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925B1 - 컨베이어 벨트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925B1
KR970011925B1 KR1019880010241A KR880010241A KR970011925B1 KR 970011925 B1 KR970011925 B1 KR 970011925B1 KR 1019880010241 A KR1019880010241 A KR 1019880010241A KR 880010241 A KR880010241 A KR 880010241A KR 970011925 B1 KR970011925 B1 KR 970011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link
links
conveyor bel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607A (ko
Inventor
씨.로인스테드 제럴드
알.스트레이트 미카엘
Original Assignee
애쉬워쓰 브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데이비드 제이.데이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37449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7001192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US07/171,390 external-priority patent/US4867301A/en
Priority claimed from US07/213,171 external-priority patent/US4951807A/en
Application filed by 애쉬워쓰 브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데이비드 제이.데이러 filed Critical 애쉬워쓰 브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003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6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for 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arriers movable in curved paths
    • B65G21/18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for 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arriers movable in curved paths in three-dimensionally curved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02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for conveying in a circular ar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63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rofiles, rods, bars, rollers or the like attached to more than one traction element
    • B65G17/06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rofiles, rods, bars, rollers or the like attached to more than one traction element the profiles, rods, bars, rollers or the like being interconnected by a mesh or grid-lik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4Helical or spiral conveying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lt Conveyor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컨베이어 벨트
제1도는 직선방향으로 운동하는 벨트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평면도.
제2도는 측방향 곡선부 주위를 지나가는 벨트를 도시하는, 제1도의 컨베이어 벨트에 대한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3-3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선 4-4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가공경화되고 만곡된 베어링부와 조정된 다리부를 가진 개선된 U자형 링크의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링크의 측면도.
제7도는 링크 기구의 제2실시예를 사용하고 측방향 곡선부 주위로 지나가는 벨트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
제8도는 직선방향으로 운동하는 벨트를 도시하는, 제7도의 컨베이어 벨트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피치 링크의 측면도.
제10도는 제9도 선 10-10에 따른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선 11-11에 따른 단면도.
제12도는 제2큰 피치에서 제1짧은 피치로 선회하는 이중 피치 링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제13도는 제2큰 피치에서 제1짧은 피치로 선회하는 이중 피치 링크를 도시하는 제12도와 유사한 개략적인 측면도.
제14도는 로드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안내 트랙을 도시하는, 단부의 부분 단면도.
제15도는 벨트의 양 횡단 모서리에 이중 피치 링크를 구비하는 양 측방향으로 운동하도록 설계된 컨베이어 벨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상부 평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다른 지지링크의 측면도.
제17도는 제16도에서 도시된 지지링크의 전면 모서리를 도시하는 도면.
제18도는 제16도에서 도시된 지지링크의 상부 평면도.
제19도는 벨트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 배치된 지지링크를 가진 한쌍의 적층 컨베이어 벨트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
제20도는 제19도에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 평면도.
제21도는 제19도에서 도시된 컨베이어 벨트의 내부 횡단 모서리를 따른 측면도.
제22도는 벨트가 헬리컬 통로부 둘레를 운동하고, 마찰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개략도.
제23도는 컨베이어 벨트가 헬리컬 통로부 둘레를 운동하고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베이어 벨트12 : 로드
14 : 내측 링크16, 17 : 외측 링크
18 : 망물질20 : 다리부
22 : 연결부24, 25 : 구멍
본 발명은 측방향 곡선부 둘레를 운행하도록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와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로드의 대향된 횡단 단부를 따라 배치된 링크에 의해 결합되는 횡단 로드를 포함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본 발명은 관련이 있고, 거기에서 벨트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로드의 내부 단부는 일정한 제1피치로 유지되고 로드의 외부 로드는 제2의 더 큰 피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허용된다.
벨트의 마주보는 횡단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횡단 로드로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는 오랜 기간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하나의 벨트는 링크가 로드위에서 미끄러지게 하는 홈이파인 구멍을 구비한 U형의 끼워질 수 있는 링크를 사용한다. 그러한 링크가 벨트의 양쪽에서 사용될때 링크와 로드 사이의 상대적인 활주 운동은 벨트가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휘어지게 하는 측 유연성을 제공한다. 그러한 벨트가 축 방향 곡선부를 둘레를 진행할 때, 벨트 내부의 오목한 가장자리를 따른 로드 단부는 접혀진다. 벨트 외부의 오목한 가장자리를 따른 로드의 마주보는 횡단부는 로이니스 테드에 의한 미합중국 특허 제3,225,898호에서 개시된 것과 같이 벨트가 직선방향으로 진행할 때와 같은 피치로 남아 있거나, 로이니스 테드에 의한 미합중국 특허 제4,078,655호 개시된 것과 같이 벨트가 더 작은 반지름 주위에 진행하도록 하기 위해서 더 큰 피치로 연장된다.
측방향 곡선부의 내측 모서리를 따른 벨트의 접혀지거나 감소되는 피치는 여러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우선, 대부분의 제품은 일렬로 그리고 열배열로 컨베이어 시스템에 공급되고, 열의 이격거리(횡열)는 개별적인 공급 컨베이어의 상대 속도를 조절함에 의해서 오로지 제어될 수 있다. 제품이 겹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겹쳐지는 피치를 고려하고 이격거리에 안전 여유를 남겨두는 것이 필요하며, 그 둘은 효율의 저하를 가져온다. 만일 운반되는 제품이 본질적으로 부드럽다면, 겹쳐지는 피치는 제품을 주름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컨베이어가 냉동공장에서 사용된다면, 충분한 간격이 확보되지 않는 이상 겹쳐지는 피치는 인접한 제품과 접촉하여 함께 얼어붙게 된다.
1987년 5월 5일에 캐액(KaaK)에게 특허가 부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662,509호에 체인형 컨베이어 벨트에 겹쳐지는 내부 가장자리를 가진 컨베이어 벨트의 문제를 야기하고, 거기에서 제품 지지 운반기는 직접적으로 구동체인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서 사용된 체인 컨베이어는 로드형의 요소와 견인요소로 구성된 삼각형 캐리어를 사용한다. 컨베이어 벨트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로드형 요소의 견인요소는 구동체인에 선회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로드형 요소의 피치는 구동체인에 선회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로드형 요소의 피치는 구동체인에 연결됨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된다. 견인요소들은 벨트의 운동방향에서 뒤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벨트를 따라 더 후미방향으로 로드형 요소의 하나에 선회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벨트가 곡선부 둘레로 진행됨에 따라, 로드형 요소의 외측의 자유단부는 서로에 대해 이격거리나 피치를 증가시킨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개시된 컨베이어 벨트는 일정한 불이익 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즉, 견인요소의 효율이 증가되는 나비로 인해 감소되기 때문에 제품 캐리어의 실제 나비가 삼각형구조에 한정된다는 점이다. 마침내, 견인과 로드형 요소의 겹치는 경향은 중대한 위생적인 어려움을 야기시킨다. 컨베이어 벨트가 양호한 운전환경에서 사용될때, 벨트의 모든 요소 사이를 청소할 수 있는 능력은 중요하다.
내부 로드 단부를 벨트의 오복한 가장자리를 따른 일정한 피치에 유지하는 링크 기구를 이중 피치 링크 및 겹쳐지는 U자형 외측 링크와 함께 사용하는 것은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특별히 적합하고, 거기에서 벨트가 다수의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는 층에 배열되게 한채 벨트가 나선 통로를 움직이는 것이 발견되어 왔다. 제럴드 씨. 로인니스테트에게 부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348,659호 및 제4,078,655호에 부여된 것과 같은 종래의 기술의 헬리컬 인장기 시스템은 겹쳐지는 내측 모서리를 가진 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해 왔다. 상기 두 특허에 있어서, 벨트의 연속적인 인장기는 벨트로부터 분리된 지지 플레임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한 시스텝에서 최소한 층 높이는 분리 벨트 지지 프레임의 높이의 합과 같고, 제품은 운반되며, 벨트는 비교적 큰 수직의 길이를 가진 시스템이 된다. 알프레드 등에 부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938,651호는 헬리켈 통로부에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시스템을 개시하고, 거기에서 벨트는 벨트의 내외부 모서리를 따라 스스로 지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측면은 U자형 링크의 제조에 관련되는데, 특히 링크의 다리부를 결합하는 부분의 제조에 관련된다. U자형 링크 연결부의 베어링면을 만곡시키는 것이 종래의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왔다. 예를 들어, 앨리드-로크인더스트리 인코오포레이티드에 의해 제조되는 특정한 걸림쇠(pintle) 체인 링크의 베어링은 만곡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의한 견인 링크용의 만곡된 베어링면은 본 발명의 방식에 의한 링크의 제품 특성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은 측방향 곡선부 둘레로 운반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에 관한 것이다. 측방향 곡선부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진 소정의 최대곡률을 가지고 있다. 벨트는 벨트의 길이를 형성하기 위해 로드를 결합시키기 위한 기구와 복수의 로드를 구비하고 있다. 로드는 측방향 곡선부의 내측 모서리를 따른 내측 단부와 측방향 곡선부의 외측모서리를 따른 외측 단부 사이에서 벨트길이만큼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로드는 벨트의 길이를 따라 서로에 인접하여 배열된다. 결합 기구는 인접쌍의 로드를 서로 결합하기 위해서 로드의 내외측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링크 기구를 포함한다. 벨트의 직선운동중에 링크 기구는 또한 로드의 내외측 단부를 대체로 같은 피치로 유지한다. 측방향 곡선부 둘레로 벨트가 운동하는 동안에, 링크 기구는 로드의 내측 단부를 제1피치로 유지하고, 벨트가 직선으로 부터 측방향의 만곡된 운동으로 움직임에 따라 로드의 외측 단부가 제1피치로 유지되게 하고, 벨트의 측방향의 만족된 부분으로 부터 직선운동으로 움직임에 따라 제1피치로 복귀하게 한다.
