아니라, 그 하단에 위치하는 볼록부(2)끼리의 외곽 간격 제1도 0∼30mm으로 하는것이 가장 적합함은 물론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뚜껑본체(3)는 바깥네두리부를 가장 높게 한 테두리부(3a)로 함과 동시에 이 테두리부(3a)를 제외한 부분을 일정한 모양으로 평탄한 바닥면(3b)으로 하고, 이 바닥면(3b)에 두 종류의 돌출부(4, 5)를 분산시킨 표면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6도에 있어서 뚜껑본체(3)의 중앙부분에는 마크부(3c)와 문자부(3d)가 마련되어 있다. 마크부(3c)와 문자부(3d)에는 각각 휘장 등의 마크와 뚜껑본체(3)의 용도 등을 나타내는 문자나 기호를 넣도록 되어 있다.
돌출부(4)는 제7도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3b)으로부터 직접 돌출된 평면형상이 육가형이노상에 평면형상이 각각 육각형인 단부에 의해 2단의 소볼록부(4b,4c)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볼록부(4a)와 그 위의 소볼록부(4b)는 각각 육각형의 형상을 일치시킨 것으로, 최상단의 소볼록부(4c)는 그 하단의 소볼록부(4b) 및 볼록부(4a)에 대하여 30˚ 회전시킨 형상으로 하여 모서리부의 위치를 달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최상단의 소볼록부(4a)의 모서리부의 위치를 하단의 소볼록부(4b) 및 볼록부(4a)와 달리함으로써, 타이어의 진행방향이 다양한 경우에도 이에 대한 볼록부(4) 전체에 의한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따라서 미끄러짐 방지 효과가 높게 유지된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돌출부(4)에 있어서 최상단 소볼록부(4c)의 평면형상은 지름이 25mm인 원안에 포함되는 크기이며, 간격(L)은 제7도(b)에 도시된 간격(L1∼L6)의 치수중 어느 하나가 10∼30mm이면 된다. 단, 서로 인접하는 최상단의 소볼록부(4c)간의 간격(L6)에 대해서는 10∼30mm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볼록부(4a)간의 간격(L1)을 제외한 L2∼L6을 모두 10∼30mm 의 값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볼록부(4a), 소볼록부(4b,4c)의 돌출 높이는 모두 2mm로서 돌출부(4) 전체의 바닥면(3b)로부터의 높이는 6mm이다.
또 하나의 돌출부(5)는 제8도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형상이 육각형인 볼록부(5a)상에 2단의 (5b, 5c)를 적층한 형상을 갖는다. 볼록부(5a)의 각각에 7쌍의 소볼록부(5b, 5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소볼록부(5b, 5c)도 다른 돌출부(4)와 같이 그 평면형상이 육각형이고, 상단에 소볼록부(5c)는 그 하단의 소볼록부(5b)에 대하여 30˚회전한 형상을 취하고 있다.
이 돌출부(5)에 있어서도, 바닥면(3b)로부터의 돌출 높이는 6mm이고, 소볼록부(5b, 5c)의 돌출 높이는 2mm이다. 또한, 최상단의 소볼록부(5c)의 평면형상은 지름 25mm의 원 안에 포함되는 크기인 점은 돌출부(4)와 동일하다. 그리고, 제8도(b)에 도시된 치수 L1∼L6은 모두 10∼30mm의 험위로 할 수 있을 뿐아니라, L1∼L3 및 L4∼L6쌍의 각각의 하나에 대해서만 이러한 수치범위로 설정해도 무방하다. 단, 서로 인접하는 최상단의 소볼록부(5c)들 간의 간격(L2)와 (L5)에 있어서는 10∼3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L1=L4=12mm, L2=L5=19mm, L3=L6=16mm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볼록부(4a, 5a) 및 소볼록부(4b, 4c, 5b, 5c)가 구비된 것이라 해도 간격(L)의 조건을 만족시킴으로써 타이어의 변형에 의한 결합력을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을 뿐아니라, 소볼록부(4b, 4c, 5b, 5c) 또는 볼록부(4a, 5a)의 모서리부에 의한 결합력도 작용시킬수 있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6도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구획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은 돌출평탄면(3e)으로서 바닥면(3b)으로부터 1mm 정도의 높이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이 돌출평탄면(3e)은, 예를 들어 뚜껑본체(3)의 테두리부(3a)측으로의 물의 배수를 촉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데, 바닥면(3b) 및 돌출평탄면(3e)의 상면에 배치되는 돌출부(4,5)의 각각의 최상면의 높이는 모두 같은 높이로 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인접하는 볼록부나 소볼록부들 간의 간격(L) 및 최상면의 크기를 한정함으로써, 미끄러짐 방지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는데, 이 구성에 볼록부나 소볼록부의 상면에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미세한 요철을 추가로마련함으로써 볼록부나 소볼록부의 표면 조도를 크게할 수도 있다.
