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477B1 - 자동차용 비틀림 감쇠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비틀림 감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477B1
KR970011477B1 KR1019880010406A KR880010406A KR970011477B1 KR 970011477 B1 KR970011477 B1 KR 970011477B1 KR 1019880010406 A KR1019880010406 A KR 1019880010406A KR 880010406 A KR880010406 A KR 880010406A KR 970011477 B1 KR970011477 B1 KR 970011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phase ring
circumferential direction
pads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411A (ko
Inventor
바쉐르 미쉘
어니스뜨 비오나즈 쟝
Original Assignee
발레오
마끄 르메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마끄 르메허 filed Critical 발레오
Publication of KR890005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64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elastic elements arranged between substantially-radial walls of both coupling parts
    • F16D3/66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elastic elements arranged between substantially-radial walls of both coupling parts the elements being metallic, e.g. in the form of co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3Wound springs
    • F16F15/1232Wound springs characterised by the spring mounting
    • F16F15/12346Set of springs, e.g. springs within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 F16F15/123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2045/0273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 friction surface of the lock-up clutch
    • F16H2045/0294Single disk type lock-up clutch, i.e. using a single disc engaged between fric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비틀림 감쇠장치
제1도는 유체 커플링 장치내에 들어있는 로킹 클러치의 제 2 도의 절선(I - I)에 따라 취한 축방향 단면도.
제2도는 정지상태에 있는 로킹 클러치의 제 1 도의 절선(II-II)에 취한 부분정면 단면도.
제3도는 제 2 도의 선(III-III)에 따라 취한 또다른 축방향 부분단면도.
제4도는 제 2 도와 유사한 도면으로 작동상태에 있는 로킹 클러치의 부분정면, 단면도.
제5도는 로킹 클러치의 동작을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로킹 클러치11 : 유체 커플링 장치
12 : 하우징13 : 드러스트 휠
14 : 터빈휠15 : 샤프트
17 : 슬리브20 : 링
21 : 암24 : 러그
26 : 숄더32 : 버클
37 : 안내링61 : 보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원주방향으로 탄성장치에 맞대어 서로 회전할수 있게 장착된 2개의 동축부분들로 구성되어 있는 비틀림감쇠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 말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탄성장치들 중의 적어도 일부가 직렬장착이 이루어져 효과적으로 서로 작동하여, 비용감소 및 중량감소가 이루어져서, 상대적으로 높은 전달 토크를 위한 상대적으로 큰 각변위를 얻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링(이하 "위상링")이 구성되고, 상기 위상링은 위상링의 원주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적어도 하나의 암(arm)이 구성되고, 상기 암은 두 개의 탄성장치 사이에 삽입되고, 반경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돌출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종류의 비틀림감쇠장치는 자동 또는 반자동변속기가 달린 자동차에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유체 커플링장치 내에 들어가는 통상적으로 "록-업(lock up)"이라고 하는 로킹 클러치에 사용된다.
프랑스 특허출원 제2,518,202호의 대상이 되는 로킹 클러치가 그 예이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탄성장치는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자유로이 회전하는 위상링은 제 1 그룹의 각 탄성장치의 응력을 또 다른 그룹의 탄성장치에 전달함으로써 이러한 탄성장치들의 직렬장착이 보장된다. 그 외에도 작동중에 위상링은 탄성장치가 받는 원심력을 또한 받게된다.
탄성장치들이 일정하게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모두 동일한 원심력을 받으며, 동일한 드러스트 하중을 발생하는 경우에 이에 해당하는 반경방향 하중의 합력은 0이 되며, 완전히 평형으로된 위상링은 반경방향 변위를 발생하지 아니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러한 경우는 매우 드물며, 반경방향 하중의 합력은 0이 되지 아니하기 때문에 위상링은 어느 정도 반경방향 변위를 발생하게 된다.
조립품의 작동이 상기 반경방향 변위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조립품의 축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유지시키는 지지장치를 위상링에 결합시켜야 한다.
