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270B1 - 확대 관찰 장치 - Google Patents

확대 관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270B1
KR970011270B1 KR1019930700649A KR930700649A KR970011270B1 KR 970011270 B1 KR970011270 B1 KR 970011270B1 KR 1019930700649 A KR1019930700649 A KR 1019930700649A KR 930700649 A KR930700649 A KR 930700649A KR 970011270 B1 KR970011270 B1 KR 970011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bservation
imaging
imaging devic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2861A (ko
Inventor
기요카즈 야마모토
마사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야마모토 마사오, 후루가와 마사히코
스카라 가부시키가이샤
.
미쓰비시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2969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7001127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05967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6984U/ja
Priority claimed from JP318956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1180A/ja
Priority claimed from JP05967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6983U/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모토 마사오, 후루가와 마사히코, 스카라 가부시키가이샤, ., 미쓰비시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모토 마사오, 후루가와 마사히코
Publication of KR930702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2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2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8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확대 관찰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 1 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촬상구의 구성도.
제 2 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촬상구의 부분 사시도.
제 3 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촬상구의 램프 유니트와 접속단자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4 도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촬상구의 전기회로도.
제 5 도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촬상구의 구성도.
제 6 도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촬상구의 부분 사시도.
제 7 도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촬상구의 램프 유니트와 접속단자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8도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촬상구의 전기회로도.
제 9 도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촬상구의 구성도.
제10도는 슬라이드 기구의 분해 사시도.
제11도는 제 3 실시예의 따른 촬상구를 이용한 관찰장치의 구성도.
제12도는 관찰물 대물렌즈, 그리고 촬상장치와의 관계 및 이것에 의거한 광학계에 따른 배율 관계를 타나내는 설명도.
제13도는 종래의 확대 장치에 있어서의 촬상구의 구성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미용, 의료, 학술, 공업등의 각종 분야에서 여러가지 관찰물을 손쉽게 확대 관찰하는 것에 적합한 확대 관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종래의 확대 관찰용 기구 내지 장치로서는 현미경이나 돋보기가 있지만, 현미경은 피관찰물을 가공하여 이것을 현미경측에 가지고 갈 필요가 있고, 한편 돋보기는 그것 자체를 피관찰물측에 가지고 가서 피관찰물에 하등의 가공을 실시할 필요없이 손쉽게 관찰할 수가 있지만 확대 가능한 배율도 낮은 것이다.
이러한 사정을 배경으로, 당 출원인은 고배율의 현미경의 장점과 간편한 돋보기의 장점의 양쪽을 병행하여 가진 확대 관찰 장치를 이미 개발하였다(일본국 특개평 1-308527호, 일본국 특허출원 평 1-26462호, 일본 특허출원 평 1-273419호, 미합중국 특허 4930851호 및 미합중국 특허 4988158호).
이 확대 관찰 장치는 미도시된 모니터 디스플레이 및 콘트롤러로 이루어지는 관찰 장치 본체와, 제13도에 나타나는 촬상구(100)(일본국 특개펑 1-308527호에서 말하는 거울통 및 집광 가이드)로 이루어지고, 촬상구(100)는 확대결상용(擴大結像用) 광학계(102)를 내장함과 아울러 관찰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광원으로부터 관찰물(M)을 조명하기 위한 조사관을 유도하는 광섬유(103)도 내장하며, 그 선단에 집광 가이드(10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촬상구(100)를 손으로 잡은 채 그 집광 가이드(105)를 관찰물(M)에 접촉 또는 근접시켜, 촬상구(100) 가운데에 내장되어 있는 촬상 장치(고체 촬상소자)(104)로 잡은 상을 디스플레이에 재현하여 관찰하는 것으로서, 집광 가이드(105)의 선단을 관찰물(M)에 접촉시키든가 또는 소정의 근접거리로 근접시키면 저절로 초점이 맞도록 되어 있고, 하등의 기능이나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누구라도 손쉽게 50배-수천배의 배율로 관찰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확대 관찰장치는, 보다 강력한 조사광을 얻기 위하여 콘트롤러 내에 광원을 설치하여 이 광원으로부터 광섬유로 촬상구에 조사광을 유도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촬상장치와 재생용 디스플레이 사이에 개재하는 제어회로 유니트도 콘트롤러내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때문에, 촬상구와 디스플레이의 다른 곳에 콘트롤러가 필요하게 되고, 그만큼 전체가 대형화되며, 간편함을 보다 더 중시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불만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개평 1-308527호, 평 1-26462호 또는 일본국 특허출원 평 1-273419호 등에 개시되는 관찰장치는, 전술한 것처럼 촬상구가 조명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이 촬상구로 관찰물을 조명하면서 그 상을 받아들여, 이것을 관찰장치 본체의 디스플레이에 재생하여 관찰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와 같은 현미경은, 관찰장치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별도의 지지구를 필요로 하고, 이 관찰장치에 소정의 방법으로 가공한 관찰물의 샘플을 배치시켜 관찰하는 관찰방법인데 대하여, 상기한 것과 같은 관찰방법에 의하면, 촬상구가 관찰물 측에 손으로 이동하여 지지하고, 관찰물을 특별히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의 상태로 관찰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별도의 장치 지지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관찰장치에 의한 관찰을 지지구 불요식(支持具 不要式) 장치에 의한 관찰로 칭하기로 한다.
