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9763B1 -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9763B1
KR0159763B1 KR1019890008849A KR890008849A KR0159763B1 KR 0159763 B1 KR0159763 B1 KR 0159763B1 KR 1019890008849 A KR1019890008849 A KR 1019890008849A KR 890008849 A KR890008849 A KR 890008849A KR 0159763 B1 KR0159763 B1 KR 0159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semiconductor
layer
insulating material
materia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037A (ko
Inventor
히로끼 호즈미
Original Assignee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00001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9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9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234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01L29/66272Silicon vertical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3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reg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48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consisting of layered constructions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and insulating layers, e.g. planar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치 구조를 가지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집적 회로등의 반도체 장치의 기생 용량을 저감함으로써 고속화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홈모양의 소자 분리 영역과, 이 소자 분리 영역상에 연장하며 반도체 기체의 불순물 영역에 접속되고 있는 배선을 갖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배선밑과 또한 소자 분리 영역에 접하는 반도체 기판 표면에 매립되는 절연층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배선과 반도체 기판 표면간의 절연 간격이 커지며, 또, 소자 분리 영역과 불순물 영역간의 거리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배선과 반도체 기판 간의 기생 용량을 저감할 수 있고, 반도체 장치의 보다 나은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제1a도 내지 1o도는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는 제법의 1 예를 도시하는 공정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의 주요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제3a 내지 3c도는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는 제법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공정 도면.
제4도는 종래의 반도체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주요부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 : 콜렉터 영역이 되는 n 형 반도체 29 : 소자 분리홈
31 : 분리홈 32 : 인더커트부
34 : 절연층 영역
35 : 베이스 전극 인출용 배선으로 되는 다결정 실리콘층
37 : 소자 분리 영역 38 : 분리 영역
45 : 베이스 영역 46 : 베이스 콘택트 영역
49 : 에미터 영역
본 발명은 초 고속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집적 회로등의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semiconductor substrate)에 형성된 홈모양의 소자 분리 영역상에 연장되어 반도체 기판의 불순물 영역에 접속되 있는 배선을 갖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선밑과 또한 홈모양의 소자 분리 영역에 접하는 표면에 배치된 절연층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배선과 불순물 영역간의 기생 용량(parasitic capacitanc
e)을 저감하여 반도체 장치의 고속화를 도모토록 한 것이다.
근래, 소자 분리 영역에 단면 V 자 모양 또는 U 자 모양의 깊은 홈을 형성해서 분리를 행하는 소위 트랜치형 분리법을 사용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집적 회로가 제안되어 있다.
제4도는 트렌치형 분리법을 사용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집적 회로의 주요 부분의 1 예를 도시한다.동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는 실리콘 반도체 기판을 도시하며, 이것은 예컨대 P 형 실리콘 기판(2)상에 콜렉터 매립 영역으로 되는 n 형 반도체 층(3)과 콜렉터 영역이되는 고저항의 n 형 반도체층(4)을 차례로 에피택시(epitaxy)해서 구성된다. 이 기판(1)에 소자 분리홈(트렌치)(5)을 형성하며, 그 내면을 산화해서 SiO2막(6)을 형성함과 더불어 다결정 실리콘층(7) 및 SiO2층(8)을 매립해서 홈모양의(트렌치형) 소자 분리 영역(9)이 형성된다.
도면부호(10)는 P 형 베이스 영역이고, (11)은 P+베이스 콘택트 영역이며, (l2)는 n 형 에미터 영역이고, (13)은 선택 산화(Locos)에 의한 필드 산화층이다.
P+베이스 콘택트 영역(11)은 P 형 분순물 예컨대 보론(B)을 도핑한 다결정 실리콘(14)으로 부터의 보론 확산으로 형성되며, 이 다결정 실리콘층(14)이 베이스 전극(15)을 인출하기 위한 배선으로 되어 있다. 에미터 영역(l2)은 n 형 불순물 예컨대 비소(As)를 도핑한 다결정 실리콘층(16)으로 부터의 비소 확산으로 형성 되며, 이 다결정 실리콘층(16)상에 에미터 전극(17)이 형성된다. (18)은 SiO2층이다. 또, 도시하지 않았으나 콜렉터 매립 영역(3)을 통해 콜렉터 전극이 형성된다.
