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706B1 -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기재의 전도성 마이크로 에멀션 - Google Patents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기재의 전도성 마이크로 에멀션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706B1
KR970006706B1 KR1019880014106A KR880014106A KR970006706B1 KR 970006706 B1 KR970006706 B1 KR 970006706B1 KR 1019880014106 A KR1019880014106 A KR 1019880014106A KR 880014106 A KR880014106 A KR 880014106A KR 970006706 B1 KR970006706 B1 KR 970006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emulsion
molecular weight
perfluoroalkyl
perfluoropolyethers
condu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750A (ko
Inventor
치토프라티 알바
렌티 다리아
Original Assignee
오시몬트 에스. 알. 엘
오틸리오 마세롤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시몬트 에스. 알. 엘, 오틸리오 마세롤리 filed Critical 오시몬트 에스. 알. 엘
Publication of KR890006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2Ionic 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기재의전도성 마이크로 에멀션
제1도는 물/계면활성제/PFPE의 삼성분도를 나타낸 도이다.
제2도는 0.1M HNO3을 가하여 수상의 양을 증가함에 따른 전도도(X)의 값의 변화를 설명한 도이다.
본 발명은 전기 전도 및 물질의 전달이 가능한 유중수(w/o) 형태의 마이크로 에멀션에 관한 것이다.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성 구조(PFPE)를 갖는 플루오르화 유체는 다음과 같이 대단히 중요한 특징을 나타낸다: -높은 화학적 열적 안정성; -물 및 탄화수소와의 완전한 불혼화성; -높은 기체 용해도.
그러나 그러한 플루오르화유체는 용액으로부터의 물질 전달이나 전기 전달을 허용하지 않듯이 그 구조 및 높은 수-반발성 및 매우 높은 저항률로 인해 전기 화학적 공정 또는 분리공정에 상기 물질을 사용할 수 없다.
역으로, 예를 들면 전기 화학적 공정 또는 분리 공정에 있어서의 막과 같은 용도에서 물질 전달 및 이온성 전기 전달을 제공할 수 있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기재의 이용가능계를 갖게하는 것이 매우 유용할 것이다.
전기 전도가 가능한 경화유중 물 마이크로에멀션으로 이루어진 액상계는 과학 및 특허 문헌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것의 형성 및 존재는 일반적으로 예견할 수 없다고 사료된다.
현재, 놀랍게도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액중 물의 특정 마이크로에멀션을 제조한다면,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성 구조를 갖는 액체에 전기 전도성 및 물질 전달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밝혀졌다.
마이크로에멀션은 거시적으로는, 두가지 불혼화성 액체 및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단일의 투명 또는 젖빛의 광학적 등방성 상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의미한다.
마이크로 에멀션은 자발적으로 형성되고 그 안정성은 열역학적 형태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마이크로 에멀션은 또한 복굴절성 및 액체-결정형(액정)의 배향 구조로 됨을 특징으로 하며 중간상에서의 분자의 배향이 광학적 동방성계가 아니게끔 형성된 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에멀션 물질은 거시적으로 단지 한가지의 투명 또는 젖빛상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다음을 함유한다.
a) 임의로 하나 이상의 전해질을 함유하는 수성 액체.
b) 퍼플루오로알킬, 또는 카르복시성, 알콜성, 아민성, 폴리옥시알킬렌-OH기와 같은 친수성 형태의 작용기, 및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성 구조를 지닌 유체.
c) 바람직하게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성 구조를 갖는 플루오르화된 계면활성제; 및/또는 -수소화된 알콜 C1∼C12, 바람직하게는 C1∼C6, 또는 플루오르화된 알콜(보조-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션은 광학적으로 등방성 또는 복굴절성일 수 있으며 유중수(w/o) 형태이며, 그 전도성이 10마이크로 s,cm-1(㎲.cm-1), 바람직하게는 100㎲,cm-1이상인 전도성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션 물질의 조성은 w/o의 형태이므로, PFPE를 연속상으로 함유해야 한다; 그러므로 PFPE상은 수상에 비해 과량(부피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w/o형의 마이크로에멀션으로의 존재 및 전도 특성은 둘다 프리오리(priori)를 예견할 수 없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션은 제1도에서 나타낸 물/계면활성제/PFPE의 삼성분도의 오른쪽 절반에 나타난 단일-상 영역의 전도성 부분으로 바람직하게 설명될 수 있다.
