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015A - 상용차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 - Google Patents

상용차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015A
KR980009015A KR1019960028008A KR19960028008A KR980009015A KR 980009015 A KR980009015 A KR 980009015A KR 1019960028008 A KR1019960028008 A KR 1019960028008A KR 19960028008 A KR19960028008 A KR 19960028008A KR 980009015 A KR980009015 A KR 980009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cross member
commercial vehicle
support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8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두식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28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9015A/ko
Publication of KR980009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015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차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상용차 데크의 양측부 횡방향을 따라 설치된 양 사이드 멤버(2)를 종으로 연결하여 설치되고, 중앙 하부에 스페어 타이어(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로스 멤버(3)로서, 사이드 멤버(2)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용차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
주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차에서는, 스페어 타이어(1)가 데크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부연하면, 데크의 양측부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사이드 멤버(2)를 종으로 연결하는 수 개의 크로스 멤버(3) 중의 하나에 스페어 타이어(1)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수 개의 크로스 멤버(3)중에서 스페어 타이어(1)가 설치되는 크로스 멤버(3)를 특히,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3)로 칭한다.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3)에 스페어 타이어(1)가 설치되는 구조를 제2도를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3)의 양측부가 대향되는 ㄷ자형 양 사이드 멤버(2)에 끼워져서, 그 하면이 볼트(4) 및 너트(5)로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3)의 중앙부에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6)가 설치되고, 이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6)에 스페어 타이어(1)를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특히, 스페어 타이어(1)를 캐리어(6)에서 로킹 및 분리를 하기 위해서, 스페어 타이어(1)는 로킹레버(7)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6)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3)는, 다른크로스 멤버가 사이드 멤버(2)의 상하면에 모두 고정되는데 비해서, 하면만이 사이드 멤버(2)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크로스 멤버의 본래 기능인 차량의 종강성을 강화하는 기능은 없고, 오직 스페어 타이어(1) 설치를 위한 기능밖에 없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 많아 개선의 요지가 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의 본래 기능을 부활시켜서, 차량의 종강성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는 상용차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 설치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 고정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페어 타이어 2 : 사이드 멤버
3 :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 4 : 볼트
6 :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7 : 로킹레버
8 : 리벳 9 : 웰딩너트
10 : 체인
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상용차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차에 종으로 설치되어 스페어 타이어를 지지하는 크로스 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비용으로 사용되는 스페어 타이어는, 트렁크가 구비된 승용차에서는 이 트렁크 저면에 설치되지만, 별도의 트렁크 공간이 없는 상용차에서는 화물을 싣는 데크(deck)의 하부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용차 데크의 양측부 횡방향을 따라 설치된 양 사이드 멤버를 종으로 연결하여 설치되고, 중앙하부에 스페어 타이어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로스 멤버로서, 사이드 멤버에 끼워진 상하면 모두가 체결수단에 의해 사이드 멤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면 고정을 위한 체결수단은 리벳이고, 상면 고정을 위한 체결 수단은 상면 내측에 설치된 웰딩너트와 사이드 멤버의 상부에서 체결되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의 상하면 모두가 사이드 멤버에 고정되므로써, 크로스 멤버의 본래 기능인 차량의 종강성을 강화기능을 발휘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요 크로스멤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 설명은 생략하고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하며, 또한 동일부번을 사용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3)의 양측부가 대향되는 ㄷ자형 양 사이드 멤버(2)에 끼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 멤버(2)에 끼워진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3)의 상하면 모두가 사이드 멤버(2)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즉, 하면은 리벳(8)에 의해 사이드 멤버(2)에 고정되고, 상면은 그 내측에 웰딩 너트(9)가 설치되어, 이 웰딩너트(9)에 볼트(4)를 체결하여 고정된다. 특히,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3)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분이 상부로 돌출되어, 이 부분이 사이드 멤버(2)의 상면에 고정되고, 양측부분이 사이드 멤버(2)의 하면에 고정되므로, 돌출된 부분의 양측부에 한 쌍의 취부공(31)이 형성되고, 양측부분에 각기 한 쌍의 취부공(32)이 형성되어, 총 6개의 취부공(31)이 형성된다. 즉, 상기 취부공(31)의 밑면에 웰딩 너트(9)가 설치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3)의 하면 체결수단으로 리벳(8), 상면 체결수단으로 웰딩 너트(9) 및 볼트(4)를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상하면을 모두 리벳(8)으로 고정하거나, 웨딩 너트(9) 및 볼트(4)로 고정하여도 무방하고, 또는 용접을 실시하여 고정해도 무방하다.
또한,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2)의 중앙부에 스페어 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4개의 취부공(33)이 형성되고, 스페어 타이어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로킹레버가 삽입되는 취부공(34)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3)는 종래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를 지지하게 되고 그 구조가 제3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인 제4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6)가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3)의 돌출된 부분의 밑면에 고정된다. 스페어 타이어(1)가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6)에 로킹레버(7)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또한 체인(1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멤버(3)의 상하면 모두가 사이드 멤버(2)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므로써,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3)는 스페어 타이어(1)를 지지하는 기능에 부가하여, 크로스 멤버의 본래 기능인 차량의 종강성을 강화시켜 주는 기능도 발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상용차 데크의 양측부 횡방향을 따라 설치된 양 사이드 멤버를 종으로 연결하여 설치되고, 중앙 하부에 스페어 타이어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로스 멤버로서, 사이드 멤버에 끼워진 상하면 모두가 체결수단에 의해 사이드 멤버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고정을 위한 체결수단은 리벳이고, 상면 고정을 위한 체결수단은 상면 내측에 설치된 웰딩 너트와 사이드 멤버의 상부에서 체결되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8008A 1996-07-11 1996-07-11 상용차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 KR9800090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008A KR980009015A (ko) 1996-07-11 1996-07-11 상용차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008A KR980009015A (ko) 1996-07-11 1996-07-11 상용차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015A true KR980009015A (ko) 1998-04-30

