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580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580B1
KR970006580B1 KR1019890015937A KR890015937A KR970006580B1 KR 970006580 B1 KR970006580 B1 KR 970006580B1 KR 1019890015937 A KR1019890015937 A KR 1019890015937A KR 890015937 A KR890015937 A KR 890015937A KR 970006580 B1 KR970006580 B1 KR 970006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ge
brake
abnormality detecting
detec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5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709A (ko
Inventor
노보루 마우보리
히데아끼 다까하시
요시오 사까이
쓰도무 사노
마사오 나까모도
마사가쓰 다나까
가쯔다로우 마쓰다
유우지 도다
미쯔오 사이도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쓰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쓰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00007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 plurality of axially-movable discs, lamellae, or pads,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F16D55/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 plurality of axially-movable discs, lamellae, or pads,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without self-tightening action
    • F16D55/28Brakes with only one rotating dis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 B66D5/14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embody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30Operating devices elect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9/00Self-acting brakes, e.g. coming into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 F16D59/02Self-acting brakes, e.g. coming into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spring-loaded and adapted to be released by mechanical, fluid, or electro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2055/0004Parts or details of disc brakes
    • F16D2055/0058Fully lined, i.e. braking surface extending over the entire disc circumfer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2066/003Position, angle o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2066/005Force, torque, stress or str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0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 F16D2121/22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for releasing a normally applied br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전체구성도.
제2도는 그 엘리베이터용 디스크 브레이크(disk brake)의 정면도.
제3도는 그 Ⅲ-Ⅲ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의 한 브레이크 이상 검출부의 처리플로도.
제6도는 그 동작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엘리베이터 케이지 2 : 균형분동
3 : 로프 4 : 시브
5 : 평행축기어 감속기 6 : 3상 유도전동기
7 : 제어장치 8 : 속도검출기(펄스인코더)
9 : 디스크 브레이크 10 : 마이크로스위치
11, 14 : 접점 13, 15 : 릴레이
71 : 속도지령 발생부 72 :토크지령 발생부
73 : 토크제어장치
74 : 얻어진 전압검출신호 E6을 마이크로프운전제어부
75 : 브레이크이상 검출부 91 : 회전체
92 : 유지부 94 : 스위치
911 : 권상기축 912 : 스플라인
913 : 라이닝 914 : 브레이크 디스크
922, 921 : 코일 923 : 스토링
928, 929 : 캠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장치의 개량에 관하여 특히, 브레이크 이상시의 안전성을 향상한 엘리베이터장치에 관한다.
엘리베이터의 구동계는, 전동기에 의하여 시브에 대하여 두레박 형상으로 매달린 케이지와 균형분동(均衡分銅)을 승강시키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많은 경우 시브에는 케이지 균형분동의 중량차에 의한 언발란스 토크가 작용하고 있어, 엘리베이터의 정지시에 이것을 정지(靜止)유지하는 브레이크장치에는 높은 안전성이 요구된다.
이것때문에, 예를들어 특개소 57-1180호 공부에 개시된 것과 같은 튼튼한 드럼식 전자(電磁)브레이크가 사용되어 왔다.
한편, 기어드 엘리베이터라 칭하는 톱니바퀴 감속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이제까지 웜기어 감속기가 사용되어 왔었다.
이 웜기어는,전동기에서 시브에의 토크전달 효율은 매우 높고, 반대로 시브에서 전동기에의 토크전달 효율(역효율(逆效率)은 매우 낮다.
따라서, 전술한 언발란스 토크에 의하여 전동기가 휘돌릴 가능성을 낮게하는 의미에서는 매우 좋았다. 그런데, 최근 웜기어 감속기에 대신하여 평행축기어 감속기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경우, 역효율도 높아지기 때문에 점차 브레이크장치의 안전성에 주의를 요한다.
다른 한편, 브레이크장치의 소형화를 위하여 드러식의 전자 브레이크에서, 디스크 브레이크로 전환하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
또한, 디스크 브레이크의 분야에서는 특개소 58-1180호 공보에 있어서, 전자 브레이크의 유지부의 변위량에 의하여 언발란스 토크를 검출하여 제어에 사용하거나, 혹은 특개소 62-56277호 공보에 있어서도 전자 브레이크의 유지부 변형에 의하여 언발란스 토크를 검출하여, 엘리베이터의 기동보상 등의 제어에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디스크 브레이크에 극한하지 않고, 브레이크장치의 안전성, 신뢰성은 확립되고는 있으나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만전의 안전책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장치로서, 가장 중요한 점은 아래에 기술하는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장치로서, 가장 중요한 점은 아래에 기술하는 것이다.
