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68110A - 표시장치용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용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68110A
KR970068110A KR1019970010113A KR19970010113A KR970068110A KR 970068110 A KR970068110 A KR 970068110A KR 1019970010113 A KR1019970010113 A KR 1019970010113A KR 19970010113 A KR19970010113 A KR 19970010113A KR 970068110 A KR970068110 A KR 970068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level
generating
synchronous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1257B1 (ko
Inventor
토모야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고타니 고우이찌
산켄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타니 고우이찌, 산켄 뎅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타니 고우이찌
Publication of KR970068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8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2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05Power supply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02M3/3352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with galvanic isolation between input and output of both the power stage and the feedback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c-Dc Converter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스위칭소자의 온ㆍ오프를 수평동기펄스에 동기시키도록 형성한 스위칭 전원장치에 있어서, 수평동기펄스의 주파수가 소정치이상이 되었을 때 스위칭소자의 온ㆍ오프 주파수를 저하시켜 손실을 작게 한다.스위칭소자의 온ㆍ오프 주파수를 저하시키기위한 제어회로의 구성을 간략화한다.
DC-DC 컨버터회로(6)에 의해서 수평동기펄스발생회로(25) 및 수평편향회로(26)에 전력을 공급한다. 수평동기펄스발생회로(25)의 출력주파수의 전환을 마이크로프로세서(27)로 제어한다. 수평동기펄스진폭제어회로(34)에 의해 수평동기펄스의 진폭을 주파수에 따라 변화시킨다.제어회로(51)에 있어서, 수평동기펄스의 진폭을 검출하여 PWM 펄스의 주파수의 전환을 수행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용 전원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전원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Claims (6)

  1. 적어도 수평동기펄스발생회로(25) 및 상기 수평동기펄스발생회로에 결합된 수평편향회로(26)를 포함하는 부하회로(2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표시장치용 스위칭 전원장치에 있어서, 직류전원(3)으로부터 공급된 직류전압을 온·오프하기위한 1개이상의 스위칭소자(8)와 상기 스위칭소자로 온·오프한 직류전압을 평활화하기위한 평활수단(9)을 가지는 직류-직류변환기(6)와; 상기 수평동기펄스발생회로(25)로부터 발생시키기위한 수평동기펄스의 원하는 주파수를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평동기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수평동기펄스발생회로(25)에 접속되어 있는 수평동기타이밍신호발생수단(49)과; 상기 원하는 주파수가 소정치보다 낮을 때 제1상태의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원하는 주파수가 상기 소정치 이상일 때 제2상태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주파수판별신호발생수단(50, 41)과; 상기 수평동기펄스의 진폭을 제어하기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평동기펄스발생회로(25) 및 상기 주파수판별신호발생수단(50, 41)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주파수판별신호발생수단(50, 41)으로부터 상기 제1 상태의 신호가 발생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수평동기펄스의 진폭을 제1 수준으로 제어하고, 상기 주파수판별신호발생수단(50, 41)으로부터 상기 제2상태의 신호가 발생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수평동기펄스의 진폭을 상기 제 1 수준과는 다른 제 2 수준으로 제어하는 수평동기펄스진폭제어수단(34)과 ; 상기 수평동기펄스진폭제어수단(34)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 1 및 제 2 수준의 진폭을 가지는 수평동기펄스에 근거하여 상기 스위칭소자(8)의 온·오프의 주기를 결정하기위한 제1 및 제2의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수평동기펄스진폭제어수단(34)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수평동기펄스진폭제어수단(34)으로부터 상기 제1수준의 진폭을 가지는 수평동기펄스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수평동기펄스발생회로(25)로부터 송출된 수평동기펄스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상기 제1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수평동기펄스진폭제어수단(34)으로부터 상기 제2수준의 진폭을 가지는 수평동기펄스가 출력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수평동기펄스발생회로(25)로부터 송출된 수평동기펄스의 주파수보다도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상기 제2의 타이밍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칭주파수결정용 타이밍신호발생수단(64)과; 상기 스위칭주파수결정용 타이밍신호발생수단(64)과 상기 스위칭소자(8)의 제어단자간에 접속되며,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타이밍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고 상기 스위칭소자를 온·오프하기위한 제1 제어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제2타이밍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타이밍 신호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고 상기 스위칭소자를 온·오프하기위한 제2 제어신호를 형성하는 