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8647U - 자동차의 전선 연결용 커넥터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선 연결용 커넥터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8647U
KR980008647U KR2019960020695U KR19960020695U KR980008647U KR 980008647 U KR980008647 U KR 980008647U KR 2019960020695 U KR2019960020695 U KR 2019960020695U KR 19960020695 U KR19960020695 U KR 19960020695U KR 980008647 U KR980008647 U KR 9800086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dash panel
flange
ecu
fix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국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0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8647U/ko
Publication of KR9800086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64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6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 F16B37/061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by means of welding or riveting by means of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선 연결용 커넥터 고정구조에 있어서, ECU(10)측의 커넥터(18)에 외향연장된 플랜지(22)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22)에 다수의 체결공(26)을 형성하며, 상기 대쉬패널(20)에는 상기 커넥터(18)에 대응되는 삽입홀(28)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26)에 대응하는 웰드너트(30)를 엔진룸(12)측에 형성하여, 상기 커넥터(18)를 상기 삽입홀(28)에 삽입시키고, 볼트(32)를 상기 플랜지(22)의 체결공(26)에 삽입시켜 상기 웰드너트(30)에 체결하도록 하여, 커넥터(18)가 직접 대쉬패널(20)에 고정되는 것과, 상기 커넥터(18)의 플랜지(22)와 상기 대쉬패널(20) 사이에 실링부재(24)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여 ECU측의 커넥터를 대쉬패널에 직접 고정함으로써, 전선 및 커넥터의 유동을 방지하고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선 연결용 커넥터 고정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선 연결용 커넥터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엔진을 비롯한 제반 시스템을 제어하는 ECU로부터 도선된 전선을 엔진룸의 센서계통이나 제어계통에 커넥터에 의하여 연결할 시, 상기 커넥터를 패널에 직접 고정함으로써,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배선의 유동을 방지한 자동차의 전선 연결용 커넥터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잘 아는 바와 같이 최근의 자동차는 주로 연료공금과 점화계통을 주로 ECU(Electronic Control Unit)가 제어하는 전자제어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ECU는 상기한 엔진의 제어뿐 만 아니라 각 시트템 특히 안전을 위한 회로와 기타 다른 기능을 가진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것은 대부분의 자동차에 이미 적용되고 있는 바이다.
이와 같은 ECU는 주로 자동차의 소정부에 장착되게 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자동차의 조수석 측면 바디 내측,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조수석 탑승자의 무릎으로부터 발목부분에 이르기까지 형성되는 측면 바디의 내측 외장을 장식하는 시라우드 트림(Shroud Trim)의 내측에 장착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ECU를 엔진의 센서계통이나 제어계통과 연결할 때에는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ECU(10)로부너 인출된 전선(14)을 대쉬패널(20)에 관통시켜 엔진룸(12)까지 연장한 후, 그 단부의 커넥터(12)를 엔진측으로 부터 연장된 전선(14a)의 커넥터(18a)에 연결하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6"은 상기 전선(14)이 상기 대쉬패널(20)을 통과할 시, 이를 보호하고, 엔진룸과 차실내를 실링하는 그로멧(Grommet)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선 연결구조에 있어서는 커넥터가 고정되어 있지 않게 되므로 주행시 커넥터와 전선이 흔들려서 피복이 벗겨지고, 그로멧과 커넥터의 연결이 복잡하여 전선의 정리가 되지 않아 엔진룸이 지저분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ECU측의 커넥터를 대쉬패널에 직접 고정함으로써, 전선 및 커넥터의 유동을 방지하고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전선 연결용 커넥터 고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차실내에 구비된 ECU로부터 연장되는 전선을 대쉬패널을 관통시킨 후 엔진측의 전선과 커넥터로 연결하는데 있어서, 상기 ECU측의 커넥터에 외향연장된 플랜지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에 다수개의 체결공을 형성하며, 상기 대쉬패널에는 상기 커넥터에 대응되는 삽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에 대응하는 웰드너트를 엔진룸측에 형성하여, 상기 커넥터를 상기 삽입홀에 삽입시키고, 볼트를 상기 플랜지의 체결공에 삽입시켜 상기 웰드너트에 체결하도록 하여, 커넥터가 직접 대쉬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의 플랜지와 상기 대쉬패널 사이에 실링부재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배선도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선 연결용 커넥터의 사용 상태를 나타 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ECU 20 : 엔진룸 14, 14a : 전선
16 : 그로멧 18, 18a : 플랜지 24 : 실링부재
26 : 체결공 28 : 관통홀 30 : 웰드너트
32 : 볼트
이하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선 연결용 커넥터가 대쉬패널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실내에 구비되는 ECU(10)측의 커넥터(18)에 외향 연장된 플랜지(22)가 형성되며, 이 플랜지(22)에는 다수의 체결공(26)이 형성된다.
상기 대쉬패널(20)에는 상기 커넥터(18)을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홀(28)이 형성되며, 상기 대쉬패널(20)의 엔진룸측으로는 상기 체결공(26)에 대응되는 웰드너트(Welded Nut)(30)가 용접 고정된다.
