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081B1 - 낚시줄 수용용 스풀을 구비한 낚시릴 - Google Patents

낚시줄 수용용 스풀을 구비한 낚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081B1
KR970007081B1 KR1019910019819A KR910019819A KR970007081B1 KR 970007081 B1 KR970007081 B1 KR 970007081B1 KR 1019910019819 A KR1019910019819 A KR 1019910019819A KR 910019819 A KR910019819 A KR 910019819A KR 970007081 B1 KR970007081 B1 KR 970007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guide groove
cam
reciprocating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9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288A (ko
Inventor
발터 바움게르트너
디터 하만
Original Assignee
루퍼 쿤체, 클라우스 파르
데.아.엠.도이체 앙엘게레테 마누팍투어 헬무트 쿤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퍼 쿤체, 클라우스 파르, 데.아.엠.도이체 앙엘게레테 마누팍투어 헬무트 쿤체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루퍼 쿤체, 클라우스 파르
Publication of KR920009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0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4Reciprocat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낚시줄 수용용 스풀을 구비한 낚시릴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캠 드라이브를 구비한 스풀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Ⅱ방향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캠 드라이브의 부분단면도.
제3도는 종래기술의 안내홈.
제4도는 제3도의 안내홈에 따라 15°간격으로 하나의 전환위치로부터 대응되는 전환위치로의 캠스터드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제3도의 안내홈내에서 제4도의 캠 스터드의 왕복운동을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제1도의 바람직한 캠 스터드 및 캠 드라이브용 안내홈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캠 스터드의 중간 위치에 있는 대응하는 수에 따라 제6도의 안내홈내에서 360°회전된 캠스터드의 순환도.
제8도는 제6도에 안내홈에 따라 제7도의 캠 스터드의 순환에 대응하는 360°순환에 따른 왕복 운동의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풀(spool) 4 : 감긴 낚시줄
5 : 돌출된 뭉치 7 : 표면
8 : 핸들 9 : 샤프트
11 : 기어 13 : 캠 스터드(cam stud)
14 : 안내홈 15 : 안내부품
A, C : 측면위치 B, D : 전환위치
본 발명은 캠 드라이브 및 그에 의해 감긴 낚시줄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리저리 움직이는 샤프트 또는 이것에 의해 축방향으로 상응하게 운동되는 스풀을 구비하는 형태의 낚시릴로서, 상기 캠 드라이브는 기어, 이 기어상에 편심되어 설치된 캠 스터드, 스핀들, 샤프트 등에 의해 스풀에 설치된 안내판 및 상기 스핀들 또는 샤프트를 길이방향으로 이리저리로 구동하도록 회전 캠 스터드와 맞물리게 하는 안내홈을 안내 부품내에 구비한다. 이 안내홈은 안내부품의 왕복 속도가 왕복운동의 전환위치에서 증가
공지의 낚시릴용 안내홈으로는 직선으로 뻗어있는 형상의 안내홈이 제공되어있다. 이러한 안내홈은 좁은 폭의 스풀에 실용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지만, 만약 동일한 지름의 스풀 코어상에 더 많은 낚시줄이 감길수 있도록 스풀의 폭이 더 커야만 한다면, 스풀에 의해 야기된 스풀의 속도변화는 스풀의 왕복 경로의 전환지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낚시줄이 감겨진 2개의 단부 영역에 외부로 돌출된 낚시줄 뭉치가 형성될수도 있다. 스풀의 직경 즉, 바깥으로 놓여진 낚시줄 뭉치의 직경을 크게하지않으면서, 스풀코어의 직경을 크게하면, 낚시줄의 수용력이 줄기 때문에, 스풀이 폭은 더 확대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이 캠 스터드의 전환위치에서 뭉치가 형성되어, 즉, 스풀의 왕복운동의 끝부분에서 반대 방향으로 넘어가기 위해 왕복 또는 행정속도가 0으로 감소되면, 스풀이 왕복운동되는 전환위치에 있음에도, 시간단위당 낚시릴의 플랜지에 의해 스풀에 의해 감겨지는 낚시줄의 양이 감소되지않고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돌출된 뭉치가 형성된다. 미끼를 달고있는 낚시줄을 풀 때, 이 뭉치부분은 '감겨붙는' 즉, 스풀로부터 풀려지는 낚시줄이 이 낚시줄에 인접하는 낚시줄 뭉치를 동반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감겨붙는' 걸림 때문에, 너무 많은 낚시줄이 풀려져서 느슨하게 얽혀지기 때문에 소위, 가발 모양(wig)이 형성된다. 이는 낚시줄을 던질 때 예기치않은 장애 또는 피해를 초래한다.