즉, 엘리베이터 주행중에는 브레이크 코일에 통전(通電)하고 있으나, 무엇인가의 이상에 의하여 그 흡인력이 저하하여, 반흡인 상태로 된 경우 브레이크의 아마춰와 라이닝과는 회전하면서 접속하고 있다.
그 마찰로서 다시금 라이닝의 마모가 심하게 되어 결국은, 코일의 통전을 차단하여도 제동력을 얻지 못하게 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은, 엘리베이터를 정지유지하는 브레이크에 있어서, 인신사고를 초래하는 극히 중요한 점이다.
많은 운전상태에서 혹은, 상기 언발란스 토크가 작용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디스크 브레이크에 한정되지 않고, 브레이크장치에 이상이 발생하였을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의 실현이 바람직스럽고,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장치의 이상에 대하여 사고의 기회를 경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구동전동기와 이 전동기에 의하여 승강구동되는 케이지, 이 엘리베이터 구동계를 정지유지하는 브레이크장치를 구비할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케이지의 승강중에 상기 브레이크장치의 유지부에 회전력이 가하여져 있는 것에 응동하는 이상검출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레이크장치는, 이 회전력을 유지부에 의하여 정지유지하는 것에 의하여 브레이크의 힘이 작용하여, 유지부가 회전체를 해방하는 것에 의하여 자유회전 상태로 된다.
그 가장 위험한 이상은, 유지부가 회전체를 정지유지하는 능력을 상실하는 것이며, 이것은 회전체를 해방하고있어야 할 때에, 회전체와 유지부가 반접촉(반흡인)상태로 되어, 브레이크의 제동면이 라이닝을 비비면서 운전을 계속하여, 마모나 소손등에 의하여 정지유지(제동)능력의 저하 또는 상실하게 이르는 것이 원인의 태반을 점한다고 생각된다.
거기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승강중에 브레이크장치의 회전체와 유지부가 반접촉(반흡인)상태로 된 것을 유지부에 회전력이 작용하고 있는 것을 가지고 검출하고 무엇인가 보호수단을 강구한다.
이것에 의하여, 브레이크장치가 엘리베이터 구동계의 정지유지 능력을 상실하여 중대사고에 이르는 기회를 대폭으로 감소시킬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스러운 한 실시예를 제1도∼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 전체 구성도이다. 엘리베이터 케이지(1)와 균형분동(2)은 로프(3)로서 연결되어, 시브(4)에 대하여 두레박상으로 매달려 있다.
시브(4)는 평행축 기어감속기(5)를 사이에 두고 엘리베이터 구동용 3상 유도전동기(6)에 결합되어 있다.
제어장치(7)는, 속도지령 발생부(71)로 부터의 속도지령을 토크지령 발생부(72)가 받아서, PWM인버터를 포함하는 토크제어장치(73)에 토크지령을 전달한다.
토크제어장치는, 속도검출기(펄스인코더)(8)의 출력을 귀환입력으로 하여, 유도전동기(6)에 공급하는 3상 교류의 주파수(ω), 위상(θ) 및 전류(i)를 제어하는 벡터제어를 실행한다.
또, 제어장치(7)에는 속도제어 이외의 엘리베이터로서의 필요한 제어를 행하는 운전제어부(74) 및 본 발명의 요부를 이루는 브레이크 이상검출부(75)는 제어장치(7)내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서, 그 처리에 관하여는 플로도를 사용하여 후술한다.
디스크 브레이크(9)는, 시브(4), 감속기(5) 및 전동기(6)등의 엘리베이터의 구동계에 연결된 회전체(91)를 제동하여 정지유지하는 유지부(92)를 구비하고, 이 유지부(92)는, 기계실 구조물에 대하여 탄성체(925)등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있다.
스위치(94)를 투입하면 유지부(92)는 회전체(91)를 회전이 자재롭게 해방하여, 스위치(94)를 차단하면 유지부(92)는 회전체(91)를 제동하여, 정지유지한다.