제1도에서 물-PFPE 면에 대한 반대측의 각을 이등분하는 선은 1에 해당하는 일정한 W/PFPE비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그러나, 원칙적으로는, 1 이상의 W/PFPE비도 갖는 w/o 형태의 단일-상 전도성 영역의 존재는 그러한 계의 존재가 예견이 가능하지 않으므로 배제될 수 없다.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중의 형태의 마이크로에멀션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는 사실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간단한 전기전도 측정에 의한 기술에 숙련된 바로 쉽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에멀션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PFPE)는 다음과 같다 : a) 5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6,000 범위의 평균 분자량을 갖으며, 퍼플루오로알킬 말단기를 지니고 다음 부류 중 하나 이상에 속하는 PFPE 1) 퍼플루오로옥시알킬렌 단위의 불규칙적 분포를 갖는
Figure kpo00001
(상기식중, 서로 같거나 다른 Rf및 R'f는 -CF3, -C2F5, -C3F7이고,
Figure kpo00002
는 상기 언급된 평균 분자량이 되는데 필요한 만큼의 평균 값이다.)
2) 퍼플루오로옥시알킬렌 단위의 불규칙적 분포를 갖는
Figure kpo00003
(상기식중, 서로 같거나 다른 Rf및 R'f는 -CF3, -C2F5, 이고,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는 상기 언급된 요구에 맞는 만큼의 평균 값이다.)
3) 퍼플루오로옥시알킬렌 단위의 불규칙적 분포를 갖는
Figure kpo00006
(상기식중, 서로 같거나 다른 Rf및 R'f는 -CF3, -C2F5, -C3F7이고,
Figure kpo00007
는 상기 언급된 요구에 맞는 만큼의 평균 값이다.)
Figure kpo00008
(상기식중, 서로 같거나 다른 Rf또는 R'f는 -C2F5, 또는 -C3F7이고
Figure kpo00009
은 앞서 언급된 요구에 맞는 만큼의 평균값이다.)
Figure kpo00010
(상기식중, 서로 같거나 다른 Rf및 R'f는 -CF3-, -C2F5이고,
Figure kpo00011
은 상기 언급된 요구에 맞는 만큼의 평균값이다.)
Figure kpo00012
(상기식중, 서로 같거나 다른 Rf및 R'f는 -CF3, 또는 -C2F5또는 -C3F7이고,
Figure kpo00013
은 상기 언급된 요구에 맞는 만큼의 평균값이다.)
b) 상기 언급된 부류에 속하며 1,5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6,000이하의 범위인 평균 분자량을 가지며, 각 폴리머 쇄에 평균 0.1 내지 2,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의 비-퍼플루오로알킬 작용 말단기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PFPE.
c) 본 출원인의 명의로 된 특허출원 제20,346A/86호에 기술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성 쇄를 따라 작용기를 가지고 퍼플루오로알킬 또는작용형의 말단기를 지닌,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용어 비-퍼플루오로알킬 작용 말단기 및 쇄중의 작용기는 예를 들면 카르복실레이트, 알콜성, 폴리옥시 알킬렌-OH, 아민성, 4급 암모늄, 아미드성, 에스테르성기를 뜻한다.
가장 적합한 작용 말단기 또는 쇄중의 작용기는 친수성형태이고 특히 카르복실기이다.
앞서 언급된 형태의 작용 말단기 또는 쇄중의 작용기는, 최고 20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1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알킬렌 또는 아릴렌의 2가 비-플루오르화 라디칼로 구성된 연결기를 통해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에 속하는 것으로서 쇄에 퍼옥시다리를 함유하고, 산말단기를 가지며, 앞서 언급한 PFPE의 합성에 이용되는 광-산화 공정의 조 생성물로 수득되는 부류 1,2 및 3중 한가지도 역시 고려되고 있다.
