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740B1 - 종이의 성질 및 상태 검지장치 - Google Patents

종이의 성질 및 상태 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740B1
KR970007740B1 KR1019890012401A KR890012401A KR970007740B1 KR 970007740 B1 KR970007740 B1 KR 970007740B1 KR 1019890012401 A KR1019890012401 A KR 1019890012401A KR 890012401 A KR890012401 A KR 890012401A KR 970007740 B1 KR970007740 B1 KR 970007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detecting
detection
stat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2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786A (ko
Inventor
데츠지 고바야시
마코토 아카시
다카히로 요시카와
시게루 구사카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오노에 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오노에 히사오 filed Critical 글로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81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or condition, e.g. wear or tear
    • G07D7/182Testing stiff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02Control of the test
    • G01N2203/0212Theories, calculation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종이의 성질 및 상태 검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용대상예로서 지폐입금기를 도시한 개략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이송수단에 대한 측면도.
제5도와 제6도는 정상적인 지폐 및 손상되거나 마모된 지폐의 성질 및 상태를 검지하는 장치를 통과할 때의 상태설명도,
제7도는 검지용 회전체의 회전량 검출수단의 예를 도시한 설명도.
제8도와 제9도는 검지용 회전체의 정상지폐 및 소손지폐의 검지설정 및 표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10도는 구동회전체 및 검지용 회전체의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11도는 제3도와 동일한 상태로 회전저항 부여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12도와 제13도는 구동회전체 및 검지용회전체를 여러개조 설치한 경우의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지폐장전부(奬塡部)
9 : 식별부 10 : 성질 및 상태검지장치
31 : 구동회전체 33 : 검지용회전체
38 : 회전량 검지수단 39 : 회전저항부여수단
본 발명은 지폐의 정상권 및 손상권을 판별하는 판별조건이 되는 종이의 강도와 성질 및 상태를 검지하는 종이의 성질 및 상태 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이종류중 예컨대 지폐의 경우, 최근에는 기계로 계수(計數)와 식별은 물론 입·출금등의 처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유통과정에 손상·마모된 지폐를 회수해야 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에 대해 종래에는 지폐의 손상이나 마모상태등을 판별하기 위한 판별조건을 얻기 위한 장치로서 일본국 특허공개 소 61-168084호와 동 61-168085호 및 동 61-169983호 등이 소개되어 있는데, 이들 장치는 종이에 탄성체를 접촉시켜 소리를 내게하거나, 종이의 표면을 마찰시켜 소리를 내도록 하는 것, 또는 종이를 굴곡된 반송로를 따라 반송시킴으로서 그 곡선변형에 따라 소리를 내도록 하는 등과 같은 방법을 채용해서 음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검지함으로써, 이 전기적 신호를 가지고 종이가 손상이나 마모된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조건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서는, 발생하는 음을 픽업(pick-up)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는 바, 즉 음을 픽업하는 부위를 완전히 방음상태로 만들거나 장치의 기계적인 잡음을 최소한으로 억제해야 하기 때문에, 그로 말미암은 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또 만약 상기 조건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다른 음과의 관계에서 잘못 검지하게 되고 또 경우가 있게 되므로, 그 결과 잘못 판별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이에는 새것과 많이 사용하였던 것 사이에 종이자체의 강도에 차이가 생긴다는 점에 착안해서 이러한 강도의 