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416Y1 -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 - Google Patents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416Y1
KR970006416Y1 KR2019940005126U KR19940005126U KR970006416Y1 KR 970006416 Y1 KR970006416 Y1 KR 970006416Y1 KR 2019940005126 U KR2019940005126 U KR 2019940005126U KR 19940005126 U KR19940005126 U KR 19940005126U KR 970006416 Y1 KR970006416 Y1 KR 9700064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ushing device
pusher bar
block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5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9029U (ko
Inventor
송희민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김주용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5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416Y1/ko
Publication of KR9500290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90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4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
제 1 도는 제1도의 (A)는 본 고안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의 마그네틱장치의 상세 단면도
제 2 도의 (A)는 본 고안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의 예시 평면도.
(B)는 본 고안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의 예시 정면도.
제 3 도의 (A)는 제2도의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의 예시도에서 정상상태에 대한 정면도.
(B)는 제2도의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의 예시도에서 에러상태에 대한 정면도.
제 4 도의 (A)는 제2도의 푸싱장치를 적용한 패키지 로딩장치의 예시 평면도.
(B)는 제2도의 푸싱장치를 적용한 패키지 로딩장치의 예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푸셔바2 : 푸셔바 가이드
3,3-1 : 위치감지센서 1,24 : 마그네틱 홀더
5 : 마그네틱 블록6 : 높이조절나사
7 : 물체11 : 패키지
12 : 패키지 가이드 블럭13 : 푸셔 접지대
14 : 실린더지지 블라킷15 : 푸셔 실린더
16 : 블스크류 홈17 : 푸싱장치 가이드블럭 홈
18 : 가이드 레일20 : 푸싱장치
21 : 스테핑 모터22 : 볼스크류 지지장치
23 : 볼스크류24 : 푸싱장치 가이드블럭
25,25a~25e : 튜브26 : 이동 실린더
27 : 튜브 이송 실린더28 : 튜브 지지대
본 고안은 반도체조립공정인 다이본딩, 와이어 본딩, 몰딩 및 백엔드(BACK-END) 공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매우 흼성이 강한 리드프레임과 각 공정에서 리드의 손상이 발생해서는 안되는 플라스틱 리드 칩캐리어(Plastic Leaded Chip Carrier :PLCC) 및 쿼드 플랫 패키지(Quad Flat package : QFP)와 같은 패키지를 매우 적은 일정한 힘으로 각 공정장치에 로딩되도록 가볍게 밀어 넣는 마그네틱(MAGNETIC)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푸싱장치의 종류로는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를 이용한 푸싱장치와 핀타입의 에어실린더(AIR CYLINDER)를 이용한 푸싱장치가 있다.
스테핑모터를 이용한 푸싱장치는 모터의 크기 때문에 구조물의 크기가 매우 크며, 또한 미는 힘에 대한 정확한 제어를 위해서는 매우 고가의 조절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핀타입의 에어실린더를 이용한 푸싱장치는 미는 힘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하여 자재의 손상을 유발하게 되고, 에어실린더를 외부에 부착하게 되어 있어서 장비의 사용이 불편하며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는 마그네틱의 자력을 이용하여 푸셔바의 힘을 미세하게 제어하면서, 푸셔바에 별도로 이탈이 가능한 가이드를 부착하여 푸셔바가 반복동작을 할 경우, 푸셔바의 복귀동작을 별도의 작업자의 도움 없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는 직접적으로 물체를 미는 푸셔바와; 상기 푸셔바가 일정한 궤도로 움질일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푸셔바 가이드와; 푸셔바가 일정하게 후퇴하였을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1과; 푸셔바가 전진하여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고 정지해 있는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2와; 높이조절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마그네틱 블럭을 삽입하도록 내부홈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푸셔바 가이드를 양쪽에서 잡아주도록 한쪽 측면의 위쪽으로 사각홈을 형성하는 마그네틱 홀더와; 알리콘계 강자석을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상기 마그네틱 홀더에 삽입되어 고정된 뒤 상부에 있는 푸셔바가 물체를 밀 수 있도록 자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마그네틱 블럭과; 상기 마그네틱 블럭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마그네틱 블럭의 내부홈의 하면에 부착되면서 마그네틱 홀더의 밑면에 고정되는 높이조절나사로 구성된 마그네틱 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프싱장치의 마그네틱 장치의 상세 단면도로서, 직접적으로 물체를 미는 푸셔바(1)와; 상기 푸셔바(1)가 일정한 궤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푸셔바 가이드(2)와; 푸셔바(1)가 일정하게 후퇴하였을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1(3)와; 푸셔바(1)가 전진하여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고 정지해 있는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2(3-1)와; 높이조절 나사(6)에 의해 고정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마그네틱 블럭(5)을 삽입하도록 내부홈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푸셔바 가이드(2)를 양쪽에서 잡아 주도록 안쪽 측면의 위쪽으로 사각홈을 형성하는 마그네틱 홀더(4)와; 상기 마그네틱 홀더(4)에 삽입되어 고정된 뒤 상부에 있는 푸셔바(1)가 물체를 밀 수 있도록 자력을 유지하는 마그네틱 블럭(5)과; 상기 마그네틱 블럭(5)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마그네틱 블럭(5)의 내부홈의 하면에 부착되면서 마그네틱 홀더(4)의 밑면에는 고정되는 높이조절나사(6)로 구성된다. 여기서(7)은 푸셔바(1)로 밀고자 하는 물체, 즉 예를 들면 리드프레임이나 패키지이다.
