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9268B1 - 건축현장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건축현장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268B1
KR970009268B1 KR1019940009935A KR19940009935A KR970009268B1 KR 970009268 B1 KR970009268 B1 KR 970009268B1 KR 1019940009935 A KR1019940009935 A KR 1019940009935A KR 19940009935 A KR19940009935 A KR 19940009935A KR 970009268 B1 KR970009268 B1 KR 970009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door
door member
construction site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9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952A (ko
Inventor
이재웅
Original Assignee
이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웅 filed Critical 이재웅
Priority to KR1019940009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9268B1/ko
Publication of KR950032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축현장용 안전장치
제1도는 호이스트 이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종래 안전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제3도는 선출원된 건축현장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개략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현장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개략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장치에서 도어부재의 열린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제6도는 도어부재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7도 및 제9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여.
제8도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상층 30 : 하층
41,42 : 제1,2기둥부 50 : 도어부재
51,52 : 제1,2로울러부재 54 : 이동프레임
55 : 팬터그래프 60,70 : 상하부파이프부재
본 발명은 건축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층건물을 승강할 때 사용되는 호이스트로서 승하차할 때 안전하게 승하차 할 수 있도록 고층 건물의 베란다등의 호이스트 출입구에 설치되는 건축현장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현장에서 엘리베이터등의 승강장치가 미설치된 고층건물을 승강할시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HOIST : 15)를 건물 외측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람이나 자재를 실어나르는 호이트스(15)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송도중에는 닫아서 이송하므로 안정하지만, 호이스트(15)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송도중에는 닫아서 이송하므로 안정하지만, 호이스트(15)는 통상 건물의 외부벽체를 시공하기전에 건물외측에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각 층에 정지하여 승하차할시에는 사람이나 자재가 건물 밑으로 낙하될 위험이었다. 따라서 호이스트(15)자체의 안전장치 이외에도 그 승하차 지역의 건물에 별도의 안전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안정장치를 위해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15)의 승하차 구역에 가이드 봉 (9) 또는 나이론 끈등으로 난간(欄干)을 설치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안정장치는 사람의 키보다 낮게 설치되엇 승차대기 또는 그 근처에서 작업중 부주의로 낙하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위험을 가진다.
이를 위해서 본원 출원인이 출원한 건축현장용 안전장치(한국 실용출원번호 93-8999호)가 제3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건물의 상층(1)과 하층(2)사이에 지주(4)(4')는 통상 콘크리트를 타설시 거푸집을 받치는데 사용되는 지주이다. 그리고 그 각 지주(4)(4')에 기둥프레임(3)(3')사이의 하층(2)에는 하부프레임(6)이 설치되어 있다. 기둥프레임(3)(3')의 상단에는 상부프레임(5)이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프레임(5)에는 도어(8)가 개폐가능하게 롤러(11)(11')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8)가 닫힌상태의 기둥프레임(3)과 도어(8)사이의 공간부분에는 보조프레임(7)이 기둥프레임(3) 및 상,하부 프레임(5)(6)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선출원된 건축현장용 안정장치는 호이스트 출입구의 건물에 슬라이딩 개폐되는 도어(8)를 작업자가 직접 개폐케 함으로써 불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선출원한 안전장치의 이점과 더불어 도어(8)를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한 건축현장용 안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건물의 상층과 하층사이에 설치되며 승강기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건축현장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상, 하층사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제1,2기둥부재와, 상기 제1,2 기둥부재의 상하부에 각각 상기 상,하층과 평행하게 지지되는 상,하부 파이프부재와, 상기 상,하부 파이프부재에 개폐가능하게 지지되는 도어부재와, 상기 도어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안전장치가 건물의 상,하층 사이에 설치된 것을 건물외측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건물의 상승(20)과 하층(30)사이에는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제1,2기둥부재(41),(42)가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기둥부재(41),(42)의 상하부에는 각기 상,하층(20),(30)에 평행하도록 상, 하부 파이프 부재(60),(70)가 지지되어 있다.