상기 언급한 단점을 극복하기위해서, 왕복 스풀 어셈블리가 안내부품의 행정속도가 행정경로의 전환위치에서 증가되고, 그리고 안내부품의 전후 행정속도가 중간 위치에서 거의 같도록 안내부품의 행정속도가 캠스터드의 원형 경로를 따라 2개의 전환위치사이에서 측면위치의 대략 중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낮아지도록 만곡된 캠 드라이브 안내 홈을 구비하는 독일연방 공화국 실용신안 제70 06 743호 제4도와 같은 낚시릴이 제안되어있다. 이 실용신안 제70 06 743호의 명세서에 따라 일정하게 왕복운동"8"의 모양을 가지지만, 이 "8"의 내부는 접촉하지 않고 서로 이격되어있다.
이러한 8 모양의 디자인은 단부위치에 있을 때, 안내홈내의 캠 스터드의 축 방향 헐거움이 커지게된다. 게다가, 이것의 측면위치에서 또는 측면지점에서 안내홈내에 있는 캠 스터드의 운동의 자동정지가 발생된다. 이 경우 상기 이유들로 인해 안내홈에 캠 스터드가 끼워지고 뒤틀어지고, 캠 스터드가 측변위치에 있을 때 캠 스터드상에 구동 기어에 의해 가해진 힘은 안내홈의 대응 운동 및 왕복운동으로 전환될수 없다. 달리 설명하면, 안내홈의 측면위치에서, 상기 축의 헐거움은 안내홈내에서 캠 스터드
독일 연방 공화국 실용신안 제70, 07, 657호의 제1도는 직선으로 둘러쌓인 안내홈을 갖춘 종래기술의 낚시릴이 기술되어있다. 이 장치의 제70, 07, 657호의 제3도와 제4도에 따른 캠 스터드를 갖춘 구동기어가 왕복 또는 행정 운동 전환기의 형태로 중간 부품의 직선으로 둘러쌓인 안내홈과 맞물린다. 또한, 이 왕복 전환 장치는 약간 경사진 S 형태의 안내홈을 가지며 그리고 스풀 스핀들의 핀에 의해 이 안내홈에 결합된다. 이에따라, 구동기어로부터의 제어힘은 2개의 안내홈 수단에 의해 스풀 스핀들의
이 때문에 이 장치는 끼이거나 시스템에 장애를 초래할수 있으며, 구성 비용이 크므로 값도 비싸고 실용신안 제70, 07, 657호의 제3도와 제4도에 따른 구조는 단일 안내홈이 스풀 스핀들에 부착된 단일 안내 부품에 제공된 장치와 비교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고정되어 유지되는 낚시줄 드럼이 구비된 낚시줄 릴이 공지되어있으나, 이 릴은 각이 진 홈 안내부를 구비하지 않고 단지 드라이브 크랭크를 한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특별한 작용을 하도록 한다. 바람직하지 않게도 스풀의 전진 후진 행정 속도가 다르다. 이 장치는 정교하고 균일한 낚시줄 감기를 달성할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줄을 던질 때 "가발 모양"이 형성되지 않게 하는 동시에, 낚시줄을 감는동안 뭉치가 형성되는 것을 막거나 최소화하면서 단순한 방법으로 낚시릴에서 스풀의 왕복운동의 폭을 넓게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캠 드라이브 및 그에 의해 감긴 낚시줄의 종축 방향으로 이리저리 움직이는 축 또는 이것에 의해 축방향으로 상응하게 운동되는 스풀을 구비하고, 상기 캠 드라이브는 기어, 이 기어상에 편심되게 설치된 캠 스터드, 스핀들, 샤프트 등에 의해 스풀에 설치된 안내판 및 상기 스핀들 또는 샤프트를 길이방향으로 이리저리로 구동하도록 회전 캠 스터드와 맞물리게하는 안내홈을 안내 부품내에 구비하며, 상기 안내 홈은 안내부품의 왕복 속도가 왕복운동의 전환장소의 위치에서 증가되고 편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캠 드라이브 및 그에의해 감긴 낚시줄의 종축 방향으로 이리저리 