차이에 따른 성질과 상태의 변화를 검지하도록 함으로써, 이 검지결과를 종이의 성질 및 상태를 판별해내는 판별조건으로서 이용하도록 된 종이의 성질 및 상태 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주면이 폭방향으로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반송되는 종이와 접촉해서 이송력을 부여해 주는 구동회전체와, 이 구동회전체의 요철형상원주면에 상대는 요철형상원주면을 갖고서 상기 구동회전체와의 사이로 이송되는 종이가 양 요철형상원주면에 접촉되면서 파상형태(波狀形態)로 변형되는 소정간격을 두고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이송되는 종이에 접촉하는 장소에 따라 발생하는 압력(壓力)으로 종이의 이송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해 주는 검지용회전체, 이 검지용회전체에 부여되는 회전력에 대해 회전저항을 부여해서 상기 회전력이 소정치이하인 경우에는 검지용 회전체를 일정한 정지상태 또는 종이의 이송속도와 다른 속도로 회전하게 하는 회전상태를 유지시키고, 회전력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그 회전혁에 따라 검지용회전체에 회전량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회전저항부여수단 및, 상기 검지용회전체의 회전량의 변화를 검출해 내는 회전량 검지수단등을 구비하고서, 상기 회전량검지수단의 검지결과가 지물류의 상태에 관한 판별조건으로 이용되도록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회전량의 변화로, ① 회전각도의 변화, ②회전수의 변화, ③회전정지상태로부터 회전상태로의 변화, ④ 회전상태에서의 변화(이송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놓고, 지물류의 진입에따라 역방향 회전속도가 저하되는 것의 변화, 또는 역전→정지→정전(正轉)으로의 변화), ⑤ 회전속도변화(상기②에서는 시간적요소를 포함치 않음)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이송되는 종이가 검지용회전체에 접촉하게 되면 그 접촉상태에서 종이의 강도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압력(壓力)에 의한 회전력이 검지용회전체에 부여됨과 더불어, 회전저항부여수단에 의해 검지용회전체에 회전저항이 부여되어, 상기 회전력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검지용회전체를 일정한 정지상태 또는 종이의 이송속도와는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상태로 유지시키는 한편, 회전려기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그 회전력에 따라 검지용회전체에 회전량의 변화를 일으켜 그 회전량의 변화를 회전량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도록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지폐입출금기의 개략단면도로서, 본체(1)의 상부측에 입금시킬 지폐(P)를 장전해주기 위한 지폐장전부(2)가 구비되어, 이 장전부(2)에 바로선 상태로 장전된 지폐(P)다발을 뒷쪽의 지지부재(3)에다 공지된 반입수단(4)을 가지고 밀어부치면 이 반입수단(4)의 키커로울러(5)와 게이트로울러(6) 등의 구동에 의해 지폐다발중 제일 앞쪽에 위치한 지폐(P)가 한장씩 들여보내져, 상하 벨트로 이루어진 반송경로(7)와 지폐종류를 비롯한 지폐의 진위(眞僞)와 겹침 및 테이프접착등과 같은 손상권을 식별해내는 검출기(8)를 갖춘 식별부(9)를 통과하게 한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식별부(9)뒤에 본 발명에 따른 지폐의 손상이나 마모상태를 판별하는 상태검지장치(10)가 배치되고, 이 상태검지장치(10) 다음에는 벨트로 구성된 이송경로(11)를 거쳐 본체(1) 내부 아랫쪽에 지폐종류별로 지폐(P)를 받아들이는 수납부(12a, 12b, 12c)와 상기 식별부(9)및 상태검지부(10)에서 검출된 결과에 따라 손상권이나 마모권으로 판별된 지폐를 받아들이는 손상·마모지폐수납부(13)로 구성된 지폐수납부(14)가 설치되며, 상기 각 수납부의 상부에는 해당지폐를 받아들이기 위한 이송경로(15, 16, 17, 18)가 갖추어져 있다.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상태검지장치(10)의 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종이의 1예로서의 지폐(P)를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프레임(20, 20) 사이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풀리축(21, 22)위의 풀리(23, 23, 24, 24)에 감겨진 2조(條)의 상부벨트(25, 25) 및, 상기 후레임(20, 20)사이에 설치된 풀리축(26, 27)위의 풀리(28, 28, 29, 29)에 감겨진 2조의 하부벨트(30, 30)등이 상하 상대적으로 설치되어, 이들 상하벨트사이에 지폐(P)가 끼워져 화살표방향으로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벨트(25, 25)의 풀리축(21) 축방향 중앙부에 구동회전체(31)가 고정장착되고, 이 풀리축(21)의 바로 밑 축(32)에는 상기 구동회전체(31)와 상대적으로 검지용회전체(33)가 고정장착되어져 있다.
