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151A - 차량용 범퍼 브라켓 치수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범퍼 브라켓 치수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151A
KR20230088151A KR1020210177051A KR20210177051A KR20230088151A KR 20230088151 A KR20230088151 A KR 20230088151A KR 1020210177051 A KR1020210177051 A KR 1020210177051A KR 20210177051 A KR20210177051 A KR 20210177051A KR 20230088151 A KR20230088151 A KR 20230088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ok
inspection
height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규
Original Assignee
(주) 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정남 filed Critical (주) 정남
Priority to KR1020210177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8151A/ko
Publication of KR20230088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5/04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l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02Details
    • G01B3/004Scales; Gradu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0Slide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25Measuring of vehicl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01B5/06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height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 하우징과 범퍼 브라켓 사이의 좁은 이격 공간 내에 형성되어 범퍼 커버를 체결하는데 사용되는 후크의 가공 치수를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후크의 거리 및 높이를 모두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는 램프 하우징과 범퍼 브라켓 사이의 이격 공간을 향하여 범퍼 브라켓 바깥으로 돌출되는 범퍼 커버 체결용 후크의 가공 치수를 검사하는 검사 장치에 있어서, 치수 검사의 기준 위치를 제공하는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 블록과, 상기 고정 블록에 대하여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 및 승강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소정 규격에 따른 후크의 폭방향인 제1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방향에 따른 후크의 거리를 검사하고, 상기 승강 블록은 제1방향 및 제2방향에 직교하는 제3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3방향에 따른 후크의 높이를 검사하고, 후크 상의 동일 위치에 대하여 거리 검사 및 높이 검사가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승강 블록은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범퍼 브라켓 치수 검사 장치{A DIMENSION INSPECTION APPARATUS FOR BUMPER BRACKET OF CARS}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 브라켓의 가공 치수 정확도를 검사하는 치수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램프 하우징과 일체화된 범퍼 브라켓에 있어서 범퍼 커버에 체결되는 후크 부위의 가공 치수를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범퍼 커버는 그 둘레 부위가 볼트, 후크 등의 체결 수단을 매개로 하여 차체에 결합된다. 범퍼 커버가 차체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 부위는 소정의 치수로 정밀하게 가공될 것이 요구된다.
범퍼 커버가 체결되는 일 요소인 헤드램프 모듈은 범퍼 커버와 결합되는 범퍼 브라켓을 포함한다. 도1 및 도2는 헤드램프 모듈과 범퍼 커버의 결합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1은 결합 부위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범퍼 브라켓과 범퍼 커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 커버(1)는 그 상단부가 범퍼 브라켓(2)에 결합된다. 범퍼 브라켓(2)에는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 개의 후크(3)들이 구성되며, 범퍼 커버(1)에는 각각의 후크(3)에 체결되는 수 개의 체결홀(4)이 형성된다. 후크(3)는 범퍼 커버(1)가 이탈되지 않도록 물리적인 지지력을 제공한다. 후크(3)와 체결홀(4)이 소정의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들 각 부는 소정 규격에 따라 정확하게 가공될 것이 요구된다.
도1을 참조하면, 범퍼 브라켓(2)은 램프 하우징(6)에 결합되어 헤드램프 모듈의 일부를 구성한다. 범퍼 브라켓(2)과 램프 하우징(6) 사이에는 높이 수 밀리미터(㎜) 정도의 이격 공간(5)이 형성된다. 후크(3)는 이격 공간(5)을 향해 배치되며, 범퍼 커버(1)는 상단부가 이격 공간(5)에 삽입되어 후크(3)에 체결된다. 범퍼 커버(1)가 결합된 상태에서 램프 하우징(6)과 범퍼 커버(1)가 차량의 외관을 이루게 되며, 범퍼 브라켓(2)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범퍼 커버(1) 안쪽에 위치한다.