동축부분중 하나에는 버클(이하 "허브 버클"이라 한다)이 포함되어 있고, 다른 일부에는 허브 버클의 양측에 버클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배치되어 있고, 고정장치에 의하여 서로 연동되는 2개의 링(이하 "안내링"이라 한다)이 포함되어 있다. 프랑스 특허출원 제2,518,202호에서는 위상링이 이러한 안내링에 의하여 방사상으로 유지되고, 이 안내링들이 위상링의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연속되는 일종의 박스를 형성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이로 인하여 이러한 안내링중 적어도 하나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속되는 축방향벽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조립품의 비용을 증대시킨다.
그외에도 이와 같은 안내링들은 탄성장치를 지지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이를 금속링으로 하여야 하며, 위상링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위상링과 안내링 사이의 접촉은 필연적으로 금속과 금속의 접촉이 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접촉은 먼저 금속을 마모시키고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금속끼리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단점을 제거하고, 여러 가지의 장점을 가진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더 상세히 말하면 본 발명은 무엇보다도 위상링의 유지수단이 서로 둥글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축부분 중 하나의 개별적으로 고정되는 다수의 패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한 비틀림감쇠장치를 제공하는 것으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비틀림감쇠장치용의 로킹 클러치와 이에 대응하는 유체 커플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틀림감쇠장치를 작동시키는 로킹 클러치(굵은 선으로 도시한)는 유체 커플링장치(11)(가는 선으로 도시한)에 장비하게 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차용 유체 커플링 장치(11)는 실제로는 자동차의 엔진과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 이 경우에는 출력샤프트 또는 크랭크 샤프트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2)내에 이 하우징(12)과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드러스트 휠(13), 제 2 샤프트(15), 실제로는 자동차의 기어박스 입력샤프트와 회전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터빈휠(14) 및 통상적으로 이러한 입력샤프트를 둘러싸는 고정슬리브(17)에 의하여 지지되고 공지된 방법으로 자유휠이 삽입되어 있는 스테이터휠(16)로 구성되어 있는 하나의 토크변환기이다.
로킹 클러치(10)는 공지된 방법으로 터빈휠(14)과 이와 마주하는 하우징(12)의 가로격벽(18) 사이에 끼어져 있다.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에 맞대어 서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는 2개의 동축부분(A, B)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탄성장치중 적어도 일부를 직렬로 장착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상링(20)이 달려있는 비틀림감쇠장치는 공지된 방법으로 사용되며, 이 위상링(20)은 조립품의 축둘레에 환상으로 뻗어있고,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2개의 탄성장치(19)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주암(21)이 방사상으로 돌출하여 제공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가 모두 6개로 되어 있고 조립품의 공통의 피치원(pitch circle)에 따라 조립품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러한 탄성장치들은 전체적으로 2개의 그룹, 즉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3개의 탄성장치(19-1)로 구성되는 제 1 그룹과 원주방향으로 하는 3개의 탄성장치(19-2)로 구성되는 2제 2 그룹이 서로 교대로 나누어져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탄성장치들이 속하여 있는 그룹을 명시할 필요가 없는 때문에 이를 간단히 참조기호(19)로 표시한다.
원주방향으로 작용을 하는 이러한 탄성장치들은 탄성장치들이 위치하는 원주에 대하여 거의 접선방향으로 뻗어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각 탄성장치에 서로 동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2개의 플랜지가 달린 스프링(22, 23)이 형성되어 있다.