그런데, 이것들의 관찰장치의 촬상구에서는 전술한 것처럼 관찰물을 조명하기위한 광원이 광섬유로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외부의 발광원으로부터 광섬유 다발로 광을 유도하고, 이 광섬유 다발의 각 광섬유의 선단을 원환(圓環) 형상으로 배열하여 내장관원이 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광원을 형성하면, 보다 강력하게 균일한 조명광을 얻게 되지만, 한편으로 외부광원을 필요로하고, 또는 촬상구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며, 또한 고가의 광섬유의 사용도 얽혀 비용의 상승을 피할 수 없으며, 더우기 전파 손실이 생기는 관계 때문에 특별히 강력한 외부 발광원을 필요로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일본국 특허출원 평 2-224327호(일본국 특개평 4-107411호)에서도 확대 관찰장치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이 확대 관찰장치는, 상기 일본국 특개평 1-308527호, 일본국 특허출원 평 1-26462호 또는 일본국 특허출원 평 1-273419호 등에 나타나는 관찰장치를 보다 소형화하여 취급이 용이한 것으로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그로 인하여 몇개의 고안이 실시되고 있다.
그 하나가 촬상 장치와 함께 이촬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 유티트를/도 촬상구 내에 내장화시키는 구조이고, 다른 하나는 관찰에 즈음하여 촬상구를 관찰하기 쉬운 방향으로 취급하도록 하기 위하여 촬상구의 선단부를 본체부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절곡시키는 구조이다. 그리고, 이것에 따라서, 반사경을 이용하여 관찰물로부터의 영상광의 방향을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촬상장치가 제어회로 유니트와 일체적으로 접속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횡방향으로 절곡된 선단부분으로부터 입사하는 영상광의 방향에 대하여 촬상장치의 수광면을 직접적으로 직교시킬 수 없는 사정에 의한 것이지만, 이와 같이 반사경을 이용하는 구조로 반드시 좋은 것만은 아니다. 즉, 반사경을 이용하면 부품점수가 증가하고, 또한 그 구조가 복잡해지며, 게다가 예컨대 편광을 이용하는 경우에 편광이 반사경에 의하여 흩어져 버려 정확한 관찰이 저해되는 등의 단점을 수반한다.
또한, 상기 각 관찰장치는 어느 것이나 배율을 바꾸는 경우에는 그때마다 광학계를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초점면이 고정되는 배율가변식의 광학계를 이용하면 되지만, 이와 같은 배율 구로서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것은 지지구 불요식 관찰장치에는 접합하지 않는다. 즉, 배율 구조의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줌 렌지(zoom lenz)가 있지만, 그 원리는 복수의 구성 렌즈의 상호 간격을 바꾸는 것에 의해 초점거리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그 설계 및 구조는 복잡한데다가 광학계의 대형화를 피할 수 없고, 간이 및 소형인 것을 이상으로 하는 지지구 불요식 관찰장치에는 적합하지 않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본적 구조를 가진 확대 관찰 장치의 보다 뛰어난 소형화 및 취금의 용이화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섬유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의 확대 관찰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단부가 본체부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촬상구에 대하여, 절곡된 선단부로부터 입사하는 영상광을 촬상장치의 수광면에 결상(結像)시키는 데에 반사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구 불요식 관찰장치에 적합한 간이 배율 변경 구조, 요컨대 간이 줌 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서는, 촬상구로 포착한 관찰물의 상을 디스플레이에 재생하여 관찰하도록 한 확대 관찰 장치에 대하여, 적어도 촬상장치, 촬상장치용 제어회로 유니트, 촬상장치에 관찰물의 상을 결상시키는 광학계, 그리고 관찰물 조명용 광원램프를 촬상구에 내장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확대 관찰 장치는, 촬상장치의 다른 곳에 광원 램프 및 제어회로 유니트도 촬상구에 내장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종래의 것에서는 필요로 하는 콘트롤러가 필요없게 되고, 그 만큼 전체가 소형화된다. 더구나, 이 광원 램프 및 제어회로 유니트의 촬상구로의 내장은, 광원 램프에 관하여 보면, 광원 램프가 근접위치에서 직접적으로 관찰물을 조명하기 때문에, 광섬유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은 전파 손실이 없고, 광원 램프의 출력이 보다 작게 되며, 광원 램프 자체를 현격히 소형화 할 수 있는 것에 결합시키며, 또한 제어회로 유니트에 관하여 보면, 제어회로 유니트가 그 만큼 촬상장치에 가깝게 되기 때문에, 제어회로 유니트의 용량이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현격히 작게 되고, 제어회로 유니트를 현격히 소형화 할 수 있는 것에 결합시킨다. 