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452B1 - 자동변속기의 록업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의 록업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452B1
KR970007452B1 KR1019950002196A KR19950002196A KR970007452B1 KR 970007452 B1 KR970007452 B1 KR 970007452B1 KR 1019950002196 A KR1019950002196 A KR 1019950002196A KR 19950002196 A KR19950002196 A KR 19950002196A KR 970007452 B1 KR970007452 B1 KR 970007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converter
lock
stat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916A (ko
Inventor
요시미 이와야
코이치 하야사키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쭈지 요시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쭈지 요시후미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24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452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Fluid Gearing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변속기의 록업 제어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변속기의 록업 제어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 록업 제어장치의 1 실시예를 예시하는 시스템도이다.
제 3 도는 동 예에 있어서의 컨트롤러가 록업 영역으로부터 컨버터 영역에의 영역 이행을 수반하는 변속에 있어서 행해야 할 토크 컨버터의 록업 해제 제어를 예시한 프로그램의 플로차트이다.
제 4 도는 동 록업 해제 제어의 동작 타임 차트이다.
제 5(a) 도는 종래 장치에 의한 중고 부하 운전시의 록업 해제 제어를 도시한 동작 타임 차트.
제 5(b) 도는 종래 장치에 의한 저부하 운전시의 록업 해제 제어를 도시한 동작 타임 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자동 변속기
3 : 토크 컨버터 5 : 컨트롤 밸브
6,7 : 시프트 솔레노이드 8 : 록업 솔레노이드
9 : 컨트롤러 10 : 스로틀 개도 센서
11 : 차속센서 12 : 엔진 회전 센서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된 자동 변속기의 록업 영역으로부터 컨버터 영역에의 영역 이행을 수반하는 변속중에 있어서의 토크 컨버터의 록업 해제를 적절하게 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 변속기는 전동 효율의 향상에 의해 연비를 양호하게 할 목적으로, 토크 컨버터를 이것에 의한 토크증대 기능이나 토크 변동 흡수 기능이 불필요한 록업 영역에서의 차량 운전 상태하에서는, 입출력 요소간이 직결된 록업 상태로 할 수 있도록 한 록업식의 것으로 전환되는 경향에 있다.
이 종류의 토크 컨버터를 록업 제어함에 있어서는, 종래 예컨대 본원 출원인의 발행에 의한 [NISSANRE 4R 01A형 플렌지 전자 제어 오토매틱 트랜스 미션 정비 요령서]에 기재된 자동 변속기에 볼 수 있듯이 특정 변속단 또는 각 변속단마다, 스로틀 개도(엔진부하)와 차속으로 규정된 록업 영역 및 컨버터 영역의 어느 한쪽의 차량 운전 상태인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따라 토크 컨버터를 록업 영역에서는 입출력요소간이 직결된 록업 상태로 하고, 컨버터 영역에서는 이 직결이 해제된 컨버터 상태로 하는 것이 상예이다.
그런데, 토크 컨버터의 록업에 의한 연비 향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많은 변속단으로 토크컨버터를 록업시키도록 하고, 다시 가능한 한 록업 영역을 넓히는 것이 무방하다. 그리하여 이 경우, 록업영역으로부터 컨버터 영역에의 영역 이행을 수반하는 변속이 발생되고, 변속과 함께 토크 컨버터를 록업상태로부터 컨버터 상태로 전환하는 록업 해제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록업 해제 제어에 있어서는 종래 예컨대 상기 문헌에 기재된 바와같이, 제 5 도(a)는 도시한 바와같이, 이것을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였다. 제 5 도(a)는 3속 록업 영역으로부터 4속 컨버터 영역에의 운전 상태의 변화에 호응하여 생기는 변속 및 록업 해제 제어를 예시하며, 순간(t0)의 변속지령에 따라 행해지는 변속의 개시 순간(T1)으로부터 엔진 회전수(Ne)가 저하되기 시작하고, 실효 기어비(r)가 설정치(rs)로 된 순간(t2)으로부터, 록업 솔레노이드의 구동듀티(D)를 95%로부터 설정 시간 구배(d/dt)(D)로 5%에 향해 저하시킴으로써, 토크 컨버터를 서서히 록업 상태로부터 컨버터 상태로 전환하고 이 전환을 변속 종료 순간(t3)까지에 종료시킨다.
