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185A - 음실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실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185A
KR20000018185A KR1020000002263A KR20000002263A KR20000018185A KR 20000018185 A KR20000018185 A KR 20000018185A KR 1020000002263 A KR1020000002263 A KR 1020000002263A KR 20000002263 A KR20000002263 A KR 20000002263A KR 20000018185 A KR20000018185 A KR 20000018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ryer
food
presser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영
최용학
Original Assignee
이치영
최용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영, 최용학 filed Critical 이치영
Priority to KR1020000002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185A/ko
Publication of KR20000018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18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현저히 줄임과 동시에,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 상측에 투입구(16)가 형성된 본체(2)와, 이 본체(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16)로 투입된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기(4)와, 이 분쇄기(4)에 연결되며 분쇄기(4)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압착기(6)와, 이 압착기(6)에 연결되며 내부에 히터(8)가 설치되어 상기 압착기(6)에서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쓰레기에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기(10)와, 상기 건조기(10)에 연결되며 건조기(10)에서 배출된 공기중의 수분과 악취발생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탈취장치(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음실물쓰레기 처리장치{food wast dispose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현저히 줄임과 동시에,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 등에 설치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분쇄기와 압착기를 이용하여, 뼈 등과 같이 부피가 큰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한 후, 수분을 제거하므로써,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압착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를 고압으로 가압하여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므로, 음식물쓰레기가 과도하게 압착되어 배수구로 밀려나가므로, 유출수와 함께 많은 양의 음식물입자가 섞여 배출되어, 심한 악취와 2차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를 압착시키지 않고,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이와같이, 음식물쓰레기를 가열하는 방법은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고, 시간이 많이 걸릴 뿐 아니라, 가열된 음식물쓰레기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유출수에 의한 오염과, 악취발생을 방지할수 있으며, 처리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정단면도
도 2는 상기 음실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관 및 탈취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촤측단면도
도 4는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 위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4. 분쇄기
6. 압착기 8. 히터
10. 건조기 16. 투입구
본 발명에 따르면, 그 상측에 투입구(16)가 형성된 본체(2)와, 이 본체(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16)로 투입된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기(4)와, 이 분쇄기(4)에 연결되며 분쇄기(4)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압착기(6)와, 이 압착기(6)에 연결되며 내부에 히터(8)가 설치되어 상기 압착기(6)에서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쓰레기에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기(10)와, 상기 건조기(10)에 연결되며 건조기(10)에서 배출된 공기중의 수분과 악취발생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탈취장치(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2)와, 이 본체(2)의 내부에 설치된 분쇄기(4)와, 이 분쇄기(4)에 연결되며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압착기(6)와, 이 압착기(6)에 연결되며 내부에 히터(8)가 설치되어 상기 압착기(6)에서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쓰레기에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기(10)와, 이 건조기(10)에 연결되며 건조기(10)에서 배출된 공기중의 수분과 악취발생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탈취장치(12)와, 이 건조기(10)에 연결되어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쓰레기를 저장하는 저장통(14)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는 그 상면에 뚜껑(15)이 구비된 투입구(16)가 형성되며, 이 투입구(16)에는 호퍼(18)가 설치된 것으로, 그 전면에는 컨트롤패널(20)이 장착되어, 내부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분쇄기(4)는 구동축(22)의 둘레면에 다수개의 분쇄날(24)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본체(2)의 투입구(16)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연결덕트(26)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투입구(16)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착기(6)는 상기 연결덕트(26)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며 그 단부에는 배출구(28)가 형성된 원통형의 통체(30)와, 이 통체(3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구동에 따라 통체(30)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하여 통체(30)의 배출구(28)로 배출하는 가압스크류(32)로 구성된다. 상기 통체(30)와 가압스크류(32)는 그 그 단부로 갈수록 내경과 지름이 좁아지는 콘형상으로 구성되며, 통체(30)의 내축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부(34)에는 다수개의 배수구(36)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가압스크류(32)가 회전되면, 음식물쓰레기는 내경이 좁은 콘형상 통체(30)의 단부쪽으로 이송되며 가압되어, 그 내부에 포함된 수분이 배출된다. 이때,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은 통체(30)의 공간부(34)에 모여 배수구(36)에 연결된 배출관(38)을 따라 본체(2)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건조기(10)는 상기 통체(30)의 배출구(28)에 연결된 케이스(40)와, 이 케이스(40)의 내부에 수평설치된 교반날개(42)와, 상기 케이스(40)의 내부에 설치된 히터(8)로 구성되어, 상기 교반날개(42)로 케이스(40) 내부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면서 히터(8)로 가열하여,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다. 이때, 케이스(40)는 그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46)가 상기 통체(30)의 배출구(36)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통체(30)에서 배출된 음식물쓰레기가 낙하하여 내부로 투입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그 하측에는 유압실린더(48)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50)가 형성된다.
상기 탈취장치(12)는 상기 건조기(10)의 케이스(40)에 연결되고 그 상측에 배기구(52)가 형성되며 다수개의 챔버로 구획된 케이스(54)와, 이 케이스(54)의 내부에 교차로 충진된 제습제(56) 및 카본알갱이(58)와, 상기 케이스(54)의 배기구(52)에 설치된 오존발생기(60)로 구성된다. 상기 제습제(56)는 건조기(10)에서 배출된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며, 상기 카본알갱이(58)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기능을 한다. 상기 오존발생기(60)는 전기방전에 의해 발생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상기 카본알갱이(58)를 통과할 때 미처 제거되지 않은 공기중의 입자를 태워 제거한다.