위상링(20)에는 방사상으로 돌출하여 있는 3개의 원주암(21)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원주암(21)은 각각 원주에 따라 제 1 그룹의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1)와 제 2 그룹의 원주방향으로 작용하고 대응하는 탄성장치(19-2)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위상링(20)의 원주암(21)은 위상링의 내측주변에 방사상으로 돌출하여 뻗어있고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장치를 멈추게 하기 위하여 각 원주암(21)에는 그 단부에 원주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여 있는 2개의 러그(24)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성에 따라 위상링(20)에는 그 외측주변에 다음에 설명하는 이유로 요홈부(25)가 제공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위상링(20)에는 원주방향에 따라 이러한 요홈부(25)의 범위를 한정하는 방사상측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 1 세트의 숄더(26T, 26R)가 방사상으로 제공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의한 구성에 따라 위상링(20)에는 그 내측주변에 다음에 설명하는 이유로 요홈부(28)가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요홈부(28)들은 원주암(21)과 동수로 각각 암 사이에 뻗어 있고, 이로 인하여 각 요홈부(28)의 범위를 원주방향에 따라 한정하는 방사상측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 2 세트의 방사상 숄더(29T, 29R)가 방사상으로 제공되어 있다.
실제로 요홈(25)의 수는 요홈부(28)의 수와 동일하며, 이 요홈부들은 서로 교대로 뻗어 있다. 방사상숄더(26T, 29T)는 2개씩 짝을 지어 있기 때문에 원주방향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여 있고 전술한 숄더(26R, 29R)의 경우에도 또한 같다.
위상링(20)은 그 주변에 이러한 요홈부(25, 28)가 둥글게 교대로 존재하기 때문에 원주방향에 따라 지그재그의 외관을 보인다.
실제로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요홈부(25, 28)의 저부(30, 31)는 원주에 따라 동일한 직경으로 뻗어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로킹 클러치(10)내에 사용되는 비틀림감쇠장치의 동축부분(A)에는 버클(32)(여기에서는 허브 버클이라 한다)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허브 버클(32)은 위상링(20)과 마찬가지로 조립품의 축둘레에 환상으로 뻗어있고 그 내측주변에는 예를 들면 도시한 바와 같이 홈에 장착되어 있어서 터빈 휠(14)의 허브(34)상에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되는 허브를 형성하는 플랜지(32)가 축방향에 따라 돌출하여 있다.
허브 버클(32)에는 그 외주변에 암(35)이 방사상으로 돌출하여 있고, 위상링(20)의 원주암(21)과 동수의 이 암(35)은 위상링의 원주암(21)과 교대로 둥글게 배치되어 있고 위상링의 원주암(21)과 마찬가지로 제 1 그룹의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1)와 제 2 그룹의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2) 사이에 원주방향에 따라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암(35)은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링(20)의 요홈부(28)쪽으로 뻗어있고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각 암(35)에는 그 단부에 2개의 러그(36T, 36R)가 제공되어 있다.
이 러그(36T, 36R)는 위상링(20)의 방사상숄더(29T, 29R)과 동일한 수준으로 방사상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원주방향에 따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즉 러그(36T)는 숄더(29T)의 방향으로 러그(36R)는 숄더(29R)의 방향으로 향하여 있다.
이 암(35)은 위상링(20)의 원주암(21)과 각각의 위치설정이 이루어지더라도 허브 버클(32)은 그 전체가 위상링(20)의 내측으로 방사상방향에 따라 뻗어있다.
다시 말하면 위상링은 그 전체가 허브 버클(32)을 너머 방사상으로 뻗어있다.
경제적 이유로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상링(20)과 허브 버클(32)은 축방향에 따라 동일한 블랭크(blank)가 될 수 있도록 동일한 두께(E)를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는 각각 개별적으로 위상링(20)의 원주암(21)과 허브 버클(32)의 암(35) 사이에 뻗어있다.
본 발명에 의한 로킹 클러치(10)를 이용하는 비틀림감쇠장치의 동축부분(B)에는 2개의 링(36, 37')(여기에서는 "안내링"이라 한다)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안내링(37, 37')들은 각각 허브 버클(32)의 양측에 허브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허브 버클(32)과 같이 조립품의 축둘레에 환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고착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동된다.
무엇보다도 먼저 이러한 안내링(37, 37')의 외주면 가까이에 위상링(20) 너머로 방사상으로 뻗어있는 고정구(39)가 구성되어 있다.