차량 부품의 제조에 있어서 헤드램프 모듈이 완성된 상태에서 범퍼 브라켓(2)의 후크(3)는 전술한 이격 공간(5)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물리적인 구조상의 제약으로 인해 종래에 헤드램프 모듈 완제품을 검사하는 과정에서 후크(3)의 가공 치수를 검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제10-1999789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격 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후크의 가공 치수를 검사할 수 있는 차량용 범퍼 브라켓 치수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범퍼 커버와 범퍼 브라켓 사이의 체결력은 이들 간의 상대적인 거리 및 체결 부위의 접촉 면적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들 두 가지 인자의 치수를 모두 측정할 수 있는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크 상의 동일한 지점에서 전술한 두 가지 인자의 치수를 모두 측정할 수 있는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브라켓 치수 검사 장치는 램프 하우징과 범퍼 브라켓 사이의 이격 공간을 향하여 범퍼 브라켓 바깥으로 돌출되는 범퍼 커버 체결용 후크의 가공 치수를 검사하는 검사 장치에 있어서, 치수 검사의 기준 위치를 제공하는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 블록과, 상기 고정 블록에 대하여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 및 승강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소정 규격에 따른 후크의 폭방향인 제1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방향에 따른 후크의 거리를 검사하고, 상기 승강 블록은 제1방향 및 제2방향에 직교하는 제3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3방향에 따른 후크의 높이를 검사하고, 후크 상의 동일 위치에 대하여 거리 검사 및 높이 검사가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승강 블록은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은 제2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수용하는 슬라이딩 블록 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이격 공간 내부로 연장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의 단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후크의 접촉면에 맞닿는 팁부를 포함하고, 이격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아암의 단부의 두께는 이격 공간 높이 보다 작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에는 거리 검사의 기준이 되는 거리 기준 눈금이 마킹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는 상기 거리 기준 눈금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거리 표시 눈금이 마킹되어 상기 거리 기준 눈금 및 상기 거리 표시 눈금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통해 거리 검사가 수행된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은 제1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승강 블록을 수용하는 승강 블록 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은 상기 승강 블록의 제3방향 운동을 가이드 하는 둘 이상의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블록에는 상기 가이드 로드가 끼워져 수용되는 둘 이상의 가이드 로드 홀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승강 블록은 이격 공간 내부로 연장되어 후크 상단에 접촉되는 아암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에는 높이 기준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 블록에는 상기 높이 기준 위치와 상대적인 위치 확인을 위해 사용되는 높이 표시 눈금이 마킹되어 상기 높이 기준 위치와 상기 높이 표시 눈금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통해 높이 검사가 수행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범퍼 브라켓 치수 검사 장치는 램프 하우징과 범퍼 브라켓 사이의 이격 공간을 향하여 범퍼 브라켓 바깥으로 돌출되는 범퍼 커버 체결용 후크의 가공 정확도를 검사하는 검사 장치에 있어서, 치수 검사의 기준 위치를 제공하는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에 설치되는 복수의 검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 모듈은 상기 베이스 블록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 블록과, 상기 고정 블록에 대하여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 및 승강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소정 규격에 따른 후크의 폭방향인 제1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방향에 따른 후크의 거리를 검사하고, 상기 승강 블록은 제1방향 및 제2방향에 직교하는 제3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3방향에 따른 후크의 높이를 검사하고, 후크 상의 동일 위치에 대하여 거리 검사 및 높이 검사가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승강 블록은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검사 모듈을 구성하는 각 슬라이딩 블록이 이동되는 제2방향은 서로 나란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브라켓 치수 검사 장치는 고정 블록에 대한 슬라이딩 블록 또는 승강 블록의 상대적인 위치 확인을 통해 용이한 치수 검사 방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범퍼 브라켓과 램프 하우징 사이의 이격 공간 안쪽에 배치되어 치수 검사가 어려웠던 후크에 대하여, 슬라이딩 블록 및 승강 블록의 아암을 이용해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검사 가능한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범퍼 브라켓 후크에 대하여 거리 및 높이 두 가지 측면에서 치수 검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검사의 정확도와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크의 동일 지점에 대하여 거리 및 높이 두 가지 검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범퍼 브라켓 상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둘 이상의 후크에 대하여 각각 매칭되는 복수의 검사 모듈이 구성될 수 있다.