또 상기 구동회전체(31)는 제3도와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 양측부 및 중앙부에 돌기부(31A, 31A, 31A)가 갖춰지면서 그 사이에 홈(31B, 31B)이 형성되고, 상기 검지용회전체(33)는 폭방향 양측부에 상기 구동 회전체(31)의 홈(31B, 31B)보다 좁은 폭의 돌기부(33A, 33A)를 갖추면서 그 사이에 홈(33B)이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구동회전체(31)의 홈(31B, 31B)에는 검지용회전체(33)의 돌기부(33A, 33A)가 마주보게 설치되어 이들 돌기부(31A, 31A, 31A 와 33A, 33A)와 인접 주변사이에 1장의 지폐(P)만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이 형성됨으로써, 이간격사이를 통과하는 지폐(P)가 양 회전체(31, 33)사이에서 파상형으로 굴곡시켜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회전체(31) 및 검지용회전체(33)의 돌기부형상은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원주면이 굴곡면으로 형성되어도 좋은 바, 요컨데 요철이 맞물릴 수 있으면 된다.
한편, 산기 폴리축(21, 26)의 끝에는 모우터(M1, M2)로부터 벨트(34, 35)를 매개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폴리(36, 37)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검지용회전체(33)의 축(32) 한쪽끝에는 회전량검지수단(38)이 다른 쪽 끝에는 회전저항부여수단(39)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회전량검지수단(38)에는 로터라인 코더(40)가 이용되고, 이 인코더(40)에는 프레임(20)에 브라켓(41)을 매개로 장착되며, 이 인코더(40)와 상기 축(32)은 그 축(32)끝에 고정설치된 연결부재(42)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다. 따라서 검지용 회전체(33)의 회전변화가 축(32)을 통해 인코더(40)에 전달됨으로서 회전량의 변화를 검출해 낼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이 인코더(40)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변에 열을 지어 형성된 구멍(43, 43 …)을 갖는, 회전판(44)과 그 구멍을 검출하는 센서(45)등으로 구성되어, 그 검출신호가 상태판정수단(46)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는데, 이 판정수단(46)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48)등으로 이루어진 조정용조작부(47)를 갖추어, 상기 손잡이(48)를 [正], [損]방향의 범위로 설정해 놓음으로서 판별기준치를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태판정수단(46)으로부터 소정시간당 펄스신호가 출력되는 바, 정상권 신호는 a로 하고, 손상권신호는 b로 했을 경우, a, b의 경계를 선택설정함으로써 이의로 正, 損의 기준을 설정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정조작부(47)로서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상권레벨설정보턴(48A)으로 표시부(47A)에다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저항부여수단(39)는, 상기 축(32)끝 근처에 설치된 받침판(49)와, 이 축(32)에 키(50)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삽입되어 축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가동부재(51), 축(32)끝에 고정설치된 스프링받침부(52), 이 스프링받침부(52)와 가동부재(51)사이에 장착된 가동부재(51)를 소정의 힘으로 눌러밀어주는 압축스프링(53) 및, 상기 받침판(49)과 가동부재(51) 사이에 삽입되면서 그 한쪽 끝이 프레임(20)에 핀(57)에 의해 장착시켜진 브레이크판(55)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압축스프링(53)의 힘으로 가동부재(51)를 브레이크판(55)에 밀착시켜 축(32)에 소정의 마찰저항을 부여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판(55)은 장착용 판(54)에 대해 긴구멍에 의해 여우있게 끼워지기 때문에, 지폐(P)가 구동회전체(31)와 검지용 회전체(33)사이에 밀착시켜질 때의 충격을 흡수·완화해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3도에서 참조부호 56, 57은 프레임(20)에 장착된 투광기 및 수광기로서, 이들은 지폐(P)가 통과함에 따라 광로(光路)가 차단되어 지폐(P)의 통과를 검지함으로서 지폐(P)의 통과 통과매수를 계수함과 동시에 로타리인코더(40)의 신호를 접수하는 타이밍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지폐장전부(2)에 장전된 지폐(P)다발중에서 지폐가 1장씩 들여보내지면, 이송경로(7)를 지나 식별부(9)를 통과하는 동안 지폐의 종류와 진위, 겹침, 테이프접착등이 식별된 다음 상태검지장치(10)로 이송되는 바, 이 상태검지장치(10)에 도달한 지폐(P)는 반송수단으로서의 상하벨트(25, 30)사이를 통과해서 그 이송방향 앞쪽끝이 구동회전체(31)와 검지용회전체(33)사이에서 물려지게 된다.