제9도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돌출부(4)의 일부를 다른 돌출부(6)로 대체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공통의 부호로 나타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본체(3)의 중심부와 테두리부(3a)의 거의 중간의 위치에 6개의 돌출부(6)를 균일하게 배치하고 있다. 돌출부(6)는 제10도에 상세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평면형상이 원형인 볼록부(6a)와 평면형상이 육각형인 소볼록부(6b)에 의해 형성되고 소볼록부 상면은 다른 돌출부(4,5)의 최상단의 소볼록부(4c, 5c)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소볼록부(6b)의 돌출 길이는 다른 돌출부(4,5)의 소볼록부(4c, 5c)보다도 크며, 그 아래의 볼록부(6a)의 상면 높이는 다른 돌출부(4,5)의 소볼록부(4b, 5b)의 상면 높이보다 낮으며, 또한 돌출부(4)의 볼록부(4a) 및 돌출부(5)의 볼록부(5a)보다도 높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간의 외곽 간격(L)(제10도의 L1, L2,L3,L4)은 모두 10∼30mm의 멈위이며, 최상단의 소볼록부(4c, 5c, 6b)의 평면형상은 지름 25mm의 원 안에 포함되는 크기로 되어 있으므로 미끄럼 방지의 효과를 갖는 점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1도은 제9도의 돌출부(4,5,6)가 돌출부(6)의 소볼록부(6b)의 돌출 길이만큼 마모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소볼록부(6b)가 없어질 정도까지 마모가 진행되면 각 돌출부(4,5,6)의 최상면의 위치는 제10도의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가 되며, 돌출부(4,5)의 위에서 2단째의 소볼록부(4b,5b) 및 돌출부(6)의 볼록부(6a)가 표출하게 된다.
볼록부(6a)가 없어질 정도까지 마모가 진행되면 각 돌출부(4,5,6)의 최상면의 위치는 제10도의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가 되며, 돌출부(4,5)의 위에서 2단째의 소볼록부(4b, 5b) 및 뚜껑본체(6)의 볼록부(6a)가 표출하게 된다.
볼록부(6a)가 표출된 시점에서는 다른 볼록부(4a, 5a)에 형성되어 있는 소볼록부(4b, 5b)가 아직 남아 있기 때문에, 어느정도의 미끄러짐 방지성능은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그 이상 마모가 진행되면 소볼록부(4b, 5b)도 없어지게 되어, 미끄러짐 방지성능은 현저히 저하되기 때문에 볼록부(6a)가 표출된 시점이 뚜껑본체(3)의 교체시기의 기준이 된다.
이와 같이 돌출부(6)의 볼록부(6a)의 높이를 다른 돌출부(4,5)의 볼록부(4a, 5a)보다도 높게 형성하면 돌출부의 표출 시점이 뚜껑본체(3)의 교체시기의 기준이 되고, 이것을 기준으로 뚜껑본체(3)을 교체하면 미끄러짐 방지성능의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돌출부(6)의 볼록부(6a)의 평면형상을 다른 돌출부(4,5)의 볼록부(4a, 5a) 및 소볼록부(4b, 5b)의 평면형상과 서로 달리하고 있기 때문에, 마모에 의해서 볼록부(6a)가 표출되었을 때 쉽게 눈에 띄므로 볼록부(6a)의 표출을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다.