도1은 헤드램프 모듈과 범퍼 커버 결합 부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범퍼 브라켓과 범퍼 커버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수 검사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수 검사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5는 도4의 A-A'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수 검사 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블록 및 슬라이딩 블록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7은 거리 측정시 거리 기준 눈금과 거리 표시 눈금 사이의 위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치수 검사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치수 검사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치수 검사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11은 도9의 B-B'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수 검사 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블록 및 승강 블록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13은 높이 검사시 높이 기준 위치와 높이 표시 눈금 사이의 위치 상태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수 검사 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검사 모듈 설치된 예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해당 실시예로 한정하기 위해 기술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 전체로부터 이해되는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물, 대체물,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구성된다”, “가진다” 등의 표현은 추가적인 구성 요소나 기능을 배제하지는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결합된다”, “연결된다” 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거나 개재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배제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검사”, “측정”이라는 용어는 가공 치수 검사 대상물이 소정 규격에 대비하여 갖는 오차를 확인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용어로써, 필요에 따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범퍼 브라켓에 구성되는 후크의 가공 치수 정확도를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는 후크가 소정의 규격에 따라 정확하게 가공되었는지 또는 어느 정도의 오차를 가지는지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수 검사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는 베이스 블록(20), 고정 블록(11), 슬라이딩 블록(12)을 포함한다. 베이스 블록(20)은 가공 치수 검사에 있어서 측정의 기준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범퍼 브라켓(2)은 베이스 블록(20)의 일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검사가 수행된다. 가공 치수 검사는 검사 대상이 되는 범퍼 브라켓(2)의 소정의 부위가 베이스 블록(20)에 대해 갖는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고정 블록(11)은 베이스 블록(20)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블록(12)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슬라이딩 블록(12)은 범퍼 브라켓(2)을 향해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크(3)의 가공 위치를 판단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를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 상의 우측에 검사 대상인 범퍼 브라켓(2)이 놓여 있다. 슬라이딩 블록(12)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후크(3)까지의 거리를 확인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는 소정의 폭(W)을 갖는다. 후크(3)의 폭은 도면상의 상하 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상 후크(3)의 폭에 나란한 방향(Y축 방향)을 “제1방향”이라고 한다. 좀 더 명확하게는 “제1방향”은 소정 규격에 따른 후크(3)의 폭 방향을 말한다. 후크(3)는 도면상의 우측면이 범퍼 브라켓(2)를 지지하는 접촉면(3a)을 이룬다(도5 참조). 본 발명의 검사 장치는 후크(3) 접촉면(3a)이 제품 규격상의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된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상 후크(3)의 폭(W)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X축 방향)을 “제2방향”이라 한다. 슬라이딩 블록(12)은 제2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후크(3)가 소정 규격의 위치로부터 이격된 정도를 측정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도5는 도4의 A-A'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표시한 도면으로써, 슬라이딩 블록(12)의 우측 단부가 후크(3)에 걸려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6은 고정 블록(11)과 슬라이딩 블록(12)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을 참조하면, 고정 블록(11)의 일측에는 제2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로 만입되는 슬라이딩 블록 홈(111)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블록(12)의 하단부는 슬라이딩 블록 홈(111)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된다. 슬라이딩 블록(12)은 제2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아암(arm)(121)을 포함한다. 아암(121)의 우측 단부에는 아래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의 팁부(121a)가 구성된다. 팁부(121a)는 후크(3)의 접촉면(3a)에 맞닿아 걸리도록 작용한다. 치수 검사 과정에서 아암(121)의 단부는 램프 하우징(6)과 범퍼 브라켓(2) 사이의 이격 공간(5)으로 삽입된다. 이를 위하여 이격 공간(5)에 삽입되는 아암(121) 단부의 두께(121D)는 이격 공간의 높이(5H)보다 작아야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높이(5H)는 후크(3) 상단에서 램프 하우징(6) 저면까지의 상하방향(Z축 방향) 거리를 말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암(121)이 이격 공간(5)에 수용된 상태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소정의 높이 마진(M)이 확보되어야 한다.
