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032B1 -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 정위치 세팅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 정위치 세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032B1
KR0168032B1 KR1019960030401A KR19960030401A KR0168032B1 KR 0168032 B1 KR0168032 B1 KR 0168032B1 KR 1019960030401 A KR1019960030401 A KR 1019960030401A KR 19960030401 A KR19960030401 A KR 19960030401A KR 0168032 B1 KR0168032 B1 KR 0168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panel
rear floor
hole
inspection mechanism
locat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9007A (ko
Inventor
이원복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30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8032B1/ko
Publication of KR980009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 정위치 세팅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를 검사기구에 가설치하여 그 형상 및 크기를 측정함에 있어 그 기준점을 정확히 잡아줄 수 없기 때문에 측정 작업시 오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검사기구(20)의 받침판(22)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고정브라켓(30)의 상부에는 함체(40)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함체(40)에는 상하부로 관통되게 형성한 출입공(42)과 전면으로부터 일측면까지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 정위치 세팅구조
본 발명은 검사기구의 받침판 상면으로 함체가 설치된 지지브라켓을 수직으로 세워 설치함과 아울러, 함체에는 상하로 승하강되도록 로케이션핀을 설치함으로써 검사기구에 제작 완료된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를 가설치할 때 로케이션핀의 작동에 의해 기준점을 정확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하여 측정 작업이 보다 쉽고 정확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생산 공장에서는 각 부위별로 단품을 제작한 다음, 이들을 서로 결합하여 자동차를 생산하게 되는 데, 각 단품들을 서로 결합하기 이전에 그 단품들이 정확한 치수, 형상 및 수개로 형성되는 구멍이 정확하게 제작되었는 지 여부를 알기 위해 패널(Panel)부품, 서브 유닛(Sub unit)부품, 커버(Cover)부품, 바디 프레임(Body framing), 바디 인 화이트(Body in white), 의장(Trim) 부품 등으로 각각 나누어 작업자에 의해 스틸자나 버어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오차를 측정, 즉 가공 중에 요구되는 제품을 정확히 제작하기 위한 측정을 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 측정 방법에는, 먼저 개별적으로 오차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그 단품만의 오차를 측정하는 데 있어 개별적으로 단품의 제작 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나, 단품의 움직임 등에 의해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없는 동시에 다른 단품과의 갭 따위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측정치가 정확하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으므로, 별도의 검사도구를 제작한 후 각 단품을 서로 관련된 부위만을 결합하는 경우와 각 단품을 전체적으로 결합하는 경우로 나누어 인근 부품과의 갭을 검사하게 되고, 보다 엄밀하게는 상기 단품에는 부위마다 굴곡진 부분 및 평면부분과 수개의 홀 등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부위들이 정확한 모양으로, 정확한 위치로 제작되어 있는 지 여부를 상세히 검사토록 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즉, 상기와 같은 각 단품(롱지튜디널, 크로스멤버, 플로어패널 등의 자동차를 구성하기 위한 각종 패널)들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미리 실차의 형상에 맞게 형성한 검사기구를 제작하고, 그 검사기구의 소정 부위, 즉 측정 위치에는 작업자가 인식하여 오차 및 형상 등을 측정 할 수 있는 각종 표식을 한 다음, 상기 검사기구에 상기 단품을 가설치한 후 검사기구의 표식과 설치 상태를 살펴보면서 측정토록 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 또한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했었는 바 상기 검사 도구만으로는 측정 부위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데 한계가 있었다. 즉 상기 검사 도구의 측정 부위에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는 수치나 표식을 한 다음 그 검사 도구에 검사할 단품을 상치시킨 후 검사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때, 상기 단품들 중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를 검사기구에 가설치하여 그 형상 및 크기를 측정함에 있어 그 기준점을 정확히 잡아줄 수 없기 때문에 측정 작업시 오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작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검사기구에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를 가설치할 경우 로케이션핀에 의해 그 기준점을 정확하게 잡아줄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편리하고 정확한 측정작업을 할 수 있는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 정위치 세팅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검사기구의 받침판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고정브라켓의 상부에는 함체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함체에는 상하부로 관통되게 형성한 출입공과 전면으로부터 일측면까지자 형으로 된 수직안내공 및 수평안내공을 형성하며, 상기 출입공에 끼워져 승하강되면서 그 선단이 상기 구멍에 끼워지고 빠지게 된 로케이션핀의 외주연과 하단에는 안내돌부와 손잡이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로케이션핀의 작동상태 요부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 12 : 구멍
20 : 검사기구 22 : 받침판
30 : 고정브라켓 40 : 함체
42 : 출입공 44,46 : 수직,수평안내공
50 : 로케이션핀 52 : 안내돌부
54 : 손잡이
첨부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여러개의 구멍(12)을 형성한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10)를 상기 검사기구(20)에 실차와 같이 가설치하여 그 형상 및 치수의 정확도를 측정하되 상기 검사기구(20)에는 상부로 로케이션핀(50)의 함체(40)가 설치된 고정브라켓(30)을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여 상기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10)의 구멍(12)의 정확도를 검사토록 한 것이다.