다시 말하면, 광원 램프 및 제어회로 유니트의 촬상구로의 내장은 광원램프 및 제어회로 유니트의 소형화에 결부되고, 이 소형화가 또한 내장화를 가능하게 하는 유기적 관련이 전체의 소형화를 가져오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있어서 사용하는 "광원램프" 또는 "램프"의 개념은, 백열 전구나 형광등에 한하지 않고,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것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판에 복수의 램프를 소정의 배열 상태로 배열하게 되는 램프 유니트로써 광원 램프를 형성하고, 이 램프 유니트와 함께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작은 복수의 램프를 소정의 배열상태로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필요한 조명력을 공급할 수 있는 광원을 좁은 공간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균일하게 관찰물에 휘도얼룩을 부여하지 않는 조명을 얻도록 하고, 또한 램프 유니트와 함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램프의 교환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촬상구의 선단부를 본체부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절곡시키고, 또한 절곡된 선단부로 부터 입시하는 영상광의 광축에 대하여 촬상장치의 수광면이 직교하는 상태로 되도록 하여 촬상장치를 내장시킨다. 이 결과, 촬상구를 횡방향, 요컨대 촬상구의 길이방향을 피관찰물의 관찰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하여 관찰을 행할 수 있게되고, 예컨대 자기 얼굴의 피부를 관찰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손으로 잡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촬상장치의 수광면이, 절곡된 선단부로부터 입사하는 영상광의 광축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영상광의 광축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고, 따라서 반사경을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대물랜즈와 촬상장치를, 양자의 사이에 소정의 관계를 형성하면서 연동시켜 슬라이드하도록 하여 간이식 줌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 간이 줌 구조는, 광학계에 의한 배율 m에 m=b/a(a : 관찰물과 대물렌즈와의 거리, b : 대물렌즈와 촬상장치와의 거리)의 관계가 있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서, 대물렌즈와 촬상장치를 소정의 관계, 즉 1/a+1/b=1/f(f : 대물렌즈의 초점거리)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연동상태로 하여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하여, m=b/a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 결과, 촬상구를 관찰물에 대하여 일정거리 상태로 한 채 배율을 변화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광학계와 촬상장치를 연동시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구조로는, 캠 구조를 이용한 것이 좋다. 즉, 대물렌즈를 측면에 돌기가 돌설된 광학계용 보지통에, 또한 촬상장치를 측면에 돌기가 돌설된 촬상장치용 보지통에 각각 고정상태로 보지시키고, 또한 양 보지통을 측면에 직선 형상의 가이드 홈이 설치된 중간통에 슬라이도자재로 하여 보지시키며, 또한 중간통을 측면에 광학계용 캠 홈 및 촬상장치용 캠 홈이 형성된 캠 통에 상대 회전 자재로 보지시키도록 하는 것으로서, 캠 통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에 따라, 중간통의 가이드 홈을 통하여 캠 통의 광학계용 및 촬상장치용의 각 캠 홈에 계합하는 각 돌기가 각각 소정의 곡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각 캠 홈으로 각각 강제되는 것에 의하여, 대물렌즈 및 촬상장치가 중간통의 가이드 홈으로 회전이 억제된 상태에서 소정의 관계를 기초로 연동하여 슬라이드하는 것으로 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제 1 도-제 4 도)
이 실시예에 따른 촬상구(1)는, 제 1 도에 도시한 것처럼, 촬상수단(2), 촬상공(2'), 광학수단(4)등을 케이스(5)에 내장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 손으로 간단히 파지한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고, 예컨데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로 얼굴의 피부를 관찰하는 데에 적합하도록 선단부가 경사상태로 절곡되어 있다.
촬상공(2')은 케이스(5)체에 설치되고 상기 촬상공(2')을 개재하여 광원램프로부터의 조명광을 관찰대상물에 조사함과 동시에 상기 촬상공을 개재하고 관찰대상물에 상광을 광학계에 취입한다.