또한, 돌출부(6a)가 표출된 제11도의 상태에서 최상단이 소볼록부(4b, 5b) 및 볼록부(6a)간의 간격(L3) 및 (L4)는 상술한 바와 같이 10∼30mm의 범위이고 또한 그 평면형상도 지름 25mm의 원 안에 포함되는 크기이기 때문에 미끄러짐 방지의 효과는 충분히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하, 실시예에서는 6개의 돌출부(6)를 뚜껑본체(3)의 표면에 균일하게 배치하였지만, 돌출부(6)의 수나 배치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단, 뚜껑본체(3)의 표면전체에 있어서의 마모의 정도 혹은 부분마모 정도를 알기 위해서는 복수의 돌출부(6)를 균일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도 및 제13도는 각각 볼록부의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타이어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미끄러짐 방지를 도모하고 있다.
제12도의 예는, 평면형상이 육각형인 볼록부(15)의 중아부에 고리형태로 배역한 3개의 소볼록부(15a)를 형성함과 동시에 바깥테두리를 예각형태의 엣지부(15c)로 한 것이다.
엣지부(15c)는 소볼록부(15a)와의 경계선으로부터 위를 향하는 비탈의 경사면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그 높이는 제12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볼록부(15a)의 상단면보다도 조금 낮다. 또한, 소볼록부(15a)는 볼록부(15)의 중앙부 상면에 거의 원혀의 소볼록부(15d)가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예각형태의 엣지부(15c)를 구비함으로써 타이어 대한 결합력을 예를 들면 제2도에 도시된 것보다 더 증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중아측에 위로 돌출하는 소볼록부(15a)를 형성함으로써 이들 소볼록부(15a)의 돌출에 의해서도 타이어에 대한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소볼록부(15d) 내에 빗물이나 토사 등이 고인다해도 비출홈(15b)을 볼록부(15)의 바깥테두리를 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빗물이나 토사 등의 조속히 밖으로 배출할 수가 있고, 미끄럼 방지의 효과를 저하 시키지도 않는다.
또하, 제1도 3의 예는 볼록부(16)의 중앙부에 3개의 소볼록부(16a)를 배치한 것으로, 소볼록부(16a)의 상면에 그 바깥테두리가 높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바깥테두리를 예각형태의 엣지부(16c)로 한 것이다.
이 예에서도 소볼록부(16a)간의 배출홈(16b)으로부터 빗물이나 토사의 배출을 촉진시킬수 이싸. 또한, 소볼록부(16a)에 형성된 예각형태의 엣지부(16c)의 효과에 의해 타이어에 대한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으므로 미끄러짐 방지가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상기 제12도 및 제13도의 예와 같이 볼록부나 소볼록부의 바깥테두리부에 엣지부를 형성하면 타이어에 대한 결합력이 상당히 증강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볼록부나 소볼록부끼리의 외곽 간격(L)을 반드시 10∼30mm의 범위로 하지 않아도 소기의 미끄러짐 방지의 목적은 달성 될 수 있다. 따라서, 볼록부의 배치 자유도가 향상될 뿐아니라, 예컨대 볼록부(15)를 뚜껑본체(1)에 부분적으로 배치하는 등의 다양성을 부여 할 수 있다. 단, 예각형태의 엣지부를 갖는 볼록부를 부분적으로 배치할 때는 뚜껑본체의 표면에 균일하게 배치하는 것이 미끄러짐 방지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예각형태의 엣지부를 갖는 볼록부나 소볼록부간의 간격(L) 제1도 0∼30mm로 하는 것이 적합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둥근형의 뚜껑본체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각형으로 하여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독립적으로 형성된 볼록부나 이 볼록부의 상면에 마련되는 소볼록부의 각각의 외곽간의 최단간격의 하나를 10∼30mm의 범위로 함과 동시에 최상면의 평면형상이 지름 25mm의 원에 포함되는 크기로 함으로써 타이어의 변형에 의한 결합력을 효과적으로 작용시킬수 있으므로 미끄러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상에 소볼록부를 마련함으로써 타이어의 변형에 의한 결합력과 함께 소볼록부 또는 볼록부의 모서리부에 의한 결합력을 작용시킬 수 있어,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소볼록부의 마모에 의한 미끄러짐 방지 효과의 저하를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하, 볼록부나 소볼록부에 예각형태의 엣지부를 형성한 것은 그 예각형태의 부분에 의해 타이어에 결합력이 증강되기 때문에, 단지 평탄한 볼록부나 소볼록부를 뚜껑본체의 표면에 배열하는 것에 비해 미끄러짐 방지 효과가 높게 유지된다. 그리고, 이러한 엣지부가 형성된 볼록부나 소볼록부에 대해서도 외곽끼리의 최단거리를 10∼30mm의 범위로 하면 더욱 미끄러짐 방지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소볼록부를 형성한 볼록부의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는 상기 볼록부의 높이를 소볼록부를 형성한 다른 볼록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면, 마모에 의한 상기 볼록부의 표출은 뚜껑본체의 교체 시기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뚜껑본체를 교체하면 미끄러짐 방지성능의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6)