링크 기구는 벨트 내부의 오목한 모서리를 따라 각쌍의 인접 로드를 결합시키는 복수의 분리된 내측 링크와, 벨트 외측의 오목한 모서리를 따라 각쌍의 인접 로드를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링크를 포함한다. 각각의 외측 링크는 로드가 그것을 통해 연장되고 로드의 외측 단부를 제2피치로 움직임을 허용하는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구멍들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내측 링크들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단부면들을 구비한 구멍들을 포함하므로, 벨트의 직선 운반 운동시 견인 부하하에서 인접 로드를 결합시키는 복수의 내측 링크는 제1피치에서 평행한 관계로 인접한 로드를 정렬시킨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내측 링크들은 인접쌍의 로드를 결합시키는 적어도 2개의 U자형 링크를 포함하고, 외측 링크들은 인접쌍의 로드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링크를 포함한다. 각각의 U자형 링크는 벨트의 길이방향의 크기로 연장되는 한쌍의 이격된 다리부와, 이격된 다리부를 결합시키는 연결부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다리부는 인접쌍의 로드를 통과시키기 위해 관통하여 형성된 구멍들을 가지고 있다. 내측 링크의 다리부와 외측 링크에 있는 구멍은 단부면 사이에 있는 소정의 세로 이격거리를 가진 단부면을 가지고 있다. 외측 링크에 있는 구멍은 제2의 더 큰 세로의 단부면 이격거리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내측 링크에 있는 구멍은 제1의 세로 단부면 이격거리를 가지고 있다. 직선 컨베이어 운동에서 로드의 내측 단부는 제1피치로 유지되고, 외측 링크가 견인적이지 않은 반면에 내측에 U자형형 링크는 견인적이며, 측방향의 만곡된 컨베이어 운동시 로드의 외측 단부는 제2의 더 큰 피치로 움직이는 반면에 내측의 U자형 링크중 적어도 하나는 견인적으로 남아있고 로드의 내측 단부는 대체로 제1피치로 유지된다. 외측 링크가 단지 견인부하의 적어도 최소량을 떠맡으면서 벨트가 소정의 최대 곡률의 측방향 곡선부 둘레를 움직일 때 로드의 외측 단부가 외측 링크에 있는 구멍의 대향된 단부면과 접촉하도록 단부면의 세로 이격부의 관계는 양호하게 정해진다.
그러한 상관 관계는, 적어도 내측 링크중 하나가 견인적인 것으로 남아 있고 로드의 내측 단부에 제1피치로 남아 있도록 보장해준다. 이러한 상관되는 이격거리를 사용하는 것은 나선형으로 층이 쌓인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특별히 양호하며, 거기에서 나선의 곡률은 시스템의 최대 곡률이다. 층들은 통하여 움직이는 밸트의 외측 모서리는 외측 링크에 있어서 구멍의 단부면과 로드가 접촉함에 의해 안정되는 반면에, 벨트는 그때 쉽게 시스템에 적용되어 접혀지지 않는 내측 모서리는 시스템의 층들을 통하여 보장된다.
링크 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는 역시 벨트의 직선운동중에 대체로 같은 피치로 로드의 제1 및 제2횡단단부를 유지하고, 측방향 곡선부 둘레에서 벨트가 운동하는 동안에 링크 기구는 측방향 곡선부 내부의 오목한 모서리에 위치된 로드의 횡단부를 따라 제1피치로 로드를 고정한다. 그러나, 벨트가 직선으로 부터 측방향의 만곡된 운동으로 진행됨에 따라 이 링크 기구는 로드의 대향된 횡단 로드를 측방향 곡선부 외측의 오목한 모서리를 따른 더 큰 제2피치로 움직임에 따라 로드의 대향된 횡단단부를 제1피치로 돌아가게 한다. 링크 기구의 제2실시예를 사용하는 컨베이어 벨트는 오른쪽 또는 왼쪽의 양쪽 방향에서 단일방향 또는 측방향 곡선부 둘레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벨트가 단일방향에서 측방향 곡선부 둘레를 움직이도록 구성된다면, 링크 기구는 단일 피치 링크와 이중 피치 링크 양쪽을 포함한다. 그러나, 벨트가 왼쪽 및 오른쪽 양쪽 방향에서 측방향 곡선부 둘레를 운동하도록 구성했을때의, 이중 피치 링크는 벨트의 양쪽 모서리를 따라 배치된다. 이중 피치 링크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선회될 수 있다. 제1위치에서 각각의 링크에 의해서 결합되는 로드의 횡단부는 제1피치로 유지되고,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링크의 선회 운동이 일어나는 동안에, 제1피치에서 제2피치로 움직여진다.
각각의 이중 피치 링크들은 피봇 구멍과 피치 변환 홈을 구비한 몸체를 가지고 있다. 로드중 어느 하나의 횡 단부는 피봇 구멍에 수용되고, 로드중 인접한 어느 하나의 횡 단부는 피치 변환 홈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수용된다. 캠기구가 측방향 곡선부 둘레의 운동중에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 이중 피치 링크를 선회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횡단 로드와 이중 피치 링크 또는 벨트의 내측 모서리를 일정한 피치로 유지하면서 벨트의 외측 모서리를 팽창하게 하는 링크로 구성된 컨베이어 벨트는, 그것이 측방향 곡선부 둘레로 진행됨에 따라, 겹쳐지는 내측 모서리를 갖춘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아무런 문제없이 직선방향으로 그리고 곡선부 둘레로 벨트가 구성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호한 측면은 여러 쌍의 인접로드를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링크의 사용에 관계 된다. 지지 링크는 한쌍의 인접한 로드 사이에 종방향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로드로부터 떨어져서 연장되는 종방향부 및 종방향부로부터 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탭부를 포함한다. 지지링크를 인접쌍의 로드에 결합하기 위하여 구멍들이 각 종방향부에 형성된다. 벨트의 인접한 수직으로 이격된 층의 내측 모서리와 접촉하기 위해서 그리고 그것에 의해 벨트가 나선형의 운반통로를 따라 운동하도록 배열될 때에 겹쳐진 층의 내부 가장자리를 지지하기 위해서 탭부는 로드로부터 소정의 수직거리만큼 이격된다.
본 발명은 기술된 형태의 벨트를 사용하고 복수의 적층된 벨트층을 형성하는 나선형의 운반통로를 통하여 벨트를 구동시키는 운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당히 작은 양의 벨트가 겹쳐지는 내측 모서리를 가진 종래 기술에 의한 벨트를 사용하는데 필요로 하게 되는 양의 벨트에 주어지는 벨트통로를 위하여 요구되기 때문에, 일정한 접혀지지 않는 내부 피치를 가진 벨트를 그러한 적층된 층들의 시스템에서 특별히 유용하다. 작은 양의 벨트가 같은 양의 탈부하 표면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하다. 헬리컬 통로부를 움직임에 따라 벨트 내부 가장자리의 국지화된 변화가 최소화 되기 때문에, 벨트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 지지 링크와 구동드럼을 조합하여 겹쳐지지 않는 피치를 사용하는 것이 특별히 이익이 된다.
본 발명의 보다 적합한 측면은 그들의 마모 특성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U자형 링크를 제조하는 것과 관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 따르면, 연속적인 컨베이어 벨트의 인접한 로드를 결합시키기 위한 견인 링크 부재는, 연결부에 의해 결합되는 한쌍의 이격된 다리부를 구비한 U자형으로 형성되는 대체로 평평한 금속 조각으로 구성된다. 대체로 평평한 금속조각은 압축되고 가공 경화된 금속의 구역에 있는 감소된 두께 지역을 가지고 있다. 연결부의 가공경화 지역은, 로드가 기댈 수 있는 만곡된 베어링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제품은 가능한한 밀접하게 실려질 수 있고, 그래서 주어진 제품용량에 대해서, 벨트는 더 낮은 속도로 구동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벨트의 수명을 높여준다. 또한, 로드-링크 장치는 벨트가 정상 적하 상태나 비적하 상태에서 그리고 단부 풀리, 로우 및 조임 기구 둘레에서 사용되도록 한다. 또한, 벨트가 그 주위를 운동하는 측방향 곡선부의 주어진 내경에 대해서, 나선형 또는 만곡된 충시스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벨트상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종래의 로드-링크 벨트와 함께 사용되는 것보다 더 작게 될 것이다.
거기에서 지지 링크가 일정한 피치의 U자형 내측 링크와 결합하여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링크를 사용하는 것은 상당한 이익을 가져온다. 스프라킷과의 적응성을 유지하고, 벨트가 로울, 풀리 등등의 둘레로 비교적 꽉끼인 밴드 근처로 진행되도록 허용하는 반면에, 지지 링크가 외측 벨트 지지부의 높이가 상당히 감소하도록 한다. 더욱이, 낮은 효율, 제품의 주름이나 인접제품의 얼어붙음과 같이 위에서 언급한 접혀지는 내측 벨트 모서리의 불이익이 없어 이러한 이점들은 얻어진다. 직선 컨베이어 운동에서 나선형의 적층 컨베이어 운동의 부드러운 전이는 또한 일정한 피치의 U자형 내부 링크에 의해 벨트 내측 모서리의 접힘을 방지하는 것으로 부터 발생한다.