이 유지부(92)에는 한쌍의 캠(928, 929)을 구비하고 그 정(正) 또는 역정 양방향의 회전변위에 의하여 마이크로 스위치(10)를 투입한다.
그러면, 엘리베이터 케이지(1)가 각층의 도어오픈죤 이외의 위치에 있을때 온하는 접점(11)과, 엘리베이터 주행속도가 소정치 이상일때 온하는 접점이 직렬접속(앤드론리)되어, 릴레이(13)가 힘을 더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각층의 도어오픈죤 이외의 위치를 고속주행 중에 릴레이(13)는 힘을 다하게 되어, 그 접점(131)을 투입하여 마이크로 스위치(10)의 동작을 유효하게 하고, 릴레이(15)에 힘을 더한다.
릴레이(15)가 힘을 더하게 되면, 그 신호는 제어장치(7)내의 브레이크 이상검출부(75)에 전달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케이지(1)가 임의의 층상에서 정지하고 있어, 엘리베이터에 대한 호출이 뜸하여 3분을 경과하면 접점(14)이 온하여, 릴레이(13)를 힘을 더하여 접점(131)을 온하고, 마이크로 스위치(10)의 동작을 유효로 하고, 후술하는 브레이크 이상검출자체의 기능체크를 행한다.
제2도는, 디스크 브레이크의 정면 개요도, 제3도는 그 Ⅲ-Ⅲ 단면도이다.
브레이크장치는, 기본적으로 엘리베이터 구동계의 회전축에 연결되어서 회전하는 회전체(91)와, 이 회전체(91)에 제동을 걸어, 정지유지하는 유지부(93)로서 구성된다.
회전체(91)는, 권상기축(911)에 스플라인(912)에 의하여 부착되고, 라이닝(913)을 갖는 브레이크 디스크(914)이다.
한편, 브레이크장치의 유지부(92)는 아는바와 같이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코일(921,922), 스프링(923), 가동부재(924)등이 내장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유지부(92)전체는 감속기(권상기(5)에 고정된 부재(51)에 대하여, 탄성채 즉 고무(925∼927)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어 있어, 약간의 각도만큼 회전변위 가능하다.
이 회복변위를 전술한 마이크로 스위치(10)에서 검출하기 위하여, 한쌍의 캠(929)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 전자브레이크(9)는, 엘리베이터의 정지중에는, 스프링(923)에서 가동부재(924)를 누르고 디스크(914)라이닝을 끼워조여, 라이닝과의 마찰력으로 엘리베이터의 언발란스 토크에 이겨 견디어서 구동계를 정지유지한다.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개시할때에는, 제1도의 스위치(94)를 투입하여 코일(921,922)를 여자하여, 가동부재(924)를 흡인하여, 디스크를 외전이 자재로히 해방한다.
브레이크장치는, 그 유지부가 권상기에 대하여 회전 탄성 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가 동작한 경우, 유지부(92)는 브레이크축의 회전방향으로 변위한다.
이 변위에 의하여, 고정측에 설치한 마이크로 스위치(10)가 동작하여, 브레이크 토크의 인가를 검지한다.
통상, 엘리베이터 주행중에는 브레이크는 개방상태 즉, 브레이크 토크는 0이지만 브레이크가 무엇인가의 이상으로 반흡인 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주행한때에, 브레이크에는 토크가 인가되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10)가 동작한다.
즉, 엘리베이터의 주행신호와 마이크로 스위치의 동작신호에 의하여, 브레이크의 이상검출부(75)의 처리의 한예를 표시하는 플로도이다.
우선, 스텝(101)에서 엘리베이터가 주행중인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주행중 「YES」이면 스텝(102)에 진행하고, 소정속도 이상인가를 확인한다.
엘리베이터가 소정속도 이상이면 스텝(103)으로 이동하고, 도어오픈죤 이외의 위치에 케이지가 있는가를 판단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케이지(1)가 도어죤 외를 고속주행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다음의 스텝(104)에 진행하고, 브레이크 동작스위치(마이크로 스위치)(10)의 동작을 확인한다.
제1도에 있어서는, 이상의 스템(101∼104)의 도중까지 처리를 릴레이 시퀀스(sequence)에 의하여 실행하는 것으로서 표시하고 있어, 릴레이(15)가 힘이 더하여지는가 아닌가로서, 브레이크장치(9)에 이상이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하는 것이된다.
