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33098A - 주방쓰레기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쓰레기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33098A
KR970033098A KR1019950053448A KR19950053448A KR970033098A KR 970033098 A KR970033098 A KR 970033098A KR 1019950053448 A KR1019950053448 A KR 1019950053448A KR 19950053448 A KR19950053448 A KR 19950053448A KR 970033098 A KR970033098 A KR 970033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sludge
unit
drying
kitchen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4249B1 (ko
Inventor
김광모
Original Assignee
김광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모 filed Critical 김광모
Priority to KR1019950053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249B1/ko
Priority to JP8017369A priority patent/JPH09262574A/ja
Publication of KR970033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8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tributing fluidising gas, e.g. grids, nozz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의 씽크대에서 발생되는 음식쓰레기 등을 처리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씽크대에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적절하게 탈수하여 정화한 후 배수구로 배출토록 함과 동시에 수분이 제거된 고형물의 쓰레기는 최적의 크기로 절단하여 건조 및 탈취시킨 후 회수처리토록 함으로서 음식쓰레기를 감량화하여 사료로 재활용 할 수 있게끔 처리토록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투입관을 통해 인입된 쓰레기를 압출 및 탈수하는 탈수부와, 상기 압축 탈수된 슬러지를 절단시키는 슬러지 절단부와 탈수 절단된 슬러지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부로 구성되며, 상기 탈수부와 절단부가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주방 쓰레기 처리장치는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쓰레기를 효과적이고,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뿐 아니라, 쓰레기 발생량을 최소로 줄일 수 있으며, 분쇄기를 사용하지 않고 탈수후 절단토록 함으로써, 음식쓰레기로 인한 오수 오염의 우려가 없이, 음식쓰레기를 효율적으로 건조, 감량화하여 사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주방쓰레기 처리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착탈수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 건조부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Claims (14)

  1.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투입관을 통해 인입된 쓰레기를 압축 및 탈수하는 탈수부와, 상기 압축 탈수된 슬러지를 절단시키는 슬러지 절단부와 탈수 절단된 슬러지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부로 구성되며, 상기 탈수부와 절단부가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탈수부는 오수실로 감싸인 슬러지 오수분리관 내에 설치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타로 구성되며, 슬러지 오수관의 하면에는 오수배출공이 다수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중심축은 배출구측이 굵고 쓰레기 투입구측은 가늘게 형성되며 스크류의 외경은 동일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피치 간격은 스크류의 중심축이 굵어짐에 따라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스크류와 슬러지오수관이 투입구보다 배출구측의 높이가 높게 횡형으로 장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압축탈수부의 슬러지 오수분리관을 세척하기 위한 물 주입구와 물의 유입을 제어하는 밸브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압축 탈수부의 스러지 배출구측에 스러지 배출을 완만하게 하는 지지 리브가 장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의 칼날이 유동적으로 고정되게 장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건조실 상부에 열풍을 가하는 히터가 설치되며 투입되는 슬러지를 교반 분산시키기 교반 부재와 걸름부재 및 소정크기 이하의 슬러지를 수납하는 서랍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내부에 열원을 갖는 로울러가 상호 근접한 위치에서 회전하여 상기 로울러 사이를 통과하는 슬러지를 건조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의 외측에 브레이드를 설치하여 로울러의 표면을 닦을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의 건조실 하단의 쓰레기집적서랍 후방에 쓰레기 날림 지지망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는 건조실로부터 인입되는 개스 유입구와 물을 반복 순환시키며 노즐에 의해 물을 분사시키는 노즐과 배기되는 수증기를 결로 시키기 위한 절곡관과 상기 절곡관에 연이어 개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팬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 및 절단부는 상기 건조부 및 탈취부와 상호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53448A 1995-12-21 1995-12-21 주방쓰레기 처리 장치 KR100204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448A KR100204249B1 (ko) 1995-12-21 1995-12-21 주방쓰레기 처리 장치
JP8017369A JPH09262574A (ja) 1995-12-21 1996-02-02 生ごみ処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448A KR100204249B1 (ko) 1995-12-21 1995-12-21 주방쓰레기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098A true KR970033098A (ko) 1997-07-22
KR100204249B1 KR100204249B1 (ko) 1999-06-15

