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858Y1 -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를 위한 엔진 장착구(insulator) - Google Patents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를 위한 엔진 장착구(insu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858Y1
KR970004858Y1 KR92027787U KR920027787U KR970004858Y1 KR 970004858 Y1 KR970004858 Y1 KR 970004858Y1 KR 92027787 U KR92027787 U KR 92027787U KR 920027787 U KR920027787 U KR 920027787U KR 970004858 Y1 KR970004858 Y1 KR 970004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liquid
chamber
vibr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77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425U (ko
Inventor
이효상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920277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858Y1/ko
Publication of KR9400164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4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858Y1/ko

Links

Landscapes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를 위한 엔진 장착구(INSULATOR)
제 1 도는 자동차용 엔진 장착구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로써 (a)는 압축형 엔진 장착구의 사용 상태도, (b)는 부시형 엔진 장착구의 사용 상태도.
제 2 도는 상세도로써 (a)는 압축형 엔진 장착구의 사시도, (b)는 부시형 엔진 장착구의 사시도.
제 3 도는 종래의 엔진 장착구에 대한 측단면도로써 (a)는 압축형 엔진 장착구의 측단면도, (b)는 부시형 엔진 장착구의 측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착구의 측단면도로서, (a)는 압축형 엔진 장착구의 측단면도, (b)는 부시형 엔진 장착구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마운트 고무 2 : 윗판
3 : 공기구멍 4 : 다이아프램
5 ; 밑판 6 : 주액실측 출입구
7 : 부액실측 출입구 8 : 격리판
9 : 주액실 10 : 부액실
11 : 공기실 12 : 엔진장착구
13 : 날개 14 : 날개부
15 : 엔진 16 : 차체
17 : 충진액
본 고안으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를 위한 엔진 장착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주마운트 고무에 다수개의 날개편이 형성되어서 봉입액체의 급격한 흐름에 따른 충격전달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의 엔진(15) 설치시 엔진(15)과 차체(16)와의 사이에는 첨부도면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축형 또는 부시형의 엔진장착구(12)가 설치되어 엔진(15)의 구동에 따른 진동이 차체(16)에 그대로 전달되는것을 방지하도록 되어져 있는 바, 종래의 엔진 장착구(12)는 첨부도면 제 2 도 내지 제 3 도에 되시된 바와같이 주마운트 고무(1)를 가지는 윗판(2)과, 다이아프램(4)을 가지는동시에 공기구멍(3)이 형성된 밑판(5)의 사이에 주액실측 출입구(6)와 부액실측 출입구(7)를 가지는 격리판(8)이 설치되어서 엔진(15)으로 부터 전해지는 충격이 윗판(2)에 가해져 주마운트 고무(1)가 수축되어지고, 이 수축력으로 주액실(9)의 액체가 주액실측 출입구(6)로 빠져 나아가 부액실(10)로 이동되고 이로 인한 다이아프램(4)의 변형량에 따른 밑판(5)의 공기가 공기구멍(3)을 빠져 나아가므로써 차체(16)로의 진동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 있어서도, 엔진(15)의 진동이 상기 엔진장착구(12)에서 많이 흡수되어져 그 효과가 일부 인정되기는 하나, 차량의 고급화 추세 및 국제시장의 경쟁력을 고려하여 저가이면서 보다 효과적인 진동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차 엔진의 진동 흡수를 위한 장착구가 요구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엔진의 진동으로 인하여 1차적으로 가압 및 변형되게 되는 주마운트 고무에 주액실 방향으로 다수개의 수평날개를 형성하여서 주액실 내에 봉입된 액체의 급격한 흐름(유동)을 방해하도록 하므로써 엔진의 진동에 따른 차체로의 진동전달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진동흡수율이 향상된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를 위한 장착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 4 도 (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표현한 압축형 엔진 장착구의 측단면도로써, 본 고안은 주마운트 고무(1)를 가지는 윗판(2)과, 공기구멍(3) 및 다이아프램(4)을 가지는 밑판(5) 사이에 주액실측 출입구(6)와 부액실측 출입구(7)를 가지는 격리판(8)이 설치되어서 주액실(9)과 부액실(10) 및 공기실(11)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를 위한 엔진 장착구(12)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를 위한 엔진 장착구(12)의 주마운트 고무(1)에 다수개의 날개(13)로 이루어진 날개부(14)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도면 제 4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상세도로써, 엔진(15)의 진동이 차체(16)로 직접 전달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엔진(15)과 차체(16)의 사이에 설치되는 엔진 장착구(12)는 주마운트 고무(1)를 가지는 윗판(2)과 공기구멍(3)과 다이아프램(4)을 가지는 밑판(5)의 사이에 오리피스 주액실측 출입구(6)와 오리피스 부액실 측 출입구(7)를 가지는 격리판(8)이 설치되어서 상기 격리판(8)의 상부로 주액실(9)이 형성되고 하부로 부액실(10)과 공기실(11)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되, 특히 윗판(2)의 주마운트 고무(1)는 주액실(9)측으로 다수개의 날개(13)로 이우러진 날개부(14)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엔진(15)의 구동이나, 차량의 주행에 다른 진동의 발생시 그 진동은 엔진 장착구(12)의 윗판(2)에 전달되어지게 되며, 이러한 진동은 주액실(9)의 충진액(17)을 가압, 완충하면서 격리판(8)의 오리피스 주액실측 출입구(6)를 통하여 부액실(10)로 이동되게 되며, 부액실(10)로 이동된 주액실(9)의 충진액(17)은 다이아프램(4)이 팽창되도록 하면서, 공기실(11)의 공기를 공기구멍(3)으로 배출하므로써 순차적이고 연속적인 완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특히, 주액실(9)이 진동의 반복하중 등으로 압착되어질 때 충진액(17)에 미치는 가압변혀율등이 주마운트 고무(1)의 날개부(14)에 의하여 분산, 흡수되게 되므로써 상당한 진동흡수율이 향상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구성과 작용효과는 첨부도면 제 4 도의 (b)에 도시된 부시형 엔진 장착구의 경우에는 동일한 작용과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엔진의 진동흡수를 위한 엔진 장착구에 있어서, 주마운트 고무에 다수개의 날개로 이루어진 날개부를 형성하므로써, 주액실의 충진액에 대한 진동흡수율이 대폭 향상되고, 나아가 엔진의 구동에 따른 진동의 전달이나 소음 등을 최소화 하므로써 차량의 고급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는 것이다.

