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271Y1 -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271Y1
KR930000271Y1 KR2019900021416U KR900021416U KR930000271Y1 KR 930000271 Y1 KR930000271 Y1 KR 930000271Y1 KR 2019900021416 U KR2019900021416 U KR 2019900021416U KR 900021416 U KR900021416 U KR 900021416U KR 930000271 Y1 KR930000271 Y1 KR 930000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transfer
electronic component
carrier member
circula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1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21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2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271Y1/ko

Links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캐리어 부재가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캐리어 부재가 로드레스 실린더의 단부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의 B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이송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원형이형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형이형부품 2 : 리이드
10 : 전자부품 11 : 슈트부
12 : 수용부 13 : 스토퍼 실린더
14 : 센서수단 I 20 : 로드레스 실린더
21 : 캐리어 부재 22 : 브라켓부재
23 : 센서수단 II 30 : 이송부재
31 : 가이드부 32 : 고정부재
33 : 볼트 34 : 가이드홈
35 : 가이드구멍 36 : 실린더 수단
37 : 로드
본 고안은 피.씨기판(PRINTED DIRCUIT BOARD)에 취부되는 전자부품을 전자부품 공급장치로부터 로보트 혹은 전용기의 아암이 전자부품을 척킹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송시켜 주는 전자부품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전자부품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된 원형이형 부품을 이송시켜주는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는 원형이형부품의 리이드가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로보트 혹은 전용기가 원형이형 부품을 척킹하여서 피.씨기판에 형성된 구멍과 일치되지 못해서 조립이 용이하게 되지 못함은 물론, 제품의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원형이형 부품의 리이드가 피.씨기판의 구멍에 삽입되지 못할 경우에는 기계장치가 정지됨으로써, 생산성이 저하된다는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여러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원형이형 부품을 로보트 혹은 전용기가 척킹할 수 있는 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이송시켜서, 로보트 혹은 전용기가 원형이형 부품을 피.씨기판에 정확히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불량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는, 전자부품 공급장치의 대체로 하부에 고착되고 캐리어 부재가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로드레스 실린더와 상기 로드레스 실린더의 캐리어 부재의 상부에 재치되어서 상기 캐리어 부재에 연동되어 왕복운동하여서 원형이형 부품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와, 상기 캐리어부재의 일면에는 고착되는 브라켓 부재와, 삶기 브라켓 부재에 고착되어서 상기 원형이형 부품의 리이드를 정렬시키는 실린더 수단과, 상기 전자부품 공급장치의 상부에 고착되어서 상기 이송부재의 상부에 원형이형 부품의 적재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캐리어 부재를 상기 전자부품 공급장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센서수단 I 과, 상기 로드레스 실린더의 단부에 고착되어서 상기 이송부재의 상부에 원형이형 부품의 절재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캐리어 부재를 상기 전자부품 공급장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센서수단 II로 이루어져서 원형이형 부품을 정렬된 상태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에 의하면, 로드레스 실린더의 캐리어 부재가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위치되어서 이송부재의 상부에 원형이형 부품이 적재될 경우 센서수단 I이 적재상태를 감지하여서 캐리어 부재를 전자부품 공급장치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실린더 수단의 로드가 전진되어서 이송부재에 적재된 원형이형 부품을 정렬시키고 또 캐리어 부재는 로드레스 실린더의 단부까지 이동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센서수단 II가 원형이형 부품을 감지하여서 로보트 혹은 전용기가 원형이형 부품을 척킹할 수 있도록하여 피.씨기판에 정확히 삽입되도록 함은 물론, 캐리어 부재를 전자부품 공급장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캐리어 부재가 전자부품 공급장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 측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캐리어 부재가 로드레스 실린더의 단부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 측면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A분분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제4도는 제1도의 B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제5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이송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6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원형이형 부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도 내지 제6도에 있어서, (10)은 원형이형 부품(1)이 자중에 의해서 하부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슈트부(11)가 형성된 전자부품 공급장치로써, 상기 슈트부(11)의 단부에 후술하는 이송부재(30)가 수용되도록 수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슈트부(11)의 상부에는 이송부재(30)가 수용부(12)에 수용될 경우 스토퍼가 상승되는 스토퍼 실린더(13)가 고착되어 있다.