또한, P+베이스 콘택트 영역(11)의 형성에 있어서는 분리 영역(9)을 포함하는 기판(1)상의 SiO2층(8a)을 패터닝한 다음, 보론이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층(14)을 피착 형성하여 패터닝 하고, 그후의 열처리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에서 SiO2층(8a)을 모두 에칭 제거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이 경우, 트렌치(5)내의 SiO2층(8)을 일부 에칭 제거하는 것으로 끝내는데 이때 단차가 생긴다. 이 단차는 그후의 공정에 악영향을 끼친다. 이 때문에 SiO2층(8a)은 평탄화를 유지하는 면에서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제4도에 도시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있어서는 그 고속화를 위하여 콜렉터 베이스간의 용량 CCB를 저감할 필요가 있다. 이 용량 CCB는 주로 베이스 콘택트 영역(11)에 있어서의 P+-n 접합 용량 C1과 SiO2층(8a)을 끼고 다결정실리콘층(14)과 콜렉터 영역(4)간에서 구성되는 용량 즉, 베이스 배선 아래의 MIS(Metal Insulator Semiconductor) 용량 C2의 합(CCB=C1+ C2)으로 부여된다. 셀프-얼라인(self-align) 공정으로 P+-n 접합 용량 C1을 작게 해도 MIS 용량 C2의 기여는 무시할 수 없다.
한편, P+베이스 콘택트 영역(11)과 소자 분리 영역(9)의 간격 X를 작게 함으로써 MIS 용량 C2를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생각되는데 P+베이스 콘택트 영역(11) 및 소자 분리 영역(9)간의 허용 치수, 즉 간격 X 로서는 0.2 내지 0.3㎛가 한계였다.
또, SiO2층(8a)의 막두께 Y 는 단차의 관계로 0.1㎛ 정도이며 그다지 두껍게 형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트렌치형 소자 분리법을 사용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그 기생 용량을 더욱 저감해소 초 고속화를 가능케한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홈모양의 소자 분리 영역과, 이 소자 분리 영역상에 연장되 있고 반도체 기판의 불순물 영역에 접속되어 있는 배선을 갖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배선밑과 소자 분리 영역에 접하는 반도체 기판표면에 매립되어 있는 절연층 영역을 가지고 구성한다.
소자 분리 영역에 접하는 반도체 표면에 매립 되어 있는 절연층 영역은 두껍게 형성된다. 이 때문에 배선과 반도체 기판 표면의 기생 용량은 작아진다. 또, 소자 분리 영역과 불순물 영역간의 상기 절연층 영역의 치수도 작아지므로 이것에 의해서도 배선과 반도체 기체 표면의 기생 용량은 작아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집적 회로에 적용했을 경우의 1 예를 그 제법과 더불어 설명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P 형 실리콘 반도체 기판(22)을 준비하고, 이것의 위에 콜렉터 매립 영역을 구성하는 저 저항의 n 형 반도체 층(23)과, 상기 반도체층(23)위에 상기 반도체층(23)과 같은 n 형인 고 저항의 콜렉터 영역을 구성하는 반도체층(24)을 차례로 에피택시 하고, 반도체 기판(21)을 구성한다. 이어서, 반도체 기판(21)의 표면을 예컨대, 열산화시켜 얇은 SiO2막에 의한 버퍼층(25)을 형성하며, 이 버포층(25)위에 실리콘 질화막(26)을 피착 형성하고, 그 위에 예컨대 두께 1㎛인 SiO2막(27)을 CVD법 등으로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1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지스트층(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소자 분리 홈을 형성해야할 부분에 있는 SiO2막(27), 실리콘 질화막(26), 및 버퍼층(25)를 관통하는 창(28)을 형성한다. 이후, SiO2막(27), 실리콘 질화막(26), 및 버퍼층(25)을 마스크하여 창(28)을 통해 기판(21)을 상기 반도체층(24,23)을 횡단하는 깊이로 이방성 에칭, 예컨대 RIE(반응성 이온 에칭)등의 드라이 에칭함으로써 소자 분리 홈(29) 즉 제1 트렌치의 형성을 행한다. 마찬가지로 해서 트랜지스터의 활성 영역과 콜렉터 콘택트 영역을 분리하는 부분상의 SiO2막(27), 실리콘 질화막 및 버퍼층(25)에 이것들을 관통하는 창(30)을 형성하며, 이창(30)을 통해서 RIE 등의 드라이 에칭으로 n+반도체층(23)에 도달하는 깊이의 분리홈(31) 즉 제2의 트렌치를 형성한다.