이상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운전중에 브레이크장치가 반흡인 상태가 되어 디스크가 라이닝을 비비면서 회전하면, 릴레이(15)이 힘을 더하게 되어 이것이 3초간 계속하면, 브레이크 이상검출부(75)는 브레이크의 이상이라 판단(스텝(105))하여, 이하의 보호처리를 실행한다.
이상이라 판단한 후, 그대로 가장 가까운 층까지 고속운전시켜 휴지(休止)할 수도 있으나, 당실시예에서는 스텝(106)에서, 우선 엘리베이터까지 구출운전(救出運轉)시킨다.
단, 저속구출운전이 소정시간이내에 끝나지 않는 경우에는, 다시 브레이크장치가 손상되어 있는 가능성이 있어, 벌써 구출운전도 위험하다고 보아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킨다(스텝(108→109)).
소정시간 이내에 가장 가까운 층에 도착하면, 스텝(110)에서 도어를 열고, 승객의 탈출후 스템(111)에서 다시 도어를 닫고 엘리베이터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관리인실에 「브레이크장치의 이상으로 엘리베이터를 휴지하였다」라는 표시를 행한다.
그러나, 스텝(102,103)에서 「NO」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브레이크의 이상진단을 행하지 않는 것을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즉, 엘리베이터가 정지하기 위하여는 브레이크장치(9)의 동작의 기회가 많은 저속시나 도어죤내에서는 제1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릴레이(13)에 힘을 더하지 않고, 그 접점(131)을 개방하여 둔다.
이때문에, 빈번하게 행하여지는 엘리베이터의 정지 때마다, 브레이크장치(9)가 동작하여 마이크로 스위치(10)도 동작하는 것이지만, 이같은 정상동작 때마다, 마이크로 스위치(10)가 통전, 차단을 반복한다고 하면, 마이크로 스위치(10)는 1년도 못가서 전기적인 수명이 다한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접점의 기계적 수명은 충분히 있으나, 전기적 수명은 빈약하여 50만번 정도로 되어있다.
엘리베이터는, 기동빈도가 많은 기계이며 1일당 2000번 정도 기동하는 경우가 있다.
기동과 정지할때마다 브레이크가 흡인·석방을 반복하므로 마이크로 스위치의접점은 온·오프하여, 전기 수명으로서 1년도 가지못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정규의 정지시에는 통전, 차단을 행하는 일없이 마이크로 스위치의 전기적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또, 스템(104,105)에 있어서 마이크로 스위치(10)의 동작이 3초간 계속된 경우에만, 브레이크의 이상이라 판단하는 것은, 접점의 챠타링 이외에도 하등의 재현성이 없는 일과성(一過性)의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면, 스텝(101)에서 엘리베이터가 정지중이라고 판단한 경우, 제5도의 플로로 이동하여, 스텝(112)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호출이 없어져서 3분간 경과한 것을 판단한 경우, 스텝(113)에 있어서 릴레이(13)를 온시킨다.
즉, 1도에 있어서 호출이 없은지 3분 경과에서 온하는접점(14)의 투입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릴레이(13)를 온시켜, 그 접점(131)을 투입한다.
따라서, 제1도에 있어서의 마이크로 스위치(10)의 동작체크 기능을 살려서, 스텝(114)에서 마이크로 스위치(10)의 동작을 확인하여, 릴레이(15)의 온 혹은 오프정보로서 브레이크 이상검출부(75)에 전달하고, 마이크로 스위치(10)가 동작하고 있으면 스텝(115)에서 정상이라 판단하여 체크를 끝낸다.
호출무 3분이며, 케이지(1)내는 텅비며 균형분동(2)쪽이 무거워서, 이 언발란스 토크를 브레이크장치(9)에서 정지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정상인한 유지부(92)는 회전 변위하여, 마이크로 스위치(10)도 동작하여야 할 것이다.
가령, 이때 마이크로 스위치(10)가 동작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116)에서 브레이크 이상검출기능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스텝(117)에서 엘리베이터를 운행중지함과 아울러, 그뜻을 관리인에게 고지한다.
제6도에는, 전술한 스텝(102,103) 및 제5도의 이상진단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즉, 도어죤내 혹은 엘리베이터의 주행속도가 낮을 때에는, 원칙적으로 릴레이(13)는 오프하고 있어 브레이크 이상검출기능은 쉬게하고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의 호출무 3분 상태가 발생하면 이 브레이크 이상검출자체가 정상으로 기능하는가의 체크를 실행하는 것이다.
