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374B1 - 농업작업차의 변속조작구조 - Google Patents

농업작업차의 변속조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374B1
KR970006374B1 KR1019930024141A KR930024141A KR970006374B1 KR 970006374 B1 KR970006374 B1 KR 970006374B1 KR 1019930024141 A KR1019930024141 A KR 1019930024141A KR 930024141 A KR930024141 A KR 930024141A KR 970006374 B1 KR970006374 B1 KR 970006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manual
control
shift
wor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637A (ko
Inventor
겐이치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보다
미츠이 고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보다, 미츠이 고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950014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3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39Up- and down-shift or range or mode selection by repeated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농업작업차의 변속조작구조
제1도는 컴바인의 주행제어 계통도.
제2도는 변속 조작부의 측면도.
제3도는 변속 조작부의 절결 정면도.
제4도는 검출센서 배열설치부의 절결 정면도.
제5도는 검출센서의 사시도.
제6도는 검출작용상태를 나타내는 검출센서 배열설치부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무단변속장치 7 : 수동조작레버
8 : 변속조작구 10 : 구동기어
12 : 마찰판 18, 18 : 가압작동부재
A : 자동조종제어수단 B : 수동조정제어수단
SW1, SW2 : 스위치
[발명분야]
본 발명은 주행용 무단변속장치의 변속조작구와 수동조작레버를 연동조작 가능하게 연계시킴과 동시에 상기 변속조작구를 자동 조작하는 구동기구를 설치하고 작업상황에 따라 상기 구동기구를 자동조작하는 자동조종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농업작업차의 변속조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의 설명]
종래까지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4-15365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의 변속용 수동조작레버의 연계기구내에 마찰식 유지기구를 개재시켜 수동레버에 의한 설정속도에도 불구하고, 엔진의 부하에 따라 구동기구로서의 전동모우터에 의하여 변속장치를 자동감속조작하는 구성의 것이 있었다.
이 일본국 특개평 4-15365호에 개시되어 있는 구조에서는 기체주행속도를 수동조작레버에 의하여 임의 변속위치로 설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인위적 설정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서 탈곡작업부하 등의 작업부하가 크게 되면 엔진이 정지해 버리는 등의 폐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엔진부하를 검출하여 그 부하가 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동조작 레버의 설정속도에도 불구하고 전동모우터에 의하여 변속장치를 구동조작하여 자동적으로 감속시켜 주행안정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 구조에서는 무단변속장치의 중립위치로의 복원력에 저항하여 조작레버를 임의의 설정 속도위치에서 위치유지시키기 위하여 마찰식 위치유지기구를 사이에 장치하는 구조를 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조작레버에 의한 인위 변속조작에 있어서 이 마찰유지럭에 저항하여 레버조작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에 의해 큰 조작력이 필요하고 조작성이 부족한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수동조작레버의 요동을 적게 하여 조작응답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없이 상기한 불합리점을 해소하여 용이하게 레버 조작을 행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개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농업작업차의 변속 조작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작레버와 상기 변속조작기구를 조작가능하게 걸어맞춤 연계함과 동시에, 수동조작 레버가 전후진 어느 방향으로 조작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이 센서의 검출정보에 의하여 상기 자동조종제어수단의 제어조작에 우선하여 상기 구동기구를 그 수동조작레버의 조작방향측으로 구동제어시키는 수동조종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첫번째의 특징으로 하고, 더욱이 상기 각 센서를 탄성변경이 자유로운 감압(感壓) 스위치로 구성하고 있는 것을 두번째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그 알맞은 실시예로서는 수동조작레버에 의하여 전후진 어느 방향으로 변속조작을 행하면 수동조작레버와 변속조작구와의 상대변위가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고, 변속 조작구가 구동기구에 의하여 수동조작레버 조작측에 구동회전운동하여 변속조작이 행해지는 예가 채택된다. 그리고 원하는 변속위치에 도달하고 레버조작이 정지하면, 센서에 대한 가압작동이 없어지고 상기 수동조종제어가 정지상태로 된다.
그후, 레버조작을 행할 수 없는 상태에서는 자동조정 제어수단이 작동하여 구동기구에 의한 자동적인 변속조작이 실행된다.
상기 센서는 탄성변형이 자유로운 감압스위치로 구성되고, 수동조작레버에 설치된 가압작동부와 감압검출부에 의하여 전후진의 양방을 검출할 수 있는 상태로 배열 구비되며, 수동조작레버가 조작되지 않을 때는 가압작동부와 감압스위치의 감압검출부가 비검출상태에서 탄성적으로 맞닿아서 규제되어 요동이 적은 상태로 설정된다.