도3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블록(11) 상면의 일 모서리에는 거리 기준 눈금(112)이 마킹 되어 있고, 이동 블록(12)의 일면에는 거리 표시 눈금(122)이 마킹 되어 있다. 거리 기준 눈금(112)과 거리 표시 눈금(122)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눈금의 일치 여부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될 수 있다. 이들 눈금(112, 122)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확인을 통해 후크(3)의 가공 위치가 제2방향을 따라 벗어난 정도가 측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방향에 따른 후크(3)의 가공 위치에 대한 측정을 “거리” 측정이라고 한다. 도7은 거리 측정시 거리 기준 눈금(112)과 거리 표시 눈금(122)의 위치 상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의 (a)는 두 눈금(112, 122)이 서로 일치하는 상태로써, 후크(3)가 오차 없이 규격상의 정위치에 가공된 상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의 (b)의 경우는 두 눈금(112, 122)의 위치가 불일치하는 경우로써 거리 표시 눈금(122)이 정위치에서 우측으로 벗어나 있는 상태로써, 이는 후크(3)가 제2방향으로 이탈하여 가공된 상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는 벗어난 눈금의 갯수를 카운트하여 가공 오차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눈금은 필요에 따라 적정한 간격(예, 1㎜, 0.5㎜ 등), 갯수(예, 5개, 10개 등)로 형성될 수 있다. 거리 측정시 작업자는 슬라이딩 블록(12)의 팁부(121)가 후크(3)의 접촉면(3a)에 맞닿도록 슬라이딩 블록(12)을 위치시킨 후 눈금들(112, 122)간의 상대적인 위치를 확인하면 된다.
본 발명의 치수 검사 장치는 이격 공간(5)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는 아암(121)을 갖는 슬라이딩 블록(12)과 가공 치수의 기준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고정 블록(11)을 포함하며, 이 두 블록(11, 12)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확인을 통해 후크(3)의 제2방향 가공 정확도가 측정될 수 있다. 치수 확인을 위해 사용되는 눈금(112, 122)은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수 검사 장치는 후크(3)의 높이에 대한 가공 치수 검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치수 검사 장치에 있어서 후크(3)의 높이에 대한 가공 치수를 검사하기 위한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도8의 검사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10은 도8의 검사 장치를 좌측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며, 도11은 도9의 B-B'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12는 고정 블록(12)과 승강 블록(13)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이들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는 고정 블록(1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승강 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승강 블록(13)을 포함한다. 고정 블록(11)의 중앙에는 제1방향을 따라 승강 블록 홈(113)이 형성된다. 승강 블록(13)은 그 하부가 승강 블록 홈(113)에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된다. 승강 블록 홈(113)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돌출되는 두 개의 가이드 로드(114)가 구성되고, 승강 블록(13)에는 가이드 로드(114)에 끼워지는 두 개의 가이드 로드 홀(131)이 구성된다. 가이드 로드(114)는 승강 블록(13) 상면 보다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 로드(114)는 승강 블록(13)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고, 승강 블록(13)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이드 로드(114)는 승강 블록(13)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로드(114)는 2개의 환봉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그 단면 형상도 원형이 아닌 형상(예, 사각형)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하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및 제2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상하 방향을 “제3방향”이라고도 한다.