촬상수단(2)은, CCD를 이용한 촬상장치(10) 및 촬상장치(10)의 제어나 화상신호의 증폭등을 위한 제어회로 유니트(13)로 되어 있다.
광학 수단(3)은, 광학 렌즈(14) 및 복수의 차광 조리개(15)들로 되어 있다. 차광 조리개(15)들은 필요한 최소한의 광로(T)를 형성하도록 원환 형상으로 돌설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 차광 조리개(15)들에 의한 필요한 최소한의 광로(T)이 형성은 선명한 화상을 얻는데에 몹시 유용하다.
또한, 이 광학 수단(3)에 관련하여, 광학 렌즈(14)의 바로 앞에 편광유니트(16)가 설치되고, 또한 광학 렌즈(14)와 관찰물(M)을 있는 광로의 도중에 편광유니트(16)보다 앞의 위치에 반사경(17)이 설치되어 있다.
편광 유니트(16)는, 제 2 편광차(18) 및 편광면 회전 수단(19)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케이스(5)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는 무반사상용(憮反射像用) 스위치(21)를 ON으로 하면 후술하는 제 1 편광자(22)에 의한 편광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예에서는 편광면 회전 수단(19)에 액정이 이용되고 있고, 제 4 도의 회로도에 도시한 것처럼, 무반사상용 스위치(21)를 ON으로 하면, 후술하는 광원수단(4)의 램프(23)들이 점등함과 아울러 발진기(24)가 작동하여 편광면 회전 수단(19)이 편광의 편광면을 90°회전시켜, 제 1 편광자(22)에 의한 편광이 제 2 차 편광자(18)로 차단되는 상태로 되고, 반대로 무반사상용 스위치(21)가 OFF의 상태에서는 편광도 제 2 차 편광자(18)를 통과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또한, 무반사상용 스위치(21)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은 반사사용(反射像用) 스위치(25)로서, 이 반사사용 스위치(25)를 ON으로 하면 광학의 램프(23)들만이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편광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영상광을 선택이 가능하게 되고, 보다 다면적인 관찰을 행할 수 있다, 즉, 관찰물(M)로부터의 광에는, 관찰물(M)의 표면에서 그대로 직접적으로 반사되는 표면반사광과, 관찰물(M)의 표층을 일단 투과하여 오는 비표면 반사광이 있다. 그리고, 표면반사광은 제 1 편광자(22)에서 편광화된 편광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지만, 비표면 반사광은 표층의 투과에 의하여 편광성이 없어지고 자연광화된다. 따라서, 편광을 통하시키든가 차단하든가에 의하여, 표면반사광을 포함한상과 포함하지 않는 상을 선택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선택적 관찰에 의하며, 표면 반사광에 의한 쪽이 보기 쉬운 관찰물의 표면 상태 내지 구조와 비표면 반사광에 의한 쪽이 보기 쉬운 관찰물의 표면상태 내지 구조에 대하여 각각 보다 보기 쉬운 상태로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관찰의 다면성이 얻어진다.
여기서, 편광 유니트(16)를 광학렌즈(14)의 바로 앞에 설치하도록 한 것은, 액정을 이용한 편광면 회전수단(19)의 작동가능온도가 40℃정도로 한정되어 있지만, 후술하는 광원수단(4)의 근처에서는 이 동작가능온도를 넘는 경우가 있고, 편광면 회전수단(19)의 정확한 작동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반사경(17)은, 상기한 전부(前部)의 경사에 대응하여 광로를 변경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표면 반사 형태, 요컨대 통상의 거울과 같이 반사면이 투명체(예컨대, 유리)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반사시에 광이 투명체를 통과하는 형태의 것과 다르며, 반사면이 노출되어 있어서 이 노출된 반사면에서 직접 반사하도록 되어 있는 형태의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같이 표면 반사 형태의 반사경을 이용하도록 한 것은 전술한 편광과의 관계에 따른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은 이유로 인하여 반사경(17)보다 뒤쪽에 편광 유니트(16)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편광이 투명체를 통과하는 것에 의하여 그 편광성이 흩어져 버리고, 전술한 것처럼 편광을 이용한 관찰을 정확하게 행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광학수단(4)은, 램프 유니트(26), 확산방지경(27) 및 조명 가공 유니트(28)로 형성되어 있다.
램프 유니트(26)은,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의 램프, 이 예에서는 4개의 램프(23)가 기판(29)위에 횡으로 일렬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5)에 설치된 장착공(30)에 기판(29)을 통하여 착탈재로 되어 있다.