움직이는 축 또는 이것에 의해 축방향으로 상응하게 운동되는 스풀을 구비하고, 상기 캠 드라이브는 기어, 이 기어상에 편심되게 설치된 캠 스터드, 스핀들, 샤프트 등에 의해 스풀에 설치된 안내판 및 상기스핀들 또는 샤프트를 길이방향으로 이리저리로 구동하도록 회전 캠 스터드와 맞물리게하는 안내홈을 안내 부품내에 구비하며, 상기 안내 홈은 안내부품의 왕복 속도가 왕복운동의 전환장소의 위치에서 증가되고 편심캠의 운동의 순환로상에 2개의 전환 위치사이의 중간에 있는 측면위치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낮아지도록 하여, 2개의 왕복속도의 크기가 근사하게되는 방식으로 속도변화가 일어나는 낚시줄을 수용하기 위한 스풀을 구비한 낚시 릴를 제공하여 달성되는데, 스핀들 캠 드라이브 안내 홈은 기다란 'S'형태로 되어있으며, 전환 위치에서의 캠 스터드는 스풀이 전환위치에 있을때는 'S'의 단부의 영역중 어느하나에 위치되어 달성된다. 'S'의 길이방향은 스풀행정의 방향과 관련하여 각이 져 있고, 바람직하게는 직각으로 교차되어 있으며, 이 결과로 스풀이 하나의 전환위치로부터 그 다음 측면위치로 그리고 이 측면위치로부터 그 다음 전환위치로 넘어갈 때 안내부품에 대한 캠 스터드의 운동에 의해 연속변화하는 왕복속도가 안내부품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많은 장점이 확보된다. "S"형상의 안내홈의 형태 및 왕복 종축방향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직각으로 교차된 안내홈의 각이 축방향의 헐거움 형성과 측면위치영역에서 캠 스터드 운동의 자동 정지를 막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실용신안 제70, 06, 743호에서 "8"형상 안내홈보다 훨씬 더 긴 행정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S"의 형태로 형성된 곡선 모양의 또는 아치모양의 측벽내에서 문제없이 활주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장치의 취급은 간단하고, 자동 정지 또는 축의 헐거움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캠 스터드가 스풀의 행정운동의 각각의 전환위치에 도달하기전에 위치되는 안내홈의 측벽의 부분영역은 측면위치에 있는 또는 그 근처에 있는 부분영역보다 더 많이 이동된다. 이에 의해 얻어진 상하 안내 정도를 특정화함에 의해 왕복운동의 속도 변경을 특히 간단하고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왕복 방향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S"의 형성 및 위치는 안내홈의 양쪽 측벽이 행정운동의 방향에서 이의 중간 영역에서 오프셋됨에 의해 회전운동을 통해 얻어진 왕복운동방향의 변위가 확대(h'(제6도 참조)되도록 된다. 캠 스터드의 왕복운동이외에, 이 왕복방향에서 관찰할 때 그의 회전운동 때문에 다른 왕복운동이 측벽의 경로가 이동되는 크기의 부분만큼 이루어지는 다른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S"형상의 안내홈을 정면 대칭이 되게 배열함으로써 소형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설명을 목적으로 낚시릴중 관련부분만 도시하였다. 스풀(1)은 하기에 더 상세히 기술할 캠드라이브에 의해 상하방향(3-3)으로 스핀들(2)에 의해 운동된다. 