한편, 상기 플랜지(22)가 형성된 커넥터(18)가 상기 대쉬패널 (20)에 삽입된 후, 이들이 볼트(32)에 의해 체결될 시, 상기 대쉬패널 (20)에 형성된 삽입홀(28)을 통하여 물이 누수됨을 방지하고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실링부재(24)가 개재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커넥터(18)를 대쉬패널(20)에 직접 체결시키고자 할 때에는 먼저, 커넥터(18)에 실링부재(24)를 개재시킨 후 대쉬패널(20)의 관통홀(28)에 상기 커넥터(18)을 삽입시킨다.
이후, 볼트(32)로 상기 커넥터(18)의 플랜지(22)에 형성된 체결공(26)을 통하여 상기 대쉬패널(20)에 형성된 웰드너트(30)에 체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ECU측의 커넥터(18)가 대쉬패널(20)에 체결된 후 엔진측으로부터 연장된 전선(14a)의 커넥터(18a)를 상기 커넥터(18)에 삽입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이 ECU측의 커넥터를 직접 대쉬패널에 고정시킴으로써, 커넥터(18,18a) 및 배선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그로멧을 설치하고 커넥터를 연결하는 방식보다 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나아가 커넥터 및 전선을 정리하는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자연적으로 정리가 되므로 보다 깔끔한 엔진룸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차실내에 구비된 ECU(10)로부터 연장되는 전선(14)을 대쉬패널(20)을 관통시킨 후 엔진측의 전선(14a)과 커넥터(18, 18a)로 연결하는데 있어서, 상기 ECU(10)측의 커넥터(18)에 외향연장된 플랜지(22)를 형성하고, 이 플랜지(22)에 다수개의 체결공(26)을 형성하며, 상기 대쉬패널(20)에는 상기 커넥터(18)에 대응되는 삽입홀(28)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26)에 대응하는 웰드너트(30)를 엔진룸(12)측에 형성하여, 상기 커넥터(18)를 상기 삽입홀(28)에 삽입시키고, 볼트(32)를 상기 플랜지(22)의 체결공(26)에 삽입시켜 상기 웰드너트 (30)에 체결하도록 하여, 커넥터(18)가 직접 대쉬패널(2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선 연결용 커넥터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8)의 플랜지(22)와 상기 대쉬패널(20) 사이에 실링부재(24)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선 연결용 커넥터 고정구조.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0695U 1996-07-12 1996-07-12 자동차의 전선 연결용 커넥터 고정구조 KR9800086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695U KR980008647U (ko) 1996-07-12 1996-07-12 자동차의 전선 연결용 커넥터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695U KR980008647U (ko) 1996-07-12 1996-07-12 자동차의 전선 연결용 커넥터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647U true KR980008647U (ko) 1998-04-30

Family

ID=5397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695U KR980008647U (ko) 1996-07-12 1996-07-12 자동차의 전선 연결용 커넥터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864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896B1 (ko) * 2006-08-09 2007-11-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 옵션장치용 배선 콘넥터 더미 플러그
KR100844867B1 (ko) * 2007-04-27 2008-07-0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회로기판 박스에 설치되는 와이어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896B1 (ko) * 2006-08-09 2007-11-30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 옵션장치용 배선 콘넥터 더미 플러그
KR100844867B1 (ko) * 2007-04-27 2008-07-0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회로기판 박스에 설치되는 와이어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59509A (en) Grommet assembly for main and auxiliary wire harnesses
WO2000071388A8 (de) Elektrisches verdrahtungssystem für die antriebseinheit in fahrzeugen
JP3536794B2 (ja) 電装部品の配置構造
KR980008647U (ko) 자동차의 전선 연결용 커넥터 고정구조
JP3858565B2 (ja) 車載用電子機器の組付け構造
KR100315366B1 (ko) 와이어 하네스
JP3019640B2 (ja) 自動車用バッテリハーネス
KR200140868Y1 (ko) 자동차 배선용 클립
US20010004493A1 (en) Molded foam pad with integral wiring
JP2001315592A (ja) エンジン関連部のハーネス構造
KR200146635Y1 (ko) 자동차용 와이어 하네스 연결용 그로메트
JPH0547438A (ja) ワイヤハーネスの接続方法
KR100315364B1 (ko) 엔진룸으로부터 객실로의 소음 차단용 그로메트
JP2002321571A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の統合システム
KR200141394Y1 (ko) 자동차의 배선용 그로밋
KR200192677Y1 (ko) 에어백 가스발생장치의 고정구
JP2001069640A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KR19980038910A (ko) 자동차의 와이어 하니스 콘넥터
KR980007710U (ko) 와이퍼모터 전선용 커넥터 취부구조
KR200143921Y1 (ko) 자동차용 콘솔 고정구조
JPH10336843A (ja) 自動車における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KR19990048062A (ko) 자동차용 와이어 하니스용 프로텍터
KR19980013654U (ko) 자동차용 그로멧
JP2001211525A (ja) 電気接続箱
JPH0742844A (ja) ユニット一体化システムにおけるワイヤーハーネス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