제2도는 본 고안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의 예시 단면도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즉, 상기 제 1도에서와 같이 구성된 마그네틱장치에서 물체, 즉 예를 들면 패키지(11)를 직접적으로 미는 푸셔바(1)의 힘을 자력의 세기로 조절하는 마그네틱 블럭(5)을 내부홈에 삽입하고 있는 마그네틱 홀더(4)가 실린더지지 블라킷(14) 윗면에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지지 블라킷(14)은 푸셔 실린더(15)의 동작에 의해 이동한다. 그리고, 양쪽 마그네틱 블럭(15)의 동작에 의해 이동한다. 그리고, 양쪽 마그네틱 홀더(4)의 측면홈에 끼워져 푸셔 실린더(15)의 동작에 의해 이동하는 푸셔바(1)가 패키지(11)를 밀고 나서 되돌아 올 때 푸셔바(1)를 멈추게 하는 푸셔 정지대(13)가 위치감지센서1(3)과 연결되어 부착되고 실린더지지 블라킷(14) 위쪽에 위치한다. 상기 푸셔바(1)에 의해 밀리는 패키지(11)는 패키지 가이드 블록(12)에 의해 가이드 된다. 그리고, 본 푸싱장치가 블스크류를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지지 블라킷(14) 아래로 볼스크류 홈(16)을 형성하고, 상기 블스큐류 홈(16)에 따라 블스크류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푸싱장치의 균형을 위해 볼스큐류 홈(16)과 같은 수평위치에서 패키지 가이드 블럭(12) 아래로 푸싱장치 가이드블럭이 지나가도록 하는 푸싱 장치 가이드블럭(17)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푸싱장치 가이드 블럭 홈(17) 아래로 푸싱장치의 밑면이 바닥과 맞물리지 않도록 로울러를 이용한 가이드 레일(18)을 장착한다.
제3도는 제2도의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의 동작상태에 대한 정면도로서, (A)는 정상상태일 경우, (B)는 에러상태일 경우의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에서는 우선, 위치감지센서1,2(3,3-1)로 푸셔바(1)의 동작범위를 설정한다. 그리고, 푸셔바(1)를 손으로 움직여서 앞으로 밀고자 하는 물체, 즉 패키지(1)를 적정한 값으로 밀수 있도록 그리고 난후, 푸셔 실린더(15)를 동작시켜 푸셔바(1)가 푸셔바 가이드(2)를 따라 자연스럽게 움직이는지를 확인하고, 푸셔바(1)가 마그네틱 블럭(5)의 자력과 함께 완전 정적으로 적정하게 동작되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자력으로 너무 약하여 푸셔바(1)에 의해 밀고자 하는 물체, 즉 패키지(111)가 밀리지 않으면 마그네틱 블럭(5)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높이조절나사(6)을 조여서 마그네틱 블럭(5)의 위치를 높여 푸셔바(1)에 가해지는 자력을 강하게 하고, 또한 자력이 너무 강하여 패키지에 손상이 생기게 되면 높이조절나사(6)를 풀어서 마그네틱 블럭(5)의 위치를 낮추어 푸셔바(1)에 가해지는 자력을 약화시킨후, 실린더 지지 블라킷(14)을 움직이게 하기 위해 푸셔 실린더(15)을 동작시켜 마그네틱 홀더(4)의 측면홈에 끼워진 푸셔바(1)가 이동하게 되어 패키지 가이드 블럭(12)에 의해 가이드 되는 패키지(11)를 밀어낸다. 여기서 푸셔바(1)에 가해지는 마그네틱 블록(5)의 자력이 패키지(11)를 밀어내는데 적정하게 조절이 되었다면 제3도의 (A)와 같이 푸셔바(1)에 의해 패키지(11)가 가볍게 밀린다. 그러나, 푸셔바(1)에 가해지는 마그네틱 블럭(5)의 자력이 패키지(11)를 밀어내는데 적정하게 조절이 되지 않고 너무 강하거나 너무 약하게 조절이 되었을 경우에는 위치감지센서에 의해 에러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이는 자력이 밀어내는 힘보다 약하게 조절이 된 에러상태인 제3도의 (B)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위치감지센서2(3-1)에 의해 푸셔바(1)의 잘못된 위치가 감지된다. 그리고, 자력이 밀어내는 힘보다 강하게 조절이 된 에러상태일 경우에는 푸셔바(1)가 패키지(11)를 밀어내는 방향 밖으로 나오게 되어 푸셔바(1)가 푸셔 실린더(15)의 동작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갈 경우 위치감지센서1,2(3,3-1)에 의해 푸셔바(1)의 잘못된 위치가 감지된다.