이와 동시에, 감긴 코드 와인딩(winding) 또는 낚시줄(4)은 릴 와인딩 플랜지 수단에 의해 스풀(1)에 감긴다. 상기 와인딩 플랜지는 통상적으로 널리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감긴 낚시줄(4)의 전술한 폭은 b로 표시하였다. 이 폭(b)이 일정한 값을 넘으면, 상기 설명한 공지된 캠 드라이브의 구조에서 돌출된 뭉치(5)가 상술한 바와 같이 감긴 낚시줄(4)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화살표(6) 방향으로 낚시줄이 던져질 때 인접해 있는 낚시줄을 동반하므로 가발 모양이 연속하여 형성될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들 뭉치를 완전히 피하거나 즉, 이상적인 경우에는 감긴 낚시줄(4)의 표면과 일치하는 낚시줄을 얻기위해 또는 가발 모양이 형성되는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뭉치(5)이 크기를 최소한으로 줄이려고 시도하였다. 스풀의 코아 직경은 '7'로 표시하였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핸들(8)이 회전될 때 샤프트(9)가 캠 드라이브의 더 큰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10)을 구동시키는 것이 도시되어있다. 이에따라, 핸들(8)의 회전은 기어(10/11)에 의해 감속되는데 예컨데 기어(11)는 핸들(8)보다 더 천천히 회전한다. 안내부품(15)의 안내홈내에 삽입된 캠스터드(13)는 회전축(12)에 대해 편심되게 기어(11)에 부착된다. 안내부품(15)은 하기에 상술될 편심운동으로 인해 스핀들을 왕복운동 방향(3-3)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최소한의 범위로 부착물(16)에 의해 스핀들(2)에 부착되어있다. 이 목적을 위해, 안내부품(15)의 부착물(16)에 놓여있는 스핀들(2)에 단단히 연결된 2개의 잠금링(17)이 사용될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 이 디자인은 스핀들(2)을 그의 종축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킬수 있다. 스풀브레이크가 낚시 릴 하우징으로부터 벗어난 스풀면상에 있는 경우 회전가능한 샤프트로서의 스풀 디자인이 필요하다. 또한, 스핀들(2)과 스풀(1)은 왕복운동방향(3-3)으로 운동될 뿐만아니라 그의 종축 중심선을 중심으로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중심선은 스풀(1)의 감긴 낚시줄축과
제3도 내지 제5도에는 안내홈이 캠 스터드(24)가 삽입되는 직선으로 둘러쌓인 안내홈(23)인 종래 기술의 낚시릴이 도시되어있다. 제5도에는 위치(B)로부터 위치(A)를 거쳐 위치(D)로 그리고 위치(D)로부터 위치(24C)를 거쳐 다시 위치(24B)로 되돌아 오는 캠 스터드(24)의 운동이 설명되어 있다. 이 위치들(A, B, C 및 D)의 의미는 다음의 본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더 상술된다. 이때 횡좌표는 캠 스터드의 왕복 길이를 의미하며 세로좌표는 캠 스터드의 해당하는 각도위치(제4도 참고)를 의미한다. 위치(B 및 D)근처에서 30-40°의 원호에 걸친 캠 스터드의 변위는 중앙 부분, 측 양측면 위치(A와 C)에서 보다 더 작게 왕복운동된다는 것은 확실하다. B로부터 A를 거쳐 D로 향한 곡선은 D로부터 C를 거쳐 B로 향한 곡선과 일치한다.