그 다음에는 허브 버클(32)의 우측으로 안내링(37. 37')의 내주면 가까이에 뻗어있고 이러한 목적으로 허브 버클내에 원형섹터로 제공되어 있는 슬롯(41)을 위하여 이 허브 버클(32)을 축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고정구(40)가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거의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그 단부에서 안내링(37, 37')에 리벳(rivet)으로 고정되고 가로숄더에 의하여 이러한 안내링(37, 37')에 대한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원형가로윤곽의 슬리브의 관계되어 있다.
실제에 있어서 고착부재(39)에 관련된 가로숄더들을 서로 분리시키는 거리(E')와 이에 따라 이 고정구(39) 수준에서 안내링(37, 37')에 부과된 간격은 위상링(20)과 안내링(37, 37')과 허브 버클(32)의 축방향 두께(E)보다 약간 크다.
또한 고정구(40)의 대응 숄더들을 서로 분리시키는 거리(E")와 이에 따른 이 고정구(40) 수준에서 안내링(37, 37') 사이의 간격은 전술한 거리(E')보다 훨신 크다.
한편으로는 허브 버클(32)의 제 1 측면에는 이 허브 버클(32)과 대응 안내링(37, 37'), 특히 안내링(37) 사이에 축방향으로 삽입된 마찰링(42)과 다른 한편으로는 허브 버클(32)의 다른 측면에는 허브 버클(32)과 안내링(37, 37') 중 다른 하나, 즉 안내링(37') 사이에 축방향으로 삽입된 제 2 마찰링(42)과 축방향작용을 하는 탄성링(43)은 실제로 벨리빌와셔(Belleville washer) 또는 주름구조 스프링와셔(corrugated spring washer)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비틀림감쇠장치는 로킹클러치(10) 내에 사용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피스톤내부에 끼워넣을 수 있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2)의 가로격벽(18)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링(37)이 이러한 피스톤을 형성하도록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내링(37)은 씰링이 이루어지도록 그 내주변에는 이러한 목적으로 터빈 휠(14)의 허브(34)에 제공되어 슬라이딩식으로 조립하더라도 씰링(sealing)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환상홈속에 배치된 씰링(sealing) 조인트(45)와 상기허브(34) 상에서 슬라이딩을 할 수 있게 맞물리게 하는 슬리브(44)가 축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다.
피스톤을 형성하는 안내링(37)에도 안내링의 강도(strength)를 강화하기 위하여 그 외주변에 축방향 플랜지(47)를 구성가능하다.
이 안내링(37)은 공지된 방법으로 마찰에 의하여 하우징(12)의 가로격벽(18)과 연동회전하게 되어 있다.
안내링에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그 외주변 가까이에 그 면중 가로격벽(18)쪽으로 향한 면에 마찰링(48)이 제공되어 있다.
안내링(37')에는 방사상으로 안내링(37)보다 작은 연장부가 있다.
도면에 의하면 이 안내링(37')에는 안내링(37')의 강도를 강화하기 위하여 그 내, 외주변에 각각 플랜지(49, 50)를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제공할 수 있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러한 플랜지(49, 50)가 축방향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여 있고 안내링(37')의 외주변에 제공된 플랜지(50)는 하우징(12)의 가로격벽(18)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향하여 있다.
안내링(37, 37')은 공지된 방법으로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 상에서 원주방향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이를 위하여 지지물이 제공되어 있다.
안내링(37)에 있어서는 스터드(52)가 구성상 중요한데, 도시한 바와 같이 허브 버클(32)의 암(35)의 오른쪽으로 이 안내링(37)에 나사등으로 죄어 붙여지고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를 한쌍씩 둘러싸기 때문이다.
이러한 스터드(52)는 전체적으로 암(35)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스터드(52)에는 2개의 지지면(52T, 52R)이,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1)의 원주단부에 제공되어 있고 허브 버클(32)의 암(35)과 접촉하는 지지면(52T)과 반대되는 원주단부에 제공되어 있고 원주방향으로 작용하고 대응하는 탄성장치(19-2)의 암(35)과 접촉하는 지지면(52R)이 제공되어 있다.