그러나,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량 저부하 운전 상태에서의 3속 록업 영역으로부터 4속 컨버터 영역에의 변속 차속은, 고부하 운전 상태에서의 3속 록업 영역으로부터 4속 컨버터 영역에의 변속 차속보다 낮은 차속으로 되어 있고, 이러한 록업 영역으로부터 컨버터 영역에의 영역 이행을 수반하는 변속에 있어서의 록업 해제 제어는, 제 5 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변속의 전후에서 엔진 회전수(Ne)의 차(△Nes)가 커지는 차량의 중고부하 운전 상태에서의 차속이 높은 3속 록업 영역으로부터 4속 컨버터 영역에의 변속에서는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으나, 제 5 도(b)에 도시한 바와같이 변속 전후의 엔진 회전 수차(△Nes)가 0에 가까운 차량의 저부하 운전 상태에서의 차속이 낮은 3속 록업 영역으로부터 4속 컨버터 영역에의 변속이라도 동일 록업 해제 제어를 실행하면, 이하의 문제를 발생한다.
즉, 이러한 차량 운전 상태하에서 실효 기어비(r)가 설정 기어비(rs)로 되는 순간(T2)으로부터 록업 솔레노이드 구동 듀티(D)를 설정 시간 구배(d/dt)(D)로 저하시키고, 이것에 의해 토크 컨버터를 록업 상태로부터 서서히 컨버터 상태에 전환하면, 당해 전환이 작동 지연에 기인하여 변속으로 시간 조정 되지 않고, 엔진 회전수(Ne)가 일단 떨어지며 그후 재차 상승하게 되어 엔진 회전 변동 및 이것에 수반하는 쇼크가 발생되는 것을 면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실효 기어비를 모니터하여 상기의 록업 해제 제어를 개시시키는 대신에, 변속 지령으로부터의 시간을 모니터하여 록업 해제의 개시를 결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목적을 위하여 제 1 발명에 의한 자동 변속기의 록업 제어장치는, 제 1 도에 개념을 도시한 바와같이, 록업 영역에서의 차량 운전중, 입출력 요소간이 직결된 록업 상태로 되고, 컨버터 영역에서의 차량 운전중, 이 직결이 해제된 컨버터 상태로 되는 토크 컨버터를 전동계에 가지는 자동 변속기를 탑재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록업 영역으로부터 컨버터 영역에의 영역 이행을 수반하는 변속을 검지하는 변속 검지 수단과, 이 변속의 전후에 있어서의 변속기 입력 회전수의 차가 0에 가까운 미소치로 되는 차량 운전 상태를 검지하는 운전 상태 검지 수단과, 이들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운전 상태로 상기 변속의 지령이 발해졌을 때부터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계시 수단과, 이 수단에 의해 계측된 경과 시간이 설정시간으로 됐을 때보다 상기 토크 컨버터를 설정시간 구배에서 서서히 록업 상태로부터 컨버터 상태로 하는 록업 해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제 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속중에 있어서의 변속기 입력 회전수의 변속 직전치에 대한 변동량을 검출하는 입력 회전수 변동량 검출 수단과, 이 수단에 의해 검출된 입력 회전수 변동량이 소정치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설정 시간을 변경하는 설정 시간 변경 수단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제3발명은, 상기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변속중에 있어서의 변속기 입력 회전수의 변속 직전치에 대한 변동량을 검출하는 입력 회전수 변동량 검출 수단과, 이 수단에 의해 검출된 입력 회전수 변동량이 소정치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설정 시간 구배를 변경하는 설정 시간 구배 변경 수단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변속 검지 수단은, 토크 컨버터를 입출력 요소간이 직결된 록업 상태로 해야 할 록업영역으로부터, 이 직결이 해제된 컨버터 상태로 해야 할 컨버터 영역에의 영역 이행을 수반하는 변속을 검지하고, 운전 상태 검지 수단은, 당해 변속의 전후에 있어서의 변속기 입력 회전수의 차가 0에 가까운 미소치로 되는 차량 운전 상태를 검지한다.