이 브레이크 이상검출기능이 작용하는 기회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작용하는가 아닌가를 체크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장치의 이상에 대하여, 사고의 기회를 경감할 수가 있다.

Claims (11)

  1. 엘리베이터 구동용 전동기와 해당 전동기에 의하여 승강구동되는 케이지와, 이 엘리베이터 구동계를 정지유지하는 브레이크장치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케이지의 승강중에 상기 브레이크장치의 유지부에 회전력이 가하여져 있는 것에 응동하는 이상검출수단을 설치한 엘리베이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은 상기 브레이크장치의 유지부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소정시간이상 계속한 것에 응동하는 엘리베이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의 출력에 응동(應動)하여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정지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엘리베이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의 출력에 응동하여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엘리베이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의 출력에 응동하여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일단 정지시켜 그후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시키는 수단을 설치하는 엘리베이터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가까운 층에 착상시키는 수단에 의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운전시간이 소정시간을 초과한 것에 응동하여 케이지를 정지시키는 수단을 서치한 엘리베이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은 전기적 스위치수단을 포함하고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각층상의 도어오픈죤에 위치할때 그 검출기능을 무효로 하는 수단을 설치한 엘리베이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검출수단은 전기적 스위치수단을 포함하고 엘리베이터케이지의 주행속도가 소정치 이하일때 그 검출기능을 무효로 하는 수단을 설치한 엘리베이터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소정시간이상 정지를 계속하였을때 상기 전기적 스위치수단의 동작을 확인하는 수단을 설치한 엘리베이터장치.
  10. 엘리베이터 구동용 전동기와 해당 전동기에 의하여 승강구동되는 케이지와, 이 엘리베이터 구동계를 정지유지하는 브레이크장치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장치는 탄성 지지된 회전체 유지부와, 이 유지부의 회전변위를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케이지의 승강중의 상기 변위검출수단의 동작에 응동하는 이상검출수단을 설치한 엘리베이터장치.
  11. 엘리베이터 구동용 전동기와 해당 전동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시브를 가지는 권상기와, 해당 시브에 로프를 사이에 두고 두레박상으로 매달린 케이지 및 균형분동과, 해당 케이지 및 균형분동의 언발란스 토크를 정지유지하는 브레이크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장치는 브레이크 디스크와 이 드스크를 유지 또는 해방하는 탄성 지지된 디스크 유지부와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크 유지부의 정역방향(正逆方向)에의 회전변위에 응동하는 스위치수단과, 이 스위치수단이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승강중에 동작한 것에 응동하는 이상검출수단과 이 이상검출수단의 출력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비상정지시키는 수단과를 설치한 엘리베이터장치.
KR1019890015937A 1988-11-07 1989-11-03 엘리베이터 장치 KR970006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79275A JPH0659985B2 (ja) 1988-11-07 1988-11-07 エレベーター装置
JP63-279275 1988-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709A KR900007709A (ko) 1990-06-01
KR970006580B1 true KR970006580B1 (ko) 1997-04-29

Family

ID=1760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937A KR970006580B1 (ko) 1988-11-07 1989-11-03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82815A (ko)
JP (1) JPH0659985B2 (ko)
KR (1) KR970006580B1 (ko)
CN (1) CN1013953B (ko)
GB (1) GB2226292B (ko)
HK (1) HK27093A (ko)
SG (1) SG133992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949B2 (ja) * 1989-09-28 1995-11-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動装置
CA2002409C (en) * 1989-11-07 1995-03-14 Klaus Katzy System f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a cage moving in a mine shaft
US5255760A (en) * 1991-10-02 1993-10-26 Inventio Ag Apparatus for detecting and signaling the function and status of an elevator safety brake
JP2677922B2 (ja) * 1991-12-11 1997-11-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FI922326A0 (fi) * 1992-02-27 1992-05-21 Electromotive Systems Inc Bromsmanoeverings-kontrollkretssystem foer anvaendning vid mikroprocessor baserad motorstyrning.