기둥부재(41)(42)에는 제4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이프부재(40)가 결합되고, 그 기둥부재(41)(42)와 파이프부재(40)에는 나사봉(44)(44')가 결합된다. 이들 각 나사봉(44)(44')에는 나사봉(44)(44')가 결합되어 있어서, 나사봉(44)(44')의 조임에 따라 나사봉(44)(44')의 노출길이가 조절되어 나사봉(44)(44')의 단부가 상층(20)에 밀착되어 두 기둥부재(41)(42)가 상하층(20)(30)사이에 지지되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 파이프부재(60),(70)에는 개폐가능하게 도어부재(50)가 지지되어 있다. 이 도어부재(50)는 소정의 이동수단으로 자동적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부재(50)는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에 제1,2로울러(51)(5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팬터 그래프(pantograph;5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2로울러(51)(52)는 이동프레임(54)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브라켓트(57)(58)에 설치하였으며, 브라켓트(57)에 보조롤러(53)를 설치하여서 도어부재(50)의 이탈을 방지하였다.
한편,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기둥부재(41)(42)사이에는 보조프레임(56)을 설치하여 출입구를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프레임(54)와 보조프레임(56)에는 브라켓트(54')(56')를 설치하여서, 이에 상기 팬터그래프(55)의 일단이 이동가능하도록 연결하여서 잡힘과 펼침동작이 원활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1,2 기둥부재(41)(42) 및 프레임(56)은 제4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층(30)의 턱(31)에 지지되도록 하였는 바, 제1,2 기둥부재(41)(42) 및 보조프레임(56)의 각 단부에는 ㄷ자 형의 플레이트(나사봉(44)(44'))(112)를 설치하여 볼트부재(나사봉(44)(44')')롤 조여서 턱(31)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도어부재(50)는 제9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문짝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도어부재(50)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롤러가 복수개가 요구된다.
여기서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파이프부재(70)를 생략하고, 이동프레임(54)와 보조프레임(56)이 상부 파이프부재(60)에 매달린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경우 도어부재(50)의 개폐동작이 수월하게 되고 또한 그 설치작업 및 원가절감을 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로울러(51)를 회전구동하는 모터부재(90)를 브라켓트(57)에 설치하여서 모터의 동력으로 도어부재(50)가 개폐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도어부재(50)를 이동/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더 구비하였는 바, 이 제어수단으로는 모터부재(90)에 전원을 ON/OFF시키는 스위치부재(80)(80')를 브라켓트(57)에 설치하고, 상기 상부 파이프부재(60)에 상기 스위치부재(80)(80')가 도어부재(50)의 열린 위치와 단힌위치에서 각각 접촉하는 제1스포터재(83)(84)가 접촉시 전원이 ON/OFF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부재(80)(80')에는 제1스포터재(83)(84)에 가각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레버(81)(8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레버(81)(82)는 스위치부재(80)(80') 내부의 단자들을 연결/분리시키도록 작동된다.
여기서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형태의 도어부재(50)를 채용한 경우, 상기 스위치부재(80)(80')는 도어부재(50)의 양단에 그리고 상기 제1스포터재(83)(84)는 상부 파이프부재(60)의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층(30)의 턱(31)에는 호이이스트(200)의 발판(201)의 누름에 따라 모터부재(90)의 전원을 인가하는 조작스위치(100)를 마련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건축현장용 안전장치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부재(50)는 평상시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힌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스위치부재(80)는 레버(81)가 제1스포터(81)에 접촉되어 OFF됨으로써, 도어부재(50)가 닫힌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200)가 원하는 층에 정지하게 되면, 호이스트(200)와 하층(30)사이의 공간을 연결하는 발판(201)을 내린다. 이때 조작스위치(100)를 발판(201)이 조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모터부재(90)에 전원이 인가되어 제1로울러(51)를 구동함으로써, 도어부재(50)가 열리게 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터 그래(55)가 접히면서 도어부재(50)가 열리고, 레버(82)가 제2스토퍼부재(84)에 접촉됨과 동시에 모터부재(90)에 전원이 OFF됨으로서 도어부재(50)가 정지되게 된다.
열린 도어부재(50)를 통해 승,하차가 완료되면, 호이스트(200)의 발판(201)을 올리면 조작스위치(100)가 조작되어 모터부재(90)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에 따라 도어부재(50)가 닫히게 된다. 도어부재(50)가 닫히면서 레버(82)가 제2스포터부재(84)에 접촉됨과 동시에 모터부재(90)에 전원이 차단되어 도어부재(50)가 닫힌 상태에서 정지되어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닫힌 도어부재(50)를 작업자가 임의로 열려고 할 때 스위치부재(80)의 레버(81)가 제1스토퍼부재(83)로부터 떨어지면서 모터부재(90)에 전원이 인가되지만, 이 경우 안내로울러(51)의 회전방향은 도어부재(50)를 닫을려고 하려는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열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부주의로 작업자가 건물아래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현장용 안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호이스트의 출입구에 도어부재와 같은 안전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종래 난간만의 설치함으로써 종래 난간만의 설치에 비해 안정성이 향상된다.