부류 1)의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는 상표 폼블린
Figure kpo00014
또는 갈덴
Figure kpo00015
로, 부류 2)의 것은 상표 폼블린
Figure kpo00016
Z으로 모두 몬테디손(Montedison)에 의해 생산된 것으로 상품화되어 알려져 있다.
시장에 알려진 부류 4)의 제품은 크리톡스[Krytox(Du Pont)]이다. 부류 5)의 것은 미합중국 특허 제4,523,039호에 기술되어 있다. 부류 6)의 것은 유럽특허 EP 제148,482호[다이킨(Daikin)]에 기술되어 있다. 부류 3)의 것은 미합중국 특허 제3,665,041호에 따라 제조된다.
다른 적합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는 라고우(Lagow) 등에 의해 미합중국 특허 제4,523,039호 또는 문헌[J. Am. Chem. Scc. 1985, 107m 1197∼1201]에 설명된 것들이다.
본 발명의 물질을 형성하는 마이크로에멀션에 포함된 플루오르화된 계면활성제는 이온성 또는 비비온성일 수 있다. 특히 다음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 a) 5 내지 11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퍼플루오로알킬카르복실산의 염; b) 5 내지 11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퍼플루오로술폰산의 염; c) 유럽특허원 제51526호에 인용되고 폴리옥시알킬렌 친수성 헤드를 갖는 퍼플루오로알킬 쇄로 구성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d)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로부터 유도되고, 바람직하게는 1000보다 크지 않은 평균 분자량을 갖는 모노-및 비-카르복실산의 염; e) 폴리옥시알키렌 쇄에 결합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성 쇄로 구성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f) 1, 2 또는 3개의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소수성 쇄를 함유하는 것과 같은 퍼플루오르화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이온형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더우기 계는 다음 부류중 하나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 1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수소화된 알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성 쇄를 함유하는 알콜;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 알콜.
수성액체는 물 또는 무기전해질(염, 산 또는 알카리)의 수용액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도성 계는 각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되고, 예를 들면 수성용액을 첨가함에 의한 조성의 변화에 따른 기름/계면활성제/보조-계면활성제 계의 비전도도(X)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실제로, PFPE중에 계면활성제 C 및 임의로 보조-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시료는 소량의 수성상으로 적정하고, 이때 각기 첨가한 후에 X를 측정한다.
그러한 조작에 의해 주요한 X값에 해당하는 종합적인 범위의 존재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단 충분히 높은 X값에 해당하는 조성이 확인되면 전도성 마이크로에멀션은 어떠한 순서로든 각 성분을 취해 혼합함으로써 간단히 제조될 수 있다.
다음 실시예는 단지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가능한 양태를 제한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안된다.
[실시예 1]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성 구조를 가지며, 1부류에 속하고 694의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의 넓은 분포를 갖는 모노카르복실산의 암모늄염 3.5g을 퍼플루오로알킬 말단기를 지니고, 1부류에 속하고 80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PFPE 8㎖에, -CH2OH의 말단기를 지니고 60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1부류의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성-구조 알콜 0.3㎖ 존재하에 용해시킨다.
생성된 혼합물은 20℃에서 투명하고 7.8㎲.cm-1의 비전기 전도도를 보인다(아마도, 계면활성제 내의 미량의 H2O 존재에 기인함).
0.1M HNO3용액을 소량 특히 단계당 50마이크로리터씩 가하므로써 제2도에 나타난 양상을 얻을 수 있다. W=2.2중량%에서 최고치인 184.1 마이크로 s.cm-1까지 x의 급격한 증가가 관찰되고 있다; 수상의 양이 증가 함으로 인해 전도도는 W=4중량%에서 1마이크로 s.cm-1이하의 값으로 감소하고 수상에서 4.5% 이상에서는 더이상 측정가능하지 않다.그러나 계는 T=20℃에서 HNO3용액을 10중량%까지 용해시킬 수 있다.
암모늄염 대신 산의 형태의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유사한 계는 보다 적은 양의 수상을 용해시킬 수 있다. 그렇게 수득된 마이크로에멀션은 전기 전도성을 보이지 않는다.