4개의 램프(23)는, 제 4 도에 도시한 것처럼, 직렬로 접속되어 있고, 예컨데, 1개의 램프(23)의 정격전압이 2.5V로써 직렬로 접속된 램프 열(列)에 대하여 12V의 전압이 더해져 있다. 이것은 4개의 램프(23)에 의한 10V 의 정격전압에 대하여 20% 높은 전압을 가한 것으로 되어 그 밝기는 정격전압의 경우에 배의 밝기가 얻어지고, 한편 그 수명은 약1/10로 된다.
이와 같이 수명을 줄여 강력한 밝기를 얻도록 한 것은, 제 1 및 제 2 의 양 편광자(22)(18)에 의한 감광(減光)이 있어도 충분한 밝기를 얻을 수 있는 조명력을 좁은 공간이라는 제약의 기초에 있어서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램프(23)들을 직렬 접속으로 하는 것은, 좁은 공간에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램프 유니트(26)의 소형화를 꾀함과 아울러, 전기계통의 구조도 보다 간단한 것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정격전압 2.5V의 램프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램프 1개의 크기를 작게 하여 램프 유니트(26)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발진기(24)에 필요한 12V의 전원을 변압기없이 램프 유니트(26)용의 전원으로 공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계통의 구조를 간략화하고 있다.
기판(29)은 제 3 도에 도시한 것처럼, 램프(23)용의 부분 전원 회로(31)가 예컨대 프린트로 형성된 것으로서, 부분 전원 회로(31)의 양 단부에는 단자 접속공(32)(32)이 형성되어 있고, 전술한 것처럼 장착공(30)에 장착한 때에 단자 접속공(32)(32)에 접속단자(33)(33)의 단자핀(33p)이 삽착하는 것에 의하여, 제 4 도의 전원회로(34)와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램프 유니트(26)를 형성하여 이 램프 유니트(26)와 함께 착탈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전술한 것처럼 보다 강력한 밝기를 얻기 위하여 램프(23)의 수명을 줄인 관계 때문에, 그 교환을 간단히 행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사용이 쉬운 곳으로 하기위한 것이다. 이것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와 같이 케이스(5)에 설치한 장착공(30)을 이용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조작상에서는 더욱 좋지만, 단지 구조가 복잡해진다. 따라서 , 케이스(5)의 내부에 적절한 접속부를 설치하여, 이 접속부를 이용하는 착탈하는 것과 같은 구조로 해도 좋다.
확산 방지경(27)은 램프(23)들로부터의 광의 직접적으로 광학수단(3)의 광로중에 들어 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램프(23)들로부터의 광을 효율좋게 관찰물(M)에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램프(23)들이 상측에서부터 덮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조명 가공 유니트(28)는 램프 유니트(26)에 가까운 순서부터 확산판(35), 열선 흡수판(36), 그리고 제 1 편광자(22)를 램프 유니트(26)로부터의 광의 조사에 대하여 교차하는 상태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열선 습수판(36)은 램프(23)들로부터의 광으로부터 열선요소를 제거하여 케이스(5)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맡고 있고, 또한 제 1 편광자(22)는 램프(23)들로부터의 광을 편광화하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이것에 의한 편광조명은 전술한 것처럼 이용된다.
제 2 실시예(제 5 도-제 8 도)
이 실시예에 따른 촬상구(201)는 제 5 도에 도시한 것처럼, 기본적으로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것으로서, 촬상수단(202), 광학수단(203) 및 광원수단(204)등을 케이스(205)에 내장하여 이루어지고 한 손으로 간단히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의 본체부를 가지고 있으며,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예컨데 얼굴의 피부를 관찰하는 데에 적합하도록 본체부에 대하여 선단부가 경사상태로 절곡되어 있다.
촬상수단(202)은, 제 1 실시예의 촬상수단(2)과 같이 CCD를 이용한 촬상장치(210) 및 촬상장치(210)의 제어나 화상신호의 증폭등을 위한 제어회로 유니트(213)로 되어 있지만, 촬상장치(210)를 제어회로 유니트(213) 에 대하여 가요성의 케이블(214)로 접속한 점, 요컨데 제어회로 유니트(213)에 대하여 촬상장치(210)를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는 상태로 한 점에서 상이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자유성을 활용하는 것에 의하여, 절곡된 선단부로부터 입사하는 영상광의 광축(A)에 대하여 촬상장치(210)의 수광면(210f)이 직교하는 상태로, 요컨대 영상광의 광축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는 상태로 되도록 촬상장치(210)가 배설되어 있다.
