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219U - 자동차용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 측정지그의 그로이션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 측정지그의 그로이션핀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219U
KR980009219U KR2019960022078U KR19960022078U KR980009219U KR 980009219 U KR980009219 U KR 980009219U KR 2019960022078 U KR2019960022078 U KR 2019960022078U KR 19960022078 U KR19960022078 U KR 19960022078U KR 980009219 U KR980009219 U KR 9800092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in
location pin
cross member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2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3858Y1 (ko
Inventor
이원복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2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858Y1/ko
Publication of KR9800092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2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8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01B5/0004Suppo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5Measuring of vehicle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 측정지그의 로케이션핀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단품을 정확한 위치에 상치시키기 위한 기준점이 없기 때문에 이로 인한 기준점을 잡기에 시간이 소요됨과 아울러 오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측정지그(10)의 받침대(12)에는 일측으로 함체(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안착홈(32)이 형성된 고정브라켓 (30)을 세워 설치하고, 상하부로 출입공(42)을 형성한 상기 함체(40)에는 전면으로부터 일측면까지 수직공(44)과 수평공(46)을 "ㄱ" 자형이 되게 형성하며, 상기 출입공(42)에 끼워져 승하강되면서 그 선단이 상기 핀구멍(24)에 끼워지고 빠지게 된 로케이션 핀(50)의 외주연과 하단에는 안내돌부(52)와 손잡이(54)를 각각 형성하여 된 것으로,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측정하지 않을 경우 리어 크로스멤버의 착탈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 측정지그의 그로이션핀
본 고안은 측정지그에 세워 설치된 고정브라켓에는 로케이션핀이 승하강되도록 한 함체를 설치함으로써 세팅 밍 제작 상태를 측정할 경우에는 로케이션핀을 승강시켜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에 형성된 핀구멍에 맞추고나서 로케이션핀과 핀구멍의 갭을 눈으로 인식하여 측정하는 반면, 측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로케이션핀을 하강시켜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 리어의 착탈을 용이하게 됨에 따라 보다 정확하고 편리한 측정을 할 수 있는 자동차용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 측정지그의 로케이션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생산 공장에서는 각 부위별로 단품을 제작한 다음, 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자동차를 생산하게 되는 데, 각 단품들을 서로 결합하기 이전에 그 단품들이 정확한 치수로 제작되었는 지 여부를 알기 위해 패널(Panel)부품, 서브 유닛(Sub unit)부품, 커버 (Cover)부품, 바디 프레밍(Body framing), 바디 인 화이트(Body in white), 의장(Trim) 부품 등으로 각각 나누어 작업자가 스틸자나 버어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오차를 측정, 즉 가공 중에 요구되는 제품을 정확히 제작하기 위한 측정을 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각 단품마다 개별적으로 오차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그 단품만의 오차를 측정하는 데 있어 개별적으로 단품의 제작 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나, 단품의 움직임 등에 의해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는 동시에 다른 단품과의 갭 따위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측정치가 정확하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으므로, 별도의 검사도구를 제작한 후 각 단품을 서로 관련된 부위만을 결합하는 경우와 각 단품을 전체적으로 결합하는 경우로 나누어 인근 부품과의 갭을 검사하게 되고, 보다 엄밀하게는 상기 단품에는 부위마다 굴곡진 부분과 평면부분과 수개의 홀 등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부위들이 정확한 모양으로, 정확한 위치로 제작되어 있는 지 여부를 상세히 검사토록 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렇지만, 이 또한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했었는 바 상기 검사 도구만으로는 측정 부위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데 한계가 있었다. 즉 상기 검사 도구의 측정 부위에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는 수치나 표식을 한 다음 그 검사 도구에 검사할 단품을 상치시킨 후 검사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때 상기 단품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이 없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단품이 움직임으로 인해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거나, 그 단품을 정확한 위치에 상치시키기 위한 기준점이 없기 때문에 이로 인한 기준점을 잡기에 시간이 소요됨과 아울러 오차가 발생하거나, 인접한 각 단품의 갭을 정확히 측정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작 완료된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를 측정지그에 상치시킬 때 고정브라켓으로 설치된 로케이션 핀을 이용함으로써 세팅 및 제작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 자동차용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 측정지그의 로케이션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측정지그의 받침대에는 일측으로 함체가 설치될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된 고정 브라켓을 세워 설치하고, 상하부로 출입공을 형성한 함체에는 전면으로부터 일측면 까지 수직공과 수평공을 "ㄱ"자형이 되게 형성하며, 상기 출입공에 끼워져 승하강 되면서 그 선단이 핀 구멍에 끼워지고 빠지게된 로케이션핀의 외주연과 하단에는 안내돌구와 손잡이를 각각 형성하여 달성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 측정지그를 보인 전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로케이션핀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분리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측정지그 12 : 받침대 20 :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
22 : 단턱부 24 : 핀구멍 30 : 고정브라켓
32 : 안착홈 40 : 함체 42 : 이동공
44 : 수직공 46 : 수평공 50 : 로케이션핀
52 : 안내돌부 54 : 손잡이
첨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단턱부(22)와 핀구멍(24)이 형성된 자동차의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20)를 측정지그(10)에 상치하여 세팅 및 오차 상태가 인식되게 하되 상기 측정지그(10)의 받침대(12)에는 로케이션핀(50)이 끼워진 함체(40)를 설치하도록 고정브라켓(30)이 설치된다.