둘째, 본 출원인의 선출원건이 호이스트의 승하차시에 도어부재를 사용자가 직접 개폐하였던 것과는 달리, 모터부재의 동력으로 자동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다.
셋째, 제1,2 기둥부재(41)(42) 및 프레임(56)이 하층(30)의 턱(31)에 지지됨으로써 하층(30)에서 마무리 공사, 예컨대 타일을 깔거나 기타 작업시 상기한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해체시키지 않아도 된다.

Claims (6)

  1. 건물의 상층과 하층사이에 설치되며 승강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건축현장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서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상,하층사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제1,2기둥부재와 상기 제1,2 기둥부재의 상하부에 각각 상,하층과 평행하게 지지되는 상,하부 파이프부재와, 상기 상,하부 파이프부재에 개폐가능하게 지지되는 도어부재와, 상기 도어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배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현장용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도어부재와 상하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상, 하부 파이프 부재에 각각 지지되는 제1,2로울러부재와, 상기 제1,2로울러부재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구동하는 모터부재를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현장용 안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재를 이동/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이 더 구비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현장용 안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모터부재에서 전원을 ON/OFF시키는 스위치부재를 도어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하고, 상길 상부 또는 하부 파이프 부재에 상기 스위치부재가 도어부재의 열린 위치와 닫힌 위치에서 각각 접촉하는 제1,2스토퍼부재를 설치하여서, 상기 스위치부재에 상기 제1,2스토퍼부재에 접촉실 전원이 ON/OFF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현장용 안전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재는 펜타 그래프로 구성되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현장용 안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기둥부재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이 제1,2기둥부재에 나사봉을 각각 결합하여서, 나사봉의 조임에 따라 나사봉의 다눕가 상층에 밀착되어 두 기둥부재가 상하층사이에 밀착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현장용 안전장치.
KR1019940009935A 1994-05-06 1994-05-06 건축현장용 안전장치 KR970009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935A KR970009268B1 (ko) 1994-05-06 1994-05-06 건축현장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935A KR970009268B1 (ko) 1994-05-06 1994-05-06 건축현장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952A KR950032952A (ko) 1995-12-22
KR970009268B1 true KR970009268B1 (ko) 1997-06-09

Family

ID=1938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9935A KR970009268B1 (ko) 1994-05-06 1994-05-06 건축현장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92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952A (ko) 199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203774A (ja) エレベ―タ籠の停止ロック装置
FI118644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konehuoneettoman hissin asentamiseksi rakennuksen rakentamisvaiheessa
KR20040039399A (ko) 엘리베이터 장치
KR970009268B1 (ko) 건축현장용 안전장치
JP2002138659A (ja) 簡易組立型のゴンドラ吊下式作業装置
KR20090117387A (ko) 리프트용 보조발판
JPH11159128A (ja) 躯体構築用多目的ステージ
KR970005482Y1 (ko) 건축현장용 안전장치
KR20040104223A (ko) 수직 이동식 작업대를 갖는 비계
JP2620123B2 (ja) 建築工事用仮設揚重装置
JPH09151053A (ja) エレベータの乗かごの固定装置
JPH07237847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工法
KR20200098059A (ko) 건설 현장의 승강기 도어 안전장치
JP5132080B2 (ja) エレベータ用品据え付け用ゴンドラ装置及びエレベータ用品据え付け作業方法
JP3328158B2 (ja) エレベータ据付用昇降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CN107265255B (zh) 一种张紧柔性导轨式家用简易电梯
JP2002154770A (ja) エレベータ
JP2614326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JP4786532B2 (ja) ケーブル駆動のケージを有するエレベータ
JPH04140298A (ja) 乗客用コンベアの乗降口カバー装置
CN219859993U (zh) 一种施工电梯与建筑物之间的通道平台
JP2543006B2 (ja) 高層構築物工事用エレベ―タ
JPH10316331A (ja) クライミングエレベータ
KR950005069Y1 (ko) 트럭의 리프터 장치
JP2536878Y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搬器扉の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