또, 상기 전자부품 공급장치(10)의 데체로 하부에는 캐리어 부재(21)가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로드레스 실린더(20)가 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부재(21)의 상부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에 고정부재(32)가 볼트(33)에 의해 고정되고 앙측변에 가이드부(31)가 각각 형성되고 내면에는 원형이형 부품(1)의 리이드(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34)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홈(34)의 하부에는 원형이형 부품(1)이 정렬될 수 있도록 후술하는 실린더수단(36)의 로드(37)가 삽탈되는 가이드 구멍(35)이 형성된 이송부재(30)가 재치되어 있다.
또, 상기 캐리어 부재(21)에는 브라켓부재(22)가 고착되고, 이 브라켓부재(22)에는 상기 이송부재(30)에 적재된 원형이형 부품(1)의 리이드(2)와 접촉하여서 원형이형 부품(1)을 정렬하는 로드(37)가 배설된 실린더수단(36)이 고착되어 있다.
즉, 상기 이송부재(30)에 원형이형 부품(1)이 적재될 경우 실린더수단(36)의 로드(37)가 전진되어서 원형이형 부품(1)을 정렬시킨다.
또한, 상기 전자부품 공급장치(10)의 상부 즉, 슈트부(11)의 단부에는, 상기 이송부재(30)에 원형이형 부품(1)이 적재되었는지의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수단(14)이 고착되어 있다.
즉, 상기 이송부재(30)에 원형이형 부품(1)이 적재될 경우 센서수단(14)이 감지하여서 상기 캐리어부재(21)를 전자부품 공급장치(1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 상기 로드레스 실린더(20)의 단부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센서수단 II(23)가 고착되어서, 상기 이송부재(30)의 상부에 원형이형 부품(1)이 적재되었을 경우 도시되지 않은 로보트 혹은 전용기가 원형이형 부품(1)이 적재되었을 경우 도시되지 않은 로보트 혹은 전용기가 원형이형 부품(1)을 척킹하여 피,씨 기판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후 상기 이송부재(30)에 원형이형 부품(1)이 적재되어있지 않는 것을 감지하여서 캐리어부재(21)를 전자부품 공급장치(10)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원형이형 부품이 이송장치에 의하면, 이송부재(30)가 전자부품 공급장치(10)의 수용부(12)에 수용될 경우 스토퍼 실린더(13)가 상승되어서 이송부재(30)의 상부에 원형이형 부품(1)이 적재된다.
이때, 센서수단 I (14)이 이송부재(30)의 상부에 원형이형 부품(1)이 적재되에 있음을 감지하여 캐리어 부재(21)를 로드레스 실린더(20)의 단부(즉, 도시되지 않은 로보트 혹은 전용기가 원형이형 부품(1)을 척킹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함은 물론, 실린더 수단(36)의 로드(37)가 이송부재(30)의 가이드 구멍(35)내로 전진되어서 이송부재(30)의 상부에 적재된 원형이형 부품(1)의 리이드(2)를 정렬시킨다.