그리고, 계시 수단은, 이들 검지 수단으로부타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운전 상태에서 상기 변속의 지령이 발해졌을 때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고, 록업 해제 수단은, 이 경과 시간이 설정 시간으로 되었을때 부터 토크 컨버터를 설정시간 구배에서 서서히 록업 상태로부터 컨버터 상태로 한다.
이상의 록업 해제 제어에 의하면, 상기의 설정 시간을 적절하게 선정함으로써, 상기의 영역 이행을 수반하는 변속에 있어서 토크 컨버터를 록업 상태로부터 컨버터 상태로 전환함에 있어서, 이 전환을 변속으로 시간 조정시켜서 행하게 할 수 있고, 엔진 회전 변동이 커져서 쇼크가 발생된다고 하는, 종래의 록업 해제 제어에 의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발명에 부가하여 설정된 입력 회전수 변동량 검출 수단이 상기 변속중에 있어서의 변속기 입력 회전수의 변속 직전치에 대한 변동량을 검출하고, 설정 시간 변경 수단은, 당해 검출된 변속기 입력 회전수의 변동량이 소정치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의 설정 시간을 변경한다.
따라서, 토크 컨버터의 상기 록업 상태로부터 컨버터 상태에의 전환을 어뗘한 상황 변화 아래서도, 변속에 시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엔진 회전 변동 및 이것에 수반하는 쇼크를 상황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확실하게 작게 할 수가 있다.
제 3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부가하여 설정된 입력 회전수 변동량 검출 수단이, 상기 변속중에 있어서의 변속기 입력 회전수의 변속 직전치에 대한 변동량을 검출하고, 설정 시간 구배 변경 수단은, 당해 검출된 변속기 입력 회전수의 변동량이 소정치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의 설정시간 구배를 변경한다.
따라서, 상기의 영역 이행을 수반하는 변속에 있어 토크 컨버터를 록업 상태로부터 컨버터 상태로 전환함에 있어서, 이 전환을 엔진 회전 변동 및 이것에 수반되는 쇼크가 한층 작아지는 것과 같은 속도로 행할수 있게 되고, 당해 전환 속도의 부정에 기인된 엔진 회전 변동 및 이것에 수반되는 쇼크까지도, 모든 차량운전 상태 아래서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다고 하는 작용 효과를 상기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작용 효과에 부가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 1 실시예의 형태로 되는 자동 변속기의 록업 제어장치를 예시하며, 이 도면에 있어서, 1은 엔진, 2는 자동 변속기이다. 자동 변속기(2)는 토크 컨버터를 경유하여 엔진(1)의 동력이 입력되고, 선택 변속단에 따른 기어비로 입력 회전을 변속하여 출력축(4)에 전달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자동 변속기(2)는, 컨트롤 밸브(5) 내에 있어서의 시프트 솔레노이드(6,7)의 온, 오프(ON, OFF)의 편성에 의해 선택 변속단이 결정되고, 토크 컨버터(3)는 컨트롤 밸브(5) 내에 있어서의 록업 솔레노이드(8)의 듀티 제어에 의해 입출력 요소간을 직결되지 않은 컨버터 상태 또는 입출력 요소간을 직결한 록업 상태로 되는 것으로 한다.
시프트 솔레노이드(6,7)의 온, 오프(ON,OFF) 및 록업 솔레노이드(8)의 구동 듀티(D)는 컨트롤러(9)에 의해 이들을 제어하고, 이 컨트롤러(9)에는 엔진(1)의 스로틀 개도(TH)를 검출하는 스로틀 개도 센서(10)로부터의 신호, 변속기 출력축(4)의 회전수를 기준으로 차속(V)를 검출하는 차속센서(1)로부터의 신호 및 엔진(1)의 외전수(Ne)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 센서(12)로부터의 신호를 각각 입력한다.
컨트롤러(9)는 이들 입력 정보에 의거하여, 도시하지 않았으나 주지의 연산에 의해 이하의 변속 제어 및 통상의 록업 제어를 행한다. 먼저 변속 제어를 설명함에 있어, 스로틀 개도(TH) 및 차속(V)으로부터 현재의 운전 상태에 최적의 변속단을, 예컨대, 테이블 록업 방식에 의해 구하고 이 최적 변속단이 선택되도록, 시프트 솔레노이드(6,7)를 온, 오프(ON,OFF)시켜서 소정의 변속을 행한다.