따라서, 지폐(P)가 새것 또는 새것 가까운 강도를 지니고 있는 경우에는, 구동회전체(31)와 검지용회전체(33)사이를 통화할 때 제5도와 같이 검지회전체(33)의 누르는 힘(F, F)이 커지게 되고, 이때의 압력에 따라 검지용회전체(33)가 회전저항부여수단(39)에 의해 가해지는 회전저항을 극복하면서 회전하게 되므로 축(32)이 회전되게 된다.
이때, 상기 축(32)의 회전량변화는 연결부재(42)를 통해 로터리 인코더(40)에 전달되어, 이 인코더(40)에서 발생하게 되는 신호에 따라 상태판정수단(46)에 의해 정상지폐라고 판정되어져 수납부(121∼123)의 지폐종류에 대응하는 수납부내로 들어가게 된다.
한편, 지폐(P)가 낡은 것일 경우에는 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구동회전체(31)와 검지용회전체(33)사이에 들어가더라도 제6도와 같이 양회전체(31과 33)의 돌기부(31A, 33A)에 잘 맞춰지도록 쉽게 굴곡 되어져, 검지용회전체(33)가 누르는 힘(F', F')이 작기 때문에 검지용회전체(33)가 회전저항부여수단(39)에 의한 회전저항을 극복해낼 수 없게 되므로 회전변위가 없게 되거나 회전저항을 간신히 극복해서 횐전변위가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회전량의 변화가 적기 때문에 그 결과에 따라 손상권으로 판정되게 된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회전저항부여수단(39)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검지용회전체(33)에 지폐(P)의 반송속도와는 다른 속도로 회전을 부여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저항 부여수단(39)의 브레이크판(55) 대신 상기 축(32)에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삽입된 폴리(58)가 설치되면서, 이 폴리(58)의 측면이 축(32)에 고정된 받침판(49)과 축(32)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동부재(51)등에 각각 대향되어 자유롭게 압력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53)의 가압력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벨트를 통해 폴리(58)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받침판(49)과 가동부재(51)를 통해 촉(32)에 전달되게 됨으로써, 검지용회전체(33)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지폐(P)가 진입하지 않는 동안에는 검지용회전체(33)가 소정속도로 회전하게 되고, 검지용회전체(33)와 구동용회전체(31) 사이에 지폐(P)가 진입할 때에는, 그 지폐(P)가 강도가 강하다면 검지용회전체의 속도가 지폐(P)의 반송속도보다 크게 설정된 경우 감속이 되고, 마찬가지로 작게 설정된 경우에는 증속되게 되어, 그 회전량의 변화를 로타리 인코더(40)가 검지해 냄으로서 상태판정수단(46)에 의해 정상지폐로 판정되게 된다. 그러나 진입하는 지폐(P)의 강도가 약하면 검지용회전체에(33)의 회전이 변화하지 않거나 또는 변화한다 하더라도 약간의 변화에 지나지 않아 회전량의 변화가 적게 되므로, 그 결과 손상권으로 판정되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은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구동회전체(31)와 검지용회전체(33) 사이에 지폐(P)가 진입하게 되면 구동회전체(31)와 검지용회전체(33)의 돌기부(31A, 33A)에 의해 지폐(P)가 파상형으로 변형되어 이송되게 되는데, 지폐(P)가 새것인 경우에는 강도가 강한편이기 때문에 원래상태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작용을 하게 되어 검지용회전체(33)가 지폐(P)에 의해 증속 또는 감속시켜지게 됨으로써 회전량이 크게 변화하게 된다. 