이 스터드(52)에는 그 이외에도 스프링들을 방사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러그도 제공되어 있다.
제 3 도에 도시한 포트(54)에 의하여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상에 맞물리는 안내링(37')용으로 대응지지물이 거의 방사상으로 이 포트(54)의 원주단부를 형성하는 여러면들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일변형에 있어서는 이러한 안내링(37')도 씰링이 이루어지도록 여기에도 안내링(37)의 스터드(52)와 동일한 스터드를 제공할 수 있다.
조립품이 정지하여 있을 때에는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용의 안내링(37, 37')을 포함하는 지지물은 서로 대응하여 공동으로 허브 버클(32)의 암(35)을 형성하는 지지물과 일렬로 배열된다.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 너머에까지 방사상까지 뻗어있는 위상링(20)에는 조립품의 축에 대하여 이를 방사상으로 유지하는 장치와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이러한 유지장치들은 서로 원형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동축부분(A, B) 중 해당부분과 개별적으로 연동되는 다수의 패드(55)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패드들은 실제로 합성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동축부분(B)과 연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되는 패드(55)는 이 동축부분(B)과 연동하기 위하여 개별적으로 동축부분(B)을 구성하는 안내링(37, 37')을 연결시키는 고정구(39)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어 있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패드(55) 중 적어도 하나, 실제로는 각 패드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원형배치된 2개의 고정구(39), 실제로는 서로 인접한 2개의 고정구와 결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패드(55)는 이와 같은 고정구(39)와 결합될 수 있도록 각 고정구용 천공(56)에 의하여 이 고정구(39)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패드(55)는 2개의 안내링(37, 37') 사이에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패드(55)의 두께(E")는 고정구(39)의 가로솔더들을 서로 분리시키는 거리만큼 상·하가 동일하지만 위상링(20)과 안내링(37, 37') 사이의 접촉을 피할 수 있도록 안내링(20)의 두께보다는 약간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제로는 조립품의 직경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여기에서 사용하는 패드(56)는 각각 위상링(20)의 요홈부(25)쪽으로 방사상 방향에 따라 뻗어있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패드의 수는 이러한 위상링(20)의 요홈부(25)의 수와 동일하다.
더 상세히 말하면,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위상링(20)의 요홈부(25) 별로 2개의 패드(55)가 있다.
그외에도 패드(55)는 위상링(20)의 요홈부(25) 내에 방사상으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그중 적어도 하나 실제로는 각 패드에 그 단부에 방사상으로 숄더(58T, 58R)가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숄더(58T, 58R)들을 실제로는 그 단부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이 안내링(20)의 숄더(26T, 26R)와 동일한 수준으로 이 패드(55)가 위상링(20)을 지지하면서 원주 방향에 따라 함께 작동이 가능하게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실제로 본 발명에 의하여 이용하는 패드(55)는 안내링(20)의 외주변에서 즉 직경이 더 큰 그 주변에서 안내링(20)의 면에 방사상으로 지지되어 있다. 더 상세히 말하면 패드(55)들은 이러한 면중 패드들이 그 안에서 방사상으로 맞물려 있는 요홈(25)의 저부(30)에 의하여 형성되는 부분에 지지되어 있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패드들은 그 원주 연장부가 패드의 고유한 원주연장부분보다 더 작은 단일지지구역(60)에 의하여서만 위상링(20) 상에 방사상으로 지지되며, 이러한 단일지지구역은 이를 위하여 대응 방사상연단의 중간구역내에 이 방사상연단상에 돌출하여 있는 보스(61)의 표면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링(20)의 대응암(21) 오른쪽으로 고정구(39) 사이에 원주 방향에 따라 뻗어있다.