[실시예 2]
1부류에 속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성 구조를 지니며 692의 당량 및 좁은 분자량 분포를 지닌 모노카르복실산의 암모늄염 5.5072g을 퍼플루오로알킬 말단기를 갖고 1부류에 속하여 800에 해당하는 평균 분자량을 갖는 PFPE 10.2862g에 용해시킨다.
앞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을 따라 각 단계마다 4분의 평형 시간을 갖고하면, T=22℃에서 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도도의 경향이 측정된다. 약 1마르크로 s.cm-1의 전도도를 갖는 재증류된 물이 이용된다. 생성된 w/O마이크로에멀션에서, w=2.77∼3.07중량%에서 최대 2.32밀리 s.cm-1까지 전도도의 빠른 증가가 관찰된다; 물의 양이 증가함으로 인해, 전도도는 중량으로 w11.3%에서 1마이크로 s.cm-1이하의 값으로 감소한다. 그러나 22℃에서 투명한 마이크로에멀션은 H2O을 15중량%까지 계의 어떠한 거시적 특징의 변화없이 용해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1부류에 속하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성 구조를 지니며 694의 평균당량 및 넓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모노카르복실산의 암모늄염 6.0309g을 퍼플루오로알킬 말단기를 갖으며 1부류에 속하고 800에 해당하는 평균 분자량을 갖는 PFPE의 11.2348g에 용해시킨다. 26℃에서 계는 혼탁하지만 1.25㎖의 재증류된 물(W=6.75중량%)을 가하면 전도도=7.2밀리 s.cm-1을 갖는 투명한 마이크로에멀션이 수득된다. 물을 계속해서 첨가하므로인해 시료는 혼탁해지며 점도가 증가한다; 3.30㎖의 물(W=16.05중량%)를 함유한 계는 3.06밀리 s.cm-1에 해당하는 비전도도를 갖는 젖빛의 겔이다.
상기의 겔은 두개의 교차된 편광체 사이에서 관찰하면 다소 복굴절성이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다음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에멀션(마이크로 E)의 양태를 설명한다.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성 구조를 가지며, 1부류에 속하고 넓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평균 당량 694인 모노카르복실산의 암모늄 염; -1부류에 속하며 800에 해당되는 평균 분자량 및 퍼플루오로알킬 말단기를 갖는 PFPE; -보조-계면활성제로 퍼플루오르화된 알콜 H(CF2)6CH2OH; -전해질 HNO3또는 KNO3용액을 구성하는 수성액체.
20℃에서 각 전해질에 대한 두가지 다른 농도에서 계의 최대전도도가 표 1에 기록되었다.
Figure kpo00017
수상 농도를높이면 전도도는제시된 값에서 영으로 감소한다.
20℃에서 마이크로에멀션(마이크로 E)의 거시적 성질의 변화없이 용해될 수 있는 물의 최대량이 표 2에 기록되었다.
Figure kpo00018
계면활성제의 암모늄 염 대신 모노카르복실산을 이용하면 현저한 전도도를 가질 수 있는 계는 결코 수득될 수 없다.
[실시예 5]
다음을 함유한 시료 :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성 구조를 가지며, 1부류에 속하고,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고 520의 당량인 모노카르복실산의 암모늄 염 9.5751g, +퍼플루오로알킬 말단기를 지니고 1부류에 속하며 800의 평균분자량을 갖는 PFPE 6.4839g, +말단기로 -CHOH를 지닌 1부류의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성 구조를 갖고, 678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알콜 4.197g, +재증류된 물 1.5㎖(10.2 중량%)는 3.34밀리 s.cm 에 해당하는 비전도도를 나타내고 투명하고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상의 형태로 나타난다.
물은 30중량%까지 계속가하면 전도도는 21.5 마이크로 s.cm 까지 감소하고 투명한 계의 점도 증가가 관찰된다.
[실시예 6]
다음을 함유한 시료 : 1부류에 속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성 구조를 지니고, 좁은 분자량 분포 및 847의 평균당량을 갖는 모노카르복실산의 암모늄염 8.6186g, 1부류에 속한 퍼플루오로알킬 말단기를 지니고, 150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PFPE 13.2122g 및 물 0.6㎖(2.67중량 %)는 414 마이크로 s.cm 해당하는 비전도도를 보인다. 계는 투명하고 높은 점성의 액체이다.