다음에 통상의 록업 제어를 설명함에 있어, 이 록업 제어에 있어서는 특정 변속단 또는 각 변속단마다, 스로틀 개도(TH)와 차속(V)으로 규정된 록업 영역 및 컨버터 영역의 어느쪽의 주행 상태인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따라 록업 솔레노이드(8)의 듀티 제어를 통하여, 토크 컨버터(3)를 록업시키거나, 컨버터 상태로 한다.
또한 토크 컨버터(3)의 록업은, 솔레노이드(8)의 구동 듀티(D)를 95%로 하여 이것을 달성하고, 토크 컨버터(3)의 컨버터 상태는 솔레노이드(8)의 구동 듀티(D)를 5%로 하여 이것을 달성하는 것으로 한다.
컨트롤러(9)는 다시 제 3 도의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록업 영역으로부터 컨버터 영역에의 영역 이행을 수반하는 변속에 있어서, 본 발명이 노리는 토크 컨버터(3)의 록업 해제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3속 록업 영역으로부터 4속 컨버터 영역에의 변속 차속은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로틀 개도(TH)가 저개도 일 때, 스로틀 개도(TH)가 고개도일 때에 비하여 낮은 차속으로 되어 있고, 변속의 전후에 있어서의 변속기 입력 회전수의 차가 0에 가까운 미소치로 되는 차량 운전 상태는 스로틀 개도(TH)가 저개도의 3속 록업 영역으로부터 4속 컨버터 영역에의 변속이 지령됨으로써 검출된다.
제 3 도의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의 영역 이행을 수반하는 변속단의 전환이 지령될 때마다, 예컨대 3속 록업 영역으로부터 4속 컨버터 영역에의 운전 상태의 변화에 호응하여 록업 영역으로부터 컨버터 영역에의 영역 이행을 수반하는 3-4변속이 지령될 때마다 스텝(2l)에서 개시되고, 먼저 스텝(22)에 있어서, 타이머(T)에 이하와 같이 시간을 설정한다.
이 타이머 시간(T)의 설정에 있어서는, 엔진 스로틀 개도(TH) 및 차속(V)의 검출치에 따른 타이머 기준지(TM)를 판독하는 동시에, 전회의 록업 영역으로부터 컨버터 영역에의 영역 이행을 수반하는 3-4변속중에 있어서의 엔진 회전수(Ne)의 변속 직전지에 대한 변동량(±△Ne)(제 4 도 참조)에 따른 타이머 보정량(△TM)을 판독한다.
여기서 타이머 보정량(△TM)은, 엔진 회전수 변동량(+△Ne)이, 상기 쇼크의 문제가 생길 정도로 커다란 엔진의 공회전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경우, 엔진 회전수 변동량(+△Ne)에 대응한 (+△TM)로 하고, 엔진회전수 변동량(-△Ne)이 상기 쇼크의 문제가 생길 정도로 커다란 엔진의 인입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경우, 엔진 외전수 변동량(-△Ne)에 따른 (-△TM)로 한다.
스텝(22)에서는, 타이머 기준치(TM)와 타이머 보정량(△TM)과 화합치를 타이머(T)에 세트한다. 따라서 타이머(T)는, 엔진 회전수 변동량(+△Ne)이 상지 스크 문제가 생길 정도로 커다란 엔진의 공회전올 나타내는 것과 같은 경우, T=TM+△TM에 세트되고, 엔진 회전수 변동량(-△Ne)이 상기 스크의 문제가 생길 정도로 커다란 엔진의 인입을 나타내는 것과 같은 경우, T=TM+△TM에 새트된다.