다음에 제1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SiO2막(27)을 에칭 제거함과 더불어 이와 동시에 분리홈(29, 31)의 내측에 접하는 부분에서 버퍼층(25)을 일부 에칭, 즉 소위 언더커트(undercut)해서 후퇴시킨다. 언더커트부(32)의 거리 X1의 정도는 에칭으로 소망의 것이 얻어지는데 0.1-0.2㎛ 정도가 적당하다고 한다.
다음에, 제1d도에 도시하듯이 실리콘 질화막(26)을 마스크 해서 소자 분리홈(29) 및 분리홈(31)의 각각 내측벽을 표면 열산화해서 0.1㎛ 0.3㎛ 두께의 SiO2에 의한 절연층(33)을 형성한다. 이 표면 열산화시, 동시에 버퍼층(25)의 언더커트부(32)에 접하는 기판 표면이 산화되며 약간 버즈비크 (bird's beak)가 들어가서, 버퍼층(25)보다 두꺼운 예컨대 01.5㎛ ~ 0.3㎛ 두께의 SiO2로 되는 절연층 영역(34)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1e도에 도시하듯이 소자 분리홈(29) 및 분리홈(31)내를 매립해서 기판상에 전면적으로 반도체층 예컨대 다결정 실리콘층(35)을 CVD법 등에 의해서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1f도에 도시하듯이 다결정 실리콘 층(35)에 대한 에치백(etch back)을 행하여 소자 분리홈(29) 및 분리홈(31)내를 남기도록 기판 표면으로 부터 소정 깊이의 위치까지 상층부의 다결정 실리콘 층(35)을 이방성 에칭(예컨대 RIE)하여 제거한다.
다음에 제1g도에 도시하듯이 실리콘 질화막(26)을 제거한 다음, 소자 분리홈(29) 및 분리홈(31) 내를 포함해서 기판(21)상에 SiO2층(36)을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 등으로 형성한다.
다음에 제 1h도에 도시하듯이 SiO2층(36)을 RIE 등으로 에치백 해서 기판(21)상의 전면에 소정의 두께 예컨대 0.1㎛ 정도를 남기도록 소자 분리홈(29) 및 분리홈(31)내에 SiO2층(36)을 매립해서 소자 분리 영역(37) 및 분리 영역(39)를 형성한다.
다음에, 제1i도에 도시하듯이 선택 산화(Locos) 처리로 피일드부에 두꺼운 SiO2에 의한 절연층(39)을 형성한다. 이런 다음, 선택적으로 n 형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고, 활성 어닐(anneal)을 행하여 n+콜렉터 콘택트 영역(40)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1j도에 도시하듯이 포토레지스트층(41)을 통해 활성 영역상의 SiO2층(36a)을 선택적으로 에칭 제거한다. 이 예에서는 전술한 분리 영역(37, 38)의 상측 테두리에 접하는 두터운 절연층 영역(34)위의 SiO2층(36a)을 남기도록 활성 영역상의 SiO2층(36a)을 제거하며, 활성 영역의 n 형 반도체층(24)를 노출시킨다.
다음에 제1k도에 도시하듯이 P 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B)을 도핑한 다결정 실리콘층(42)를 전면에 예컨대 CVD 법에 의해서 피착 형성하고, 예컨대 최종적으로 베이스 콘택트 영역과 베이스 전극을 인출하기 위한 배선이 되는 부문을 남기며, 나머지 부분을 선택적으로 에칭해서 패턴화한다.
