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72470A - 전력용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력용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72470A
KR970072470A KR1019960011111A KR19960011111A KR970072470A KR 970072470 A KR970072470 A KR 970072470A KR 1019960011111 A KR1019960011111 A KR 1019960011111A KR 19960011111 A KR19960011111 A KR 19960011111A KR 970072470 A KR970072470 A KR 970072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gate electrode
impurity region
conductivity type
epitax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3118B1 (ko
Inventor
이원오
신진철
박중언
Original Assignee
곽정소
한국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정소, 한국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곽정소
Priority to KR1019960011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118B1/ko
Publication of KR970072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2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118B1/ko

Links

Landscapes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용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농도의 제1전도형의 반도체 기판상에 성장된 저농도의 제1전도형의 에피택셜층; 에피택셜층의 상부의 소정영역에 형성된 게이트 산화막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전극을 덮는 층간절연막; 게이트 전극에 셀프얼라인되며 제1깊이로 상기 에피택셜층의 표면근방에 형성된 제2전도형의 불순물영역; 게이트 전극 하방의 반도체 기판의 표면근방에 게이트 전극의 하방으로 확산된 제2전도형의 불순물영역과 측방으로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매몰절연층; 제2전도형의 불순물영역과 제1전도형의 루순물영역의 노출된 표면과 상기 층간절연막의 표면에 형성된 소오스전극; 및 반도체 기판의 에피택셜층이 형성된 면의 반대 표면에 형성된 드레인전극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입력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고속 동작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력용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용 MOSFET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Claims (11)

  1. 고농도의 제1전도형의 반도체 가판 상에 훨씬 낮은 불순물 농도를 갖도록 성장된 제1전도형의 에피택셜층; 상기 에피택셜층의 상부의 소정영역에 형성된 게이트 산화막상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상기의 게이트 전극을 덮는 층간절연막; 상기 게이트 전극에 셀프얼라인되며 제1깊이로 상기 에피택셜층의 표면근방에 형성된 제2전도형의 불순물영역; 상기 게이트전극에 셀프얼라인되며 상기 제2전도형의 불순물영역 내의 표면근방에 상기 제1깊이보다는 더 낮은 제2깊이로 형성된 제1전도형의 불순물영역; 상기 게이트 전극 하방의 반도체 기판의 표면근방에 상기 게이트 전극의 하방으로 확산된 제2전도형의 불순물영역과 측방으로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매몰절연층; 상기 제2전도형의 불순물영역과 제1전도형의 불순물영역의 노출된 표면과 상기 층간절연막의 표면에 형성된 소오스전극;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에피택셜층이 형성된 면의 반대 표면에 형성된 드레인 전극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트랜지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은 P형 또는 N형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트랜지스터.
  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택셜층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트랜지스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몰절연층의 두께가 1㎛ 이상이며, 인접하는 제2전도형의 불순물영역과 거리가 5㎛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트랜지스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몰절연층의 유전상수가 실리콘의 유전상수보다 더 작은 유전상수를 가지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트랜지스터.
  6. 고농도의 제1전도형의 반도체 기판상에 저농도의 제1전도형의 에피택셜층을 형성하는 단계; 에피택셜층의 표면근방에 소정 깊이의 매몰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의 표면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폴리실리콘을 덮고 통상의 사진식각공정에 의해 폴리실리콘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을 불순물 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제2전도형의 불순물을 도핑하여 게이트 전극에 셀프얼라인되고 상기 매몰절연층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제1깊이로 제2전도형의 불순물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중앙부의 게이트 절연막상에 마스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패턴과 게이트 전극을 불순물 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2불순물영역 내의 표면근방에 상기 게이트 전극에 셀프얼라인되고 상기 제1깊이 보다는 더 낮은 제2깊이로 제1전도형의 불순물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 상에 층간절연막을 덮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상기 제2전도형의 불순물영역의 일부와 제1전도형의 불순물영역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 상에 금속을 도포하여 소오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배면에 드레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몰절연층을 형성한 후에 결과물의 표면에 마스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패턴을 불순물 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중앙부에 상기 에피택셜층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깊이보다 더 깊은 제3깊이로 고농도의 제2전도형의 불순물영역을 형성한 후에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몰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에피택셜층상에 산화막과 질화막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질화막 상에 마스크패턴을 형성하고 노출된 질화막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질화막 제거에 의해 노출된 산화막을 국부적으로 성장시키는 단계; 상기 에피택셜층의 표면이 드러나도록 질화막과 산화막을 제거하여 매몰절연층을 남기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몰절연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 에피택셜층의 표면근방에 소정 깊이의 요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요홈이 형성된 에피택셜층의 표면을 산화시키는 단계; 상기 결과물의 주표면을 폴리싱하여 에피택셜층이 드러나도록 산화막을 제거하여 매몰절연층을 남기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몰절연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에피택셜층상에 산화막과 질화막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질화막 상에 마스크패턴을 형성하고 노출된 질화막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진화막의 제거로 노출된 산화막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식각하여 요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요홈의 노출된 표면을 산화시켜서 매몰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남겨진 질화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11. 고농도의 제1전도형의 반도체 기판상에 저농도의 제1전도형의 에피택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에피택셜층의 표면근방에 소정 깊이의 매몰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매몰절연층을 형성한 후에 결과물의 표면에 제1마스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마스크 패턴을 불순물 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중앙부에 상기 에피택셜층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깊이 보다 더 깊은 제3깊이로 고농도의 제2전도형의 불순물영역과 이 불순물영역상에 산화막을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 상기 산화막상에 식각저지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마스크패턴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식각저지층을 제거하여 상기 고농도의 제2전도형의 불순물영역상에만 산화물을 남기는 단계; 상기 결과물의 표면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폴리실리콘을 덮고 통상의 사진식각공정에 의해 폴리실리콘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과 산화막을 불순물 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제2전도형의 불순물을 도핑하여 게이트 전극에 셀프얼라인되고 상기 매몰졀연층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제1깊이로 제2전도형의 불순물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과 산화막을 불순물 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2불순물영역 내의 표면근방에 상기 게이트 전극에 셀프얼라인되고 상기 제1깊이보다는 더 낮은 제2깊이로 제1전도혀의 불순물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 상에 층간절연막을 덮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상기 제2전도형의 불순물영역의 일부와 제1전도형의 불순물영역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콘낵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결과물 상에 금속을 도포하여 소오스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의 배면에 드레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용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참고사항: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11111A 1996-04-13 1996-04-13 전력용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193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111A KR100193118B1 (ko) 1996-04-13 1996-04-13 전력용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111A KR100193118B1 (ko) 1996-04-13 1996-04-13 전력용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470A true KR970072470A (ko) 1997-11-07
KR100193118B1 KR100193118B1 (ko) 1999-06-15