승강 블록(13)은 제3방향, 즉 높이 방향에 따른 후크(3)의 가공 치수를 검사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후크(3)의 제3방향에 따른 가공 치수 검사를 “높이” 검사라고 한다. 승강 블록(13)은 일측에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아암(132)을 포함한다. 아암(132)은 검사 대상인 후크(3) 상부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다. 높이 검사 과정에서 사용자는 승강 블록(13)의 아암(132) 단부 저면이 후크(3) 상단에 닿도록 접촉시킨 상태에서 후크(3)가 소정 규격에 따른 높이로 가공되었는지 검사한다.
도10을 참조하면, 승강 블록(13)의 외면에는 높이 검사를 위해 사용되는 높이 표시 눈금(133)이 마킹 된다. 높이 표시 눈금(133)이 바깥으로 노출되도록 해당 부위의 고정 블록(11)에는 일 모서리가 제거되어 단차(115)가 형성된다. 높이 측정에 있어서 고정 블록(11)의 상면이 높이 판단의 기준 위치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이를 “높이 기준 위치”라고 한다. 사용자는 단차(115)의 모서리 상단의 위치, 즉 높이 기준 위치와 높이 표시 눈금(133) 간의 상대적인 위치 확인을 통해 후크(3)가 소정 규격에 따른 높이로 가공되었는지, 그 보다 높게 또는 낮게 가공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13는 높이 검사 과정에서 높이 기준 위치와 높이 표시 눈금의 사이의 위치 상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3의 (a)의 경우 높이 기준 위치와 높이 표시 눈금(133) 중앙의 기준 눈금(가장 긴 눈금)이 일치한 상태로, 후크(3)가 규격에 따라 정위치 높이에 제작된 경우이다. 도13 (b)의 경우는 높이 표시 눈금(133) 중앙의 기준 눈금이 높이 기준 위치 보다 높은 상태로써, 후크(3)가 규격보다 높게 제작된 경우이다. 사용자는 눈금의 갯수를 카운트하여 가공 오차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높이 표시 눈금(133)에 있어서 눈금의 간격, 갯수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후크(3)는 접촉면(3a)을 통해 범퍼 커버(1)의 체결홀(4) 둘레를 지지한다. 후크(3)의 가공 높이에 따라서 범퍼 커버(1)를 지지하는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즉, 후크(3)의 가공 높이가 규격보다 작은 경우 범퍼 커버(1)와 맞닿는 면적이 작아져 지지력이 약해질 수 있다. 반대로 후크(3)의 가공 높이가 규격보다 큰 경우 범퍼 커버(1)와 맞닿는 면적은 커질 수 있으나, 조립시 무리한 변형이 가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와는 달리 앞서 설명한 거리 기준 눈금(112)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높이 기준 눈금을 고정 블록(11) 표면에 마킹하여 높이 표시 눈금(133)과의 상대적인 위치 상태 확인을 통해 높이 검사가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앞서 거리 검사의 경우에 있어서도 거리 기준 눈금(112)을 별도로 마킹하지 않고, 해당 부위를 제거한 모서리 형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대신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11을 참조하면, 앞서 슬라이딩 블록(12)의 아암(121)과 마찬가지로 승강 블록(13)의 아암(132)은 범퍼 브라켓(2)과 램프 하우징(6) 사이의 이격 공간(5) 사이로 수용된다. 따라서 아암(132) 단부의 두께(132D)는 이격 공간(5)의 높이(5H) 보다 작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수 검사 장치는 이격 공간(5) 안쪽으로 삽입되는 아암(132)을 갖는 승강 블록(13)과 높이의 기준 위치를 제공하는 고정 블록(11)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통해 검사 대상물인 후크(3)의 가공 정확도를 검사할 수 있다. 높이 표시 눈금(133)은 장치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어 검사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치수 검사 장치에 있어서, 거리 측정 및 높이 측정은 검사 대상물의 동일한 지점에 대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슬라이딩 블록(12)의 아암(121)과 높이를 측정하는 승강 블록(13)의 아암(132)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슬라이딩 블록(12)과 승강 블록(13)은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일한 검사 대상 위치에 대하여 거리 측정과 높이 측정은 순차로 또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수 검사 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고정 블록(11), 슬라이딩 블록(12), 승강 블록(13)은 하나의 검사 모듈(10)을 구성한다. 