마침내, 가공 경화된 베어링면을 가진 견인 링크를 사용하는 것은 견인링크의 마모특성을 경화시킨다. 링크 연결부의 가공경화되고 만곡된 내측베어링은 두방법으로 링크 피치의 마모 연신을 줄인다. 첫째로, 접촉 면적을 증가시킴에 의해서, 같은 용적의 마모는 링크 피치의 더 작은 연신을 나타낼 것이다. 둘째로, 비교적 큰 두께로 부터 더 작은 두께로 연결부의 두께를 줄이는 코이닝 공정을 통하여 만곡된 표면을 형성함에 의해서, 연결부는 가공 경화되고 내마모적인 부분이 된다. 견인 링크의 마모 연신을 방지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에 대해서 매우 중요하며, 거기에서 내측 링크가 직선이나 측방향의 만곡된 운동에서 견인적으로 남아있도록 벨트와 컨베이어 시스템은 구성되고, 벨트가 위생이 중요한 환경에서 자주 사용됨에 따라 바람직하지 않은 마모 파편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다른 측면들은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참조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숫자들은 같은 요소들을 가리키는 도면을 참조하면, 컨베이어 벨트(10)의 일부분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다. 벨트(10)이 직선 컨베이어 운동을 함에 따라 벨트(10)의 정향을 제1도는 도시하고, 벨트(10)이 왼쪽의 측방향의 만곡된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벨트(10)의 정향을 제2도는 도시한다. 오른쪽 모서리들은 벨트(10)의 외측 오목한 모서리로서 기술될 수 있는 반면에, 벨트(10)의 왼쪽 모서리는 따라서 벨트(10)의 외측 오목 모서리로서 기술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10)은 내측과 외측 단부 사이에서 벨트(10)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로드(12), 벨트(10)의 내측 모서리를 따른 내측 링크(14, 15) 및 벨트(10)의 대향된 외측 모서리를 따른 외측 링크(16과 17)로 구성되어 있다. 벨트(19)의 길이를 형성하기 위해 링크(14, 15, 16 및 17)은 인접한 로드(12)을 서로에 대해 체결한다. 망 물질(18)은 로드(12)의 주위와 링크(14 및 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로드(12)의 단부는 확대된 또는 오프셋 단부를 가지고 있다. 로드 내측의 확대된 단부에 용접함에 의해서 가장 내측의 링크(14)는 소정의 위치에 유지된다. 로드(12)의 용접됨에 의해서 최외측의 내부 링크(15)와 외측 링크(16)은 비슷하게 횡 위치에서 유지된다.
링크(14, 15)는 벨트(10)의 길이바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다리부(20)과 다리부(20)을 결합시키는 연결부(22)를 구비한 U자형 링크이다. 다리부(20)은 한쌍의 로드(12)의 내측 안부를 수용하기 위한 한쌍의 이격된 구멍(24, 25)를 가지고 있다. 링크(14, 15)의 후단부에 있는 구멍(24)는 벨트이 청소를 위해서 로드(12)의 단면치수에 관하여 약간 큰 크기를 가진다. 링크(14, 15)의 선단부에 있는 구멍(25)는 마찬가지로 청소를 할 목적으로 크기가 큰 홈 형태로 되어 있다. 벨트가 견인 부하하에 있을때 로드(12)의 내측 단부가 제1피치(인접 로드(12) 사이의 중심 이격거리에 중심을 둔)로 유지되도록 구멍(24, 와 25)는 유지되고 형상지워진다. 또한, 벨트(10)의 내측 오목 모서리를 다른 링크(14, 15)와 로드(12)는 직선운동과 측망향의 만곡된 운동중에 견인 부하하에 남아있게 된다. 설명되는 것과 같이, 로드(12)의 내측부는 링크(14, 15, 16 및 17)의 조합에 의한 특수 구성에 의해 벨트(10)의 측방향의 만곡된 운동과 직선 운동에서 견인 부하하에 제1피치로 유지되며, 그것은 벨트(10)을 위한 링크 기구를 형성한다.
내측 링크(14, 15)는 대체로 직선이고 연결부(22)의 대향된 단부들로부터 바깥쪽으로 발산하는 다리부(20)을 구비하고 있다. 대신에, 내측링크는 링크(14')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것은 역시 U자형이고,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다. 링크(14')은 연결부(22)와 비슷한 연결부(22')을 가지고 있으나, 다리부(20')은 다리부(20)과 다르게 형성된다. 각각의 다리부(20'')은 연결부(22')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내측부(42), 내측부(42)로부터 바깥쪽으로 발산되는 중간부(44), 및 내측부(42)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방향에서 중간부(44)로부터 연장되는 외측부(46)을 포함한다.
외측 링크(16)은 비슷하게 각각 연결부(30)에 의해 결합되는 한쌍의 이격된 다리부(28)을 가지고 있다. 다리부(20')와 비슷한 다리부(28)은 연결부(30)에 수직으로 정향된 내외측부(29와 31)을 구비하고 있고, 다리부(28)이 계단을 이루는 구조를 취하도록 그것은 중간의 외향 발산부(33)에 의해 결합되고, 연결부(30)으로부터 떨어져서 나비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한 구조의 종래의 기술인 겹쳐질 수 있는 형 링크와 비슷하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부(28)은 인접한 로드(230을 수용하기 위한 한쌍의 구멍(34, 35)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30)에 인접한 구멍(35)는 가늘고 긴 홈의 형태이고, 그것은 로드(12)를 직선 컨베이어 운동중의 제1도에 도시된 겹쳐진 위치로부터 측방향의 곡선부 둘레를 컨베이어 운동중 제2도에 도시된 팽창위치로 움직이게 한다.
U자형 링크에 부가하여, 바아 링크(17)은 로드(12)의 외측 단부에 있는 확대 헤드와 외측 링크(16) 사이에 벨트(10)의 외측 횡 모서리를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링크(16)과 비슷하게, 링크(17)은 한쌍의 구멍을 가지고 있고, 그중에 적어도 하나는 벨트(12) 외측 모서리의 피치가 확대되도록 하기 위해 홈이 파져 있다.
각각의 링크(14, 14')은 대체로 평평한 금속 조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속의 평평한 조각은 연결부(22, 22')의 상하부 지역을 따라, 또한 다리부(20, 20')을 따라 제1두께(T1)을 가지고 있다. 외측면이 대체로 평평하게 남아있는 반면에, 만곡된 베어링면(12, 126')을 연결부(22, 22')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베어링면(126, 126')은 코이닝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거기에서 연결부(22, 22')의 물질은 최대 축소두께(T2)로 압축된다. 압축되고 감소된 두께 구역은 연결부(22, 22')의 가공경화 구역이 된다. 최대 축소두께(T2)는 두께(T1)의 적어도 90% 이고 70%보다 작지 않으며, 전형적인 예에서 0.105인치의 T1은 0.08인치의 T2가 된다. 만곡된 베어링면은 로드(12)의 외측면과 짝지워지고, 즉 본질적으로 같은 곡률반경을 가진다. 링크(16)은 또한 가공경화된 베어링면을 포함한다. 그러나, 링크(16)은 어떤 큰 전이 부하를 부담하지 않도록 구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것은 필요하지 않다.
컨베이어 벨트(10)과 링크(14, 15, 16과 17)은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되었고, 거기에서 벨트(10)은 단일방향에서 축방향 곡선부 둘레를 운동하고 측방향 곡선부는 소정의 최대 곡률을 가지고 잇으며, 즉 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꽉 끼인 곡선부의 곡률 반경은 소정의 값 아래에 있게 되지 않는다. 링크(14, 15, 16과 17)은 링크에 있는 구멍의 최전방과 최후방표면 사이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고, 그것은 벨트 운동의 소정 최대 곡률 및 서로에 관계도니다.
벨트의 내측 모서리를 따른 로드(12)의 부분은 제1피치로 남아있고, 벨트가 측방향 곡선부를 돌아서 결정된 최대 곡률까지 진행하는 반면에 내측 링크(14, 14')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견인 부하를 계속하여 감당하도록 이격거리의 관계는 정해진다.
컨베이어 벨트(10)은 벨트의 내측 모서리를 결합시키는 구동 스프라킷 또는 구동 케이지에 의한 전통적인 방식에 의해 내측 모서리를 따라 구동된다. 벨트가 직선방향으로 운동함에 따라, 견인력은 모든 내측 링크에 의해 분담되고, 로드의 내측 단부는 제1피치로 유지된다. 적어도 두개의 내측 U자형 링크를 사용하는 것은, 로드(12)가 견인력하에서 직선운동중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보장한다. 만일 단지 하나의 U자형 링크가 내측 모서리를 따라 사용된다면, 로드는 U자형의 형성에 있어서의 부정확성에 따른 평행하지 않은 방식으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내측 링크는 로드의 평행한 정렬 상태로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벨트(10)이 측방향 곡선부 둘레를 움직임에 따라, 로드(12)의 외측 단부는 외측(16, 17)의 홈에서 팽창하고, 견인부하는 벨트의 내측 모서리로부터 가장 먼 내측 링크로 점차적으로 전환된다. 링크(14, 15)는 그들 구멍의 최전방과 최후방 표면들 사이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고, 외측 링크(16 및 17)는 그들 구멍의 회전방과 최후방 표면 사이에 제2의 더 큰 이격거리를 가진다. 제1 및 제2의 소정 이격거리는 서로에 대해 상관 관계가 있고, 소정의 최대 곡률의 측방향곡선부 둘레를 운동하는 동안에 외측 링크(16, 17)이 단지 최소량의 견인부하를 취하도록 벨트의 소정 최대 곡률에 상관 관계를 갖게된다. 양호하게는, 이러한 소정의 이격거리는, 내측 링크(14, 15)가 모든 견인부하를 계속하여 취하도록 어느 측정할 수 있는 견인부하를 취함이 없이 로드(12)가 외측 링크(16 및/또는 17)에 있는 구멍의 베어링면과 접촉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링크(16과 17)은 링크(16, 17)과 로드(12)의 베어링면 사이에서 무시할 수 있는 양의 운동을 허용하고, 그것에 의해 구동의 유연성을 보장하고, 반면에 내측 링크가 견인적이 되고 벨트의 내측 모서리가 접혀지지 않도록 보장한다. 벨트 곡률반경의 중심으로 부터 내측 링크(14, 15)의 최외부 다리부(20)까지의 거리(Ri)에 대한 내측 링크(14, 15)에 있는 구멍(25, 26)의 이격거리(Pi)의 비율보다 약간 더 큰 벨트 곡률 반경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타이트한 곡선부에 있는 최외측 외측 링크까지의 거리(Ro)에 대한 외측 링크(16, 17)에 있는 구멍 이격거리(Po')의 비를 정해줌에 의해서 이것은 수행된다. 식 Ro/Ri×Ri-Po를 이용하면, 그때 Po'=Po+0.005는 0.010 인치에 이른다. 예를 들어, 4 1/2 피트의 반지름 구동 케이지, 두개의 1인치 링크 및 3피트 나비의 벨트를 가진시스템에 있어서; Ri=56인치; Ro=90인치; Pi=1.080인치; 및 Po=1.735인치; 그리고 Po'=1.740 내지 1.745인치이다. 헬리컬 통로부에 있는 견인부하가 전형적으로 200파운드인 벨트에서 내측 링크는 소정의 최대 곡률의 측방향 곡선부에 있는 150 내지 200 파운드에 이르는 견인부하를 계속하여 취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내측 링크(14, 15)로부터 로드(12)의 완벽한 원주방향의 연장부 뒤로 받아 들여질 수 없을 만큼 뒤로 쳐지는 것으로 부터 벨트(10)의 외측모서리를 막는데에 있어서 U자형 외측 링크(16)은 중요한 기능을 한다. 벨트가 측방향 곡선부의 둘레를 움직임에 따라 지지면 위에 그것의 관련 결과력과 벨트(10)의 중량에 의해 만들어지는 견인력의 결과가 그러한 지체이다. 로드가 지체되기 위해서는, 링크(16)은 만곡된 통로에서 로드의 완전 반지름선에 관하여 회전하여야 하고, 그러한 회전은 U자형 외측 링크(16)의 겹침 작용에 의해 최소한도로 유지되고, 그것에 의해 발생하는 지체의 양을 제한한다. 쉬게 생산하기 위해 U자형 링크(16)이 바아 링크(17)과 조합하여 생산될 때 바아 링크(17)은 상관 관계가 있는 이격 거리(Po')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고, 링크(16)은 그들 구멍의 단부면 사이의 훨씬 더 큰 세로 이격거리를 가질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주로 지체를 막기 위해 가능하다.