제 1 도 내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품이 정지하여 있는 때에는 한편으로는 위상링(20)의 방사상숄더(26T)와 다른 한편으로는 이 위상링(20)의 관련요홈부(25)내에 방사상으로 맞물려 있는 패드(55)의 방사상 대응숄더(58T) 사이의 원주거리(D1)는 각 방향으로 측정한 결과 한편으로는 위상링(20)의 방사상숄더(29T)와 다른 한편으로는 허브 버클(32)의 관련암(35)의 자유러그(36T)의 자유단부(제 2 도) 사이의 원주거리(D2)와 거의 동일하다.
가동중인 조립품의 정상적 회전방향은 제 2 도의 화살표(F1)로 표시한 방향이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로킹 클러치(10)를 구성하는 동축부분(A, B) 사이로 전개되는 상대적 각 클리언스내에서 주어진 동축부분(A)과 허브 버클(32)은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가동중인 때에는 동축부분(B)이 동축부분(A)을 끌어당기는 경향이 있는 일반적으로 "드로윙(drawing)"이라고 하는 동작방식에 있어서는 동축부분(B)은 단일부분인 것처럼 제 2 도에 도시하나 화살표(F1) 방향에 따라 조립품의 축둘레를 회전한다.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는 전술한 회전방향으로 바로 하류에 제공되어 있는 제 1 그룹의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1)에 대하여는 안내링(37)의 지지면(52T)과 안내링(37')의 포트지지면에 의하여 안내링(37)의 스터드(52)의 영향하에 직접으로 또는 문제가 되는 회전방향으로 더 하류에 제공되어 있는 제 2 그룹으로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2)에 대하여는 위상링(20)의 암(21)의 작용하에 간접적으로 점점 압착된다. 이때 조립품의 축둘레를 자유로이 회전하는 위상링(20)은 제 1 그룹의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1)에 의하여 회전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받는다.
동축부분(A)에 대한 동축부분(B)의 이와같은 상대회전은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거리(D1)가 흡수될 때까지 계속되며, 패드(55)는 그 방사상숄더(58T)에 의하여 위상링(20)에 대응하는 방사성숄더(26T)에 맞대어 지지된다.
전술한 바에 의하여 각거리(D2)도 위상링(20)이 그 방사상숄더(29T)에 의하여 원주방향으로 허브 버클(32)의 암(35)의 대응러그(36T)상에 지지되도록 흡수됨을 알 수 있다.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는 동시에 회로가 차단됨으로 허브 버클(32)이 패드(55)에 의하여 위상링(20)쪽으로 상향이동함으로써 과토크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동축부분(A)도 동축부분(B)에 의하여 상향이동된다.
상기 이동이 발생할 때,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를 구성하는 플랜지달린 스프링들이 접합나선을 이루지 못하고 고정부(40)가 가로지르는 슬롯(41)의 대응 원주단부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머무르도록 본 발명에 의한 패드(55)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가로좌표에는 동축부분(A, B) 사이의 각 클리어런스들이 표시되고 세로좌표에는 동축부분(A, B) 중 하나에서 다른 것으로 전달되는 토크(C)가 표시된 제 5 도에 있어서, 이러한 조작은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 전체의 경사도에 비례한 경사를 가지는 단순직선(I)으로 표시되어 있다.