또, 로드레스 실린더(20)의 단부에 캐리어부재(21)가 이동될 경우 센서수단 II(23)가 원형이형 부품(1)을 감지하여서 로보트 혹은 전용기가 원형이형 부품(1)을 척킹할 수 있도록하여 피.씨 기판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캐리어 부재(21)를 전자부품 공급장치(10)로 이동시켜서 원형이형 부품(1)를 정렬시켜 이송할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에 의하면, 원형이형 부품의 리이드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원형이형부품을 이송시킴으로써 로보트 혹은 전용기가 원형이형 부품으 척킹하여 피.씨 기판에 정확히 삽입하여서 조립불량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제푸이 품질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전자부품 공급장치(1O)의 대체로 하부에 고착되고 캐리어부재(21)가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로드레스 실린더(20)와, 상기 로드레스 실린더(20)의 캐리어부재(21)의 상부에, 재치되어서 상기 캐리어부재(21)에 연동되어 왕복운동하여서 원형이형 부품(1)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30)와, 상기 캐리어부재(31)의 일면에 고착되는 브라켓부재(22)와, 상기 브라켓부재(22)에 고착되어서 상기 원형이형 부품(1)의 리이드(2)를 정렬시키는 실린더수단(36)과, 상기 전자부품 공급장치(10)의 상부에 고착되어서 상기 이송부재(30)의 상부에 원형이형 분품(1)의 적재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캐리어부재(21)를 상기 전자부품 공급장치(10)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센서수단 I (14)과, 상기 로드레스 실린더(20)의 단부에 고착되어서 상기 이승부재(30)의 상부에 원형이형 부품(1)의 적재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캐리어 부재(21)를 상기 전자부품 공급장치(1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센서수단 II (23)를 구비하여서 원형이형 부품(1)의 리이드(2)를 정렬시켜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 공급장치(10)에는 수용부(12)가 형성되어서 상기 이송부재(30)가 수용될 경우 스토퍼 실린더(13)가 상승되어서 원형이형 부품(1)이 이송부재(30)의 상부에 용이하게 적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30)는 볼트(23)에 의해서 고정된 고정부재(32)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부(31)와, 내면에 상기 원형이형 부품(1)의 리이드(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34)과, 상기 가이드홈(34)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구멍(35)으로 이루어져서 원형이형 분품(1)이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수단(36)에는 로드(37)가 배설되어서 상기 로드(37)가 상기 캐리어부재(21)의 가이드구멍(35)으로 삽입되어서 원형이형 부품(1)의 리이드(2)를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
KR2019900021416U 1990-12-28 1990-12-28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 KR930000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1416U KR930000271Y1 (ko) 1990-12-28 1990-12-28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1416U KR930000271Y1 (ko) 1990-12-28 1990-12-28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271Y1 true KR930000271Y1 (ko) 1993-01-25

Family

ID=1930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1416U KR930000271Y1 (ko) 1990-12-28 1990-12-28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2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843B1 (ko) * 2002-04-19 2005-03-22 배상면 전분포도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843B1 (ko) * 2002-04-19 2005-03-22 배상면 전분포도주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7437B1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US461904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chip type electronic parts
KR102484881B1 (ko) 반송 장치, 수지 성형 장치, 반송 방법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JP3062517B2 (ja) 物品整列装置
EP0189289B1 (en) Apparatus for conveying and positioning circuit substrates of printed-wiring boards
US104128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workpieces
US4649635A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substrates of different sizes of printed-wiring boards
KR20230088462A (ko) 반송 장치,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930000271Y1 (ko) 원형이형 부품의 이송장치
KR101823926B1 (ko) 캐리어 테이프의 자동 공급 장치
KR100716257B1 (ko) 기판 이재용 픽업장치
KR940005216Y1 (ko) 전자 부품 이송 장치
KR101663784B1 (ko) 슬라이드 라벨 피더
EP0178162A1 (en) Apparatus for feeding components through a work station
KR890000222B1 (ko) 칩형(chip Type) 전자부품 장착기
KR20000007549A (ko) 리드프레임 쉬프터
JPH0680938B2 (ja) プリント基板供給装置
CN219361624U (zh) 双轨道贴标机
CN110744757B (zh) 包括被配置为供给离型膜的离型膜进料器的树脂模塑装置
KR100254251B1 (ko) 칩마운터테이프의피더
JPH0355537Y2 (ko)
KR100284612B1 (ko) 모듈 디바이스 이송 및 인출장치
KR20100053807A (ko) 자동화 장비의 자재공급장치
KR940001165B1 (ko) Qfp부품 공급장치
KR20000056918A (ko) 트레이 피더부가 설치된 표면실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