제7-15도에는, (10a)로 도면 번호가 붙여진 컨베이어 벨트의 제2실시예가 도시된다. 일부분의 컨베이어 벨트(10a)가 제7도와 제8도에 도시된다. 컨베이어 벨트(10a)는 복수의 로드(12a), 벨트(10)의 한 모서리에 따른 단 일의 피치 링크(14a, 15a) 및 벨트(10)의 대향된 모서리에 따른 이중 피치 링크(16a)로 구성되어 있다. 로드(12a)는 벨트의 길이만큼 횡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들은 확대되거나 경사진 단부를 가지고 있다. 링크(14a, 15a 및 16a)는 벨트(10a)의 길이를 형성하기 위해서 서로에 대해 인접 로드(12a)를 고정시킨다.
단일 피치 링크(14a, 15a)는 한쌍의 로드(12)의 내측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구비한 종래의 U자형 링크일 수 있다. 링크(14a, 15a)의 구멍은 청소하도록 로드(12a)의 단면치수에 관하여 약간 크기가 커져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링크(14a, 15a)는 로드(12a)의 단부를 일정하거나 단일 피치로 유지한다. 그 이외에 링크(14a, 15a)는 링크(14와 14')에서 처럼 가공경화된 베어링면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링크(14')의 구멍을 취할 수 있다.
링크(16a)는, 그들이 제1피치와 제2의 더 큰 피치 사이에 배치되는 모서리를 따라 로드(12a)의 피치(인접로드(12a)사이의 이격거리)를 변환시키기 위해 구성된 이중 피치 링크이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직선운동중에 링크(14a, 15a)가 로드(12a)의 내측 단부를 유지하는 피치와 제1피치는 동일하다. 링크(14a, 15a)는 측방향 곡선부의 내측 오목 모서리를 따라 제1피치로 그들이 부착되는 로드의 내측 단부를 유지하는 반면에, 벨트(10a)가 측방향 곡선부 둘레로 진행됨에 따라, 이중 피치 리크(16a)는 측방향 곡선부 외측의 오목한 모서리를 따라 제2더큰 피치로 그들이 결합되는 로드의 외측 단부를 움직인다. 로드(12)를 구비한 것과 같이, 로드(12a)의 내측부는 단일 피치 링크(14a, 15a)와 이중 피치 링크(16a)의 조합에 의한 특정 구성에 의해 벨트(10a)의 직선운동과 측방향 곡선운동에서 견인 부하하에 유지되고, 그것은 벨트(10a)를 위한 링크 기구를 형성한다.
제9도는 이중 피치 링크(16a)의 한 실시예에 관한 구조적 상세함을 도시한다. 링크(16a)는 일반적으로 삼각형 형상 또는 주위를 가지는 단일의 통합체(180)으로 형성된다. 피봇구멍(200)과 연신 피치 변환 홈(220)은 피치 링크(16a)의 몸체(180)을 통하여 형성된다. 제10도와 제11도에서 더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몸체(180)은 물질의 2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는데, 즉 구멍(200)과 홈(220)의 부분 둘레로 연장되는 두꺼운 부분(240)과 두꺼운 부분(240)의 경계 주위로 연장되고 채워지는 얇은 웹부(260)이다. 얇은 웹부(260)이 다루기 쉽고, 구조적으로 건전하고, 물질 절약적인 구조를 통합체(180)을 위해서 형성하는 반면에, 몸체(180)의 두개의 두꺼운 구조는 주물로 된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된 몸체(180)에 특별히 적합하고, 거기에서 견고한 경계부가 구멍(200)과 홈(220)을 위해 제공된다.
제12도와 제13도는 몸체(180')으로 표시되는 이중피치 링크(16a)의 몸체를 위한 또 다른 간단한 구조를 도시한다. 거기에서 도시되는 대로, 몸체(180')은 구멍(200)과 홈(220)을 포함하는 물질의 평평한 조각으로 구성된다. 몸체(180')의 형상은 기계 가공된 금속으로 부터 만들어지는 링크(16a)를 위해 특히 적합하다.
제 7, 8, 12 및 13도에 관련하여, 벨트(10a)의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제8도는 화살표(A)에 의해 표시된 직선방향에서 진행하는 벨트(10a)를 도시한다. 거기에서 도시된 대로, 피치는 벨트(10a)의 양 가장자리에서 동일하다. 링크(14a, 15a)는 이러한 일정한 피치로 인접 로드를 유지하는 단일 피치링크이다. 직선 컨베이어 운동에서 인접 로드의 위치는 최좌측쌍의 로드(12a)에 의해 제12도에서 표시되고, 3개의 우측 로드에 의해서 제13도에 도시된다. 제12도에 관하여, 제1로드(12a)는 최좌측 이중 피치 링크(16a)의 피복구멍(200)에 수용되고, 인접 로드(12a)는 이 링크(16a)의 피치 변환 홈(220)에 수용된다. 최후에 언급한 로드(12a)는 홈(220)의 제1피치 구역(280)에 위치되고, 그것은 링크(14a, 15a)가 인접 로드를 위치시키는 것과 같은 피치로 로드(12a)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이러한 피치는 링크(16a)에 의해 허용되는 가장 짧은 피치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견인부하는 U자형 단일 피치링크(14a, 15a)와 이중 피치 링크(16a)에 의해 분담될 수 있다. 그러나 견인부하의 상대량이 불평등하게 분배되도록 링크(14a, 15a 및 16a)의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중 피치 링크(16a)가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졌을 때, 단일 피치 링크(14a, 15a)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것은 일반적으로 금속으로 되어 있으며, 더 많은 견인력을 운반한다.
화살표(B)에 의해서 표시된 바와 같이, 벨트(10a)가 측방향 곡선부 둘레로 진행할때 로드(12a)의 정량은 제7도에 도시된다. 벨트(10a)의 외측 오목 모서리가 이중 피치 링크(16a)에 의해 더 큰 피치로 움직여지는 반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0a)의 내측 오목 모서리는 직선운동에서와 같은 제1피치로 유지된다. 제12도는 외측 모서리를 따라 제2의 더큰 피치로 로드(12a)의 외측 단부를 움직이는 링크(16a)의 선회운동을 도시한다. 도시된 대로, 이중 피치 링크를 선회하기 위한 캠면 또는 유사물(350)은 링크(16a)와 함께 정렬되어 벨트(10a)의 외측 모서리 근처에 위치된다. 벨트(10a)가 화살표(C) 방향으로 진행할때, 링크(16a)의 상부 모서리는 링크(16a)를 시계반대방향으로 선회하도록 하는 캠면(340)과 접촉한다. 링크(16a)의 선회운동은 피치 변환홈(220)에 수용된 로드(12a)의 단부를 제1피치 지역(280)으로 부터 미끄러지게 하고, 거기에서 인접 로드(12a)는 서로 인접하며, 인접 로드(12a) 사이의 이격거리가 더 큰 제2피치 구역(360)에 인접한다. 피치 변환 홈은 제2피치구역 최전방단부면(370)이다. 제9도를 보면,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피치구역(360)의 단부면(370)과 접촉하기 위해서 캠면(340)은 링크(16a)를 90°선회되게 할 수 있고, 슬롯(220)의 가장 먼 단부에 있는 홈(220)에서 운반되는 로드(12a)를 위치시킨다. 피치 변환 홈(220)의 길이와 정향은 주어진 시스템을 위하여 외측 곡선부 모서리를 따라 가장 큰 피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선택된다. 물론, 만일 더 작은 피치가 시스템내에서 요구된다면, 캠면(340)은 이중 피치링크(16a)를 더 작은 정도로 선회하도록 구성되고, 그것에 대해 제2피치 구역(360)에 있는 중간위치 내에서 홈(220)에 수용되는 로드(12a)의 단부를 그것에 의해 위치시킨다.
축방향 곡선운동을 하는데 사용되는 제2피치로부터 직선 컨베이어 운동을 하는데 사용되는 제1피치로 로드(12a)를 돌아가도록 링크(16a)가 선회되는 방식을 제13도는 도시한다. 거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0a)는 화살표(D)의 방향으로 진행하고, 링크(16a)는 캠면 또는 링크(380)과 접촉하며, 그것은 시계방향에서 링크(16a)를 선회한다. 링크(16a)의 시계방향 선회운동은 제2피치 구역(360)으로 피치 변환 홈(220)의 제1피치 지역(220)으로 횡단 로드(12a)의 단부를 움직인다.