게다가 감압식이므로 레버조작에 있어서 스위치의 검출 스트로우크가 극히 작은 것으로 완결되므로, 약간의 조작으로 신속히 추종하여 수동조종제어가 행해질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1도에는 탑재된 엔진(E)의 동력을 탈곡장치(10 및 수확(收取)부(2)에 공급함과 동시에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H.S.T.)(3) 및 트랜스미션 케이스(4)를 사이에 두고 좌우크롤러(crawler, 무한궤도) 주행장치(5,5)에 공급하여 기체를 주행시키면서 수확 탈곡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컴바인의 주행제어계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H.S.T.)(3)는, 수동조작레버(7)에 의하여 전후진 어느 방향의 임의 속도로도 인위적으로 설정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H.S.T.)(3) 대신 벨트식 무단변속장치를 구비하여도 좋다. 더욱이 상기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3)는 엔진(E)에 대한 부하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자동적으로 감속조작할 수 있는 제어계에 연결되어 있다. 즉 제2,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3)의 변속조작구(8)와 수동조작레버(7)를 동일 축심주위로 회전운동이 자유로이 설치함과 동시에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축(9)을 감속기구가 달린 전동모우터(10)[구동기구의 일례]로 회동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11)은 전동모우터(10)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판이다. 또한, 상기 변속조작구(8)와 지지축(9)에 고정된 판부재(90)와의 사이에는 마찰식 유지기구로서의 미끄럼접합저항이 큰 마찰판(12)이 설치되어 있으며, 스프링(13)으로 압접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동조작레버(7)는 이 변속조작구(8)의 보스부(80)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밖에서 삽입되고 가벼운 힘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만, 수동조작레버(7)와 변속조작구(8)와는 각각의 회전 운동중심에서 변위한 위치에 설치된 연결핀(14)을 사이에 두고 연동조작하도록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수동조작레버(7)를 중립위치로부터 전후된 어느방향으로 조작하면 이것에 따라 변속조작구(8)가 연동 회전운동하여 원하는 위치로 변속조작됨과 동시에 마찰판(12)의 작용에 의하여 변속조작구(8)가 지지축(9)에 고정된 판부재(90)에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조작위치에서 레버(7)로부터 손을 떼더라도 그위치는 계속 유지된다.
또 상기 변속조작구(8)는 수동조작레버(7)의 조작위치에도 불구하고, 작업상황에 따라 전동모우터(10)를 자동조작하는 자동조종제어수단(A)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전동모우터(10)가 마이크로 컴퓨터를 구비한 제어장치(15)에 위하여 제어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E)에는 그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센서(S1)가 부설되고, 트랜스미션 케이스(4)에는 내장되는 부변속장치(6)의 출력 회전수에 따라 차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센서(S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검출센서(S1,S2)의 출력이 제어장치(15)에 입력된다. 그리고 통상 수확 및 탈곡의 작업중에 있어서 엔진(E)의 회전수는 액셀이 최대한 밟혀진 상태로 설정되므로, 제어장치(15)에서는 엔진전수가 설정치 이하로 되면 엔진의 부하가 설정치 이상으로 되었다고 판단하여 미리 설정한 차속까지 자동적으로 감속되도록 전동모우터(10)를 구동제어한다. 상기 자동조정제어 수단(A)은 작업부하의 증대에 따라 차속을 감소하게끔 전동모우터(10)를 구동하며, 제어장치(15)안에 제어 프로그램 형식으로 구비되어 있다.
더욱이 주행제어시스템에는 상기 구동조작레버(7)가 전후진 어느 방향으로 조작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제어장치(15)는 이 센서의 검출정보에 따라 상기 자동조종제어수단(A)의 제어조작에 우선하여 전동모우터(10)를 그 수동조작레버(7)의 조작방향측으로 구동제어하는 수동조종제어수단(B)을 제어 프로그램 형식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세히는 제2도는,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핀(14)이 지지축(9)과 평행으로 변속조작구(8)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연결핀(14)은 수동조작레버(7)에 형성된 끼워 통하기 구멍(16)에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밖에서 삽입된다.
더욱이, 이 핀(14)에 센서의 일례로서 감압스위치(SW1,SW2)를 상하로 첨부한 블록체(17)가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밖에서 삽입되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감압스위치(SW1,SW2)의 상하외방측에서는 그 스위치(SW1,SW2)의 각각의 상면, 하면에 거의 접하는 상태에서 가압작동부재(18,18)가 수동조작레버(7)에 부착하고 있다.