상기 저장통(14)은 그 상측이 개방되어 상기 건조기(10)의 배출구(50) 하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2)의 내부 하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건조기(10)에서 배출된 음식물쓰레기가 일정량 저장되면, 이 저장통(14)을 빼내어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기(10)의 내부 용적이 일정량이상이 될 경우, 별도의 저장통(14)을 이용하지 않고, 건조기(10)의 케이스(40) 내부에 음식물쓰레기를 저장하여, 음식물쓰레기가 일정량이상 모이면, 건조기(10)에서 바로 배출하여 처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본체(2)의 투입구(16)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면, 이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분쇄기(4)에 의해 분쇄된 후, 상기 압착기(6)에서 압착되어 수분이 1차 제거되며, 이때 배출된 수분은 통체(30)의 공간부(34)에 형성된 배수구(36)를 통해 본체(2)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압착기(6)에서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는 상기 건조기(10)에 투입되어 2차로 수분이 제거된 후, 상기 저장통(14)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건조기(1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탈취장치(12)를 통과하면서, 수분과 악취를 유발시키는 이물질이 제거되어, 청정한 상태로 배출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64는 상기 본체(2)의 내부에 설치되어 분쇄기(4)와 압착기(6) 및 건조기(10)의 교반날개(42)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도시한 것이며, 도면번호 66은 상기 압착기(6)의 통체(30)에 형성된 배출구(28)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스프링(68)에 의해 탄지되어, 통체(30) 내부의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할 수 있도록 된 가압도어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는 압착기(6)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1차로 제거한 후, 상기 건조기(10)에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으므로, 압착기(6)만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비해, 음식물을 가압하는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이 과도하게 압착되어 배수구로 밀려나가는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와는 달리, 음식물쓰레기가 배출구로 밀려나가지 않으므로, 유출수에 비교적 소량의 음식물 입자만이 포함되며, 따라서, 유출수에 의한 악취나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압착기(6)에 의해 수분이 1차로 제거된 음식물쓰레기를 히터(8)로 가열하여, 남아있는 비교적 소량의 수분만을 증발시키므로, 히터(8)만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에 비해 에너지소모를 줄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건조기(10)에 연결된 탈취장치(12)를 이용하여,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건조기(10)에서 배출되는 공속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압착기(6)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1차로 제거하고, 건조기(10)를 이용하여 2차로 건조시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후, 배출하여 처리하고, 건조기(10)에서 발생된 공기중의 이물질은 탈취장치(12)를 이용하여 정화시키므로써,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유출수에 의한 오염과, 악취발생을 방지할수 있으며, 처리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그 상측에 투입구(16)가 형성된 본체(2)와, 이 본체(2)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16)로 투입된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기(4)와, 이 분쇄기(4)에 연결되며 분쇄기(4)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압착기(6)와, 이 압착기(6)에 연결되며 내부에 히터(8)가 설치되어 상기 압착기(6)에서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쓰레기에에 남아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기(10)와, 상기 건조기(10)에 연결되며 건조기(10)에서 배출된 공기중의 수분과 악취발생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탈취장치(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00002263A 2000-01-18 2000-01-18 음실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00018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263A KR20000018185A (ko) 2000-01-18 2000-01-18 음실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263A KR20000018185A (ko) 2000-01-18 2000-01-18 음실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185A true KR20000018185A (ko) 2000-04-06

Family

ID=1963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263A KR20000018185A (ko) 2000-01-18 2000-01-18 음실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18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942B1 (ko) * 2006-09-06 2007-07-13 (주)나노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59554B1 (ko) * 2007-05-04 2008-09-23 박두수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12718822A (zh) * 2021-01-15 2021-04-30 王兵 一种市政垃圾处理装置
KR20230076604A (ko) * 2021-11-24 2023-05-31 주식회사 인큐스 비접촉 고온 고속 가열 건조형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019A (ko) * 1997-04-16 1998-11-16 주종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204249B1 (ko) * 1995-12-21 1999-06-15 김광모 주방쓰레기 처리 장치
KR100266144B1 (ko) * 1997-11-04 2000-09-15 하복진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처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249B1 (ko) * 1995-12-21 1999-06-15 김광모 주방쓰레기 처리 장치
KR19980077019A (ko) * 1997-04-16 1998-11-16 주종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266144B1 (ko) * 1997-11-04 2000-09-15 하복진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처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942B1 (ko) * 2006-09-06 2007-07-13 (주)나노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59554B1 (ko) * 2007-05-04 2008-09-23 박두수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12718822A (zh) * 2021-01-15 2021-04-30 王兵 一种市政垃圾处理装置
KR20230076604A (ko) * 2021-11-24 2023-05-31 주식회사 인큐스 비접촉 고온 고속 가열 건조형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86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3294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156548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KR20140100823A (ko) 스크류 압축형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JPH09262574A (ja) 生ごみ処理装置
JP3158237U (ja) 三次元複合食物残渣乾燥処理機
KR20041000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65781A (ko) 2중 스크류 구조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00018185A (ko) 음실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626880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처리장치
KR19980064513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7414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8322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418691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난방연료 제작방법
KR100341727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 및 퇴비 재생처리장치
KR200232835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20100124865A (ko)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0150876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305867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JP2008296171A (ja) ごみ処理装置
KR100199203B1 (ko) 음식물쓰레기 압축처리장치
KR10036233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970006559Y1 (ko)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7131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7994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