스위칭제어신호형성회로(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판별신호발생수단은, 상기 원하는 주파수가 소정치보다도 낮을 때는 제1수준의 전압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원하는 주파수가 상기 소정치 이상일 때는 상기 제1수준의 전압보다도 낮은 제2수준의 전압신호를 발생시키는 주파수판별전압신호발생회로(50)와, 상기 주파수판별전압신호발생회로(50)에 접속되어, 상기 제1수준의 전압 신호에 따라 제1발광상태가 되고, 상기 제2수준의 전압신호에 따라 제2발광상태가 되는 발광소자(42)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동기펄스진폭제어수단(34)은 상기 발광소자(42)에 광결합된 수광소자(36)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발광상태에 따라 상기 수평동기펄스의 진폭을 제1 수준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2발광상태에 따라 상기 수평동기펄스의 진폭을 상기 제1수준보다도 낮은 제2수준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동기펄스의 진폭의 상기 제1수준은 상기 제2수준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고; 상기 스위칭주파수결정은 타이밍신호발생수단(64)은, 상기 제2수준의 진폭보다도 낮은 제1기준전압을 발생시키는 제1기준전압원(E1)과; 상기 제2수준의 진폭보다도 높고 또한 상기 제1수준의 진폭보다도 낮은 제2기준전압을 발생시키는 제2기준전압원(E2)과; 상기 수평동기펄스진폭제어수단(34)과 상기 제1기준전압원(E1)에 접속되어, 상기 수평동기펄스진폭제어수단(34)의 출력신호가 상기 제1기준전압보다도 높은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출력신호를 형성하는 제 1 비교기(68)와; 상기 수평동기펄스진폭제어수단(34)과 상기 제 2 기준전압원(E2)에 접속되어, 상기 수평동기펄스진폭제어수단(34)의 상기 출력신호가 상기 제2기준전압보다도 높은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출력신호를 형성하는 제2비교기(69)와; 상기 제2비교기(69)에 접속되어, 상기 수평동기펄스진폭제어수단(34)으로 제어된 수평동기펄스의 시간보다도 짧은 지연시간을 상기 제2비교기(69)의 출력신호에 부여하기위한 지연수단(71)과; 상기 제1비교기(68)에 접속된 트리거입력단자(T)와 상기 지연수단(71)에 접속된 세트허가단자(S)와 출력단자(Q)를 가지며, 상기 세트허가단자(S)가 낮은 수준일 때는 상기 트리거단자(T)에 트리거입력이 공급되더라도 상기 출력단자(Q)의 상태가 변화하지 않고, 상기 세트허가단자(S)가 높은 수준일 때에 상기 트리거단자(T)에 트리거입력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출력단자(Q)의 상태가 변화하는 트리거타입의 플립플롭(70)과; 상기 제1비교기(68)와 상기 플리플롭(70)에 접속된 NOR게이트(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직류변환회로는, 상기 직류전원의 일단과 타단간에 접속된 트랜스포머(7)의 1차코일(12)과 스위칭소자(8)의 직렬 회로와; 상기 트랜스포머(7)의 2차코일(9)과; 상기 2차코일(9)에 접속된 정류 및 평활회로(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제어신호형성회로 (65)는, 톱니파를 얻기위한 톱니파발생회로(75)와; 상기 톱니파와 비교하기위한 참조신호를 발생시키는 참조신호발생수단(76)과; 상기 스위칭주파수결정용 타이밍신호발생수단(64)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스위칭주파수결정용 타이밍신호발생수단(64)으로부터 발생된 타이밍신호에 따라 상기 톱니파의 발생주기를 상기 타이밍 신호의 주기와 동일하게 하기위한 스위칭주기제어수단(73)과; 상기 톱니파발생회로(75), 상기 참조신호발생수단(76), 상기 스위칭주기제어수단(73) 및 상기 스위칭소자(8)의 제어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톱니파와 상기 참조신호의 비교에 근거하여 펄스열을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스위칭소자(8)의 상기 제어단자에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타이밍 신호가 발생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스위칭주기제어수단(73)에 의한 제어에 따라 상기 타이밍 신호의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상기 펄스열을 발생시키고, 상기 타이밍 신호가 발생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타이밍 신호의 주기보다도 긴 일정한 주기로 상기 펄스열을 발생시키는 펄스형성수단(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동기펄스의 제 2 수준의 진폭은 제 1 수준의 진폭보다도 낮게 결정되어 있고, 상기 스위칭주파수결정용 타이밍신호발생수단(64a)은, 상기 수평동기펄스진폭제어수단(34)에 접속된 분주기(92)와; 상기 수평동기펄스진폭제어수단(34)에 접속된 평활회로(95)와; 상기 제 1 수준의 진폭을 가지는 수평동기펄스를 상기 평활회로(95)에서 평활화했을 때 얻어지는 전압치와 상기 제 2 수준의 진폭을 가지는 수평동기펄스를 상기 평활회로(95)에서 평활화했을 때 얻어지는 전압치사이의 값으로 설정된 기준전압을 공급하기위한 기준전압원(96)과; 상기 평활회로(95)와 상기 기준전압원(96)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평활회로(95)의 출력전압과 상기 기준전압의 비교출력을 발생시키는 비교기(97)와, 상기 수평동기펄스진폭제어수단(34)과 상기 비교기(97)에 접속되어, 상기 평활회로(95)의 출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도 높은 것을 나타내는 상기 비교기(97)의 출력에 따라 온상태가 되어 상기 수평동기펄스진폭제어수단(34)으로부터 얻어진 수평동기펄스를 상기 스위칭소자를 제어하기위한 타이밍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 1의 스위치수단(93)과; 상기 분주기(92)와 상기 비교기(97)에 접속되어, 상기 평활회로(95)의 출력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도 낮은 것을 나타내는 상기 비교기(97)의 출력에 따라 온상태가 되어 상기 분주기(92)로부터 얻어진 펄스를 상기 스위칭소자(8)를 제어하기위한 타이밍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 2 스위치수단(9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전원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10113A 1996-03-19 1997-03-19 표시장치용 전원장치 KR100261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6-90120 1996-03-19
JP8090120A JP2900876B2 (ja) 1996-03-19 1996-03-19 表示装置の電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8110A true KR970068110A (ko) 1997-10-13