제14도에서 볼 수 있듯이, 안내 홈(420)을 구비한 연식 안내 블록(400)은 전이구역에서 벨트의 외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거기에서 캠면(340과 380)은 링크(16a)의 선회운동을 일으킨다. 링크(16a)의 선회중에 벨트(10a)의 컨베이어 운동 평면내에서 로드(12a)의 단부를 유지하기 위해 로드(12a)의 최외측 단부는 안내홈(420)내에서 운반된다. 제14도에 더 도시되는 대로, 홈(420)내에 수용된 로드(12a)의 단부는 이중 타격 오프셋 헤드를 가지고 있고, 그것은 심지어 마모후에 횡단로드(12a)의 단부가 안내홈(420)내에 남아 있도록 보장한다. 안내홈(420)은 벨트의 부드러운 운동이 요구되지 않는 곡선부에서 제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품이 이송되고 있지 않은 컨베이어의 회귀부, 또는 만일 컨베이어 표면의 약간의 순간적인 부풀음이 제품으로 흐뜨러뜨리지 않은 컨베이어 벨트의 부과 표면위에 행해진다.
컨베이어 벨트(10)과 링크(14, 15, 16 및 17)과 비슷하게, 컨베이어 벨트(10a)과 링크(14a, 15a 및 16a)은 컨베이어 벨트 시스템의 실시예에서 상용될 수 있고, 거기에서 벨트(10a)는 단일 방향에서 측방향 곡선부 둘레를 움직일 것이고, 축방향 곡선부는 소정의 최대곡률을 가지고 있으며, 즉, 시스템에서의 가장 타이트한 측방향 곡선부의 곡률은 소정의 값 아래에 있지 않을 것이다. 벨트운동의 소정의 최대 곡률과 서로에 대해 상관 관계가 있는 링크에 있는 구멍 또는 홈의 최전방과 최후방 표면 사이의 소정의 이격거리를 단일 피치 링크(14a, 15a)와 이중 피치 링크(16a)는 가지게 될 것이다. 벨트가 측방향 곡선부 둘레로 소정의 최대 곡률까지 진행하는 반면에 적어도 내측 피치 링크중 어느 하나는 견인부하를 계속하여 부담하고, 벨트의 내측 모서리를 따른 로드(12a)의 부분들이 제1피치에 남아있도록 이격거리의 관계는 정해진다. 이 이격거리의 관계는 벨트(10)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정해진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10)과 비슷한 컨베이어 벨트(10a)는 벨트의 내측 모서리를 결합하는 구동 스프라켓 또는 구동 케이지에 의해 종래의 방식으로 내측 모서리를 따라 구동된다. 벨트가 직선운동을 함에 따라, 견인 부하는 정상적으로 모든 단일 피치 링크(14a, 15a)에 의해 부담되고, 로드의 내측 단부는 제1피치로 유지된다. 로드(12a)가 견인 부하하에서 직선운동을 하는 동안에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적어도 2개의 내측 U자형 링크를 사용하는 것을 돕는다.
벨트(10a)가 측방향 곡선부 둘레를 운동함에 따라, 로드(12a)의 외측 단부는 이중 피치 링크(14a)의 피치 변환 홈(220)에서 팽창한다. 로드는 홈의 제1피치 구역(280)으로 부터 제2피치 구역(360)으로 팽창한다. 또한, 견인부하는 벨트의 내측 모서리로부터 가장 먼 두개의 단일 피치 링크중 어느 하나로 점차로 전환한다.
제15도는 벨트(10a)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거기에서 화살표(E와 F)에 의해 도시된 대로 왼쪽과 오른쪽에서 벨트가 운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벨트의 양측을 따라 배치된 이중 피치 링크(16)를 컨베이어 시스템은 사용한다. 그러한 운동에 있어서, 커브의 외측 모서리를 따른 이중 링크(16a)가 제2의, 더큰 피치정향으로 선회되는 반면에, 곡선부의 내측 모서리에 있는 이중 피치 링크는 제1피치위치로 유지된다. 제15도는 컨베이어 벨트(10a)를 움직이기 위한 스프라킷 구동과 같은 종래의 컨베이어 구동 기구(460)을 가진 컨베이어 시스템의 일부로 벨트(10a)를 도시한다.
로드(12a) 주위에 위치된 망 덧대기(480)는 제15도에 도시된다. 망 덧대기(480)은 평평해진 나선으로 형성된 와이어와 같은 어느 종래의 구성으로 될 수 있다. 덧대기는 비교적 쉽게 손상되는 제품을 위해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것을 사용함으로써, 더 이상의 용접 또는 링크를 소정의 위칭 유지시키는 기계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고, 이들을 로드(12a)에 횡단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그것이 횡단 방향에서 내외측 링크로 압력을 제공하도록 벨트(10a)상의 최종 조립형태보다 약간 더 넓은 나비로 덧대기가 제조될 수 있다.
제19, 20과 2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컨베이어 벨트(10')은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이 시스템에서 벨트(10')은 많은 수의 겹쳐진 나선형으로 연장된 층으로 이루어진 헬리컬 통로부를 따라 움직인다. 벨트(10)과 유사한 벨트(10')의 요소들은 프라임이 붙어 있는 동일 숫자에 의해 표시되며, 이 실시예의 컨베이어 벨트는 도면부호(10')으로 표시된다. 제16, 17과 18도는 벨트(10')와 함께 사용되는 내측 지지 링크(10)의 상세한 부분을 도시한다.
지지 링크(540)은 종방향부(48)과 탭부(50)을 포함한다. 종방향부(48)은 하부측(49)와 상측부(51)의 두부분으로 구성된다. 하측부(49)는 인접 로드(12')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한쌍의 구멍(55)를 포함하고, 탭부(50)은 상측부(51)의 상단부로부터 마주보는 횡단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측부(51)은 하측부(49)로부터 두방향에서 상향으로 또한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1도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 링크(40A)는 제1쌍의 인접로드(12A')에 연결되며, 반면에 다음의 지지 링크(40B)는 다음의 분리된 쌍의 인접로드(12B')에 결합된다. 하측부(49)는 U자형 링크(14')의 단부(46)에 의해 벨트(10')의 운동방향으로 정렬되어 유지된다. 인접 종방향부(51)이 겹쳐지도록 하기 위해서 지지 링크(40)의 상측부(51)은 각각의 하측부(49)로부터 약 4°정도 각을 이루어 경사지게 된다. 청소를 위해서 인접 지지 링크(40)을 접촉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오목부(53)가 종방향부(51)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제6도에서 알 수 있듯이, 상측부(51)은 탭부(50) 사이에 배치된 슬롯(56)을 포함한다.
각각의 탭부(50)은 그위에 있는 층에 배치된 링크(14a, 15a)와 접촉하거나 지지하기에 충분한 나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인접한 탭부(50)이 서로 접촉하지 않은 채 밸브(10')이 역으로 만곡부 둘레를 진행할 수 있도록 각 탭부(50)의 길이가 정해진다.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가 헬리컬 통로부 둘레를 진행함에 따라, 벨트(10)의 외측 단부는 독립적인 지지구조(60)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구조(60)은 복수의 수직부재(62)(그중 하나만 도시됨)를 포함하고, 그것으로 부터 복수의 수평층 지지부(64)가 연장된다. 각층의 지지부(64)는 외측 링크(16')이 미끄러지는 저 마찰 베어링재(66')을 포함한다. 지지 링크(40)에 의해 벨트(10')에 의해 만들어지는 연속층의 헬리컬 통로부는 서로에 대해 지지되고, 벨트(10')의 내측 모서리는 회전 토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자기 지지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탭부(50)이 로드(12')상에 위치되는 수직거리는 특별한 헬리컬 통로부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되고, 제품은 벨트(10')상에 지지된다. 벨트(10')은 복수의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동부재(70)을 포함하는 내부 회전 케이지에 의해 구동된다. 제19도는 U자형 외측 링크(16')과 바아 링크(17')을 구비한 벨트(10')을 도시한다. 그러나, 벨트(10')은 벨트(10')의 외측 모서리를 따른 이중 피치 링크(16a)를 포함한다.
제22도에는 미합중국 특허 제4,078,655호와 제3,348,659호에 도시된 형식의 나선형 저인장 헬리컬 인장기 컨베이어 시스템(100) 도시된다.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 저인장 시스템은 상기 특허에서 충분히 설명되었고, 이러한 나선형 컨베이어 시스템은 당업계의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단지 간단한 설명만을 하기로 한다. 이러한 저인장 시스템(100)에서, 벨트를 드럼 둘레에 헬리컬 통로부를 통하여 비교적 저인장으로 구동하기 위해서 케이지형 구동드럼(102)는 마찰적으로 벨트(10(10', 10a))의 내측 모서리를 체결한다. 부가하여, 스프라킷 구동부(104)는 직선부를 따라 벨트(10)을 체결한다. 모터(105)는 기어링(106)을 통하여 드럼(12)를 구동하고, 역시 내부 연결된 기어링(107)을 통해 스프라켓 구동부(104)을 구동한다. 벨트(10)은 스프라킷 구동부(104)로 부터 가중 인장 권취 롤러(110) 및 아이들러 풀리(111)을 지나 직선 적재부(108)로 운행되고, 이어서 드럼(102) 둘레의 헬리컬루프(112)에서 직선 배출부(109)로, 또한 또 다른 아이들러(111) 둘레에서 구동 스프라킷 배후로 운행한다.