Family

ID=6622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111A KR100193118B1 (ko) 1996-04-13 1996-04-13 전력용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1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467B1 (ko) * 2015-06-22 2020-06-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 반도체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3118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147B1 (ko)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EP0274278B1 (en) MOS field effect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00079B1 (ko) 트랜치 게이트 구조를 갖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476816B1 (ko) 트랜치 소스 콘택트를 갖는 측방 확산 mos 트랜지스터
US5532179A (en) Method of making a field effect trench transistor having lightly doped epitaxial region on the surface portion thereof
KR100363353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4419811A (en) Method of fabricating mesa MOSFET using overhang mask
US5714393A (en) Diode-connecte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931408A (en) Method of fabricating a short-channel low voltage DMOS transistor
US6180441B1 (en) Bar field effect transistor
KR950002274B1 (ko) 샐로우 접합을 갖는 mos vlsi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5597746A (en) Method of forming field effect transistors relative to a semiconductor substrate and field effect transistors produced according to the method
TW591752B (en) Symmetric trench MOSFET device and method of making same
TW334590B (en)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e
US20030222290A1 (en) Power device having reduced reverse bias leakage current
JP4063353B2 (ja) トレンチゲート型mos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JPH0459774B2 (ko)
KR20010076661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0159763B1 (ko) 반도체 장치
US4625388A (en) Method of fabricating mesa MOSFET using overhang mask and resulting structure
KR970011641B1 (ko) 반도체 장치 및 제조방법
US625467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having raised source/drain
KR0128339B1 (ko) Cmos 기술을 이용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950008257B1 (ko) 모스(mos)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950011020B1 (ko) 절연 게이트형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