전달되는 토크가 반전된 경우에 조작이 통상적으로 "하향이동"이라고 하는 조작으로 바뀌어 안내되는 동축부분(A)이 반대로 안내하는 동축부분(B)을 끌어당기게 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것과 반대의 과정이 행하여지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마찰로 인하여 생기는 "이력현상(hysteresis)"의 효과를 참작하지 아니하였으며, 이러한 이력현상은 공지된 바와 같이 각 클리어런스(D)의 값이 동일한 때에는 드로윙 조작시 전달되는 토크의 값에 대하여 하향이동 조작시 전달되는 토크의 값을 차이가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원주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장치(19)의 작동에 대해 상대회전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장착되는 두 개의 동축부분(A, B)으로 구성되고, 서로 직렬로 작동가능하도록 상기 탄성장치(19) 중의 적어도 일부가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위상링(20)은 두 개의 상기 탄성장치(19-1, 19-2)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구성되고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35)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상링(20)이 조립품의 축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위상링(20)과 연결되고 지지장치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비틀림감쇠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복수개의 패드(55)로 구성되고, 상기 패드(55)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패드(55)들은 상기 동축부분(A, B)에 개별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패드(55)는 위상링(20)의 외측 주변부에서 위상링(20)의 표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틀림감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55)가 합성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틀림감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55)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가 이루어지고 결합상태를 이루는 단일영역을 통해서만 위상링(20)과 결합하고, 상기 단일영역의 원주방향 크기는 패드(55)의 전체 원주방향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틀림감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55)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반경방향의 숄더(58T, 58R)로 구성되고, 상기 숄더(58T, 58R)는 위상링(20)의 제 1 반경방향 숄더(26T, 26R)와 동일한 수준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방향으로 구성되어, 지지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원주방향으로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틀림감쇠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55)들은 동축부분(A, B)들 중의 하나에 고정되고, 위상링(20)은 제 2 반경방향 숄더(29T)로 구성되며, 상기 동축부분(A, B)중의 하나가 상기 동축부분(A, B)들 중의 다른 하나의 동축부분과 지지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원주방향으로 함께 작동하고 조립품의 정지 상태에서, 제 1 반경방향숄더(26T)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패드(55)에 구성된 숄더(58T) 사이의 원주방향 거리(D1)는 원주방향으로 측정할 때, 제 2 반경방향 숄더(29T) 및 상기 동축부분들(A, B) 중의 다른 하나의 동축부분에 구성된 러그(36T) 사이의 원주방향 거리(D2)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틀림 감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동축부분들(A, B) 중의 하나는 회전가능한 허브 버클(32)로 구성되는 반면에 동축부분들(A, B) 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허브 버클(32)의 양쪽에는 두 개의 안내링(37)이 이격되어 구성되며, 상기 안내링(37)은 고정구(39, 40)에 의해 간격을 두고 서로 고정되고, 상기 위상링(20)은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모양으로 구성되며, 상기 위상링(20)은 허브 버클(32)과 축방향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위상링(20)과 허브 버클(32)은 동일한 판재로 제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틀림감쇠장치.
KR1019880010406A 1987-09-08 1988-08-16 자동차용 비틀림 감쇠장치 KR970011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712417 1987-09-08
FR8712417A FR2620187B1 (fr) 1987-09-08 1987-09-08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embrayage de verrouillage pour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mettant en oeuvre un tel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et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correspond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411A KR890005411A (ko) 1989-05-13
KR970011477B1 true KR970011477B1 (ko) 1997-07-11

Family

ID=9354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406A KR970011477B1 (ko) 1987-09-08 1988-08-16 자동차용 비틀림 감쇠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76656A (ko)
JP (1) JP2802997B2 (ko)
KR (1) KR970011477B1 (ko)
FR (1) FR26201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23749C1 (ko) * 1989-07-18 1991-02-21 J.M. Voith Gmbh, 7920 Heidenheim, De
JPH0645727Y2 (ja) * 1989-08-29 1994-11-24 株式会社大金製作所 液体粘性ダンパー
FR2683011B1 (fr) * 1991-10-25 1993-12-10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pour appareil de transmission de couple.
US5308282A (en) * 1992-07-15 1994-05-03 Ford Motor Company Pressure plate for a vibration damper assembly having built in lash
JP3262241B2 (ja) * 1993-09-07 2002-03-04 ヴァレオユニシアトランスミッション株式会社 トーショナルダンパの振動減衰装置
FR2716946B1 (fr) * 1994-03-04 1996-06-07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pour véhicules automobiles.
FR2718209B1 (fr) * 1994-03-04 1996-06-07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pour véhicules automobiles.
FR2718210B1 (fr) * 1994-03-04 1996-06-07 Valeo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étique, notamment pour véhicules automobiles.