이와는 달리, 제3도 내지 제5도에서와 마찬가지로 도면상으로는 수평으로 진행되는 행정 방향(3-3)이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기어(11)와 부착물(16)을 포함한 안내부품(15)은 도면을 간략화시키기 위해 도시하지 않았다. 이미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캠스터드의 위치들(A, B, C 및 D)은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것과 일치하고 그리고 이들은 캠 스터드(13)및 이것과 고정연결된 기어(11)가 이것의 90°회전시마다 취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이때 위치(B 와 D)는 왕복운동
제6도에는 안내홈(14)의 다지인을 상세하게 도시하였다. 제6도에는 안내홈(14)내의 위치(A, B, C 및 D)에서의 캠 스터드(13)에 의해 취해진 위치들은 대응되도록 표시하였다. 이로부터 점(B)는 그 방향이 행정 방향(3-3)과 일치하고, 홈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질러 뻗어있는 중심선상에 위치되지 않는 대신에, 오히려 상기 점(B)은 이 중심선으로부터 화살표(18)방향으로 약 20°정도 벗어나있다. 이에따라, 이 안내홈의 측벽(14'의 부분영역(25)의 캠 스터드는 이 영역에서 왕복속도를 증가시키기위해 화살표(26)방향으로 안내 부품에 대응되는 속력을 줄 수 있다(제1도의 운동방향 참고). 전환위치는 점(B)에 도달된다. 기어(11)가 더 회전하는 동안 캠 스터드가 측벽(14'을 압박하는 것이 아니라, 영역(28)을 거쳐서 점(A)에 도달되도록 즉, 제1위치에 도달되도록 영역(28)을 거쳐 통과시키기위해 위치(27)에서 출발하여 안내홈의 맞은편 측벽(14'을 압박한다. 기어가 계속 회전을 유지할 경우, 캠 스터드는 위치(D)에 도달할때까지, 즉 제2의 전환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측벽(14")을 압박한다. 기어가 계속 회전을 유지할 경우, 캠 스터드는 위치(D)에 도달할때까지, 즉 제2의 전환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측벽(14")을 따라 그리고 영역(28)을 거쳐 이어서 운동된다. 전환위치(D)에 도달하기전에 영역(29)의 끝부분에서 다시 왕복속도가 증가되는 것을 알수 있다. 캠 스터드가 다시 한 번 측벽(14')에 대해, 행정이 부분(31)을 거쳐 C로 진행되는 즉 제2위치에 놓여져서, 위치(D)에서 또는 그 바로 뒤에서(B로부터 위치(27)로 넘어간것과 같이)변화된다. 이 곳으로부터 행정은 제2측면위치부터 부분(31)을 거쳐, 다른 부분(32)으로 그 다음으로는 측벽(14')의 부분(32)을 거쳐 위치(B)로 되돌아간다.
제6도에 도시되고 상술된 만곡된 안내부는 위치(B)로부터 위치(A)로 넘어갈때는 가속되고(제8도의 다이어그램 참고), 위치(A)로부터 위치(D)로 더 진행될때는 행정이 약간 감소되고, 다시 위치(D)로부터 위치(C)로의 전환하는 동안에는 이 행정은 가속되고 움직임시에 느려지고, 위치(C)로부터 위치(B)로 다시 약간 감속되도록 된다. 이것은 제8도에 도시하였으며, 기어의 특정 각의 위치로서의 행정은 B에서 D 및 그 역의 곡선은 일치하지 않고 서로 약간 떨어져있는 곡선이다. 이 디자인의 동력학을 간단히 하기위해, 2개의 횡축을 도시하였고, 이 중 상부의 횡축은 B로부터 A를 거쳐 D로의 각의 위치와 관련된 행정운동을 나타내며, 하부의 횡축은 D로부터 A를 거쳐 B로의 변위에 대한 것을 나타내었다. 바람직한 운동을 제공함에 의해, 이 바람직한 장치는 뭉치(5)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거나 또는 작은 뭉치가 형성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전환점(B 및 D)근처에서는 왕복운동의 필요한 가속도를 얻을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영역(A 및 C)주위에서는 그에비해 더 작은 왕복속도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 또 다른 효과가 달성된다. 종래기술에서의 행정 경로(h)는 기어(11)의 중심점(12)과 캠 스터드(13)사이의 간격의 두배인 반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행정경로는 2h'만큼 증가되었다. 이는 캠 스터드가 측벽(14')에서 점(B)으로 운동할 때 이 측벽은 왕복운동으로 거리(h')만큼 추가로 이동된다는 사실로부터 도출된다. 이에대해 제6도는 기어(11)의 중심에서 회전할 때, 캠 스터드의 연관된 변위를 도시한다. 점선에 의해 도시된 2개의 위치중 상부 위치에서 캠 스터드는 왕복운동")을 따라 점(D)로 미끄러질 때, 크기(h') 만큼의 변위가 생긴다. 그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기어(11)가 화살표 방향(18)으로 회전할때에도 또한 역회전 방향일때에도 달성될 수 있다.