Claims (1)

  1. 주마운트 고무(1)를 가지는 윗판(2)과, 공기구멍(3) 및 다이아프램(4)을 가지는 밑판(5) 사이에 주액실측 출입구(6)와 부액실측 출입구(7)를 가지는 격리판(8)이 설치되어서 주액실(9)과 부액실(10) 및 공기실(11)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를 위한 엔진 장착구(12)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를 위한 엔진 장착구(12)의 주마운트 고무(1)에 다수개의 날개(13)로 이루어진 날개부(14)가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를 위한 엔진 장착구.
KR92027787U 1992-12-30 1992-12-30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를 위한 엔진 장착구(insulator) KR970004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7787U KR970004858Y1 (ko) 1992-12-30 1992-12-30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를 위한 엔진 장착구(insu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7787U KR970004858Y1 (ko) 1992-12-30 1992-12-30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를 위한 엔진 장착구(insu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425U KR940016425U (ko) 1994-07-25
KR970004858Y1 true KR970004858Y1 (ko) 1997-05-21

Family

ID=19348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7787U KR970004858Y1 (ko) 1992-12-30 1992-12-30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를 위한 엔진 장착구(insu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8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425U (ko) 199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34631C (en) Hydraulic damping bushing
US4657219A (en) Fluid-filled engine mount device
US4399974A (en) Engine mount
EP0460529B1 (en) Hydraulically damping device
KR970004858Y1 (ko) 자동차 엔진의 진동흡수를 위한 엔진 장착구(insulator)
US4171839A (en) Buffer for a bumper
JP4625994B2 (ja) 高粘性液封入マウント装置
KR100277271B1 (ko) 가변스티프니스장치를갖는하이드로엔진마운트
KR200157601Y1 (ko) 유압 인슐레이터
KR100295838B1 (ko) 차량용 오픈형 쇽 업소버
KR100435595B1 (ko) 유체식 마운팅 조립체
JP2735184B2 (ja) 液入り防振装置
KR200196332Y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캡구조
KR0128349Y1 (ko) 소음유입 방지구조를 갖는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럿
KR200206923Y1 (ko) 자동차용 오일필러캡
KR19980048703U (ko) 엔진마운트
JPH0580950U (ja) 鉄道車両用防振ゴムストッパ
JPH0552396U (ja) 液体封入マウント
KR0140236Y1 (ko) 전자 제어식 유체 봉입형 엔진 마운팅
KR100224400B1 (ko) 자동차용 에어스프링
KR100220779B1 (ko) 내압제어형 액체봉입 마운트
JPS61171930A (ja) 防振装置
KR200148141Y1 (ko) 자동차의 방진마운팅부재구조
KR970046820A (ko) 차량의 엔진 마운트
KR200189164Y1 (ko) 자동차용 오일필러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