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819B1 - 푸셔수단 - Google Patents

푸셔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819B1
KR970004819B1 KR1019930005269A KR930005269A KR970004819B1 KR 970004819 B1 KR970004819 B1 KR 970004819B1 KR 1019930005269 A KR1019930005269 A KR 1019930005269A KR 930005269 A KR930005269 A KR 930005269A KR 970004819 B1 KR970004819 B1 KR 970004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plate
lead frame
fram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131A (ko
Inventor
히사시 우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신가와
아라이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신가와, 아라이 가즈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신가와
Publication of KR93002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5/0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 B65G25/04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 B65G25/08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having impellers, e.g. pushers
    • B65G25/1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having impellers, e.g. pushers with impeller pivotally mounted on a reciprocating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푸셔수단
본 발명은 리드프레임 등의 판 형상부재를 가공장치 쪽으로 송출하는 푸셔수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리드프레임 등의 판 형상부재 운반장치로서, 예컨대 제6도에 도시한 것이 알려져 있다. 복수대의 동일가공장치(1A,1B....)의 전방에는 공통의 메인운반수단(2)이 배치되고, 메인운반수단(2)으로부터 운반되어온 리드프레임(3)의 각 가공장치(1A,1B...)에의 공급은 먼저 메인운반수단(2)으로부터 서브운반수단(4)에서 받아 가이드레일(5) 윗쪽으로 운반한다.
다음에 서브운반수단(4)의 하강하여 리드프레임(3)을 가이드레일(5)상에 얹어놓는다. 그 후, 푸셔수단의 푸셔(6)로 리드프레임(3)을 가공장치용 운반수단(7)상으로 밀어낸다.
가공장치용 운반수단(7)으로 리드프레임(3)은 피치이송되며 가공장치(1A, 1B...)로 가공이 행해진다. 가공이 종료된 리드프레임(3)은 가이드레일(8)상에 송출되고, 그 후 서브운반수단(9)으로 운반되어 메인운반수단(2)으로 복귀되고 메인운반수단(2)으로 다음 공정에 운반 또는 수납매거진에 수납된다.
또한, 이 종류의 운반장치에 관련된 것으로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소 62-235122호 공보, 동 특공평 12-31688호 공보, 동 특개평 3-158317호 공보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운반장치에 있어서는 서브운반 수단(4)으로 리드프레임(3)을 가이드레일(5)상에 운반하고, 그 후 푸셔(6)로 가공장치용 운반수단(7)상에 밀어내므로, 푸셔(6)는 가이드 레일(5)상에 얹혀진 리드프레임(3)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품종변경에 의해 리드프레임(3) 길이가 변경된 경우, 푸셔수단을 전후로 움직여서 푸셔(6)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푸셔(6)는 가이드레일(5)에 얹혀진 리드프레임(3)의 뒷 끝에 위치한 상태에 있으므로 리드프레임(3)의 길이변경에 의해 푸셔(6) 위치를 변경한 경우, 푸셔(6)가 서브운반수단(4)에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푸셔수단 전체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하고, 서브운반수단(4)의 리드프레임가이드부가 가이드레일(5)의 리드프레임가이드면 윗쪽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푸셔수단을 상승시켜 푸셔(6)를 서브운반수단(4) 윗쫏에 위치시키고, 서브운반수단(4)이 하강하여 리드프레임(3)을 가이드레일(5)상에 얹어놓은 후에, 푸셔수단을 하강시켜서 푸셔(6)를 리드프레임(3) 후단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푸셔수단을 상하로 구동시키는 상하 구동수단을 필요로하므로 장치가 원가상승 된다. 또 푸셔 수단을 하강시킨 후에 푸셔(6)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가공장치(1A, 1B...)에의 리드프레임(3)의 공급을 즉시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푸셔를 신속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푸셔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판 형상부재를 송출하는 푸셔와, 이 푸셔를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하고, 또한 푸셔의 가압부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푸셔의 판 형상부재송출 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가지는 푸셔지지판과, 푸셔가 상기 스토퍼부에 접촉하도록 가압하는 가압수단과,상기 푸셔 지지판을 왕복구동시키는 구동원과, 푸셔가 판 형상부재송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의 이동 종료직전에서 상기 가압수단에 저항하여 푸셔를 판 형상부재 송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도약장용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푸셔수단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좌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평면도.
제5도는 푸셔지지판과 푸셔와의 부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6도는 운반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푸셔수단 44 : 실린더
47 : 푸셔지지판 47a : 스토퍼부
48 : 지지축 50 : 푸셔
50b : 가압부 50c : 도약용 돌출부
51 : 복귀용 코일스프링 52 : 도약 작용판
푸셔수단의 아래쪽에 옆쪽으로부터 판 형상부재가 이송되어 올때는, 푸셔는 도약 작용판에 의해 도약되며 푸셔의 가압부는 상승판 상태에 있다. 판 형상부재가 푸셔수단의 아래쪽으로 이송되어 구동원을 작동시켜서 푸셔지지판을 전진시키면, 우선 푸셔는 도약 작용판으로부터 떨어진다. 이것에 의해 푸셔는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하여 스토퍼부에 접촉하고, 푸셔의 가압부가 판 형상부재의 후단측에 위치한다.