검사 모듈(10)에 있어서 슬라이딩 블록(12)과 승강 블록(13)은 택일적으로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검사 장치에 있어서 검사 모듈(10)은 동일한 베이스 블록(20)에 대하여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14는 베이스 블록(20) 상에 두 개의 검사 모듈(10A, 10B)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각각의 검사 모듈(10A, 10B)에 있어서, 거리 측정 방향인 제2방향(D1, D2)은 서로 나란하지 않고 다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높이 측정 방향도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검사 장치는 하나의 범퍼 브라켓에 형성된 복수의 후크가 서로 다른 치수 규격을 갖는 경우 각각의 후크에 대응되는 복수의 검사 모듈을 구성함으로써 둘 이상의 후크에 대해 동시에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범퍼 브라켓 치수 검사 장치는 고정 블록에 대한 슬라이딩 블록 또는 승강 블록의 상대적인 위치 확인을 통해 용이한 치수 검사 방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범퍼 브라켓과 램프 하우징 사이의 이격 공간 안쪽에 배치되어 치수 검사가 어려웠던 후크에 대하여, 슬라이딩 블록 및 승강 블록의 아암을 이용해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검사 가능한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범퍼 브라켓 후크에 대하여 거리 및 높이 두 가지 측면에서 치수 검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검사의 정확도와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크의 동일 지점에 대하여 거리 및 높이 두 가지 검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범퍼 브라켓 상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둘 이상의 후크에 대하여 각각 매칭되는 복수의 검사 모듈이 구성된다.
1 : 범퍼 커버 2 : 범퍼 브라켓
3 : 후크 4 : 체결홀
5 : 이격 공간 6 : 램프 하우징
10(10A, 10B) : 검사 모듈 11 : 고정 블록
12 : 슬라이딩 블록 13 : 승강 블록
20 : 베이스 블록

Claims (10)

  1. 램프 하우징과 범퍼 브라켓 사이의 이격 공간을 향하여 범퍼 브라켓 바깥으로 돌출되는 범퍼 커버 체결용 후크의 가공 치수를 검사하는 검사 장치에 있어서,
    치수 검사의 기준 위치를 제공하는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 블록과,
    상기 고정 블록에 대하여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 및 승강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소정 규격에 따른 후크의 폭방향인 제1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방향에 따른 후크의 거리를 검사하고,
    상기 승강 블록은 제1방향 및 제2방향에 직교하는 제3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3방향에 따른 후크의 높이를 검사하고,
    후크 상의 동일 위치에 대하여 거리 검사 및 높이 검사가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승강 블록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은 제2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수용하는 슬라이딩 블록 홈을 포함하는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이격 공간 내부로 연장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의 단부에서 아래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후크의 접촉면에 맞닿는 팁부를 포함하고,
    이격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아암의 단부의 두께는 이격 공간 높이 보다 작은 검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에는 거리 검사의 기준이 되는 거리 기준 눈금이 마킹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는 상기 거리 기준 눈금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거리 표시 눈금이 마킹되어 상기 거리 기준 눈금 및 상기 거리 표시 눈금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통해 거리 검사가 수행되는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은 제1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승강 블록을 수용하는 승강 블록 홈을 포함하는 검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은 상기 승강 블록의 제3방향 운동을 가이드 하는 둘 이상의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블록에는 상기 가이드 로드가 끼워져 수용되는 둘 이상의 가이드 로드 홀이 구비된 검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블록은 이격 공간 내부로 연장되어 후크 상단에 접촉되는 아암을 포함하는 검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에는 높이 기준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 블록에는 상기 높이 기준 위치와 상대적인 위치 확인을 위해 사용되는 높이 표시 눈금이 마킹되어 상기 높이 기준 위치와 상기 높이 표시 눈금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통해 높이 검사가 수행되는 검사 장치.