이때 검지용회전체(33)에 부여되는 회전력은 정방향의 회전력에 한정되지 않고 부방향의 회전력이 부여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검지용회전체(33)가 지표의 이송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송되는 지폐에 의해 반송방향으로 부방향 회전력이 부여되게 된다. 이 회전량의 변화를 로터리 인코더(40)가 감지하여 상태판정수단(46)에 의해 정상지폐라고 판정되게 된다. 그러나 진입지폐(P)가 손상되거나 마모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폐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원래상태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복원력이 약해서 검지용회전체(33)에 수직항력이 크게 작용하지 못함으로써 검지용회전체(33)의 회전이 변화하지 않거나 혹은 변화한다 하더라도 약간의 변화가 있을 뿐이므로, 회전량은 그다지 변화하지 않아 손상권이라고 판정되게 된다.
제12도는 공동회전체(31) 및 검지용회전체(33)를 지폐(22)의 반송폭방향 중앙에 대해 좌우대칭 2곳에 각각 설치한 경우이고, 제13도는 지폐(P)의 반송폭방향 중앙과 그 좌우등 합계 세군데에 각각 설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취급되는 종이의 종류에 따라 이들중 적절히 선택할 수가 있다 또한, 다른 부분의 구성에 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응되는 부재에 대해서의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면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판정을 함에 있어서, 종이의 상태라함은 마모정도와 테이프접착등과 같이 국부적인 이상 두께라던지 접혀진 상태등을 총칭한다. 이와 같은 검지목적이 마모정도의 검지만을 하는 경우, 이상두께만을 감지하는 경우, 접혀진 것만을 검지하는 경우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한 검지 등등 각 경우에도 본 발명장치를 적용시킬 수가 있는데, 본 발명장치로부터 신호를 받는 상태판정수단(46)에다 각 검지목적에 따른 검출형태를 취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각 검지목적에 따라 다른 공지·주지의 상태검지장치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와 본 발명장치에 의한 신호등 쌍방에 대해서도, 상기 상태판정수단(46)에다 입력시켜 상기와 같은 목적에 적합한 검출형태를 취하도록 하면 된다.
한편, 구동회전체(31) 및 검지용회전체(33)에 대해서 도면에 도시해 놓은 실시예에서는 모두 로울러구조로 된 경우로 되어 있는데, 이것을 벨트구조로 해도 상관없고, 또 종이의 이송수단이 수평방향에만 한정되지 않고, 수직으로 세운 자세에서 횡방향이나 종방향으로 반송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밖에 각 부의 구성에 관해서도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내에서의 설계변경은 임의로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이종류의 성질 및 상태를 검지하기 위해 종이의 강도차이를 검지용회전체의 회전량변화로 나타내지도록 해서 그 회전량변화를 회전량 검지수단으로 검지함으로써, 그 검지결과가 종이의 성질과 상태, 즉 정상 및 손상을 판별해 내는 판별조건으로 이용하도록 되어 있어서, 장치의 설치상황에 관계없이 정확한 상태검지를 할 수가 있게 되고 그 결과 저렴한 비용으로 확률 높은 정상권·손상권 판별장치등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이에 이송력을 부여하는 구동회전체가 검지용회전체에 설치됨으로서 종이의 진입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되어 지폐 등이 막히는 일이 없게 된다.