GB9410906D0 (en) * 1994-06-01 1994-07-20 Wichita Company Ltd Brake performance monitoring
DE19646493A1 (de) * 1996-11-11 1998-05-14 Mayr Christian Gmbh & Co Kg Einrichtung zur Geräuschdämpfung bei mechanischen Bremsen
KR100303011B1 (ko) * 1998-12-12 2002-05-09 장병우 엘리베이터의운전제어장치
AU2002343518A1 (en) * 2002-10-15 2004-05-04 Mann, Michael Detecting elevator brake and other dragging by monitoring motor current
FI20031647A0 (fi) * 2003-11-12 2003-11-12 Kone Corp Hissin jarrun ohjauspiiri
US7434664B2 (en) * 2005-03-08 2008-10-14 Kone Corporation Elevator brake system method and control
WO2007088599A1 (ja) * 2006-02-01 2007-08-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エレベータ装置
IL186678A0 (en) * 2006-11-16 2008-02-09 Inventio Ag Brake equipment, lift installation, a method for detecting a function of the brake equipment, and a modernisation set
WO2008117423A1 (ja) * 2007-03-27 2008-10-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装置
JP4980423B2 (ja) * 2007-06-14 2012-07-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S2546622T3 (es) * 2007-07-17 2015-09-25 Inventio Ag Instalación de ascensor con una cabina de ascensor y un dispositivo de freno para detener la cabina de ascensor en un modo de funcionamiento especial y procedimiento para detener una cabina de ascensor en el modo de funcionamiento especial
CN102123928B (zh) * 2008-08-18 2013-05-08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监控电梯设备中的制动系统的方法以及相应的用于电梯设备的制动监视器
FI20090335A (fi) * 2009-09-16 2011-03-17 Kone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hissikorin hallitsemattoman liikkeen estämiseksi
CN101723279A (zh) * 2009-11-13 2010-06-09 天津起重设备有限公司 一种增速制动装置
ES2382275B1 (es) * 2012-02-08 2013-05-07 Aplicaciones Electromecanicas Gervall S.A. Sistema de control preventivo para el arranque incontrolado de una cabina con puerta de un ascensor, elevador o similar
ES2682749T3 (es) * 2014-09-24 2018-09-21 Inventio Ag Freno de ascensor
EP3053866A1 (en) 2015-02-03 2016-08-10 KONE Corporation Elevator brake release monitoring
US10919730B2 (en) 2016-03-18 2021-02-16 Otis Elevator Company Management of mutiple coil brake for elevator system
JP2019043749A (ja) * 2017-09-06 2019-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
DE102019209529B4 (de) * 2019-06-28 2021-05-0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Lamellenbremse für ein drehbares Element
CN116905603A (zh) * 2023-06-26 2023-10-20 太原重工股份有限公司 矿用挖掘机气路故障引起的铲斗失控保护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9741A (ja) * 1981-12-24 1983-06-30 Mitsubishi Heavy Ind Ltd デイスクブレ−キの作動検知装置
JPH075251B2 (ja) * 1988-01-28 1995-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4923055A (en) * 1989-01-24 1990-05-08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Safety mechanism for preventing unintended motion in traction elev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953B (zh) 1991-09-18
JPH0659985B2 (ja) 1994-08-10
US4982815A (en) 1991-01-08
GB8924990D0 (en) 1989-12-28
HK27093A (en) 1993-04-02
GB2226292B (en) 1992-07-29
JPH02127379A (ja) 1990-05-16
CN1042519A (zh) 1990-05-30
KR900007709A (ko) 1990-06-01
GB2226292A (en) 1990-06-27
SG133992G (en) 1993-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658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214239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2537790B1 (en) Elevator device
KR10121802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US20120073909A1 (en) Elevator device
CN100455501C (zh) 电梯安全装置
KR10122330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114972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9154988A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システム
KR10124499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18070006A1 (ja) エレベータ制御回路
JPH09221285A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JP5098376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4537043B2 (ja) エレベーターのブレーキ制御装置
CN109311631B (zh) 电梯
JP2930807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466491A (ja) ロープレスリニアモータエレベーター
JP2009161290A (ja) エレベータ戸開走行防止装置
EP3705440B1 (en) A method for testing an elevator machinery brake
KR100295879B1 (ko) 엘리베이터의브레이크제어장치및그검출방법
JPS6410435B2 (ko)
JPH0664860A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CN116601100A (zh) 用于电梯的安全方案
JPH0336181A (ja) 油圧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S6031746B2 (ja) エレベ−タの非常運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