그리고, 이 다결정 실리콘층(42)상을 포함해서 전면에 예컨대 CVD 법에 의해서 마스크층으로 되는 SiO2층(43)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1l도에 도시하듯이 포토에칭을 행해서 베이스 영역을 형성해야 할 부분상의 SiO2층(43) 및 다결정 실리콘층(42)을 선택적으로 에칭 제거해서 창(44)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1m도에 도시하듯이 창(44)을 통해서 P 형 불순물 예컨대 보론(13)을 주입하고, 열처리를 행해서 이온 주입 영역을 활성화해서 베이스 영역(45)을 형성함과 더불어, 다결정 실리콘층(42)으로부터 그 불순물을 확산사켜 베이스 영역(45)의 주위에 고농도의 베이스 콘택트 영역(46)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1n도에 도시하듯이 전면에 SiO2층을 예컨대 CVD 법으로 피착 형성한 다음, 이방성 에칭 예컨대 RIE를 실시해서 창(44)의 내측벽에 SiO2측벽부(47)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SiO2측벽부(47)에 접하는 베이스 영역(45)상을 포함하는 전면에 n 형의 불순물 예컨대 비소(As)가 도핑된 다결정 실리콘층(48)을 피착 형성하고, 열처리해서 다결정 실리콘층(48)으로 부터 그 불순물을 확산시켜서 에미터 영역(49)을 형성한다.
그런다음, 제1o도에 도시하듯이 패터닝된 다결정 실리콘층(48)상에 에미터 전극(50)을 형성하고, 다결정 실리콘층(42)을 배선으로 하여 그 단부에 접하는 베이스 전극(51)을 형성하며, 다시 콜렉터 콘택트 영역(40)에 접하는 콜렉터 전극(52)을 형성한다. 각 전극(50, 51, 52)은 예컨대 알루미늄 전극으로 형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전극과 실리콘간에 베리어 메탈(53)을 개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같이 해서 목적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집적 회로(54)를 얻는다.
또한, 실시예에선 분리홈(29, 31)에 다결정 실리콘층(35) 및 SiO2층(36)을 매립해서 소자 분리 영역(37) 및 분리 영역(38)을 형성했는데, 그 이외에, 분리홈(29, 31)내를 모두 SiO2로 매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의 구성에 의하면 분리홈(29, 31)의 내벽과 양 분리홈(29, 31)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한 언더커트부만을 선택적으로 산화해서 분리홈(29, 31)의 상측 테두리에 접하은 기판 표면에 매립하는 바와 같이, 두터운 SiO2로 되는 절연층 영역(34)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도의 확대도에서 도시하듯이 이 절연층 영역(34)과 그위의 SiO2층(36a)에 의해, 다결정 실리콘층(42)으로 되는 베이스 전극을 인출하는 배선과 콜렉터 영역으로 되는 n 형 반도체 층(24)간의 실질적인 절연층의 두께(Y1)는 두껍게, 즉, 0.25 ~ 0.4㎛ 정도로 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의 기생 MIS 용량 C2가 작아진다. 또, 언더커트 등에 의해 분리 영역과 베이스 콘택트 영역간의 허용 치수를 셀프얼 라인으로 결정할 수 있으므로 그 치수 X1이 용이하게 0.1 ~ 0.2㎛ 으로 할 수 있으며, 그만큼 기생 MIS 용량 C2를 작게 할 수 있다. 그결과 베이스 콜렉터간 용량 CCB를 저감할 수 있으며, 초 고속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집적 회로가 얻어진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 예에선 전술의 제1l도의 공정후, 즉, 제3a도에 도시하듯이 소자 분리 영역(37) 및 분리 영역(38)(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한 다음, 분리 영역(37, 38) 근처의 절연층의 막두께 (Y1)를 분리 영역(37, 38)에서 떨어진 기판 표면의 SiO2층(36a)의 막두께 (Y2)와의 막두께의 차를 이용해서 제3b에 도시하듯이 포토레지스트(41)를 통해 셀프얼라인으로 SiO2층(36a)을 에칭하고 활성 영역상의 기판 표면을 노출시킨다. 그후 제1k도 이후의 공정과 같은 공정을 거쳐서 제3c도에 도시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집적 회로(55)를 형성한다.