상기 검사기구(20)의 받침판(22)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고정브라켓(30)의 상부에는 함체(40)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함체(40)에는 상하부로 관통되게 형성한 출입공(42)과 전면으로부터 일측면까지자 형으로 된 수직안내공(44) 및 수평안내공(46)을 형성하며, 상기 출입공(42)에 끼워져 승하강되면서 그 선단이 상기 핀구멍(12)에 끼워지고 빠지게 된 로케이션핀(50)의 외주연과 하단에는 안내돌부(52)와 손잡이(54)를 각각 형성하여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 및 사용 상태를 참조하여 이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검사기구(20)의 받침판(22) 상부로는 롱지튜디널을 실차와 같이 가설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10)를 각 롱지튜디널의 후방, 즉 운전석측으로 덮어지게 가설치하고 난 다음 상기 함체(40)에 내설된 로케이션핀(50)을 상승시켜 그 선단이 상기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10)에 형성된 구멍(12)으로 돌출되게하여 가설치시 기준점을 정확하게 잡아주어 측정 작업을 할 때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 발명이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언급하면, 상기 고정브라켓(30)에 설치된 함체(52)에 설치된 로케이션핀(50)의 손잡이(54)를 파지하여 상측으로 올리게 되면, 이에 연설된 로케이션핀(50)이 상승됨에 따라 그 선단이 상부로 상승되어 상기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10)의 구멍(12)으로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로케이션핀(50)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된 안내돌부(52)는 상기 함체(40)에 형성된 수직안내공(44)을 따라 상승된다. 이후 상기 안내돌부(52)가 수직안내공(44)의 상단에 근접될 때 상기 로케이션핀(50)의 선단이 상기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10)에 형성된 구멍(12)으로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덧붙여서, 상기와 같은 상태에 있을 경우 로케이션핀(50)의 자중에 의해 저절로 내려오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수직안내공(44)의 선단 우측으로 수평안내공(46)을 일측면까지 연장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상기 로케이션핀(50)을 우회전시킬 때 그 로케이션핀(50)의 안내돌부(52)가 상기 수평안내공(46)을 따라 움직이게 되므로 로케이션핀(50)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구멍(12)으로 끼워진 로케이션핀(50)과의 갭 상태를 보면서 세팅이 비교적 정확하게 되었는 지의 여부를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상기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10)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12)으로 상기 로케이션핀(50)을 끼울 수 있게 됨으로써 제작 완료된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10)의 제작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검사기구(20)에 가설치시 기준점을 정확히 잡아줄 수 있기 때문에 측정시 발생하게 되는 오차를 줄여 줄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검사기구(20)의 요소 요소에는 작업자들이 미리 실험치에 의해 적당한 표식을 해 두었기 때문에 일일이 스틸자나 버어니어 캘리퍼스를 이용하여 갭을 재지 않고도 쉽게 측정치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10)의 외주연과 접하는 검사기구(20)에는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는 여러 표식을 해준 상태이기 때문에 그 표식만을 보고 제작 상태를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반하여, 상기와 같이 단품을 측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에서 돌출된 상태로 있던 로케이션핀(50)을 하강시켜 두게 되는 데, 이를 위해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54)를 파지한 상태에서 일단 상기 손잡이(54)를 좌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로케이션핀(50)의 안내돌부(52)가 상기 수평안내공(46)을 따라 움직이다가 수직안내공(44)에 이르게 될 때 아래로 내리게 된다. 이에 상기 로케이션핀(50)의 선단은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10)의 구멍(12)으로부터 하방으로 이탈된다. 이러한 상태로 된 다음 작업자가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10)를 착탈하게 된다면, 상기 로케이션핀(50)에 의해 간섭되는 현상을 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 정위치 세팅구조에 따르면, 검사기구에 기설치된 롱지튜디널의 후방으로 리어플로어패널을 가설치할 때 함체에 내설된 로케이션핀을 상승시켜 리어플로어패널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로케이션핀이 끼워지게 함으로써 검사기구에 가설치되는 리어플로어패널이 정확히 위치되게 함에 따라 제작 상태의 측정이 보다 쉽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1)