제23도에 1988년 5월 3일에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4,741,436호에서 알려진 형식의 나선형 저인장 헬리컬 인장기 컨베이어 시스템(200)이 도시된다. 시스템(201)은 본 발명의 벨트(10, 10') 또는 벨트(10a)를 포함한다.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되어 있는 저인장 시스템의 상세한 설명은 이미 공지되어 있고, 이러한 나선형 컨베이어 시스템은 당업계의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단지 간단한 설명만을 하기로 한다. 이러한 시스템(201)에서, 벨트를 드럼 둘레의 헬리컬 통로부를 통하여 저인장으로 구동시키기기로 한다. 이러한 시스템(201)에서, 벨트를 드럼 둘레의 헬리컬 통로부를 통하여 저인장으로 구동시키기 위해서 케이지형 구동 드럼(202)는 벨트(10(10', 10a))의 내측 모서리를 체결한다. 구동 드럼(202)는 헬리컬 통로부에서 벨트를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주구동부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2차 구동부(204와 206)은 헬리컬 통로부에서 벨트의 바람직한 고정 길이를 유지하기 위해 헬리컬 통로부의 입출구에 인접하게 제공된다.
벨트(10, 10')은 특히 헬리컬 인장기 시스템(100, 201)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시스템의 최대 곡률은 헬리컬 통로부에 위치되고, 링크(14, 15, 16, 17 및 만일 사용된다면, 40)의 개구 또는 (14a, 15a 및 16a) 사이에 있는 이격거리는 헬리컬 통로부의 곡률 반경과 상관관계를 가진다. 이러한 상관 관계는 외측 모서리를 따라 벨트를 부드럽게 작동시키는 동시에 헬리컬 통로부내에서 벨트의 내측 모서리가 접혀지지 않게 되는 것을 보장한다.
제22도에서 알 수 있듯이, 헬리컬 이송 시스템은 직선 적재부(108), 헬리컬 통로부(112) 및 직선 배출부(109)를 구비하는 무단 컨베이어 벨트(10(10', 10a))를 포함한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알 수 있듯이, 벨트는 벨트의 내측 측모서리로 부터 외측 측모서리까지 연장된 다수의 횡로드(12)를 구비한다. 로드(12)는 헬리컬 통로부(112)에 있는 내측 측모서리와 인접한 단부 인근에서 가장 안쪽의 내측 링크(14)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제1도 및 제2도의 벨트(10)의 외측 모서리를 따라 링크(16, 17)과 로드(12)가 상호 연결됨으로써, 벨트가 직선 적재부(108)의 형상으로 부터 헬리컬 통로부(112)에서 원하는 곡률반경을 가지게 되는 곡선 형상으로 전이되는 동안 발생하는 거리의 증가를 수용하기 충분한 정도의 비교적 확장된 종방향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알 수 있듯이, 벨트는 인접 횡로드(12)에 서로 연결되고 인접한 가장 안쪽의 내측 또는 제1링크(14)의 바로 외측에 배치되는 가장 바깥쪽의 내측 또는 제3링크(15)를 또한 포함한다.
시스템은 내측열의 링크(14', 15')상에 인장을 주기 위한 마찰 구동 요소(제22도) 또는 요철식 구동 요소(제23도)를 수직 연장된 구동부재(제19도 내지 제20도)를 가진 벨트의 내측면상에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도시한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은 거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한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대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변화외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3)

  1. 벨트의 내측 및 외측 모서리 사이에서 벨트의 길이부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로드(12)와; 상기 로드의 내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벨트의 내측 모서리 부근에서 인접 로드를 서로 결합시키는 이격된 다리부(20)에 의해 U자형으로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제1링크(14)와; 상기 로드의 외측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벨트의 외측 모서리 부근에서 각각 인접 로드를 서로 결합시키는 다수의 제2링크(16 또는 17)을 구비하는 컨베이어 벨트(10)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14)의 외측에 바로 인접하게 다수의 연결기(15)가 배치되어 인접 로드를 서로 결합시키고, 상기 연결기와 상기 제1링크는 견인 부하하의 상기 벨트의 직선 이송운동중 상기 로드를 서로에 평행하게 유지시키며; 상기 벨트는 견인 부하하의 상기 벨트의 직선 운행중 상기 로드의 상기 내측 단부를 서로에 대해 제1피치로 유지하고 상기 벨트의 곡선운행중 상기 벨트의 상기 내측 단부를 서로에 대해 대략 제1피치로 유지하고 상기 벨트의 상기 곡선운행중 상기 로드의 상기 외측 단부를 보다 큰 제2피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연결기는 인접 로드를 서로 결합시키는 다수의 제3링크(15)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3. 제2항에 있어서, 직선 이송운동중 상기 제1 및 제3링크는 견인되는 반면에 상기 제2링크는 견인되지 않으며, 측방향 곡선 이송운동중 적어도 제1 또는 제3링크는 견인되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링크는 인접 로드의 내측 단부를 결합하는 대략 U자형 링크이며, 각각의 상기 U자형 링크는 대략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이격된 다리부(20)과 상기 이격된 다리부를 결합하는 연결부(22)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다리부는 상기 로드의 내측 단부를 수용하도록 관통된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5. 제1항에 있어서, 직선 적재부(108), 헬리컬 통로부(112) 및 직선 배출부(109)를 구비하는 시스템(100 또는 201)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가지며, 전향 기구(104, 110 또는 111) 둘레로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및 그 반대로 만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종방향 슬롯(35)를 구비하며, 상기 슬롯은 그 단부 부근의 로드를 수용하고 직선적인 상기 적재부(108) 및 상기 배출부(109)의 형상으로 부터 만곡된 상기 헬리컬 통로부(112)의 형상으로 전환될 때 상기 로드가 제1피치로 부터 제2피치로 원하는 이동을 할 수 있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인접쌍의 상기 로드를 수용하고 결합시키기 위한 구멍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바아 링크(1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8.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링크는 단부면이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이격되는 구멍(24 및 25)를 구비하며, 상기 구멍은 상기 로드의 횡단면 크기상의 두께에 비해 약간 더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직선 적재부(108), 헬리컬 통로부(112) 및 직선 배출부(109)를 형성하는 시스템(100 또는 201)에 배치되며, 상기 시스템(100 또는 201)은 상기 벨트가 상기 직선 적재부를 따르다가 이어서 상기 헬리컬 통로부를 따르도록 상기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102 또는 202)와; 상기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상기 직선부를 따라 상기 직선부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는, 상기 벨트를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및 그 반대로 만족시키기 위한 수단(104, 110 또는 111)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컬 통로부(112)는 다수의 적층된 벨트 인장기를 형성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링크(14)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인접쌍의 상기 로드(12) 사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링크(40)를 또한 구비하며, 상기 지지 링크는 상기 로드로부터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이격된 탭부(50)을 구비하여 상기 벨트의 중첩된 수직 인장기의 내측 모서리를 접촉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수단은 상기 시스템의 직선부를 따라 배치된 풀리(111)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직선 적재부(108), 헬리컬 통로부(112) 및 직선 배출부(109)를 형성하는 시스템(100 또는 201)에 배치되며, 상기 시스템(100 또는 201)은 상기 벨트가 상기 직선 적재부(108)을 따르다가 이어서 상기 헬리컬 통로부(112)를 따르도록 상기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102 또는 202)와; 상기 시스템의 상기 직선 형상부중 하나를 따라 이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는, 상기 벨트를 상기 직선 배출부로 부터 상기 직선 적재부로 직접 안내하기 위한 수단(104, 110 또는 111)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안내 수단은 풀리(111), 롤러(110), 스프라킷(104) 및 수직 현수 권취기구중 하나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안내 수단은 풀리(111)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안내 수단은 상기 벨트에 인장력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구동수단은 수직축 둘레로 회전되게 장착된 회전식 드럼수단(102 또는 202)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수단은 상기 벨트의 내측 측모서리 영역과 맞물리는 외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구동수단은 다수의 수직으로 연장된 구동부재(70)을 구비하는 내측 회전 케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구동수단은 비교적 낮은 인장력에 의해 상기 벨트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가 통과하는 구멍(34 및 35)를 구비하는 각각의 상기 제2링크는 제1 및 제2피치 사이에서 상기 로드의 외측 단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슬롯(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직선방향 및 단일방향의 측방향 곡선부 둘레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축방향 곡선부는 미리 정해진 골률반경에 따른 미리 정해진 최대곡률을 가지며; 상기 제1링크(14)와 상기 다수의 연결기(15)는 인접 로드의 내측 단부를 결합하는 U자형의 링크이자 내측 링크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는 외측 링크로서 형성되며; 상기 대략 U자형의 내측 링크(14 및 15)는 각각 연결부(22)에 의해 결합되는 한쌍의 다리부(20)을 구비하고 상기 다리부는 인접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24 및 25)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외측 링크(16 또는 17)은 인접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34 및 35)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링크(14 및 15)의 상기 다리부에 있는 구멍은 제1의 미리 정해진 종방향 간격을가지는 단부면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 링크에 있는 상기 구멍은 제2의 미리 정해진 간격을 가지는 단부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종방향 간격은 서로에 대해 및 미리 정해진 곡률반경에 대해 상호 연관됨으로써, 직선 이송운동시 상기 로드의 내측 단부가 제1피치로 유지되어지고 U자형 내측 링크(14 및 15)가 견인되는 반면에 외측 링크(16 또는 17)이 견인되지 않게 되고, 또한 측방향 곡선운동중 상기 로드의 내측 단부가 대략 제1피치로 유지되어지고 하나 이상의 상기 U자형 내측 링크(14 및 15)가 견인되어 유지되는 반면에 상기 로드의 외측 단부가 보다 큰 제2피치로 이동되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컨케이어 벨트.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링크는 인접쌍의 상기 로드를 수용하고 결합시키기 위한 구멍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바아 링크(1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22. 제2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U자형 내측 링크의 상기 연결부(22)는 상기 로드중 하나가 지지될 수 있는 가공 경화된 베어링면(1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 링크에 있는 구멍의 종방향으로 이격된 단부면 사이의 상관성에 의해, 하나 이상의 내측 링크가 견인되어 유지되고 상기 로드의 내측 단부가 대략 제1피치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최소량의 견인하중을 취하여 상기 벨트가 외측 링크와 함께 미리 정해진 최대곡률의 측방향 곡선부의 둘레를 운행할 때 상기 로드의 외측 단부가 상기 외측 링크의 구멍(34 및 35)에 있는 대향된 단부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24. 제23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곡률반경의 중심으로 부터 가장 바깥쪽 외측 링크까지의 거리에 대한 상기 외측 링크의 구멍 사이의 미리 정해진 간격의 비율은 미리 정해진 곡률반경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내측 링크의 가장 바깥쪽 다리부까지의 거리에 대한 상기 내측 링크의 구멍 사이의 미리 정해진 간격의 비율 보다 단지 약간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링크는 연결부(30)에 의해 결합되는 한쌍의 이격된 다리부(28)을 포함하는 대략 U자형부(16)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구멍(34 및 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26. 