스텝(23)에서는 상기와 같이 세트된 타이머(T)를 감소시키고, 이 감소를 스텝(24)에서 T≤0으로 된 것이 검지될 때까지, 즉 변속 지령으로부터 상기 타이머(T)에 세트된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한다. 그리고,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변속 지링 순간(t0)으로부터 당해 설정 시간(T)이 경과한 순간(t1)으로부터 제어를 스텝(25)에 진행시키고, 록업 솔레노이드(8)에의 구동 듀티(D)를 95%로부터 설정 시간 구배(d/dt)(D)에 의해 저하시켜, 이 저하를 스텝(26)에서 D<5%가 검지될 때까지 계속함으로써, 토크 컨버터(3)를 록업 상태로부터 컨버터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록업 솔레노이드 구동 듀티(D)의 저하속도를 결정하는 상기의 설정 시간 구배(d/dt)(D)도 상기 타이머(T)의 설정 시간과 같이, 엔진 회전수 변동량(±△Ne)이 소정의 작온 범위내에 수용되도록 학습 제어하는 것이 좋은 것임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의 제어에 의하면 록업 영역으로부터 컨버터 영역에의 영역 이행을 수반하는 변속에 있어서, 토크 컨버터(3)를 록업 상태로부터 컨버터 상태로 전환함에 있어, 이것을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변속의 전후에서 엔진 회전수의 차가 거의 없는 저부하 운전중에도, 변속중에 있어서의 엔진 회전수의 변속 직전치에 대한 변동량(+△Ne)이 소정의 작은 범위내에 수용되도록 순간(t1)에 지령하고, 당해 전환을 변속 개시(t2)에 확실하게 시간 조정하는 타이밍으로 개시할 수 있는 동시에, 변속 종료(t3)까지 증료할 수 있게 되고, 쇼크를 수반할 정도로 커다란 엔진 회전 변동을, 어떠한 운전 상황 변화 아래서도 항상 확실하게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설정 시간 구배(d/dt)(D)도 상기 타이머(T)의 설정시간과 같이, 엔진 회전수 변동량(±△Ne)가 소정의 작은 범위내에 수용되도록 학습 제어하는 경우, 어뗘한 운전 상황 변화 아래서도 엔진 회전변동 및 쇼크를 작게 유지하는 것과 같은 속도로, 토크 컨버터(3)를 록업 상태로부터 컨버터 상태로 전환할수 있고, 당해 전환 속도 부정에 기인된 엔진 회전 변동 및 이것에 수반되는 쇼크까지도, 모든 차량 운전상태 아래서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제 1 발명의 록업 제어장치는, 청구항 1 기재와 같이, 토크 컨버터를 입출력 요소간이 직결된 록업 상태로 해야할 록업 영역으로부터, 이 직결이 해제된 컨버터 상태로 해야할 컨버터 영역에의 영역 이행을 수반하는 변속으로, 당해 변속의 전후에 있어서의 변속기 입력 회전수의 차가 0에 가까운 미소치로 되는 차량 운전 상태인 경우, 당해 변속의 지령이 발해지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설정 시간으로 되었을 때부터 토크 컨버터를 설정 시간 구배로 서서히 록업 상태로부터 컨버터 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상기의 설정 시간을 적절하게 선정함으로써, 상기의 영역 이행을 수반하는 변속에 있어서 토크 컨버터를 록업 상태로부터 컨버터 상태로 전환함에 있어서, 이 전환을 변속으로 시간 조정시켜서 행하게 할 수 있고, 상기의 차량 운전 상태에서의 변속시 엔진 회전 변동이 커져서 쇼크가 발생한다고 하는 종래의 록업 해제제어에 의한 문제를 해소할 수가 있다.
제 2 발명은, 청구항 2 기재와 같이 상기 제 1 발명에 부가하여, 상기 변속중에 있어서의 변속기 입력 회전수의 변속 직전치에 대한 변동량이 소정치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의 설정 시간을 변경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토크 컨버터의 상기 록업 상태로부터 컨버터 상태에의 전환을 어떠한 상황 변화 아래서도, 변속에 시간 조정할 수 있게 되어서, 엔진 회전 변동 및 이것에 수반되는 쇼크를, 상황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확실하게 작게 할 수 있다.