[실시예 7]
1부류에 속하고 7,000의 평균 당량 및 4,000에 해당하는 평균 점성도 분자량을 갖고 퍼옥시다리 및 산 말단기를 함유하고 NH의 30중량%의 암모니아 용액 0.3㎖로 중화된 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16.992g에 온화한 교반하에 수분간 3급 부틸알콜 3.74㎖을 가한다.
생성물은 20℃에서 투명하며 약16마이크로 s.cm 의 비전도도를 보인다.
재증류된 물을 소량, 통상적으로는 단계마다 100마이크로 리터씩 가하면 비전도는 1.3밀리 s.cm 의 최대 값까지 증가하고, 상응하는 물의 양은 19중량%에 해당됨이 관찰된다.
수상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비전도도는 그 증가에 대해 거의 대칭적으로 감소하여 물이 25중량%에 대해 X값이 700마이크로 s.cm 까지 감소한다.
상기 백분률 이상에선, 계는 더이상 물을 용해시킬 수 없다.
[실시예 8]
1부류에 속하고 7,000의 평균 당량 및 4,000에 해당하는 평균 점성도 분자량을 갖고 퍼옥시다리 및 산 말단기를 함유하는 조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16.992g을 NH30중량%의 암모니아 용액 0.3㎖로 중화하고 온화한 교반하에서 3급 부탄올 3.74㎖에 용해시킨다.
20℃에서 투명한 상으로만 구성되고 16마이크로 s.cm 의 비전도도를 보이는 혼합물이 수득된다.
10 M NHO용액을 소량, 일반적으로 단계당 100마이크로 리터를 가하면, 비전도도가 최대값인 1.76밀리 s.cm 까지 증가하며 수상이 약 23중량%의 양에 해당함을 관찰할 수 있다.
수상의 양이 증가하면 비전도도가 28.6중량% 수용액에서 900마이크로 s.cm 의 값까지 감소한다.
상기 백분률 이상에선 계는 더이상 수상을 용해시킬 수 없다.

Claims (6)

  1. (a) 하나 이상의 전해질을 함유하는 수성 액체; (b) 퍼플루오로알킬 말단기를 가지며 평균 분자량이 500 내지 10,000이거나, 또는 펴윤 분자량이 1,500 내지 10,000이고 각 쇄당 카르복실, 폴리옥시알킬렌-OH, 알콜성, 아민성, 아미드성 히드록실, 4급 암모늄 에스테르에서 선택된 0.1 내지 4개의 작용 말단기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성 구조를 지닌 액체 화합물; (c) 플루오르화된 계면활성제 또는 (d) C1∼C12의 수소화된 알콜을 혼합하여 수득한, 10마이크로시멘즈cm-1(micro Siemens. cm-1) 이상의 전도도(이온 전달에 대한)를 가지며, 액상의 투명하거나 젖빛이며 거시적으로는 단일상 물질로 이루어진 유중수 형태의 마이크로에멀션.
  2. 제1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된 계면활성제가 a) 5 내지 11개의 탄소원자를 갖는퍼플루오로알킬 카르복실산의 염; b) 5 내지 11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퍼플루오로술폰산의 염; c)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로부터 유도된 모노-및 비-카르복실산의 염; d) 양이온성의 퍼플루오르화된 계면활성제 또는 1, 2 또는 3개의 소수성 쇄를 갖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로 부터 유도된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마이크로에멀션.
  3. 제1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된 계면활성제가 퍼프루오로알킬 쇄 및 폴리옥시알킬렌 친수성 헤드로 이루어진 비-이온성 형태인 마이크로에멀션.
  4. 제1항에 있어서, 플루오로폴리에테르가 쇄를 따라 작용기를 나타내는 마이크로에멀션.
  5. 제1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된 계면활성제가 이온형인 마이크로에멀션.
  6. 제1항에 있어서, 플루오르화된 알콜을 더 혼합하여 수득한 마이크로에멀션.