  1. 뚜껑본체의 표면에 각각 독립된 볼록부를 일정한 모양으로 배치한 지하구조물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는 그 상면에 소볼록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소볼록부 중 최상단의 소볼록부 및 소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볼록부를 그 최상면의 크기가 직경 25mm의 원 안에 수납되는 형상으로 하며, 또한 상기 볼록부 또는 소볼록부의 외곽과 이에 인접하는 볼록부 또는 소볼록부의 외곽의 각각의 최단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10∼30mm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예각 형태의 엣지부를 갖는 볼록부 및/또는 소볼록부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소볼록부를 형성한 볼록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는 상기 볼록부의 높이를 소볼록부가 형성된 다른 볼록부의 높이보다도 높게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
  4. 뚜껑본체의 표면에 각각 독립된 볼록부를 일정한 모양으로 배치한 지하구조물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는 그 상면에 소볼록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소볼록부를 형성한 볼록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는 상기 볼록부의 높이를 소볼록부가 형성된 다른 볼록부의 높이보다도 높게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
  5. 뚜껑본체의 표면에 오목부와 볼록부에 의한 요철모양이 형성된 지하구조물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예각형태의 엣지부를 갖는 볼록부를 배치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
  6. 뚜껑본체의 표면에 오목부와 볼록부에 의한 요철모양이 형성된 지하구조물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들 중 일부 또는 전부에는 그 상면에 소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뚜껑본체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배치되는 볼록부 및/또는 소볼록부에는, 예각형태의 엣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조물용 뚜껑.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3236A 1996-07-29 1997-07-16 지하구조물용 뚜껑 KR100249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99313 1996-07-29
JP19931396 1996-07-29
JP9049409A JP2878663B2 (ja) 1996-07-29 1997-03-04 地下構造物用蓋
JP9-049409 1997-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670A true KR980009670A (ko) 1998-04-30
KR100249692B1 KR100249692B1 (ko) 2000-03-15

Family

ID=2638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236A KR100249692B1 (ko) 1996-07-29 1997-07-16 지하구조물용 뚜껑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00878A (ko)
EP (1) EP0822296B1 (ko)
JP (1) JP2878663B2 (ko)
KR (1) KR100249692B1 (ko)
DE (1) DE69726505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095B1 (ko) * 2007-06-08 2008-12-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끄럼 방지용 맨홀 뚜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1643B2 (ja) * 2000-12-19 2010-12-01 旭テック環境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地下構造物用蓋
JP4093454B2 (ja) * 2002-01-09 2008-06-04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滑り止め材
ITMI20020659A1 (it) * 2002-03-28 2003-09-29 I C E A S R L Dispositivo per segnaletica orizzontale e pavimentazione stradale peruna incrementata sicurezza ed una migliorata viabilita'
JP2007321336A (ja) * 2006-05-30 2007-12-13 Takiron Co Ltd 防滑性床材
GB0809057D0 (en) * 2008-05-19 2008-06-25 Dudley Thomas Ltd Gripping means
JP5112959B2 (ja) * 2008-06-02 2013-01-09 アクアインテック株式会社 円形地下構造物用蓋
DE102009049288A1 (de) * 2009-10-13 2011-04-14 Buderus Kanalguss Gmbh Abdeckung mit verschleißfester Oberfläche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GB0919656D0 (en) * 2009-11-10 2009-12-23 Wrekin Welding & Fabrication E Access cover