제3발명은, 청구항 3 기재와 같이 상기 제1 또는 제 2 발명에 부가하여 상기 변속중에 있어서의 변속기 입력 회전수의 변속 직전치에 대한 변동량이 소정치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의 설정 시간 구배를 변경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상기의 영역 이행을 수반하는 변속에 있어서, 토크 컨버터를 록업 상태로부터 컨버터상태로 전환함에 있어서, 이 전환을 엔진 회전 변동 및 이것에 수반되는 쇼크가 한층 작아지는 것과 같은 속도로 행할 수 있게 되고, 당해 전환 속도의 부정에 기인된 엔진 회전 변동 및 이것에 수반되는 쇼크까지도, 모든 차량 운전 상태하에서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다고 하는 작용효과를, 상기 제 1 발명 또는 제 2 발명의 작용 효과에 부가하여 나타낼 수 있다.

Claims (3)

  1. 록업 영역에서의 차량 운전중, 입출력 요소간이 직결된 록업 상태로 되고, 컨버터 영역에서의 차량 운전중, 이 직결이 해제된 컨버터 상태로 되는 토크 컨버터를 전동계에 가지는 자동 변속기를 잡재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록업 영역으로부터 컨버터 영역에의 영역 이행을 수반하는 변속을 검지하는 변속 검지 수단과, 이 변속의 전후에 있어서의 변속기 입력 회전수의 차가 0에 가까운 미소치로 되는 차량 운전 상태를 검지하는 운전 상태 검지 수단과, 이들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 운전 상태에서 상기 변속 지령이 발해졌을 때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계시 수단과, 이 수단에 의해 계측된 경과 시간이 설정 시간으로 되었을 때부터 상기 토크 컨버터를, 설정 시간 구배로 서서히 록업 상태로부터 컨버터상태로 하는 록업 해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록업 제어창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중에 있어서의 변속기 입력 회전수의 변속 직전치에 대한 변동량을 검출하는 입력 회전수 변동량 검출 수단과, 이 수단에 의해 검출된 입력 회전수 변동량이 소정치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설정 시간을 변경하는 설정 시간 변경 수단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록업 제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중에 있어서의 변속기 입력 회전수의 변속 직전치에 대한 변동량을 검출하는 입력 회전수 변동량 검출 수단과, 이 수단에 의해 검출된 입력 회전수 변동량이 소정치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설정 시간 구배를 변경하는 설정 시간 구배 변경 수단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의 록업 제어장치.
KR1019950002196A 1994-02-09 1995-02-08 자동변속기의 록업 제어장치 KR970007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5359 1994-02-09
JP6-15,359 1994-02-09
JP01535994A JP3465337B2 (ja) 1994-02-09 1994-02-09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916A KR950024916A (ko) 1995-09-15
KR970007452B1 true KR970007452B1 (ko) 1997-05-09

Family

ID=11886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196A KR970007452B1 (ko) 1994-02-09 1995-02-08 자동변속기의 록업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465337B2 (ko)
KR (1) KR9700074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6264B2 (en) * 2001-03-30 2006-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using a GPS assist having a learn mode
JP6885284B2 (ja) * 2017-09-27 2021-06-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24929A (ja) 1995-08-22
KR950024916A (ko) 1995-09-15
JP3465337B2 (ja) 200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241740A (ja) 自動変速機及びエンジンの一体制御装置
JPH01247854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0792140B2 (ja) 自動変速機のライン圧制御装置
JP2738844B2 (ja) 排気ブレーキ装置の制御装置
US5094128A (en)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US6471620B2 (en)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970007452B1 (ko) 자동변속기의 록업 제어장치
JPH02256959A (ja) 電子制御自動変速装置
JPH055688B2 (ko)
KR100491826B1 (ko) 자동변속기의 변속제어장치
JP3092426B2 (ja)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JP2737119B2 (ja) 副変速機付自動変速装置の制御装置
JP3291878B2 (ja)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KR0144414B1 (ko) 자동변속기의 록업 제어장치
JP3324255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ショック軽減装置
KR100285474B1 (ko) 자동변속기의 파워 온 다운 시프트 변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482774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時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JPH05248530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圧制御装置
KR0139008B1 (ko) 자동변속기의 록업 제어장치
JPH0842678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811914B2 (ja) トルクコンバータ付き車両の自動変速制御装置
JPH03185269A (ja) 自動変速機付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H11101335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及び記憶媒体
JP3239559B2 (ja) 変速制御装置
JPH053525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