안내홈(14)의 곡선 형태는 그것이 기어(11)의 축(12)을 중심으로 캠스터드의 순환운동과 일치하지 않도록 선택되어야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왕복운동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서 제6도에서 측변위치(A 및 C)의 캠 스터드(13)를 수용하는 안내홈(14)의 부분영역(20, 21)에 접한 접선(TA 및 TC)은 왕복운동방향(3-3)으로 각도(α)를 취하는데, 이 각도는 캠 스터드(13)가 각각 전환위치(B 및 D)에 있는 측벽의 부분영역(22, 22')에서 측벽(14', 14)의 접선(TB 및 TD)에 의해 취해진 각도(β)보다 ")과 스핀들(2)상의 안내부품(15)에 의해 기어(11)를 회전할 때 야기된 시간 단위 당 행정은 이 영역(22, 22')에서 보다 (20, 21)에서 더 작다.
바람직하게는 안내홈(14)은 길게 뻗어있는(S)형태를 취한다.(제1도 및 제6도) 측벽(14', 14")은 모서리 또는 구석부문에서의 갑작스러운 변경을 피할 수 있도록 이 'S'에서 직선으로 에워싸여져있거나 또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활 모양중 하나로 있을수도 있다. 캠 스터드의 위치(B 및 D)는 'S'의 끝영역에 놓여있다. 'S'의 길이방향은 왕복방향(3-3)에 대해 대략적으로 직각으로 교차되어 있다. 왕복방향(3-3)에 대해 'S'의 길이방향이 상기 상대위치는 전환점(B)앞에 놓여있는 영역에서 스풀을 향해있는 측벽(14')이 점(B)으로 뻗으면서 스풀(3)과 떨어져있고, 더 나아가서 점(D)앞에 놓여있는 영역에서 측벽(14")은 점(D)으로 뻗으면서 스풀(3)에 근접한다. 그러므로, 상기 언급된 추가의 왕복 경로(h')가 얻어진다.