촬상장치(210)의 앞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 색필터(color filter)(215)로서, 촬상장치(210)에 들어가는 광의 파장특성을 촬상장치(210)의 색특성에 대응하여 조정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그 다른 쪽의 구성요소로 있는 광학수단(203), 광학렌즈(216), 차광조리개(217), 광학렌즈(216), 편광유니트(218), 제 2 편광자(220), 편광면 회전수단(221) 무반사상용 스위치(233), 제 1 편광자(224), 광원수단(204), 램프(225), 발진기(226), 제 2 편광자(220), 반사상용 스위치(227), 램프 유니트(228), 확산방지경(229), 조명가공 유니트(230), 기판(231), 부분전원회로(233), 단자접속공(234), 장착공(232), 접속단자(235), 단자핀(235p) 확산판(237), 열흡수판(238)은 어느것이라도 제 1 실시예와 같은 것으로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제 9 도-제12도)
이 실시예의 촬상구(302)는, 제 9 도에 도시한 것처럼, 내부에 광학계 유니트(310) 및 촬상 유니트(311)를 내장함과 아울러 조명 유니트(3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촬상구(302)는, 제11도와 같이 하여 이용된다. 즉, 촬상구(302)로 찍한 상을 디스플레이(303)의 디스플레이(304)에 재생하여 관찰하도록 되어 있고, 이 촬상구(302)와 디스플레이(303)가 세트(set)되어 확대 관찰 장치(301)를 형성하고 있다.
광학계 유니트(310)는, 대물렌즈(313) 및 복수의 차광 조리개(314)들로 되어 있다. 차광 조리개(314)들은 필요한 최소한의 광로(T)을 형성하도록 원환형상으로 돌설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 차광조리개(314)들에 의한 필요한 최소한의 광로(T)의 형성은 선명한 화상을 얻는데 더욱 유용하다.
또한, 촬상 유니트(311)는, 촬상장치(315) 및 촬상장치(315)의 제어나 영상신호 증폭등을 위한 제어회로 유니트(318)로 되어 있고, 촬상장치(315)와 제어회로 유니트(318)는 가요성 케이블(319)에 의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들 광학계 및 촬상의 양 유니트(310)(311)의 대물렌즈(313), 차광조리개(314)들 및 촬상장치(315)는, 캠 구조를 이용한 슬라이드 기구에 의하여 함게 연동하여 화살표 X와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슬라이드 기구는, 제10도에서 도시한 것처럼, 각각 측면에 돌기(320 ; 320a,320b,320c,320d)가 설치된 복수의 광학계용 및 촬상장치용의 각 보지통(321 ; 321a,321b,321c,321d), 측면에 직선형상의 가이드 홈(322)이 설치된 중간통(328), 또한 측면에 광학계용 캠 홈 촬상장치용 캠 홈(324 ; 324a,324b,324c,324d)이 설치된 캠 통(325)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보지통(321a)(321b)(321c)(321d)이 중간통(323)에 슬라이드 자재로 하여 보지되며, 또한 중간통(323)이 캠 통 (325)에 상대회전자재로 보지되도록 조합되어 있다.
따라서, 캠 통(325)를 조작환(326)으로 회전시키면, 이 회전에 따라 각 돌기(320a)(320b)(320c)(320d)가 각각 소정의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각 캠 홈(324a)(324b)(324c)(324d)에서 각각 강제되는 것에 의하여 각 보지통(321a)(321b)(321c)(321d)이 화살표 X와 같은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때 중간통(323)의 가이드 홈(322)에서 규제되는 것에 의하여 각 보지통(321a)(321b)(321c)(321d)의 캠 통(32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하여, 이것들의 보지통(321a)(321b)(321c)(321d)에 고정상태로 보지되어 있는 대물랜즈(313), 차광 조리개(314)들 및 촬상장치(315)가 소정의 관계를 가지면서 함께 연동하여 슬라이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소정의 관계라는 것은, 광학계에 의한 배율 m에 m=b/a(a : 관찰물(M)과 대물렌즈(313)와의 거리, b : 대물렌즈(313)와 촬상장치(315)와의 거리 ; 제12도)의 관계가 있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서, 대물렌즈(313)와 촬상장치(315)를 소정의 관계, 즉 1/a+1/b=1/f(f : 대물렌즈의 초점거리)의 관계에 의거하여 촬상구(302)와 관찰물(M)과의 거리관계에 고정상태를 얻을 수 있는비율을 a와 b가 형성하도록 연동시켜 슬라이드 시키는 것에 의하여, m=b/a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슬라이드 기구에 의하여 촬상구(302)와 관찰물(M)과의 거리를 고정한 상태에서 배율을 변화시킬 수가 있다. 말하자면 간이식 줌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차광 조리개(314)들의 연동관계는 대물렌즈(313)와 촬상장치(315)의 슬라이드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광로(T)에 따르도록 되어 있다.