Family

ID=66242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008A KR980009015A (ko) 1996-07-11 1996-07-11 상용차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90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029B1 (ko) 2015-02-12 2016-07-19 김혜라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029B1 (ko) 2015-02-12 2016-07-19 김혜라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3237B2 (ja) ルーフ荷物キャリヤの固定装置
US7040639B2 (en) Vehicle body structure employing gussets fastened to cross member portion between damper bases
KR980009015A (ko) 상용차의 스페어 타이어 지지용 크로스 멤버
JPS5871225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支持装置
US7401849B2 (en) Tower structure supporting bed on frame
JP3206399B2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のスプリングブラケット取付構造
KR200156543Y1 (ko) 대형트럭의 샤시프레임 체결구조
JP2510073Y2 (ja) 自動車のル―フ構造
JP3885316B2 (ja) リヤシートバック固定用ブラケット配設構造
KR200224257Y1 (ko) 승합차용 상판 고정수단
KR200144230Y1 (ko) 자동차의 중심패널 보강구조
JPH0228129Y2 (ko)
KR200147147Y1 (ko) 화물차의 차체구조
KR0118279Y1 (ko) 자동차용 트렁크플로어와 캐니스터커버의 취부 구조
JPH11105634A (ja) ルーフキャリアボックス
JPH0426310Y2 (ko)
KR200216710Y1 (ko) 프레임의 보강 구조
KR970001265Y1 (ko) 승합차량의 리어프레임 보강구조
JPH05246224A (ja) 車両におけるリーフスプリングの支持ブラケット
KR200268750Y1 (ko) 차량의 차체 프레임 보강구조
JPH0416762Y2 (ko)
KR19990017067U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용 앵커 강성 보강 구조
KR19980052609U (ko) 어시스트 핸들 커버 고정구조
KR20030024492A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 백 고정용 스트라이커 장착 구조
KR19980037133U (ko) 자동차용 견인고리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