Claims (1)

  1. 원주변면 폭방향의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송되는 종이(P)와 접촉해서 이송력을 부여하는 구동회체(31)와, 이 구동회전체(31)의 요철형상원주면에 상대되는 요철형상원주면을 가지면서 상기 구동회전체(31)와의 사이로 반송되는 종이가 양 요철형상원주면과 접촉해서 파상형태로 변형시키기 위해 소정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이송되는 종이류와 접촉하는 부분의 강도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압력에 따라 종이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부여되도록 하는 검지용회전체(33), 이 검지용회전체(33)에 부여되는 회전력에 대해 회전저항을 부여해서 회전력이 소정치 이하일 때는 검지용 회전체(33)를 일정한 정지상태 또는 종이의 반송속도와는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소정치 이상인 때에는 그 회전력에 따라 검지용회전체(33)에 회전량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회전저항 부여수단(39) 및, 상기 검지용 회전체(33)의 회전량변화를 검출해 내는 회전량검지수단(30)이 갖춰져 구성되면서, 상기 회전량검지수단(38)의 검지결과를 종이의 성질 및 상태에 대한 판별조건으로 이용하도록 된 종이의 성질 및 상태 검지장치.
KR1019890012401A 1988-08-31 1989-08-30 종이의 성질 및 상태 검지장치 KR970007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17298A JP2647449B2 (ja) 1988-08-31 1988-08-31 紙葉類の性状検知装置
JP63-217298 1988-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786A KR900003786A (ko) 1990-03-27
KR970007740B1 true KR970007740B1 (ko) 1997-05-16

Family

ID=16701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2401A KR970007740B1 (ko) 1988-08-31 1989-08-30 종이의 성질 및 상태 검지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38071A (ko)
EP (1) EP0357406B1 (ko)
JP (1) JP2647449B2 (ko)
KR (1) KR970007740B1 (ko)
CA (1) CA1319276C (ko)
DE (1) DE68913628T2 (ko)
ES (1) ES205201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0368A (en) * 1989-12-04 1993-08-31 Diebold, Inc. Sheet handling apparatus
ES2089183T3 (es) * 1989-12-04 1996-10-01 Interbold Aparato de manipulacion de hojas.
GB9017420D0 (en) * 1990-08-08 1990-09-19 Ncr Co Apparatus for assessing the stiffness of a sheet
GB9114469D0 (en) * 1991-07-04 1991-08-21 Ncr Co Apparatus for testing the stiffness of a sheet
ES2041574B1 (es) * 1991-10-02 1996-01-01 Itisa Maquina receptora y dispensadora de billetes de banco de distintos tipos.
US5373723A (en) * 1992-09-11 1994-12-20 Chou; Shou-Lai Apparatus for determining friction between a support roller and a rubber roller
GB9414540D0 (en) * 1994-07-19 1994-09-07 At & T Global Inf Solution Apparatus for assessing the condition of a bank note
US5566570A (en) * 1994-07-21 1996-10-22 Director, Bureau Of Engraving And Printing, Department Of The Treasury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fold endurance and surface adhesion of sheet materials
DE19543674A1 (de) * 1995-11-23 1997-05-28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Steifigkeit von Blattgut, wie z. B. Banknoten
US5922959A (en) * 1996-10-15 1999-07-13 Currency Systems International Methods of measuring currency limpness
FR2762393B1 (fr) * 1997-04-21 1999-07-02 Ass Gestion Ecole Fr Papeterie Dispositif de test en compression de bandes de papier
GB9710719D0 (en) * 1997-05-24 1997-07-16 Ncr Int Inc A system for authenticating printed documents
JP2002139392A (ja) * 2000-11-01 2002-05-17 Toshiba Corp 紙葉類の質感検出装置及び紙葉類の処理装置
KR100468394B1 (ko) * 2001-03-21 2005-01-27 엘지전선 주식회사 충격음 저감용 고분자 발포체