제4도는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푸싱장치가 실제 공정이 적용된 예시 단면도로서, 몰딩이 완성된 패키지를 튜브에 로딩하는 패키지로 딩장치에 푸싱장치가 적용된 단면도이다. 여기서(A)는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블스크류 지지장치(22)에 의해 양끝이 지지되는 볼스크류(23)가 스테핑모터(21)에 의해 회전하여 블스크류(23)를 따라 이동하는 푸싱장치(20)를 좌우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푸싱장치 가이드블럭(24)은 볼스크류(23)의 반대편에 위치하면서 푸싱장치(20)의 푸싱장치 가이드 블럭 홈(17)을 통해 푸싱장치(20)를 가이드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푸싱장치(20)에 의해 몰딩공정을 끝낸 패키지(11)는 패키지 로딩장치의 튜브(25) 안으로 장착이 되는데, 여기서 패키지(11)는 피딩암(FEEDING ARM)(31)에 의해 푸싱장치(20)로 운반된다. 패키지 로딩장치로 패키지(11)가 로딩될 시에는 패키지(11)의 불량상태에 따라 각각의 정해진 튜브(20) 안으로 로딩이 되는데, 이는 피딩암(31)에서 패키지(11)를 운반할 시에 패키지(11)의 불량상태를 확인한 후, 운반하게 되어 푸싱장치(20)에서 패키지의 불량상태에 따라 각각의 튜브(25a,25c,25e)로 나누어 로딩하게 된다. 즉, 패키지(11)가 양호한 상태일 경우에는 푸싱장치(20)의 가장 왼쪽 끝에 있는 튜브(25a)에 장착이 되고, 약간의 손상으로 수리가 가능한 경우에는 중앙에 있는 튜브(25c)에 장착이 되며, 아주 불량인 경우에는 푸딩장치(20)의 가장 오른쪽 튜브(25e) 안으로 로딩되도록 한다. 그리고, 각 튜브(25a,25c) 안으로 패키지(11)가 로딩되어 가득 차게 된 튜브는 튜브(25) 아래 중앙부위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 실린더(26)에 의해 각 튜브(25a,25c)의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동 실린더(26)와 연결되면서 이동 실린더(26)를 중심으로 푸싱장치(20)에서 가장 왼쪽에 위치하고 있는 튜브(25a)의 아랫쪽에 튜브(25a)와 수평을 이루도록 양쪽에 위치하고 있는 튜브 이송 실린더(27)에 의해 튜브(25a,25c)가 고정이 되어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 실린더(26)가 네 번째 튜브(25d)까지만 이동할 수 있도록 푸싱장치(20)의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는 튜브(25e)의 안쪽 수평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즉, 패키지(11)의 불량상태에 따라 정해진 튜브는 각각 두 개이며, 그 중 하나는 푸싱장치(20)에 의해 패키지(11)를 로딩하는 튜브(25a,25c)이므로 튜브 가이드축(30)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빈 튜브가 하나씩 아래로 내려가면서 패키지(11)를 로딩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에 가득판 튜브(25a,25c)가 이동 실린더(26)와 튜브 이송 실린더(27)에 의해 각각의 튜브(25a,25c) 바로 옆에 이동된다. 상기 이동된 튜브(25b,25d)는 튜브 가이드축(30)의 위끝까지 튜브(25b,25d)가 가득 차게 되면 작업자가 손수튜브(25b,25d)를 꺼내게 된다. 그리고, 아주 불량인 경우의 패키지(11)의 종류는 그리 많지 않으므로 상기 패키지(11)를 로딩하는 튜브(25e)는 한 개로도 가능하여, 튜브(25e)가 가득 차게 되면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꺼내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푸싱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쉽게 설치할 수 있어서 효과적으로 종래의 장비를 수정할 수 있으며, 완벽하게 정적인 힘을 물체에 가하여 안전하게 물체를 이송시킬 수 있다.