조명 유니트(312)는, 광원(327)및 이 광원(327)의 광을 관찰대상 부위에 효율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집광 가이드(328)로 형성되어 있다.
광원(327)은, 의부에 설치되어 있는 미도시된 광원램프로부터 케이블(329) 가운데를 통과하는 광섬유 다발로 광을 유도하고, 이 광섬유(329f)들의 조사 선단을 원환 형상의 보지부재(330)에 식설시켜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이 배열된 광섬유(329f)들의 조사 선단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후술하는 집광 가이드(328)의 기단의 입사단면(330)으로부터 입사하도록 되어 있다.
집광 가이드(328)는, 예컨대 아크릴 수지와 같은 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중공 반구체 형상 내지 중공 반구체 형상의 전부(前部)를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부의 기단이 입사단면(330)으로 되며, 또한 전부의 중심에는 관통공(331)이 요설되어 있다. 그리고, 입사단면(330)으로부터 입사한 광원(327)으로부터의 광이 중실내부(中實內部)를 전반사에 의하여 관통공(331)까지 유도되어 그 내측면으로부터 대략 수평 형상으로 관찰물(M)의 관찰대상 부위를 조사하고, 또한 동시에, 입사단면(330)에 들어가지 않게 집광가이드(328)의 내측으로 누설된 광이 낙사광(落射光)으로써 위로부터 관찰대상부 위를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집광 가이드(328)는, 초점을 맞추는 기능도 가지고 있고.그 선단을 관찰물(M)에 접촉시킨 상태로 대물렌즈(313)의 초점이 관찰물(M)에 맞도록 되어 있다.
이 제 3 실시예에서는 외부에 설치한 광원램프로부터 광섬유 다발로 광을 유도하는 방식, 요컨대 외부광원램프방식에 대하여 간이식 줌 구조를 적용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의 의거하여 제1 및 제 2 의 각 실시예와 같은 광원램프 내장식 구조로 본 실시예의 간이식 줌 구조를 적용하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2)

  1. 촬상구조로서 포착한 관찰물의 상을 모니터 디스플레이에 재생하여 관찰하도록 한 확대 관찰 장치에 있어서, 촬상구는 한손으로 죌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되고, 또한 촬상공이 설치된 케이스체에 적어도 촬상 디바이스, 촬상 디바이스용의 제어회로 유니트, 촬상 디바이스에 관찰물의 상을 결상시키는 광학계 및 관찰물 조명용의 광원램프를 내장시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촬상공을 개재하고 광원램프로부터의 조명광을 관찰대상물에 조사함과 동시에 상기의 촬상공을 개재하고 관찰대상물의 상광을 상기 광학계에 취입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 관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기판에 복수의 램프를 소정의 배열상태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램프유니트에 의하여 광원램프를 형성하고, 램프유니트와 함게 케이스체 내에서 착탈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 관찰 장치.
KR1019930700649A 1991-07-04 1992-07-02 확대 관찰 장치 KR9700112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89569 1991-07-04
JP91-59677 1991-07-04
JP91-59676 1991-07-04
JP059677U JPH056984U (ja) 1991-07-04 1991-07-04 拡大観察装置の対物具
JP3189569A JPH0511180A (ja) 1991-07-04 1991-07-04 簡易ズーム式の撮像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観察装置
JP059676U JPH056983U (ja) 1991-07-04 1991-07-04 拡大観察装置の対物具
PCT/JP1992/000836 WO1993001686A1 (en) 1991-07-04 1992-07-02 Magnifying observ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2861A KR930702861A (ko) 1993-09-09
KR970011270B1 true KR970011270B1 (ko) 1997-07-08

Family

ID=2729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649A KR970011270B1 (ko) 1991-07-04 1992-07-02 확대 관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42489A (ko)
EP (1) EP0547232B1 (ko)
KR (1) KR970011270B1 (ko)
DE (1) DE69227355T2 (ko)
SG (1) SG43273A1 (ko)
WO (1) WO1993001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2392A (en) * 1996-04-16 1998-04-21 Seymour Light, Inc. Polarized material inspection apparatus
US20050046830A1 (en) * 1999-04-16 2005-03-03 John Karp Polarized material inspection apparatus and system
US6697156B1 (en) * 2000-04-05 2004-02-24 John Karp Polarized material inspection apparatus
US6993167B1 (en) 1999-11-12 2006-01-31 Polartechnic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xamining, recording and analyzing dermatological conditions
WO2001067956A2 (de) * 2000-03-11 2001-09-20 Rodenstock Präzisionsoptik Gmbh & Co. Kg Dermatologie-bildaufnahmesystem
US7253949B2 (en) * 2002-12-17 2007-08-07 Piontkowski Paul K Stereo microscope
US7564990B2 (en) * 2005-08-18 2009-07-21 Nu Skin International, Inc.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physical feature analysis