Family

ID=19442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3448A KR100204249B1 (ko) 1995-12-21 1995-12-21 주방쓰레기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9262574A (ko)
KR (1) KR1002042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060A (ko) * 2001-04-25 2002-11-01 박양균 수분함유 쓰레기 건조처리 장치
KR100402149B1 (ko) * 2001-05-30 2003-10-17 주식회사포에코 음식물 찌꺼기 건조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185A (ko) * 2000-01-18 2000-04-06 이치영 음실물쓰레기 처리장치
JP4721083B2 (ja) * 2000-06-06 2011-07-13 株式会社 林物産発明研究所 残飯処理方法
JP4612167B2 (ja) * 2000-10-03 2011-01-1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塗料廃棄物再資源原料化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2002282789A (ja) * 2001-03-27 2002-10-02 Sumitomo Heavy Ind Ltd 有機性廃棄物選別装置
KR20020089289A (ko) * 2002-11-07 2002-11-29 엄완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방법
WO2004050268A1 (en) * 2002-12-03 2004-06-17 Dong-Gak Choi Apparatus for food waste treatment
KR100541570B1 (ko) * 2003-12-23 2006-01-10 주식회사 소프트바이오텍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48853B1 (ko) 2006-09-28 2007-08-13 주식회사 파세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의 처리방법
KR100744971B1 (ko) 2006-09-28 2007-08-02 주식회사 파세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IT1393420B1 (it) * 2009-03-19 2012-04-20 Ceccarelli Apparato per la compattazione e la disidratazione di rifiuti organici
GB201018150D0 (en) 2010-10-27 2010-12-08 Cathcart Jeremy J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and a waste product
JP2013112440A (ja) * 2011-11-25 2013-06-10 Suzuken Kogyo Kk ごみシュータ、及びごみ排出機構
KR101232335B1 (ko) * 2012-06-27 2013-02-13 오씨아이에스엔에프 주식회사 유동상 건조 장치 및 건조 방법
ITPE20130008A1 (it) * 2013-06-28 2014-12-29 Antonio Pavoni V - tmb (reverse mechanical biological treatment machine)
WO2015087360A1 (en) * 2013-12-13 2015-06-18 Techo Srl An improved apparatus for compacting and dehydrating organic waste and/or alimentary waste
US9833961B2 (en) * 2014-04-02 2017-12-05 Orion Enterprise International LLC Extracting-squeezing-compressing equipment used for municipal solid waste mixture
CN104226674B (zh) * 2014-09-03 2017-04-26 光大环保(中国)有限公司 用于餐厨垃圾的预处理的系统
KR101646956B1 (ko) * 2014-12-12 2016-08-09 (주)하나소재 다용도 물품보관대
KR101968187B1 (ko) * 2018-12-07 2019-04-11 (주)넥스트가스이노베이션 폐가축 처리용 소각기의 분리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3060A (ko) * 2001-04-25 2002-11-01 박양균 수분함유 쓰레기 건조처리 장치
KR100402149B1 (ko) * 2001-05-30 2003-10-17 주식회사포에코 음식물 찌꺼기 건조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4249B1 (ko) 1999-06-15
JPH09262574A (ja) 1997-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33098A (ko) 주방쓰레기 처리 장치
KR10073294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50018727A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98455A (ko) 공기순환식 다기능 건조장치
KR101831188B1 (ko) 악취제거설비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및 분뇨 처리 시스템
JP2002018397A (ja) 含水ゴミ脱水乾燥装置
KR10062813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9980064513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33231B1 (ko)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009577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340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KR200427847Y1 (ko) 음식물처리기
KR100653205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81259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협잡물의 제거 및 건조장치
KR100234880B1 (ko) 수분제거기능을 갖는 식품처리장치
KR10091237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173892Y1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100425758B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100816488B1 (ko) 분뇨 응축건조장치
KR200265952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176494Y1 (ko) 음식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49135Y1 (ko) 음식물 쓰레기 및 오수 처리장치
KR101625994B1 (ko)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
KR10143138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5842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