이 감압스위치(SW1,SW2)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탄성의 고무(G)에 의하여 피복되어 절연스페이서(19)를 사이에 두고 한쌍의 전극(20,21)을 약간의 간격을 두고 내장하는 것으로서 구성되며, 소정의 압력이 걸리면 극히 작은 변휘[예를들면 0.1mm 이하]에 대해서는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스위치(SW1,SW2)의 출력은 제어장치(15)에 부여되고 스위치(SW1,SW2)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에 제어장치(15)가 그 레버 조작방향측으로 전동모우터(10)를 구동회전운동시켜, 레버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레버조작이 정지하면 스위치(SW1,SW2)에 대한 소정의 압력이 없어지고 고무(G)의 탄성에 의하여 각각의 스위치(SW1,SW2)는 비작동으로 되고 전동모우터(10)가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레버(7)의 조작이 약간의 조작력으로 행해짐과 동시에 수동변속레버(7)와 변속조작구(8)와의 사이에는 고무(G)와 가압작동부재(18)가 실질적으로 맞닿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양자 사이에는 헐거움이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레버(7)의 조작 응답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블록체(17)와 가압작동부재(18)와의 사이에서 맞붙음 오차가 생겨 접촉면이 비스듬하게 된 경우일지라도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록체(17)가 연결핀(14)의 축심위치로 회전운동하여 항상 스위치의 감압 검출부와 가압작동부재(18,18)가 정면으로 대하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조작하중이 안정하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H.S.T.)에는 물론 벨트식 무단변속장치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더욱 특허청구의 범위의 항에 도면과의 대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부호를 기입하지만 그 기호에 의하여 본 발명이 첨부도면의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

  1. 주행용 무단변속장치(3)의 변속조작구(8)와 수동조작레버(7)를 연동조작가능하게 연계시킴과 동시에, 상기 변속조작구(8)를 자동조작하는 구동기구(10)를 설치한 농업작업차의 변속 조작시스템에 있어서, 농업작업차의 작업부하에 따라 상기 구동기구(10)를 자동조작하는 자동조종제어수단(A), 상기 수동조작레버(7)와 상기 변속조작구(8)의 연계조작을 가능하게 하고, 수동조작레버(7)가 전후진 어느 방향으로 조작되었는지를 검출하는 검출부재(SW1,SW2)를 구비하고 있는 연계부재, 및 상기 검출부재(SW1,SW2)의 검출정보에 따라 상기 자동조종제어수단(A)의 제어 조작에 우선하여 상기 구동기구(10)를 상기 수동조작레버(7)의 조작방향측으로 구동제어하는 수동조종제어수단(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작업차의 변속조작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부재는 검출부재(SW1,SW2)의 감압조작부 및 상기 감압조작부에 맞닿는 가압조작부를 그 구성요소로 하고, 상기 감압조작부와 상기 가압조작부는 서로 면접촉하도록, 그리고 또한 상기 수동조작레버(7)를 조작함으로서 이들이 서로 상기 레버의 회전운동축과 평행한 축심주위에서 상대변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작업차의 변속조작 시스템.
KR1019930024141A 1992-11-19 1993-11-13 농업작업차의 변속조작구조 KR970006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09841A JPH06159487A (ja) 1992-11-19 1992-11-19 農作業車の変速操作構造
JP92-309841 1992-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637A KR950014637A (ko) 1995-06-16
KR970006374B1 true KR970006374B1 (ko) 1997-04-25

Family

ID=1799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141A KR970006374B1 (ko) 1992-11-19 1993-11-13 농업작업차의 변속조작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6159487A (ko)
KR (1) KR970006374B1 (ko)
CN (1) CN104016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6777B1 (ko) * 1995-03-13 1998-10-15 미츠이 고헤이 주행용 무단변속 장치의 조작보조장치
CN106763717B (zh) * 2017-02-15 2017-10-27 湖南农业大学 一种电控换挡式变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27922C2 (de) * 1988-03-10 1995-06-14 Porsche Ag Schalt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getriebe
IT1241178B (it) * 1990-02-16 1993-12-29 Fiat Auto Spa Sistema per il controllo di un cambio automatico per un autoveicolo del tipo comprendente un dispositivo variatore continu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168C (zh) 1998-10-14
JPH06159487A (ja) 1994-06-07
KR950014637A (ko) 1995-06-16
CN1090965A (zh) 1994-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4820A (en) Marine drive twin lever remote control with interlock override
KR970006374B1 (ko) 농업작업차의 변속조작구조
EP0346373B1 (en) Control mechanism for operating a vehicle
JPH10205357A (ja) 絞弁制御装置
JP2917628B2 (ja) 自動変速機の操作装置
US4569425A (en) Vehicular engine idle speed and cruise control system
US11327519B2 (en) Control lever with sliding guide
JPH02278078A (ja) 変速装置の変速操作構造
JP2809256B2 (ja) 無段変速装置の操作構造
JPH0625658U (ja) 農作業車の変速操作構造
GB2195748A (en) Omni-directional controllers for hacked vehicles and the like
JPH08210478A (ja) 作業車の変速操作構造
JPH02300560A (ja) 作業車の走行変速装置
US4058029A (en) Transmission-regulating device for motor vehicle
JPH08256519A (ja) 移動農機における操向制御装置
US20230373556A1 (en) Steering input device
JP3380648B2 (ja) コンバインの走行変速装置
JP3380684B2 (ja) 作業車両における無段変速機構の調節装置
JP2945538B2 (ja) 作業車の変速操作構造
GB2048438A (en) A device for mechanically actuating the adjusting member of variable-capacity hydraulic pumps or variable-capacity hydraulic motors
JPH08210479A (ja) 作業車の変速操作構造
JP3069274B2 (ja) 作業車の走行変速構造
JPH0642275Y2 (ja) 作業車輌における作動量検出装置
US4314617A (en) Steering apparatus for a hydraulically driven vehicle
US7199544B2 (en) Device for steering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