더 나아가서, 최대한 소형화하기 위해서, 'S', 는 제1,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 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6)

  1. 캠 드라이브 및 그에 의해 감긴 낚시줄 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리저리 움직이는 샤프트 또는 이것에 의해 축방향으로 상응하게 이동되는 스풀을 구비하는 형태의 낚시릴로서, 상기 캠 드라이브는 기어, 상기 기어상에 편심되게 설치된 캠 스터드, 스핀들, 샤프트 등에 의해 스풀에 설치된 안내부품 및 상기 스핀들 또는 샤프트를 길이방향으로 이리저리로 구동하도록 회전 캠 스터드와 맞물리게 하는 안내 홈을 상기 안내 부품내에 구비하고, 상기 안내 홈은 상기 안내부품의 왕복 속도가 왕복운동의 전환위치에서 높아지고 편심캠 운동의 순환로상에 있는 2개의 전환위치사이의 중간에 있는 측면위치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되고, 2개의 왕복속도의 크기가 근사하게되는 방식으로 속도변화가 일어나는 낚시줄 수용용 수풀을 구비한 낚시 릴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은 기다란 'S'형태로 되어있으며, 전환 위치에서의 상기 캠 스터드는 스풀이 전환위치에 있을때는 'S'의 단부의 영역중 어느 하나에 있고, 길이방향의 'S'는 스풀 행정의 방향과 관련하여 일정한 각, 바람직하게는 직각으로 교차되어, 이 결과로 상기 스풀이 하나의 전환위치로부터 그 다음 측면위치로 그리고 이 측면위치로부터 그 다음 전환위치로 넘어갈 때 상기 안내부품에 대한 상기 캠 스터드의 운동에 의해 연속변화하는 행정 속도가 상기 안내부품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수용용 스풀을 구비한 낚시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스터드(13)가 상기 스풀의 행정운동의 전환위치(B 및 D)의 도달전에 위치되는 안내홈의 측벽(14', 14")의 부분영역(25, 29)은 측면위치(A, C)에 있는 또는 그 근처에 있는 부분영역(20, 21)보다 각각의 행정 방향을 향하여 더욱 많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낚시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왕복운동방향(3-3)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안내홈의 'S'의 형상 및 위치는 안내홈(14)의 양쪽 측벽(14', 14")이 행정 방향에서 이의 중간 영역에서 오프셋됨에 의해 회전운동을 통해 얻어진 행정방향의 변위가 확대(h')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낚시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S'가 이것의 경면대칭으로 뻗어있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14)은 활형 영역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기어(11)의 중심(12)둘레의 캠 스터드의 원형 경로와 상기 안내 홈(14)의 활형 영역은 일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6. 제3항에 있어서, 2개의 측면위치(A, C)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왕복운동방향(3-3)에 대해 측벽(14, 14')의 각(α)은 40-45°이나, 전환위치(B, D)에 왕복운동방향(3-3)에 대해 상기 측벽 각(β)은 70-75°이고, 상기 왕복운동방향에 대한 측벽의 경사는 한 위치로부터 다음위치로 갑작스럽게 변화하지않고 연속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릴.
KR1019910019819A 1990-11-10 1991-11-08 낚시줄 수용용 스풀을 구비한 낚시릴 KR970007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035846.1 1990-11-10
DE4035846A DE4035846A1 (de) 1990-11-10 1990-11-10 Angelrolle mit spule zur aufnahme der angelschn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288A KR920009288A (ko) 1992-06-25
KR970007081B1 true KR970007081B1 (ko) 1997-05-02

Family

ID=641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9819A KR970007081B1 (ko) 1990-11-10 1991-11-08 낚시줄 수용용 스풀을 구비한 낚시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5350131A (ko)
KR (1) KR970007081B1 (ko)
DE (1) DE40358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5865B1 (fr) * 1993-06-03 1995-07-21 Mitchell Sports Moulinet de pêche à rangement compensé du fil.
US6082650A (en) * 1996-01-31 2000-07-04 Ryobi Limited Spinning fishing reel having a uniform longitudinal spool movement
US6000653A (en) * 1996-01-31 1999-12-14 Ryobi Limited Spinning reel
JP3292366B2 (ja) * 1996-09-09 2002-06-1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US5934586A (en) * 1997-06-06 1999-08-10 Zebco Corporation Oscillation mechanism for spinning reel
US6264125B1 (en) 1999-12-09 2001-07-24 Brunswick Corporation Asymmetric oscillation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EP1110449A1 (en) 1999-12-21 2001-06-27 Brunswick Corporation Asymmetrically joined spinning reel foot and stem
US20030122010A1 (en) * 2001-12-31 2003-07-03 Wiest Timothy A. Uniform oscillation system
DE10246242C1 (de) * 2002-10-02 2003-12-24 Okuma Fishing Tackle Co Angelrolle
US6971600B2 (en) * 2003-06-30 2005-12-06 Heligear Engineering (H.K.) Co., Ltd. Oscillation mechanism for fishing reel
NL1026487C2 (nl) 2004-06-23 2005-12-28 Spro B V Aandrijfmechanisme voor een spoel voor vissnoer, en molen voor vissnoer.