  9. 램프 하우징과 범퍼 브라켓 사이의 이격 공간을 향하여 범퍼 브라켓 바깥으로 돌출되는 범퍼 커버 체결용 후크의 가공 정확도를 검사하는 검사 장치에 있어서,
    치수 검사의 기준 위치를 제공하는 베이스 블록과 상기 베이스 블록에 설치되는 복수의 검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 모듈은 상기 베이스 블록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고정 블록과,
    상기 고정 블록에 대하여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블록 및 승강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소정 규격에 따른 후크의 폭방향인 제1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방향에 따른 후크의 거리를 검사하고,
    상기 승강 블록은 제1방향 및 제2방향에 직교하는 제3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3방향에 따른 후크의 높이를 검사하고,
    후크 상의 동일 위치에 대하여 거리 검사 및 높이 검사가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승강 블록은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검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검사 모듈을 구성하는 각 슬라이딩 블록이 이동되는 제2방향은 서로 나란하지 않은 검사 장치.
KR1020210177051A 2021-12-10 2021-12-10 차량용 범퍼 브라켓 치수 검사 장치 KR20230088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051A KR20230088151A (ko) 2021-12-10 2021-12-10 차량용 범퍼 브라켓 치수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051A KR20230088151A (ko) 2021-12-10 2021-12-10 차량용 범퍼 브라켓 치수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151A true KR20230088151A (ko) 2023-06-19

Family

ID=8698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051A KR20230088151A (ko) 2021-12-10 2021-12-10 차량용 범퍼 브라켓 치수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815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789B1 (ko) 2017-11-23 2019-07-12 주식회사 서연이화 범퍼와 헤드램프 결합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789B1 (ko) 2017-11-23 2019-07-12 주식회사 서연이화 범퍼와 헤드램프 결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75777B1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object to be measured having hollow circular cylindrical shape
CA22525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thickness of an article at a plurality of points
KR100672059B1 (ko) 3축 굽힘 실험용 지그
CN106610275B (zh) 检验机及其连接夹具
US20240077431A1 (en) Z-axis measurement fixture and method of determining the planarity of objects using the fixture
RU2324893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отклонений взаимного расположения паза и оси отверстия
KR20230088151A (ko) 차량용 범퍼 브라켓 치수 검사 장치
CN106482611B (zh) 复杂铸件加工尺寸快速检测工装及其检测方法
US11774227B2 (en) Inspection gauge for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and abnormality determination method
CN215930730U (zh) 一种应用于汽车部件的检具结构
CN214392264U (zh) 扇形段调弧尺
KR101256634B1 (ko) 직각도 측정장치
CN213579079U (zh) 一种用于检测直线导轨上安装孔孔距的检具
CN111854562B (zh) 通用型玻璃升降器导轨检具及检测方法
CN210070867U (zh) 一种高精度智能孔径测试装置
KR101361250B1 (ko) 익스터널 기어 동심도 측정장치
CN105841595A (zh) 测平面度工装
JP2012242193A (ja) 外側寸法測定機
US20240151514A1 (en) Length measurement method for conical workpiece based on dual displacement sensors
KR20160023401A (ko) 직각도 측정장치를 이용한 직각도 측정방법
CN219311013U (zh) 一种位置校准工具
CN215810773U (zh) 一种表壳耳孔孔深检测治具
KR200456100Y1 (ko) 마이크로미터류 치수 검사지그
CN212458208U (zh) 装配孔检测装置
KR20180047756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프레임의 비접촉식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