상기 측정지그(10)의 받침대(12)에는 일측으로 함체(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안착홈(32)이 형성된 고정브라켓(30)을 세워 설치하고, 상하부로 출입공(42)을 형성한 상기 함체(40)에는 전면으로부터 일측면까지 수직공(44)과 수평공(46)을 "ㄱ" 자형이 되게 형성하며, 상기 출입공(42)에 끼워져 승하강되면서 그 선단이 상기 핀구멍(24)에 끼워지고 빠지게 된 로케이션 핀(50)의 외주연과 하단에는 안내돌부 (52)와 손잡이(54)를 각각 형성하여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설치 및 사용 상태를 참조하여 이에 따른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에서는 측정지그(10)의 받침대(12) 위로 고정 설치된 고정브라켓(30)에는 로케이션핀(50)이 승 하강되게 한 함체(40)를 설치한 다음, 측정시에는 상기 함체(40)의 로케이션핀(50)을 승강시켜 상기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20)의 핀구멍(24)에 끼워지게 하는 반면, 측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함체(40)의 로케이션핀(50)을 하강시켜 상기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20)의 핀구멍(24)에서 빠지게 하여 정확한 세팅 및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20)의 착탈이 편리하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20)의 제작 완료 후 그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스틸자와 버어니어 캘리퍼스와 같은 측정도구를 이용하였으나 그 작업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고, 각종 표식이 설치된 축정용 지그를 제작하여 그 위에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20)를 상치후 이를 편리하게 측정코저 했으나 이 또한 오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그 기준점을 잡아주기 위한 별도의 로케이션핀(50)을 측정지그(10)에 설치하게 된 것이다.
그리하여, 본 고안의 측정지그(10)를 이용하여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20)의 제작 상태를 측정할 때 먼저 그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20)를 상기 측정지그(10)의 적정 위치에 상치시킨 다음 상기 로케이션핀(50)의 손잡이(54)를 파지하여 상측으로 올리게 되면, 이에 연설된 로케이션핀(50)이 상승됨에 따라 그 선단이 상부로 돌출되어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20)에 형성된 핀구멍(24)으로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로케이션핀(50)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안내돌부(52)는 상기 함체(40)에 형성된 수직공(44)을 따라 상승된다. 이후 상기 안내돌부(52)가 수직공(44)의 상단에 근접될 때 상기 로케이션핀(50)의 선단이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20)에 형성된 핀구멍 (24)으로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덧붙여서, 상기와 같은 상태에 있을 경우 로케이션핀(50)의 자중에 의해 저절로 내려오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수직공(44)의 선단 우측으로 수평공(46)을 일측면까지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상기 로케이션핀(50)을 우회전시킬 때 그 로케이션핀(50)의 안내돌부(52)가 상기 수평공(46)을 따라 움직이게 되므로 로케이션핀(50)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핀구멍(24)으로 끼워진 로케이션핀(50)의 갭 상태를 보면서 세팅이 비교적 정확하게 되었는 지의 여부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20)의 외주연과 측정지그(10)와의 갭을 살펴보아 적정 상태로 제작되었는 가를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측정지그(10)의 요소 요소에는 작업자들이 미리 실험치에 의해 적당한 표식을 해 두었기 때문에 일일이 스틸자나 버어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갭을 재지 않고도 쉽게 측정치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상기와 같이 단품을 측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에서 돌출된 상태로 있던 로케이션핀(50)을 하강시켜 두게 되는 데, 이를 위해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54)를 파지한 상태에서 일단 상기 손잡이(54)를 좌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로케이션핀(50)의 안내돌부 (52)가 상기 수평공(46)을 따라 움직이다가 수직공(44)에 이르게 될 때 아래로 내리게 된다. 이에 상기 로케이션핀(50)의 선단은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20)의 핀구멍(24)으로부터 하방으로 이탈된다. 