  1. 여러개의 구멍(12)을 형성한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10)를 실차와 같이 가설치하여 그 형상 및 치수의 정확도를 측정토록 한 검사기구에 있어서, 상기 검사기구(20)의 받침판(22)에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고정브라켓(30)의 상부에는 함체(40)를 고정 설치하되, 상기 함체(40)에는 상하부로 관통되게 형성한 출입공(42)과 전면으로부터 일측면까지자 형으로 된 수직안내공(44) 및 수평안내공(46)을 형성하며, 상기 출입공(42)에 끼워져 승하강되면서 그 선단이 상기 구멍(12)에 끼워지고 빠지게 된 로케이션핀(50)의 외주연과 하단에는 안내돌부(52)와 손잡이(54)를 각각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 정위치 세팅구조.
KR1019960030401A 1996-07-25 1996-07-25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 정위치 세팅구조 KR0168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401A KR0168032B1 (ko) 1996-07-25 1996-07-25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 정위치 세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401A KR0168032B1 (ko) 1996-07-25 1996-07-25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 정위치 세팅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007A KR980009007A (ko) 1998-04-30
KR0168032B1 true KR0168032B1 (ko) 1999-06-01

Family

ID=1946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401A KR0168032B1 (ko) 1996-07-25 1996-07-25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 정위치 세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80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007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8032B1 (ko)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패널 프론트 정위치 세팅구조
KR100196161B1 (ko) 자동차의 보강용 사이드아우터 패널 제작상태 측정기구
KR200143858Y1 (ko) 자동차용 리어 크로스멤버 프론트 측정지그의 로케이션핀
KR100196153B1 (ko) 자동차용 리어 크로스멤버 리어 측정지그
JP3738711B2 (ja) 開口部隙間量測定ゲージおよびこの測定ゲージを使用した測定装置ならびに測定方法
KR980009210U (ko) 자동차 롱지튜디널 검사기구의 정위치 및 세팅장치
KR0132842Y1 (ko) 자동차 롱지튜디널의 범퍼 마운팅 형상면 체크구조
KR200143857Y1 (ko) 자동차 롱지튜디널의 서스펜션 마운팅용 취부홀검사구조
KR200143879Y1 (ko) 자동차용 리어플로어패널 범퍼마운팅 취부홀 검사구조
KR200147106Y1 (ko) 자동차 롱지튜디널의 휠하우스 매칭면 체크용 보조구
KR100196147B1 (ko) 자동차의 쇼울더 룸 치수측정기
KR200143856Y1 (ko) 자동차용 도어 어셈블리의 제작상태 측정기구
CN101430184B (zh) 一种工件上相对位置尺寸的检测装置及其测量方法
KR100213814B1 (ko) 스냅링 삽입홈 위치 측정기
KR100196073B1 (ko) 자동차의 보강용 사이드아우터 패널 제작상태 측정기구
KR100196154B1 (ko) 자동차용 후드패널 제작상태 측정기구
KR980010330A (ko) 자동차용 리어플로어패널 리어의 정위치 및 고정장치
KR100868291B1 (ko) 차량용 유리 검사구
KR200143851Y1 (ko) 차량용 도어의 핸들 장착홈 정밀도 측정구
CN111735360B (zh) 一种测量车门外水切安装环境尺寸的工装
KR960001302Y1 (ko) 새도우마스크의 곡률 검사 게이지
KR100379628B1 (ko) 임펙트 포인트의 수직 수평각 측정 지그
KR100229907B1 (ko) 단차 측정기
KR20080003737U (ko) 에어백 스킨의 밀링 가공 후 잔존 두께 측정기
KR20230088151A (ko) 차량용 범퍼 브라켓 치수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