US7290728B1 (en) 2006-05-16 2007-11-06 Shakespeare Company, Llc Oscillation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17518C (de) * 1940-02-02 1954-09-06 Wilhelm Thoener Angelschnurwinde mit beim Wurf feststehender Schnurtrommel
US2724563A (en) * 1952-02-13 1955-11-22 Shakespaare Company Spinning type fishing reel
DE944828C (de) * 1953-10-28 1956-06-21 Hermann Goerling Angelwinde mit Laengsachse
DE7006743U (de) * 1970-02-25 1970-07-09 Kummerow Walter Hubgetriebe fuer angelwinden.
DE7007657U (de) * 1970-03-03 1970-06-11 Komossa Dr Ing Horst Angelwinde mit laengsachse.
JPS496497A (ko) * 1972-02-24 1974-01-21
AR197945A1 (es) * 1974-03-18 1974-05-15 Mahely Ind Y Com Srl Dispositivo para accionamiento del carrete devanador, aplicable a "reels" de pesca
JPS5529492Y2 (ko) * 1976-07-20 1980-07-14
DE3417716A1 (de) * 1984-05-12 1985-11-14 W. Schlafhorst & Co, 4050 Mönchengladbach Changiergetriebe fuer einen hin- und hergehenden fadenfuehrer
IL88619A0 (en) * 1987-12-15 1989-07-31 Pfizer Non-peptidic renin inhibitors
JPH0693468B2 (ja) * 1988-08-09 1994-11-16 株式会社東芝 圧接平型半導体装置
US5143318A (en) * 1990-06-18 1992-09-01 Zebco Corporation Spool oscillation structure for fishing reel
KR20010035369A (ko) 2001-02-07 2001-05-07 박종섭 듀얼 폴더의 백라이트 장치
JP4230258B2 (ja) 2003-03-19 2009-02-25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50131A (en) 1994-09-27
KR920009288A (ko) 1992-06-25
DE4035846C2 (ko) 1993-08-26
DE4035846A1 (de) 1991-06-06
USRE39602E1 (en) 2007-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081B1 (ko) 낚시줄 수용용 스풀을 구비한 낚시릴
KR100722535B1 (ko) 스피닝릴의 왕복이동장치
DE2349577C3 (de) Wickel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Kreuzspulen
NL8104693A (nl) Cassette voor het reinigen van de aandrijvende en opnemende elementen van een bandopnameapparaat.
KR100338542B1 (ko) 스피닝릴용 비대칭 요동기구
US3265315A (en) Winder
JP2871745B2 (ja) 光ケーブルを製造する方法並びに装置
FI63381B (fi) Anordning foer utformning av en laong begynnelsetraodaenda vidspolandet av traod pao spole
US4379528A (en) Thread reeling apparatus
JP2532309Y2 (ja) 釣り用リール
US5364041A (en) Oscillating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US6682007B2 (en) Spinning reel having improved spool oscillating mechanism
KR20010071115A (ko) 스피닝릴의 회전전달장치
RU2273992C2 (ru) Рыболовная катушка (варианты)
GB2095200A (en) Winch cable guide
JPS622199Y2 (ko)
US2365434A (en) Traversing means for winding machines
SU766556A1 (ru) Безынерционна спиннингова катушка
JP2570781Y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4484713A (en) Thread reeling apparatus
KR840001603Y1 (ko) 니들 직기등의 위사 이송장치
SU361131A1 (ru) Всесоюзная
KR0128594Y1 (ko) 낚시용 스피닝릴의 낚시줄안내장치
US2982488A (en) Magnetic wire recording
US3695524A (en) Yarn wind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3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