Claims (2)

  1. 반도체조립공정에서 사용되는 푸싱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마그네틱장치가 푸셔 실린더(15)의 동작에 의해 전후이동하는 실린더지지 블라킷(14) 윗면에 장착되어 푸셔 실린더(15)의 왕복동작으로 패키지 가이드블럭(12)에 의해 가이드되는 패키지(11)를 공정장치내로 밀어 넣고 다시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마그네틱장치가 원위치로 돌아올 때 푸셔 정지대(13)에 의해 마그네틱장치를 정지시키도록 하며, 푸싱장치의 이동은 스테핑모터(21)에 의해 작동하는 볼스크류(23)에 의해 이동하고, 또한 푸싱장치 가이드 블럭(24)을 따라 푸싱장치가 가이드되도록 하며, 상기 푸싱장치 가이드블럭(24)이 지나가는 푸싱장치 가이드블럭 홈(17) 아래로 로울러를 이용하여 장착된 가이드레일(18)을 사용하여 푸싱장치의 밑면이 바닥과 맞물리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마그네틱 장치는 직접적으로 물체를 미는 푸셔바(1)와; 상기 푸셔바(1)가 일정한 궤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푸셔바 가이드(2)와; 푸셔바(1)가 일정하게 후퇴하였을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1(3)과; 푸셔바(1)가 전진하여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고 정지해 있는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2(3-1)와; 높이조절나사(6)에 의해 고정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마그네틱 블럭(5)을 삽입하도록 내부홈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푸셔바 가이드(2)를 양쪽에서 잡아주도록 안쪽 측면의 위쪽으로 사각홈을 형성하는 마그네틱 홀더(4)와; 알리콘계 강자석을 이용하여 비접촉식으로 상기 마그네틱 홀더(4)에 삽입되어 고정된 뒤 상부에 있는 푸셔바(1)가 물체를 밀 수 있도록 자력을 유지하는 마그네틱 블록(5)과; 상기 마그네틱 블록(5)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마그네틱 블록(5)의 내부홈의 하면에 부착되면서 마그네틱 홀더(4)의 밑면에 고정되는 높이조절나사(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
KR2019940005126U 1994-03-15 1994-03-15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 KR970006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126U KR970006416Y1 (ko) 1994-03-15 1994-03-15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126U KR970006416Y1 (ko) 1994-03-15 1994-03-15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029U KR950029029U (ko) 1995-10-20
KR970006416Y1 true KR970006416Y1 (ko) 1997-06-24

Family

ID=19378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5126U KR970006416Y1 (ko) 1994-03-15 1994-03-15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4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029U (ko) 199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4572A (en)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t a high temperature
US7361862B2 (en) Laser marking system for dice carried in trays and method of operation
US6481187B1 (en) Position sensing system and method for an inspection handling system
US6528760B1 (en) Apparatus and method using rotational indexing for laser marking IC packages carried in trays
EP0355852A2 (en) Transfer apparatus for lead frame
US5208464A (en) Device for detecting errors in top/bottom/front/back orientation of a lead frame
US6554128B1 (en) Die shuttle conveyor and nest therefor
KR970006416Y1 (ko) 마그네틱을 이용한 정적 푸싱장치
US6244569B1 (en) Controlled motion lift mechanism
KR920022461A (ko) To-220 반도체 제조기의 리드프레임 자동 공급장치
JPH08301428A (ja) ワーク搬送装置
US6287068B1 (en) Self-aligning tray carrier apparatus with tilt feature
CN109513644B (zh) 高端封装qfn托盘式单颗半自动测试装置
CN219151413U (zh) 供料机构及自动打圈机
KR0125965B1 (ko) 솔더볼 자동 공급장치
US5067873A (en) Method of separating a component from a row of component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220271180U (zh) 一种双面智能视觉检测机
KR100432672B1 (ko) 반도체 패키지 테이핑 머신의 레일 간격 조절장치
KR930000271Y1 (ko)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
KR970006516Y1 (ko) 반도체패키지의 성능테스트장치
JP4004153B2 (ja) 半導体フレームの供給装置
US6386430B1 (en) Mechanism for properly sizing a clamp to fit with strips of a plurality of IC package sizes
KR20000007549A (ko) 리드프레임 쉬프터
KR930003186Y1 (ko) 튜너 리이드 자동정형장치
CN110697416A (zh) 夹具及传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