제20항에 있어서, 측방향 곡선부는 헬리컬 통로부를 포함하고 헬리컬 통로부에서 미리 정해진 곡률 반경에 따른 미리 정해진 최대 곡률을 가지며, 상기 벨트는 상기 벨트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 배치된 지지링크(40)을 또한 구비하며, 상기 지지 링크(40)은 한쌍의 상기 인접 로드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될 뿐아니라 상기 로드로 부터 떨어져 수직으로 연장되는 종방향부(48)과 상기 종방향부로 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탭부(50)을 구비하며, 상기 탭부는 상기 로드로 부터 미리 정해진 수직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벨트가 헬리컬 통로부를 따라 운행할 때 상기 벨트의 수직 이격된 인접 인장기의 내측 모서리를 접촉지지하며, 상기 지지 링크의 상기 종방향부는 인접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5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링크(40)은 한쌍의 U자형 내측 링크(14 및 15)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U자형 내측 링크의 상기 이격된 다리부(20)은 상기 지지 링크의 종방향부에 인접한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부는 상기 로드의 횡방향 연장부에 거의 수직하게 연장되어 지지 링크를 상기 로드에 대해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링크의 종방향부(48)은 상기 로드를 결합시키기 위한 상기 구멍(55)를 가진 하부(49)와 상기 하부로 부터 수직으로 및 횡으로 연장되는 상부(51)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는 하부로부터 각을 이루어 경사지고 인접 지지 링크의 상부가 서로 겹쳐질 정도의 종방향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링크는 연결부(30)에 의해 결합되는 한쌍의 이격된 다리부(28)을 포함하는 대략 U자형부(16)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구멍(34 및 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이송통로를 따라 상기 벨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02 또는 202)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100 또는 201)에 사용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벨트를 직선방향으로 및 단일방향의 측방향 곡선부 둘레로 정향시키며, 상기 측방향 곡선부는 벨트의 다수의 적층된 인장기를 형성하는 헬리컬부(112)를 포함하고 헬리컬부에서 미리 정해진 곡률반경에 따른 미리 정해진 최대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헬리컬부(112)에서 상기 벨트의 내측 모서리와 마찰식으로 맞물리는 회전구동부재(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헬리컬부(112)에서 상기 벨트의 내측 모서리와 요철식으로 맞물리는 회전구동부재(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링크는 연결부(30)에 의해 결합되는 한쌍의 이격된 다리부(28)을 포함하는 대략 U자형부(16)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구멍(34 및 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직선방향 및 단일방향의 측방향 곡선부 둘레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측방향 곡선부는 미리 정해진 곡률반경에 따른 미리 정해진 최대곡률을 가지며; 상기 제1링크와 상기 다수의 연결기(15)는 인접 로드의 내측 단부를 결합하는 내측 링크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는 외측 링크로서 형성되며; 상기 로드가 통과하는 구멍(34 및 35)를 구비하는 각각의 상기 외측 링크는 상기 로드의 외측 단부가 제1피치와 제2피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슬롯(35)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내측 링크는 인접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24 및 25)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링크에 있는 구멍은 상기 벨트가 직선 이송운동중 견인부하하에 놓여져 있을 때 상기 제1피치에서 대략 평행한 관계로 인접 로드를 정렬하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떨어져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14) 및 다수의 연결기(15)는 인접 로드의 내측 단부를 결합하는 대략 U자형의 링크이며, 각각의 상기 U자형 내측 링크는 대략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상의 이격된 다리부(20)과 상기 이격된 다리부를 결합하는 연결부(22)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다리부는 상기 로드의 내측단부를 수용하도록 관통된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링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인접쌍의 상기 로드 사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링크(4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링크(40)은 한쌍의 상기 인접 로드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될 뿐 아니라 상기 로드로 부터 떨어져 수직으로 연장되는 종방향부(48)과 상기 종방향부로 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탭부(50)을 구비하며, 상기 종방향부는 인접 로드가 통과하는 구멍(55)를 구비하며, 상기 탭부는 상기 로드로 부터 미리 정해진 수직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벨트가 헬리컬 이송 통로부를 따라 운행하도록 배치될 때 상기 벨트의 수직 이격된 인접 인장기의 내측 모서리를 접촉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및 다수의 연결기는 상기 지지 링크는 어느 한쪽 측면상에 배치되는 대략 U자형의 링크이며, 각각의 상기 U자형 링키는 대략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이격된 다리부(20)과 상기 이격된 다리부를 결합하는 연결부(22)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다리부는 상기 내측 링크를 통해 형성되는 상기 내측 링크의 상기 구멍(24 및 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내측 링크(14 및 15)의 상기 이격된 다리부(20)은 상기 지지 링크의 종방향부에 인접한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부는 상기 로드의 횡방향 연장부에 거의 수직하게 연장되어 지지 링크를 상기 로드에 대한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39. 제3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내측 링크는 상기 로드중 하나가 맞대어 지지될 수 있는 가공경화된 베어링면(1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4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링크 및 상기 외측 링크에 있는 상기 구멍은 서로에 대해 및 미리 정해진 곡률반경에 대해 상호 연관되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가짐으로써, 직선 이송운동시 상기 로드의 내측 단부가 제1피치로 유지되어지고 내측 링크가 견인되는 반면에 외측 링크가 견인되지 않게 되고, 또한 측방향 곡선운동중 상기 로드의 내측 단부가 대략 제1피치로 유지되어지고 하나 이상의 상기 내측 링크가 견인되어 유지되는 반면에 상기 로드의 외측 단부가 보다 큰 제2피치로 이동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 링크에 있는 구멍의 종방향으로 이격된 단부면 사이의 상관성에 의해, 하나 이상의 내측 링크가 견인되어 유지되고 상기 로드의 내측 단부가 대략 제1피치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최소량의 견인하중을 취하여 상기 벨트가 외측 링크와 함께 미리 정해진 최대곡률의 측방향 곡선부의 둘레를 운행할 때 상기 로드의 외측 단부가 상기 외측 링크의 구멍에 있는 대향된 단부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42. 제41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곡률반경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바깥쪽 외측 링크까지의 거리에 대한 상기 외측 링크의 구멍 사이의 미리 정해진 간격의 비율은 미리 정해진 곡률반경의 중심으로 부터 상기 내측 링크의 가장 바깥쪽 다리부까지의 거리에 대한 상기 내측 링크의 구멍 사이의 미리 정해진 간격의 비율보다 단지 약간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43.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이송통로를 따라 상기 벨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02 또는 202)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100 또는 201)에 사용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벨트를 직선방향으로 및 단일방향의 측방향 곡선부 둘레로 정향시키며, 상기 측방향 곡선부는 벨트의 다수의 적층된 인장기를 형성하는 헬리컬부(112)를 포함하고 헬리컬부에서 미리 정해진 곡률반경에 따른 미리 정해진 최대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시스템은 상기 내측 링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인저쌍의 상기 로드 사이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링크(4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링크(40)은 상기 로드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벨트의 중첩된 수직 인장기의 내측 모서리를 접촉지지하는 탭부(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헬리컬부(112)에서 상기 벨트의 내측 모서리와 마찰식으로 맞물리는 회전구동부재(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헬리컬부(112)에서 상기 벨트의 내측 모서리와 요철식으로 맞물리는 회전구동부재(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47. 제1항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제1링크(14) 또는 다수의 상기 연결기(15)중 하나를 구성하는 가공 경화부 링크로서, 2개의 다리부(20)과; 각각의 상기 2개의 가이부에 결합되는 연결부(22)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 및 각각의 상기 2개의 다리부는 대략 U자형의 링크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부는 제1두께부(T1)와 제2의 감소된 두께부(T2)를 포함하며, 상기 감소된 두께부는 상기 로드중 하나가 지지될 수 있는 표면을 가지는 압축된 가공 경화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48항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제1링크(14) 또는 다수의 상기 연결기(15)중 하나를 구성하는 가공 경화부 링크.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경화부 링크는 견인 부하를 취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각의 상기 다리부는 컨베이어 벨트의 상기 로드중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경화부 링크.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베어링면(126)은 상기 로드(12)중 하나가 상기 베어링면에 맞대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로드(12)와 대략 같은 곡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경화부 링크.
  50.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2)의 제2의 감소된 두께부(T2)는 최대 감소시점에서 제1두께부(T1)의 90% 이상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경화부 링크.
  51. 제4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가공 경화부 링크는 단일의 일체로 된 U자형 링크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경화부 링크.
  52.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2)는 상기 로드중 하나가 지지될 수 있는 상기 표면에 대향된 거의 평탄한 외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경화부 링크.
  53. 제4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다리부 외측 발산부(44)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경화부 링크.
  54. 제5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다리부는 연결부(22)와 외향 발산부(44) 사이에 배치되고 연결된 부에 있는 감소 두께부(T2)에 맞대어 지지될 수 있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로드중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25)을 구비하는 내측부(42)와; 외향 발산부로 부터 연장되고 인접 도드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24)를 구비하는 외측부(46)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경화부 링크.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46)은 상기 내측부(42)에 대략 평행하며, 상기 외향 발산부(44)는 대략 평행한 다리부의 내측부와 외측부 사이에서 단일의 오프셋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경화부 링크.
  56. 제5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다리부는 상기 연결부(22)와 외향 발산부(44) 사이에 배치되고 연결부로 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내측부(42)와; 외향 발산부(44)로부터 내측부(42)에 대해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경화부 링크.