이러한 상태로 된 다음 작업자가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20)의 착탈을 하게 된다면, 상기 로케이션핀(50)에 의해 간섭되는 현상을 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자동차용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 측정지그의 로케이션핀에 따르면, 제작 완료된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의 제작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지그에 리어 크로스멤버를 상치한 다음, 로케이션핀을 상승시켜 핀구멍에 끼워지게 하는 한편, 측정하지 않을 경우 상기 로케이션핀을 하강시켜 함체 내부로 감춰지게 함으로써 측정 작업시 기준점을 정확하게 잡아 줄 수 있게 됨에 따라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측정하지 않을 경우 리어 크로스멤버의 착탈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단턱부(22)와 핀구멍(24)이 형성된 자동차의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20)를 상치하여 세팅 및 오차 상태가 인식되게 한 측정지그 (10)에 있어서, 상기 측정지그(10)의 받침대(12)에는 일측으로 함체(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안착홈(32)이 형성된 고정브라켓(30)을 세워 설치하고, 상하부로 출입공(42)을 형성한 상기 함체(40)에는 전면으로부터 일측면까지 수직공(44)과 수평공(46)을 "ㄱ" 자형이 되게 형성하며, 상기 출입공(42)에 끼워져 승하강되면서 그 선단이 상기 핀구멍(24)에 끼워지고 빠지게 된 로케이션핀(50)의 외주연과 하단에는 안내돌부(52)와 손잡이(54)를 각각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 측정지그의 로케이션핀.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2078U 1996-07-25 1996-07-25 자동차용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 측정지그의 로케이션핀 KR200143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078U KR200143858Y1 (ko) 1996-07-25 1996-07-25 자동차용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 측정지그의 로케이션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078U KR200143858Y1 (ko) 1996-07-25 1996-07-25 자동차용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 측정지그의 로케이션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219U true KR980009219U (ko) 1998-04-30
KR200143858Y1 KR200143858Y1 (ko) 1999-06-15

Family

ID=1946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2078U KR200143858Y1 (ko) 1996-07-25 1996-07-25 자동차용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 측정지그의 로케이션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8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3858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3858Y1 (ko) 자동차용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 측정지그의 로케이션핀
KR100196153B1 (ko) 자동차용 리어 크로스멤버 리어 측정지그
KR100196161B1 (ko) 자동차의 보강용 사이드아우터 패널 제작상태 측정기구
KR0168032B1 (ko)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 정위치 세팅구조
KR980009210U (ko) 자동차 롱지튜디널 검사기구의 정위치 및 세팅장치
KR200143879Y1 (ko) 자동차용 리어플로어패널 범퍼마운팅 취부홀 검사구조
KR200143857Y1 (ko) 자동차 롱지튜디널의 서스펜션 마운팅용 취부홀검사구조
KR0132842Y1 (ko) 자동차 롱지튜디널의 범퍼 마운팅 형상면 체크구조
KR100868291B1 (ko) 차량용 유리 검사구
KR100196154B1 (ko) 자동차용 후드패널 제작상태 측정기구
CN101430184B (zh) 一种工件上相对位置尺寸的检测装置及其测量方法
KR200147106Y1 (ko) 자동차 롱지튜디널의 휠하우스 매칭면 체크용 보조구
KR100440009B1 (ko) 자동차용 후드 패널의 단차 측정장치
KR200143856Y1 (ko) 자동차용 도어 어셈블리의 제작상태 측정기구
KR100196073B1 (ko) 자동차의 보강용 사이드아우터 패널 제작상태 측정기구
KR102611367B1 (ko) 에어백박스 검사 장치
KR980010350A (ko) 자동차 대시 보드 검사용 게이지의 카울 사이드 부착상태 검사구
KR19980064841U (ko) 자동차 도어어셈블리 검사용 지그
KR200143851Y1 (ko) 차량용 도어의 핸들 장착홈 정밀도 측정구
JP3682748B2 (ja) ワークの基準孔検査装置
KR980010330A (ko) 자동차용 리어플로어패널 리어의 정위치 및 고정장치
KR200151148Y1 (ko) 차량용 휠 하우스의 정밀도 측정구
KR200143854Y1 (ko) 자동차 대시 보드 검사용 게이지의 전면 플랜지부 검사구
KR980009204U (ko) 자동차 대시 보드 검사용 게이지의 후드 힌지 장착홀 검사구
KR200151147Y1 (ko) 자동차 대시 보드 검사용 게이지의 측면 플랜지부 검사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