KR100261257B1 KR100261257B1 (ko) 2000-07-01

Family

ID=1398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113A KR100261257B1 (ko) 1996-03-19 1997-03-19 표시장치용 전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93621A (ko)
JP (1) JP2900876B2 (ko)
KR (1) KR1002612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6681B2 (ja) * 1998-02-27 1999-10-04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の切換運転回路
US6195271B1 (en) * 1999-04-21 2001-0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C adaptor with power consumption reduction in unused state
JP3369134B2 (ja) * 1999-11-16 2003-01-20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
JP3496717B2 (ja) * 2001-04-18 2004-02-16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GB2369730B (en) * 2001-08-30 2002-11-13 Integrated Syst Tech Ltd Illumination control system
KR100856900B1 (ko) * 2001-12-21 2008-09-05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버스트 모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JP3947682B2 (ja) * 2002-04-26 2007-07-25 Fdk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JP3557198B2 (ja) * 2002-06-17 2004-08-25 株式会社東芝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及び電子機器
WO2005006527A1 (ja) * 2003-07-15 2005-01-20 Sanken Electric Co., Ltd.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の制御方法
JP4706211B2 (ja) * 2004-09-03 2011-06-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JP2006223008A (ja) * 2005-02-08 2006-08-24 Hitachi Ltd Dc−dcコンバータ
JP4682784B2 (ja) * 2005-09-30 2011-05-11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937958B2 (ja) * 2008-04-04 2012-05-23 富士通テレコム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03066852B (zh) * 2012-12-21 2016-02-24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源极切换和电压生成的系统和方法
US9225189B2 (en) * 2013-12-06 2015-12-29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lyback quick start driving circuit and driving method
CN107196511B (zh) 2017-03-30 2019-07-05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用于功率变换器的控制器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4281A (en) * 1974-07-25 1977-07-05 Sanken Electric Company Limited Direct current power supply with a transistor chopper
US4954758A (en) * 1981-10-30 1990-09-04 Xcel Corporation (Computron Display Systems Division) Power source circuit
DE3476307D1 (en) * 1984-10-18 1989-02-23 Honeywell Bull Spa Multiple output switching power supply
US5619403A (en) * 1992-07-24 1997-04-08 Canon Kabushiki Kaisha Multi-output power supply apparatus
JPH0680385U (ja) * 1993-04-27 1994-11-08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00876B2 (ja) 1999-06-02
KR100261257B1 (ko) 2000-07-01
JPH09261507A (ja) 1997-10-03
US5793621A (en) 1998-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8110A (ko) 표시장치용 전원장치
US4370564A (en) AC Switching device
JP5181014B2 (ja) 回路レギュレータ及びその同期タイミングパルス発生回路
KR900015425A (ko) 텔레비젼 장치의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장치
KR20050058377A (ko) Dc-dc 변환기
KR910006817A (ko) 교류기의 출력 전력 제어용 조절기
KR930009466A (ko) 유도가열 조리기의 부하 감지회로
KR950035081A (ko) 프로그램 가능한 듀티 사이클 컨버터 및 변환 방법
KR840009185A (ko) 스위칭 전력원
KR950035023A (ko) 인버터의 전력 제어 회로
KR830008592A (ko) 수평편향 회로용 정류기
MXPA96004531A (en) Power supply of tuned switch mode with control of corrie mode
JP2679585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KR970004252A (ko) 스위칭형 전원 장치
KR100269178B1 (ko) 레이다의 에너지 방사 제어장치
KR200179720Y1 (ko)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의 스위칭주파수 제어장치
RU2096900C1 (ru) Способ стабилизации выходного напряжения транзисторного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я постоянного напряж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035836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734045B2 (ja) 電源回路
JP2512531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3057272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KR910005465B1 (ko) 운용주파수 동기방식
SU1707753A1 (ru) Широтно-импульсный модул тор
KR960020617A (ko) 고주파 가열장치
JPH05122929A (ja) スイツチング電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