GB0111586D0 (en) * 2001-05-11 2001-07-04 Rue De Int Ltd Sheet handling apparatus
DE10242398B4 (de) * 2002-09-12 2007-03-22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für die Überprüfung des Zustands von Banknoten
EP1498854A1 (en) * 2003-07-10 2005-01-19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 discriminator, sheet discriminating method and sheet discriminating threshold value deciding method
DE102007062122A1 (de) * 2007-12-21 2009-06-25 Giesecke & Devrient Gmbh Sensor zur Prüfung von Wertdokumenten
EP2275999A4 (en) * 2009-01-30 2011-10-26 Billcon Corp DEVICE AND METHOD FOR DISCRIMINATING AND COUNTING PAPER SHEETS
CN113049373B (zh) * 2021-02-08 2022-08-12 浙江华邦特种纸业有限公司 一种医用透析纸抗压能力检测用的张紧装置
CN117571519B (zh) * 2024-01-17 2024-04-16 潍坊新星标签制品有限公司 一种rfid标签耐折测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2886A (en) * 1959-12-21 1964-03-18 Sdruzeni Podniku Textilniho St Feeler apparatus
US3552563A (en) * 1968-12-09 1971-01-05 Deering Milliken Res Corp Method to sort currency
SU742992A1 (ru) * 1978-01-16 1980-06-25 Калининградск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Торгов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ртировки денежных билетов
US4365508A (en) * 1980-08-01 1982-12-28 Brandt, Inc. Limpness detector for documents and the like
US4381447A (en) * 1980-09-19 1983-04-26 Brand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and sorting sheets in a high speed manner
ATE18705T1 (de) * 1981-08-20 1986-04-15 De La Rue Syst Geraet zur feststellung des zustandes eines blattes.
DE3335766A1 (de) * 1983-10-01 1985-04-11 Leybold-Heraeus GmbH, 5000 Köln Anordnung zur elektrischen messung von schichtdicken an laufenden baend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57406A2 (en) 1990-03-07
US4938071A (en) 1990-07-03
EP0357406B1 (en) 1994-03-09
JPH0266693A (ja) 1990-03-06
CA1319276C (en) 1993-06-22
JP2647449B2 (ja) 1997-08-27
DE68913628T2 (de) 1994-08-18
KR900003786A (ko) 1990-03-27
ES2052013T3 (es) 1994-07-01
DE68913628D1 (de) 1994-04-14
EP0357406A3 (en) 1990-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740B1 (ko) 종이의 성질 및 상태 검지장치
EP2431313B1 (en) Paper-sheet-thickness detecting device
KR100582611B1 (ko) 종이류 반송 장치
US47075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heets for overlapping
US20080277406A1 (en) Dispensing of Currency
US7337889B2 (en) Automated teller machine
JPS6069584A (ja) 複数のシ−トを感知する方法と装置
US4729556A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thickness of bank note
CN106898080B (zh) 厚度检测装置及金融设备
KR960008622A (ko) 지폐 계수기
EP01682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sheets
US6715671B2 (en) Automatic bill dispensing apparatus with a sorting device
JP2773497B2 (ja) 紙葉類厚さ検出機構
US6361043B1 (en) Sheet dispenser mechanism
KR950002957Y1 (ko) 지폐 중복이송 검지장치
CN106097558B (zh) 纸币清分装置
JP2564569B2 (ja) 紙葉類の性状検知装置
JP2000065523A (ja) 紙幣の厚み検出装置
JPS6239475Y2 (ko)
JPH0585074B2 (ko)
JPH06180213A (ja) 紙厚検知装置
JP3616822B2 (ja) 硬貨の整列装置
JPS63208710A (ja)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
JPH0745813Y2 (ja) 紙幣識別装置
JP2725967B2 (ja) 紙葉類鑑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