WO2013113760A1 (de) 2012-01-30 2013-08-08 Leica Microsystems Cms Gmbh Mikroskop mit kabelloser funkschnittstelle und mikroskopsystem
US10036881B2 (en) 2014-05-23 2018-07-31 Pathonomic Digital microscope system for a mobile device
DE102016102867A1 (de) 2016-02-18 2017-08-24 Oculyze Gmbh Mikroskopanordnung
US11730356B2 (en) 2017-11-06 2023-08-22 Vision Products, Llc Mobile ophthalmic device
US11395714B2 (en) 2019-11-11 2022-07-26 Dermlite Llc Medical illuminator with variable polar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5607A (en) * 1969-05-22 1971-12-07 Warren Childers Automatic focusing camera
US3621131A (en) * 1969-11-21 1971-11-16 Us Navy Visual environment simulator
JPS5123339Y2 (ko) * 1972-09-26 1976-06-15
US4176923A (en) * 1978-10-10 1979-12-04 Collender Robert B Stereoscopic motion picture large scale scanning 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JPS61296869A (ja) * 1985-06-25 1986-12-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ドアホン子器
JPS6273877A (ja) * 1985-09-27 1987-04-04 Toshiba Corp Tv式内視鏡装置
JPH0656455B2 (ja) * 1985-10-11 1994-07-2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側視型内視鏡
JPH07122690B2 (ja) * 1987-04-01 1995-12-25 株式会社エルモ社 接写装置
DE3822303A1 (de) * 1987-12-10 1989-06-22 Birkle Gebhard Vorrichtung zum optischen abtasten der oberflaeche eines objektes, dessen oberflaeche licht zu reflektieren oder streuen imstande ist und verfahren hierzu
US4881128A (en) * 1988-05-11 1989-11-14 Asahi Research Corporation Video camera and recorder system with illumination control features
JPH01308527A (ja) * 1988-06-07 1989-12-13 Sukara Kk 拡大撮像装置における照明用導光装置
CA2009129C (en) * 1989-02-04 1995-02-14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Image pickup head for image pickup device
JP2950944B2 (ja) * 1990-08-28 1999-09-20 スカラ株式会社 拡大観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42489A (en) 1995-08-15
WO1993001686A1 (en) 1993-01-21
EP0547232A4 (en) 1994-10-26
SG43273A1 (en) 1997-10-17
EP0547232B1 (en) 1998-10-21
EP0547232A1 (en) 1993-06-23
KR930702861A (ko) 1993-09-09
DE69227355T2 (de) 1999-03-18
DE69227355D1 (de) 199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8004B2 (en) Microscope system
JP5418998B2 (ja) 内視鏡の先端の撮像装置のための照明装置、その照明装置の作動方法およびその照明装置の製造方法
US5325231A (en) Microscope illuminating apparatus
KR970011270B1 (ko) 확대 관찰 장치
US20060203331A1 (en) Total internal reflection illumination apparatus and microscope using this total internal reflection illumination apparatus
US7345815B2 (en) Illumination apparatus for microscope
US20070112256A1 (en) Switch-type imaging fiber apparatus and branch-type imaging fiber apparatus
US7394979B2 (en) Camera adapter for optical devices, in particular microscopes
US6964508B2 (en) Fiber optic bundle lighting units providing focused illumination
US20070091939A1 (en) Microscope and lamphouse
KR101466258B1 (ko) 촬상장치
US7304794B2 (en) Microscope
US9069167B2 (en) Illumination apparatus for microscope and microscope using the same
JP4063469B2 (ja) 超微小空隙から内部を観察するための装置
JP3995458B2 (ja) 全反射蛍光顕微鏡
JP2768470B2 (ja) 実体顕微鏡
US20050052733A1 (en) An inverted microscope
US6963446B2 (en) Epi-illumination apparatus
JP3321260B2 (ja) 外観検査装置
KR200174671Y1 (ko) 화상 현미경
JPH0511180A (ja) 簡易ズーム式の撮像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観察装置
JPH11298782A (ja) デンタルビデオマイクロスコープ
JP3911330B2 (ja) 手術用顕微鏡
JP2002148520A (ja) 顕微鏡用照明装置
JP2000093389A (ja) 内視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517

Effective date: 200608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026

Effective date: 2007102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