KR1019880014106A 1987-10-28 1988-10-28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기재의 전도성 마이크로 에멀션 KR970006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22421A/87 1987-10-28
IT22421/87A IT1223325B (it) 1987-10-28 1987-10-28 Microemulsioni elettricamente conduttrici a base di perfluoropolieter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750A KR890006750A (ko) 1989-06-15
KR970006706B1 true KR970006706B1 (ko) 1997-04-29

Family

ID=1119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4106A KR970006706B1 (ko) 1987-10-28 1988-10-28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기재의 전도성 마이크로 에멀션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5017307A (ko)
EP (1) EP0315841B1 (ko)
JP (1) JP3103563B2 (ko)
KR (1) KR970006706B1 (ko)
CN (1) CN1025342C (ko)
AT (1) ATE98660T1 (ko)
AU (1) AU608657B2 (ko)
BR (1) BR8805584A (ko)
CA (1) CA1305388C (ko)
CZ (1) CZ73889A3 (ko)
DD (1) DD283405A5 (ko)
DE (1) DE3886354T2 (ko)
ES (1) ES2061601T3 (ko)
FI (1) FI884908A (ko)
IL (1) IL88152A (ko)
IN (1) IN170172B (ko)
IT (1) IT1223325B (ko)
NO (1) NO177790C (ko)
PT (1) PT88853B (ko)
RU (1) RU1811417C (ko)
TR (1) TR23736A (ko)
ZA (1) ZA8879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03514B (it) * 1987-02-26 1989-02-15 Ausimont Spa Microemulsioni a base di tre liquidi immiscibili,comprendenti un perfluoropolietere
IT1223324B (it) * 1987-10-28 1990-09-19 Ausimont Spa Microemulsioni acquose comprendenti perfluoropolieteri funzionali
IT1217838B (it) * 1988-06-17 1990-03-30 Ausimont Spa Microemulsioni per tipo acqua in olio elettricamente conduttrici,a base di composti perfluorurati usate come catolita in processi elettrochimici
IT1217839B (it) * 1988-06-17 1990-03-30 Ausimont Spa Microemulsioni del tipo olio in acqua elettricamente conduttrici,a base di composti perfluorurati,usate come catolita in processi elettrochimici
US5539072A (en) * 1993-03-26 1996-07-23 W. L. Gore & Associates, Inc. Fabric laminates
WO1994022928A1 (en) * 1993-03-26 1994-10-13 W.L. Gore & Associates, Inc. Microemulsion polymerization systems and coated materials made therefrom
US5460872A (en) * 1993-03-26 1995-10-24 W. L. Gore & Associates, Inc. Process for coating microporous substrates and products therefrom
WO1999014285A1 (en) 1997-09-15 1999-03-25 Sofitech N.V. Electrically conductive non-aqueous wellbore fluids
US6405809B2 (en) 1998-01-08 2002-06-18 M-I Llc Conductive medium for openhold logging and logging while drilling
US6196708B1 (en) 1998-05-14 2001-03-06 Donaldson Company, Inc. Oleophobic laminated articles, assemblies of use, and methods
JP4013881B2 (ja) * 2002-10-18 2007-11-28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パーフルオロポリエーテルエステル化合物、潤滑剤及び磁気記録媒体
CN102631863A (zh) * 2012-04-13 2012-08-15 华东理工大学 一种阴离子型氟碳表面活性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5041A (en) * 1967-04-04 1972-05-23 Montedison Spa Perfluorinated polyether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4175969A (en) * 1978-03-17 1979-11-27 Gaf Corporation Antistatic photographic X-ray film having a uniform protective surface coating of surfactant oligomer of tetrafluoroethylene
US4313978A (en) * 1978-12-20 1982-02-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ntistatic compositions and treatment
US4523039A (en) * 1980-04-11 1985-06-11 The University Of Texas Method for forming perfluorocarbon ethers
