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21820A - 축받이 일체형 일방향 클러치 - Google Patents

축받이 일체형 일방향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21820A
KR970021820A KR1019960034028A KR19960034028A KR970021820A KR 970021820 A KR970021820 A KR 970021820A KR 1019960034028 A KR1019960034028 A KR 1019960034028A KR 19960034028 A KR19960034028 A KR 19960034028A KR 970021820 A KR970021820 A KR 970021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element
retainer
ring
flange portion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8609B1 (ko
Inventor
마스오 이시가키
마사시 아카시
Original Assignee
우에타 다케히로
가부시키가이샤 쓰바키모토 에마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타 다케히로, 가부시키가이샤 쓰바키모토 에마손 filed Critical 우에타 다케히로
Publication of KR970021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6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9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pivoting or rocking, e.g. sprags
    • F16D41/07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pivoting or rocking, e.g. sprags between two cylindrical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1/00Other accessories, e.g. devices integrated in the bearing not relating to the bearing function as such
    • F16C41/001Integrated brakes or clutches for stopping or coupling the relatively movab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0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r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내륜과 외륜과의 사이에 복수의 전동체와 복수의 캠이, 상기 내륜과 외륜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해서 조립되어 있는 축받이 일체형 일방향 클러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작업을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욱이, 보수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높은 축받이 일체형이 일방향 클러치를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내륜(2)과 외륜(3)과의 사이에서, 복수의 전동체(4)를 유지하고 있는 전동체 유전기(5)와, 복수의 캠(6)을 유지하고 있는, 수지재료로 일체로 성형된 캠 유지기(7)가 각각 별체로 내륜과 외륜 사이에, 폭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다. 전동체 유전기(5)에는, 반경방향 위치결정 플랜지부(7)와, 폭방향 위치결정 플랜지부(7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플랜지부(7,7B)에 의하여, 내외륜 사이에서 캠 유지기(5)는, 반경방향 및 폭방향의 위치결정이 된 상태로 유지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축받이 일체형 클러치.

Description

축받이 일체형 일방향 클러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축받이 일체형 일방향 클러치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축받이 일체형 일방향 클러치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축받이 일체형 일방향 클러치의 확대 부분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축받이 일체형 일방향 클러치의 동작설명도.

Claims (2)

  1. 내륜과 외륜과의 사이에, 복수의 전동체와 복수의 캠이,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해서 조립되어 있는 축받이 일체형 일방향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내륜과 외륜과의 사이에서 복수의 전동체를 유지하고 있는 고리형상의 전동체 유지기와, 상기 복수의 캠을 유지하고 고리형상의 캠 유지기가, 각각 별개체로 내륜과 외륜의 사이에 폭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며, 상기 캠 유지기는 수지재료로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전동체 유지기와 인접하는 측의 끝단부에는, 상기 내륜과 외주면 도는 상기 외륜의 내주면에 의해서 반경 방향으로 위치결정되는 반경방향 위치결정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반경방향 위치결정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있는 끝단부와 반대측의 끝단부에는, 내륜의 측면 또는 외륜의 측면에 의해서 폭방향에 위치결정되는 폭방향 위치결정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일체형 일방향 클러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체 유지기는,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의 최소한 일방의 측면과 대향하여, 내륜 또는 외륜과 전동체 유지기와의 틈새기를 덮는 플랜지부를 가짐과 동시에, 내륜의 외주면과 전동체 유지기와의 틈새를 차폐하도록, 전동체 유지기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주측 고리형상 돌기와, 외륜의 내주면과 전동체 유지기와의 틈새기를 차폐하도록 전동체 유지기의 외주면에 형성된 외주측 고리형상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일체형 일방향 클러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34028A 1995-10-12 1996-08-17 축받이일체형일방향클러치 KR100288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64051 1995-10-12
JP7264051A JP2942482B2 (ja) 1995-10-12 1995-10-12 軸受一体型一方向クラ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820A true KR970021820A (ko) 1997-05-28
KR100288609B1 KR100288609B1 (ko) 2001-10-22

Family

ID=17397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028A KR100288609B1 (ko) 1995-10-12 1996-08-17 축받이일체형일방향클러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42482B2 (ko)
KR (1) KR100288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8144A (ja) 1997-11-17 1999-08-10 Nippon Seiko Kk ワンウェイクラッチ内蔵転がり軸受
JP2003090360A (ja) * 2001-09-17 2003-03-28 Nsk Warner Kk ワンウェイクラッチ組立体
JP2006292050A (ja) * 2005-04-08 2006-10-26 Ntn Corp クラッチ内蔵プーリ
JP5974330B2 (ja) * 2012-04-24 2016-08-23 株式会社山寺精密 カムフォロ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8609B1 (ko) 2001-10-22
JP2942482B2 (ja) 1999-08-30
JPH09105430A (ja) 1997-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4248A (en) Unitized seal with unitizing joint remote from seal lip
US4602875A (en) Combined bearing, rotatable member and shield assembly
RU2361348C2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машина с аксиальным пружинным элементом
EP0394083B1 (fr) Palier préassemblé à éléments codeur et capteur additionnels
KR940007391A (ko) 시일 조립체
KR890017468A (ko) 드러스트 베어링 조립체
WO2006132083A1 (ja) 密封装置
KR940003140B1 (ko) 로울러 베어링 조립체
KR960031826A (ko) 빌트인 코더(built-in coder)를 구비하고, 정보 인식 장치가 장착된 베어링용 시일
KR910017096A (ko) 롤러 한 방향 클러치용 방사형 스페이서 및 리테이너
KR900014781A (ko) 드러스트 베어링 조립체
KR950003094A (ko) 자동차 앞유리의 와이퍼 구동장치의 회전형 샤프트용 베어링 구조체
GB2296535B (en) Seal for rolling bearings
JP2001173796A (ja) タービンブラシを正確に半径方向に配置するための装置と方法
US4026398A (en) Clutch release bearing
ATE174480T1 (de) Mehrteiliger ring
KR970021820A (ko) 축받이 일체형 일방향 클러치
US4077504A (en) Self-centering clutch thrust bearing
JP2021167669A (ja) 軸受ユニットおよび軸受ユニットの製造方法
ATE195580T1 (de) Dichtungsring für axial gegeneinander zu verspannende teile
GB2313417A (en) Cover for bearings
US7051694B2 (en) Sealing system for a shaft
JP2001012486A (ja) 軸受リングの軸方向固定構造
JP2006342828A (ja) 密封装置
CN109695629A (zh) 轴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