이 구성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집적 회로(55)에 있어서는 분리 영역(37, 38)의 상측 테두리에 접하는 절연층 영역(34)를 갖기 때문에 다결정 실리콘층(42)에 의한 베이스 전극을 인출하기 위한 배선과 콜렉터 영역으로 되는 n 형 반도체층(24)간의 절연층의 막두께(Y3)는 0.3㎛ 정도로 종래보다 두텁게 되며, 또한 분리 영역(37, 38)과 베이스 콘택트 영역(46)간의 허용 치수(X1)도 작아지므로 기생 MIS 용량 C2를 작게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콜렉터간 용량 CCB를 저감 하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초고속화가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홈모양의 소자 분리 영역과, 이 소자 분리 영역상에 연장하며 반도체 기체의 불순물 영역에 접속되고 있는 배선을 갖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배선밑고 또한 소자 분리 영역에 접하는 반도체 기판 표면에 매립되는 절연층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배선과 반도체 기판 표면간의 절연 간격이 커지며, 또, 소자 분리 영역과 불순물 영역간의 거리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배선과 반도체 기판 간의 기생 용량을 절감할 수 있고, 반도체 장치의 보다 나은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집적 회로에 적용했을 경우, 그 베이스 콜렉터간 용량 CCB를 저감할 수 있고, 초 고속화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집접 회로가 얻어진다.

Claims (2)

  1.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제1도전형의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과 반대의 도전형을 가지는 상기 기판위의 반도체 물질층과, 상호간으로부터 상기 반도체 물질층 부분들을 분리하고 수평으로 둘러싸도록 상기 반도체 물질층내로 신장하는 분리 트랜치들과, 상기 트랜치들의 내부 및 상기 트랜치들에 맞닿아 형성된 절연물질층과, 상기 반도체 물질층의 적어도 하나의 분리부분의 표면에 형성된 절연물질 영역으로서, 상기 절연물질영역은 상기 분리 트랜치들로부터 상기 분리된 부분으로 수평으로 신장하고, 상기 반도체 물질층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리된 부분의 표면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움푹들어가 있으며, 0.1 마이크론에서 0.2 마이크론 사이의 거리로 상기 트랜치로부터 수평하게 상기 분리된 부분으로 신장하여 상기 분리 부분을 둘러싸는 모든 부분들에서 실질상 균일한 횡 범위를 가지며 상기 트랜치와 인접한 평평한 바닥부분을 가지는 상기 절연물질 영역과, 상기 분리 트랜치들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상기 분리된 부분의 표면으로 신장하고 그 내부에 있으며 상기 게1도전형을 가지며 상기 절연물질 영역과 인접한 반도체 물질영역과, 상기 반도체 물질영역과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절연물질 영역상에 있으며 상기 반도체 물질영역에 접촉하는 도전층을 구비하며, 상기 절연물질 영역은, 상기 반도체 물질영역과 상기 분리 트랜치들 사이의 일정한 거리를 과도하게 증가시킴이 없이, 상기 분리된 부분의 표면과 상기 절연물질 영역의 상부 표면 사이의 단계보다 큰 상기 반도체 물질영역과 상기 분리 트랜치들 사이의 두께로 놓인 절연물질에 의해 상기 분리된 부분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도전층을 분리하는 반도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집적된 용량성 소자로 형성되며, 상기 용량성 소자의 하나의 전극은 반도체 영역에 형성되며 제2전극은 상기 도전층에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
KR1019890008849A 1988-06-30 1989-06-27 반도체 장치 KR0159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63804A JP2666384B2 (ja) 1988-06-30 1988-06-30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163804 1988-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037A KR900001037A (ko) 1990-01-30
KR0159763B1 true KR0159763B1 (ko) 1998-12-01

Family

ID=15781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849A KR0159763B1 (ko) 1988-06-30 1989-06-27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80748A (ko)
EP (1) EP0349107B1 (ko)
JP (1) JP2666384B2 (ko)
KR (1) KR0159763B1 (ko)
DE (1) DE6892895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1856A (en) * 1989-04-05 1993-06-22 U.S. Philips Corp. Bipolar transistor with floating guard region under extrinsic base
KR920020676A (ko) * 1991-04-09 1992-11-21 김광호 반도체 장치의 소자분리 방법
US5644157A (en) * 1992-12-25 1997-07-01 Nippondenso Co., Ltd. High withstand voltage typ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n isolation region
US5525533A (en) * 1993-06-03 1996-06-1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low voltage coefficient capacitor
US5545926A (en) * 1993-10-12 1996-08-13 Kabushiki Kaisha Toshiba Integrated mosfet device with low resistance peripheral diffusion region contacts and low PN-junction failure memory diffusion contacts
JPH07193121A (ja) * 1993-12-27 1995-07-28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653107B2 (ja) 1994-03-14 2005-05-25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31723B1 (ko) * 1994-06-08 1998-04-14 김주용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H0831841A (ja) * 1994-07-12 1996-02-02 Sony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360970B2 (ja) * 1995-05-22 2003-01-07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242792B1 (en) 1996-07-02 2001-06-05 Denso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oblique portion as reflection