FR2515198A1 (fr) * 1981-10-22 1983-04-29 Centre Nat Rech Scient Microemulsions aqueuses de fluorocarbures indefiniment stables a une temperature donnee, procede d'obtention et application a titre de transporteurs d'oxygene
EP0148482B1 (en) * 1983-12-26 1992-03-25 Daikin Industries, Limited Process for preparing halogen-containing polyether
US4556506A (en) * 1984-12-18 1985-12-03 The Dow Chemical Company Aqueous electroconductive compositions
IT1188216B (it) * 1985-12-23 1988-01-07 Ausimont Spa Polimeri fluorurati contenenti cariche e aventi migliorate proprieta'
IL82308A (en) * 1986-06-26 1990-11-29 Ausimont Spa Microemulsions containing perfluoropolyethers
IT1203514B (it) * 1987-02-26 1989-02-15 Ausimont Spa Microemulsioni a base di tre liquidi immiscibili,comprendenti un perfluoropoliete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884799D0 (no) 1988-10-27
IT1223325B (it) 1990-09-19
JPH01304040A (ja) 1989-12-07
IL88152A (en) 1993-01-14
CA1305388C (en) 1992-07-21
NO177790C (no) 1995-11-22
JP3103563B2 (ja) 2000-10-30
TR23736A (tr) 1990-07-31
DD283405A5 (de) 1990-10-10
ES2061601T3 (es) 1994-12-16
KR890006750A (ko) 1989-06-15
IL88152A0 (en) 1989-06-30
CZ73889A3 (en) 1994-11-16
AU608657B2 (en) 1991-04-11
CN1025342C (zh) 1994-07-06
CN1038289A (zh) 1989-12-27
EP0315841A3 (en) 1990-04-04
IN170172B (ko) 1992-02-22
DE3886354D1 (de) 1994-01-27
NO177790B (no) 1995-08-14
FI884908A0 (fi) 1988-10-24
IT8722421A0 (it) 1987-10-28
BR8805584A (pt) 1989-07-11
AU2431688A (en) 1989-05-04
DE3886354T2 (de) 1994-03-31
EP0315841A2 (en) 1989-05-17
FI884908A (fi) 1989-04-29
ZA887947B (en) 1989-07-26
EP0315841B1 (en) 1993-12-15
NO884799L (no) 1989-05-02
US5017307A (en) 1991-05-21
RU1811417C (ru) 1993-04-23
PT88853B (pt) 1993-01-29
ATE98660T1 (de) 199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6705B1 (ko) 작용성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수성 마이크로 에멀션
KR970006706B1 (ko)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기재의 전도성 마이크로 에멀션
CA1315172C (en) Microemulsions based on three immiscible liquids, comprising a perfluoropolyether
EP0130052A1 (en) Fluorinated vinyl ether copolymers having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KR0129757B1 (ko) 대기중의 물질로부터 석재를 보호하는 수성 유제형의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유도체의 용도
EP1454938B1 (en) Linear perfluoropolyethers having an improved thermooxidative stability
KR970061935A (ko) 과산화 퍼플루오르폴리옥시알킬렌의 제조방법
JPH02504486A (ja) 改良された陽イオン活性組成物と、そのビチューメンエマルジョンへの応用
EP0346933B1 (en) Use of electrically conductive water-in-oil microemulsions based on perfluorinated compounds as catholytes in electrochemical processes
US5035841A (en) Triblock amide fluorosurfactants
Chittofrati et al. Perfluorinated surfactants at the perfluoropolyether—water interface
KR970061934A (ko) 과산화 퍼플루오르폴리에테르들의 제조 공정
JPH0238382A (ja) 石質材を大気中の作用因子から保護するための水性エマルジョンの形態でのパーフルオロポリエーテルの使用
Smith et al. Effect of microheterogeneity on bulk and surface properties of binary mixtures of polyoxyethene glycol monobutyl ethers with water
CA1338861C (en) Electrically conductive oil in water microemulsions based on perfluorinated compounds and used as a catholyte in electrochemical processes
Benkhira et al. Interactions of ethylene oxide/methylene oxide copolymers with sodium dodecyl sulphate
JP4497292B2 (ja) フルオロアルキル基と炭化水素基を有する分岐型界面活性剤
JPS591319B2 (ja) 含フッ素界面活性剤の製法
RU2030428C1 (ru) Микроэмульс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