  57. 제56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다리부의 각각의 상기 내측부(42)는 연결부의 가공 경화부에 맞대어 배치되는 컨베이어 벨트의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25)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다리부의 외측부(46)은 컨베이어 벨트의 인접 로드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경화부 링크.
  58. 제1항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벨트에 구비되는 지지링크(40)로서, 하나 이상의 상기 로드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횡방향 개구수단(55)를 포함하는 하측부(49) 및 상측부(51)을 구비한 대략 직립된 종방향부(48)과; 상기 상측부로 부터 반대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지지탭부(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링크.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부는 종방향을 따라 상기 상측부 보다 좁아지게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링크.
  60.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수단(55)는 제1 및 제2로드를 위한 제1 및 제2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링크.
  61.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탭부는 종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링크.
  62.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51)은 상기 제1 및 제2탭부 사이에 배치되는 슬롯(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링크.
  63.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51)은 상기 하측부로 부터 각을 이루어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링크.
  64.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51)은 상기 하측부로부터 약 4도 만큼 각을 이루어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링크.
  65.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부(48)은 상기 상측부(51)로부터 상기 하측부(49)까지 아래로 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링크.
  66. 제58항에 따른 지지링크(40)을 구비하는 컨베이어 벨트로서, 상기 지지 링크(40)은 상기 제1링(14) 및 상기 다수의 연결기(15)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한쌍의 상기 인접 로드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링크(40)의 상기 종방향부(48)은 상기 인접 로드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될 뿐 아니라 상기 로드로 부터 떨어져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탭부(50)은 상기로 로드로 부터 미리 정해진 수직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밸트(10)이 헬리컬 이송 통로부를 따라 운행할 때 상기 벨트(10)의 수직 이격된 인접 인장기의 내측 모서리를 접촉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다수의 연결기는 상기 지지 링크의 각각의 하나의 일측면상에 배치된 U자형 링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링크는 대략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이격된 다리부(20)과 상기 이격된 다리부를 결합하는 연결부(22)를 구비하며, 상기 U자형 내측 링크의 상기 이격된 다리부(20)은 상기 지지 링크(40)의 종방향부에 인접한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부는 상기 로드의 횡방향 연장부에 거의 수직하게 연장되어 지지링크를 상기 로드에 대해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6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부는 인접한 지지 링크의 상측부가 서로 중첩될 수 있을 정도의 종방향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링크.
  7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단일 방향으로 측방향 곡선부 둘레를 운행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제1링크(14) 및 상기 다수의 연결기(15)는 대략 벨트의 모서리를 따라 배치되고 벨트의 거의 모든 운동중 상기 로드의 제1횡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24 및 15)를 구비하는 다수의 단일 피치 링크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제2링크는 대략 벨트의 외측 모서리를 따라 배치되고 제1 및 제2위치 사이를 선회운동할 수 있는 다수의 이중 피치 링크(16a)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이중 피치 링크의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로드의 제2횡단부는 제1피치로 배치되고 상기 이중 피치 링크의 상기 제2위치에서 상기 로드의 제2횡단부는 제2피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71. 제7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이중 피치 링크(16a)는 이중 피치 링크가 그 둘레를 선회할 수 있는 피봇 구멍(200)과 피치 변환 슬롯(220)를 구비한 몸체(180)을 포함하며, 하나의 상기 로드의 상기 제2횡단부는 상기 피봇 구멍(200)내에 수용되고 상기 하나의 로드에 인접한 하나의 로드의 제2횡단부는 상기 피치 변환 슬롯(220)내에 활주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피치 변환 슬롯은 상기 로드가 제1피치로 이격될 때 상기 인접한 하나의 로드의 제2횡단부가 수용되는 제1피치부와 상기 로드가 제2피치로 이격될 때 상기 인접한 하나의 로드의 제2횡단부가 수용되는 제2피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72.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이중 피치 링크를 선회시키기 위한 수단(340 및 380)을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수단은 상기 이중 피치 링크에 맞물리는 캠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KR1019880010241A 1987-08-10 1988-08-10 컨베이어 벨트 KR970011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27287A 1987-08-10 1987-08-10
US083,272 1987-08-10
US07/171,390 US4867301A (en) 1987-08-10 1988-03-21 Conveyor belt and system for single direction lateral curved travel
US171,390 1988-03-21
US213,172 1988-06-29
US07/213,171 US4951807A (en) 1987-08-10 1988-06-29 Non-collapsing inside edge conveyor belt with dual pitch links
US213,171 1988-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607A KR890003607A (ko) 1989-04-15
KR970011925B1 true KR970011925B1 (ko) 1997-07-18

Family

ID=2737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241A KR970011925B1 (ko) 1987-08-10 1988-08-10 컨베이어 벨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303457B1 (ko)
JP (1) JPH0767963B2 (ko)
KR (1) KR970011925B1 (ko)
AT (1) ATE103567T1 (ko)
CA (1) CA1296671C (ko)
DE (1) DE3888753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411B1 (ko) * 2003-07-17 2012-05-11 애슈워쓰 브라더스, 인코포레이티드 연결링크, 컨베이어벨트 및 이를 갖춘 이송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5465A (en) * 1987-08-10 1990-09-11 Ashworth Bros., Inc. Endless flexible conveyor belt and stacker plates therefor
US4982833A (en) * 1987-08-10 1991-01-08 Ashworth Bros., Inc. Exit rail assembly for helical conveyor belts
DE4015118A1 (de) * 1990-05-11 1991-11-14 Jonge Poerink Bv Foerderband
US5183149A (en) * 1991-09-11 1993-02-02 Frigoscandia Food Process Systems Ab Belt conveyor system
FR2684650B1 (fr) * 1991-12-09 1994-03-18 Frigofrance Perfectionnement au tapis du type a mouvement giratoire, pour installation de traitement de produits.
CA2114444C (en) * 1993-02-11 2001-06-05 Bruno Weber Conveying system with conveyor chains
JPH0683617U (ja) * 1993-05-19 1994-11-29 株式会社フジテツモーテクニカルサービス ネットコンベヤ用ベルト
US7073662B2 (en) * 2004-02-20 2006-07-11 Ashworth Bros., Inc. Conveyor belt and method of assembly
SE535298C2 (sv) * 2010-12-21 2012-06-19 John Bean Technologies Ab Förbättrat sidoplattelement för ett länkorgan i ett självstaplande ändlöst transportband
US8899409B2 (en) 2012-06-13 2014-12-02 Ashworth Bros., Inc. Conveyor belt link having wear resistant portion
WO2015073191A1 (en) * 2013-11-12 2015-05-21 Transnorm System, Inc. Slat for a conveyor
CN107830111A (zh) * 2017-12-22 2018-03-23 化州市新海水产有限公司 一种网状传送带的连接件
CN109573145A (zh) * 2019-01-24 2019-04-05 四川金仕达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转弯链式输蛋设备
CN110145261A (zh) * 2019-05-29 2019-08-20 路运胜 一种油田现场油管运输装置及运装方法
CN115644479A (zh) * 2022-10-31 2023-01-31 佛山市立高食品有限公司 自动化冻果打散及输送设备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5898A (en) * 1964-02-26 1965-12-28 Ashworth Bros Inc Collapsible conveyor belt
SE381241B (sv) * 1973-03-07 1975-12-01 Frigoscandia Contracting Ab Transportanordning med ett endlost transportband vilket er anordnat att till en del av sin lengd folja en bana bestaende av ett antal over varandra belegna skruvformigt forlopande varv
US4036352A (en) * 1975-07-30 1977-07-19 Alto Corporation Endless conveyor
US4078655A (en) * 1977-02-25 1978-03-14 Ashworth Bros., Inc. Small radius conveyor belt and conveying system
SE437008B (sv) * 1982-11-26 1985-02-04 Frigoscandia Contracting Ab Transportband
NL8500342A (nl) * 1985-02-07 1986-09-01 Willibrordus Kaak Stephanus Kettingtransporte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411B1 (ko) * 2003-07-17 2012-05-11 애슈워쓰 브라더스, 인코포레이티드 연결링크, 컨베이어벨트 및 이를 갖춘 이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607A (ko) 1989-04-15
JPH0767963B2 (ja) 1995-07-26
DE3888753D1 (de) 1994-05-05
EP0303457A1 (en) 1989-02-15
ATE103567T1 (de) 1994-04-15
DE3888753T2 (de) 1994-07-14
CA1296671C (en) 1992-03-03
JPH01139409A (ja) 1989-05-31
EP0303457B1 (en) 1994-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925B1 (ko) 컨베이어 벨트
US4867301A (en) Conveyor belt and system for single direction lateral curved travel
US4078655A (en) Small radius conveyor belt and conveying system
KR900000736B1 (ko) 적극 구동 나선형 컨베이어 시스템
US5501319A (en) Conveyor belt with asymmetric edge links
US4358010A (en) Conveyor
US3854575A (en) Conveyor belt system
US4951807A (en) Non-collapsing inside edge conveyor belt with dual pitch links
US7562761B2 (en) Slat driven positive displacement sorter
US4932925A (en) Link having a work-hardened area
CA1207272A (en) Storing installation for carrying a number of piled helically extending turns of an endless conveyor belt
US3682295A (en) Edge driven conveyor system
JP2721914B2 (ja) 横方向への屈曲性を有するコンベヤベルト
US4036352A (en) Endless conveyor
US5141102A (en) Conveyor belt and system with a non-collapsing inside edge
US20080023303A1 (en) Modular link or link section for use in forming a rodless conveyor belt
MXPA01006898A (es) Transportador de rodillo accionado por banda.
US5303817A (en) Drive system for modular link conveyor belts
CN107438573A (zh) 具有传送带的输送系统
US20030047427A1 (en) Conveyor chain link having movable gripper and conveyor system utilizing same
US3946857A (en) Conveyor belt system including straight line and curved sections
ES2409555T3 (es) Cintas transportadoras y de transmisión
US4940133A (en) Conveyor belt and system with a non-collapsing inside edge
JP2002500144A (ja) 湾曲したコンベヤー
US3265193A (en) Endless chain convey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