JP2959491B2 (ja) 1996-10-21 1999-10-06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621359B2 (ja) * 2001-05-25 2005-02-16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1883955A2 (en) * 2005-04-28 2008-02-06 Nxp B.V. Method of fabricating a bipolar transistor
US8461661B2 (en) * 2009-04-06 2013-06-11 Polar Semiconductor, Inc. Locos nitride capping of deep trench polysilicon fil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02864B1 (fr) * 1981-03-24 1986-09-05 Asulab Sa Circuit integre pour oscillateur a frequence reglable
JPS5961045A (ja) * 1982-09-29 1984-04-07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4466177A (en) * 1983-06-30 1984-08-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orage capacitor optimization for one device FET dynamic RAM cell
GB2148593B (en) * 1983-10-14 1987-06-10 Hitachi Lt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isolating regions of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US4688069A (en) * 1984-03-22 1987-08-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solation for high density integrated circuits
US4609934A (en) * 1984-04-06 1986-09-02 Advanced Micro Devices, Inc. Semiconductor device having grooves of different depths for improved device isolation
DE3580206D1 (de) * 1984-07-31 1990-11-29 Toshiba Kawasaki Kk Bipolarer transisto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4799099A (en) * 1986-01-30 1989-01-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ipolar transistor in isolation well with angled corners
US4666556A (en) * 1986-05-12 1987-05-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ench sidewall isolation by polysilicon oxidation
JPS6395662A (ja) * 1986-10-13 1988-04-26 Hitachi Ltd 半導体装置
JPH01171270A (ja) * 1987-12-26 1989-07-06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2923A (ja) 1990-01-17
DE68928951D1 (de) 1999-04-22
JP2666384B2 (ja) 1997-10-22
KR900001037A (ko) 1990-01-30
EP0349107A2 (en) 1990-01-03
EP0349107A3 (en) 1991-10-09
EP0349107B1 (en) 1999-03-17
US4980748A (en) 1990-12-25
DE68928951T2 (de) 199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2405A (en) Methods for forming lateral and vertical DMOS transistors
US4803176A (en)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with active device in merged slot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301062B2 (ja) 隆起したソース及びドレインを有する高性能mosfet素子及びその形成方法
EP0088922B1 (en) A method of forming electrodes and wiring strips on a semiconductor device
US4693782A (en) Fabrication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EP0083816B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n interconnection pattern
KR0159763B1 (ko) 반도체 장치
US4412378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tilizing selective masking, etching and oxidation
JPS6226590B2 (ko)
US4571817A (en) Method of making closely spaced contacts to PN-junction using stacked polysilicon layers, differential etching and ion implantations
US5882966A (en) BiDMOS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0369336A2 (en) Process for fabricating bipolar and CMOS transistors on a common substrate
US485334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transistor
US4615746A (en) Method of forming isolated island regions in a semiconductor substrate by selective etching and oxidation and devices formed therefrom
KR0128339B1 (ko) Cmos 기술을 이용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EP0148595A2 (en) Method of fabricating mesa mosfet using overhang mask and resulting structure
KR0169278B1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501806B2 (ja) 壁スペ−サを有するバイポ−ラ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682132B1 (ko) 반도체 디바이스 제조 방법
JPH0656840B2 (ja) 半導体装置における電極の引出し方法
US5843828A (en) Method for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with bipolar transistor
KR930004720B1 (ko)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5013672A (en) Manufacturing process for high-frequency bipolar transistors
JP2926854B2 (ja) 半導体装置
JPH0618200B2 (ja) ラテラルトランジスタ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