DE102012108392A1 (de) * 2012-09-10 2014-05-28 ACO Severin Ahlmann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Abdeckung
JP5544557B2 (ja) * 2012-10-11 2014-07-09 アクアインテック株式会社 円形地下構造物用蓋
JP5878890B2 (ja) * 2013-05-28 2016-03-08 株式会社土井製作所 地下構造物用鉄蓋
CN104153423B (zh) * 2014-07-29 2015-12-30 济南大学 台形内外进水自渗反滤回灌井井口装置
KR101711010B1 (ko) * 2015-10-08 2017-03-06 한국가로수보호 주식회사 자가 부상형 다기능 맨홀시스템
GB201911864D0 (en) * 2019-08-19 2019-10-02 Wrekin Holdings Ltd Ground surface access assembli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781A (en) * 1885-03-31 Vault-cover
US2073814A (en) * 1931-12-10 1937-03-16 Small Francis Gordon Nonslip surfaces for paving blocks
DE1956898C3 (de) * 1969-11-12 1979-10-11 Draiswerke Gmbh, 6800 Mannheim Verfahren und Anlage zum Herstellen eines kontinuierlich mit Bindemitteln gemischten Gutstromes aus span- und faserartigen Stoffen
FR2252013A5 (en) * 1973-10-30 1975-06-13 Norinco Manhole cover with anti-skid surface - has truncated pyramidal projections in rows at 45 degrees to the cover edge
US4203686A (en) * 1978-07-17 1980-05-20 Bowman Harold M Manhole construction
JPS5842252A (ja) * 1981-09-07 1983-03-1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5842252U (ja) * 1981-09-18 1983-03-19 株式会社福原鋳物製作所 マンホ−ル蓋
JPS6027160A (ja) * 1983-07-25 1985-02-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半導体装置
JPS6386156A (ja) * 1986-09-30 1988-04-16 Toshiba Corp デジタル再生装置
US4969770A (en) * 1987-07-23 1990-11-13 Bowman Harold M Manhole cover support with topside flange
GB2232179B (en) * 1989-05-23 1993-12-22 Clarksteel Ltd An access cover
US5312202A (en) * 1992-09-25 1994-05-17 3-D Composits Ltd Access cover assembly
US5366317A (en) * 1992-12-31 1994-11-22 Solimar Keith F Manhole cover apparatus and method
JPH084854B2 (ja) * 1993-07-30 1996-01-24 日本電気株式会社 金型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095B1 (ko) * 2007-06-08 2008-12-09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끄럼 방지용 맨홀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00878A (en) 1999-12-14
EP0822296B1 (en) 2003-12-03
EP0822296A1 (en) 1998-02-04
KR100249692B1 (ko) 2000-03-15
JP2878663B2 (ja) 1999-04-05
DE69726505T2 (de) 2004-09-23
JPH1096244A (ja) 1998-04-14
DE69726505D1 (de) 200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9692B1 (ko) 지하구조물용 뚜껑
EP1115588A1 (en) Vehicle tyre
KR101174413B1 (ko) 배수가 용이한 차선용 노면요철
US2119923A (en) Cover and mounting for vents and the like
JP2003206622A (ja) 滑り止め材
KR100241323B1 (ko) 지하구조물용 뚜껑 및 그 뚜껑본체와 수납틀
CN114312159B (zh) 轮胎的花纹结构
KR101191138B1 (ko) 미끄럼 방지용 맨홀 뚜껑
JPH11193540A (ja) 地下構造物用蓋
EP3543404B1 (en) Road stud
JP3940627B2 (ja) マンホール蓋
KR100873095B1 (ko) 미끄럼 방지용 맨홀 뚜껑
JP3343102B2 (ja) 滑り止め機能を備えた鉄蓋
KR100728541B1 (ko)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JPH10131224A (ja) 地下構造物用蓋の蓋本体
KR102106516B1 (ko) 맨홀 안전 보호 판
KR200230212Y1 (ko) 미끄럼 방지용 복공판
JP3860958B2 (ja) 可動式視線誘導標及びその施設
KR200427571Y1 (ko) 미끄럼 방지용 맨홀커버
JP2758589B2 (ja) 地下構造物用蓋ならびにその蓋本体および受枠
KR200221456Y1 (ko) 압력분산경사면이 형성된 맨홀구조체
KR200205603Y1 (ko) 복공판용 미끄럼 방지구
KR100523415B1 (ko) 스틸 그레이팅
KR980001002A (ko) 사계절용 공기입 타이어
KR100970561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레디얼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