JP3558444B2 (ja) * 1996-03-19 2004-08-25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
FR2812702B1 (fr) * 2000-08-01 2003-02-07 Valeo Volant moteur filtrant,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12701B1 (fr) * 2000-08-01 2002-10-11 Valeo Volant moteur filtrant,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005008660B4 (de) * 2004-03-11 2019-12-1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rehmomentwandler
WO2011047658A1 (de) 2009-10-19 2011-04-2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Drehmomentübertragungseinrichtung
US9360081B2 (en) * 2014-06-16 2016-06-07 Valeo Embrayages Torsional vibration damper for hydrokinetic torque coupling device
US9939057B2 (en) * 2015-10-20 2018-04-10 Valeo Embrayages Torsional vibration damper for hydrokinetic torque coupling device
US20230093880A1 (en) * 2021-09-30 2023-03-3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Centering sleeve for torque convert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8805A (en) * 1977-05-31 1980-02-19 Borg-Warner Corporation Torsional vibration damper
US4139995A (en) * 1977-12-27 1979-02-20 Borg-Warner Corporation High deflection amplitude torsional vibration damper
CA1157398A (en) * 1979-12-26 1983-11-22 Paul E. Lamarche Two-stage torsional vibration damper
JPS58106246A (ja) * 1981-12-16 1983-06-24 Atsugi Motor Parts Co Ltd 回転トルク伝達装置
US4427400A (en) * 1981-12-18 1984-01-24 Borg-Warner Corporation Series damper dynamic lag system
US4577742A (en) * 1982-04-27 1986-03-25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Clutch disc
US4451244A (en) * 1982-11-30 1984-05-29 Borg-Warner Corporation Series vibration damper with non-symmetrical curve
FR2576654B1 (fr) * 1985-01-29 1987-04-24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a grand debattement angulai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3614158C2 (de) * 1986-04-26 1994-09-15 Fichtel & Sachs Ag Torsionsschwingungsdämpfer mit schwimmend gelagerten Zwischentei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02997B2 (ja) 1998-09-24
US4976656A (en) 1990-12-11
FR2620187B1 (fr) 1989-12-08
FR2620187A1 (fr) 1989-03-10
KR890005411A (ko) 1989-05-13
JPH0198761A (ja) 198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477B1 (ko) 자동차용 비틀림 감쇠장치
SU1722244A3 (ru) Амортизатор крутильных колебаний, в частности, дл автомобил
US4523916A (en) Axially flexible drive disc
JP4359393B2 (ja) 自動車用液圧結合装置
US4969855A (en) Torsion damping device of large angular displacement, particularly a friction clutch, especially for an automotive vehicle
US4899862A (en) Torsion damping device with a centring ring member
US4883156A (en) Torsion damping device for a disc type friction clutch for an automobile vehicle
US10753424B2 (en) Torque transmission device for motor vehicle
US10240657B2 (en) Torsional damp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system
GB2044396A (en) Clutch torsion damping device
JP3671376B2 (ja) ロッキングクラッチ、特に自動車用ロッキングクラッチ
JPH0231024A (ja) 捩れ振動減衰器
GB2231124A (en) Torsion dampers
KR102434288B1 (ko) 중심 마찰 디스크가 장착된 유체동력학적 토크 커플링 장치
JPH0811973B2 (ja) ねじれ減衰装置
US5064041A (en) Automotive friction clutch with torsion damping device
JP2017075694A5 (ko)
US5014842A (en) Torsion damping device for an automotive friction clutch disc
JPS60260760A (ja) ねじれ可変吸収機構
US9322438B2 (en) Torsion-damping device comprising two torque output plates arranged on either side of torque input ring
US6062103A (en) Motor vehicle double damping flywheel, comprising improved means for friction damping of vibrations
JP6709687B2 (ja) 動吸振装置
US5105681A (en) Damped flywheel for an automotive transmission
JP4313571B2 (ja) 自動車のクラッチのためのねじり振動ダンピング装置
US5105680A (en) Damped double flywheel for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