그 후는 푸셔지지판의 전진에 의해 푸셔는 판 형상부재의 후단을 밀어서 판형상부재를 송출한다. 판 형상부재를 송출한 후는 푸셔지지판을 후퇴하게 된다. 이 경우, 푸셔가 도약작용판에 접촉하기 까지는 푸셔는 스토퍼부에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여 후퇴한다.
푸셔가 도약작용판에 접촉한 후는 푸셔는 도약작용판에 의해 판 형상부재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푸셔의 가압부는 상승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5도에 의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가공장치에 이송되는 리드프레임(3)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10)과, 이 가이드수단(10)의 가이드방향과 직각방향으로부터이 가이드수단(10)에 리드프레임(3)을 이송하는 서브운반수단(20)과, 상기 가이드수단(10)상의 리드프레임(3)을 가공장치에 이송하는 푸셔수단(40)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수단(10)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프레임(3)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레일(11A,11B)이 서로 대향하고, 또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배열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1A,11B)은 레일지지판(13A,13B)에 고정되고, 레일지지판(13A,
13B)은 베이스판(14)에 고정되어 있다. 또 레일지지판(13A,13B)에는 상기 간격(12)에 대응한 부분에 공간(15)이 형성되고 있다.
서브운반수단(20)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특히 제2도 참조)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공간(15)에는 이 공간(15)을 관통하여 각각 운반수단지지틀체(21)가 배열설치되어 있고, 각 운반수단지지틀체(21)의 바닥판(21a)은 연결판(22)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있다. 연결판(22)은 베이스판(14)에 고정된 실린더(23)의 작동부에 고정되어 있다.
각 운반수단지지틀(21)에는 구동축(24) 및 종동축(25)이 관통하여 배열설치되고, 구동축(24) 및 종동축(25)의 양끝쪽은 바깥쪽의 운반수단지지틀체(21)에 축박이(도시않음)를 통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24) 및 종동축(25)의 각 운반수단지지틀(21) 내에는 타이임풀러(26,29)가 고정되고, 타이밍풀리(26,27)에는 타이밍 벨트(28)가 걸쳐져 있다.
상기 구동축(24)의 한쪽끝은 한쪽의 바깥쪽 운반수단지지틀체(21)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부에 타이밍풀러(29)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한쪽의 바깥쪽 운반수단지지틀체(21)의 바닥판(21a)에는 모터지지판(30)이 고정되어 있고, 모터지지판(30)에는 모터(31)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31)의 출력축에 고정된 타이밍풀러(32)와 상기 타이밍풀러(29)에는 타이밍벨트(33)가 걸쳐져 있다.
각 운반수단지지틀체(21)의 상판(21b)에는, 각각 가이드부재(34)가 고정되어 있으며, 각 가이드부재(34)에는 한쌍의 슬라이드부재(35A,35B)가 미끄럼 움직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각 슬라이드부재(35A,35B)는 각각 대응한 타이밍벨트(28)에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35A,35B)에는 리드프레임(3)을 유지하는 프레임 유지판(36A,36B)이 각각 동일위치로 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푸셔수단(40)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1A,11B)간의 윗쪽에 배열설치되고, 사각형상의 푸셔틀체(41)의 한쪽측면에는 부착판(42)이 고정되어 있다. 부착판(42)은 푸셔고정판(43)에 고정되고, 푸셔고정판(43)은 상기 베이스판(14)에 고정되어 있다.
제3도,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셔틀체(41)에는 실린더(44)가 공정되고, 실린더(44)의 작동로드의 선단부분에는 작동편(45)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푸셔틀체(41)의 다른쪽 측면은, 실린더(44)와 평행한 가이드홈(46)을 형성하도록 상하에 측판(41a,41b)이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혼(46)에는 푸셔지지판(47)이 삽이되고, 푸셔지지판(47)은 한쪽 끝이 작동편(45)에 고정되며, 다른 쪽 끝에는 지지축(48)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축(48)에는 푸셔(50)가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푸셔(50)는 푸셔지지판(47)에 형성된 스토포부(47a)에 의해 화살표시(A) 방향이 회동이 규제되어 있다. 그리고 푸셔(50)가 스토퍼부(47a)에 향상 접촉하도록 지지축(48)에 장착된 복귀용 코일스프링(51)은 한쪽끝이 푸셔(50)에 형성된 구멍(50a)에 걸쳐지고, 다른쪽 끝이 스토포부(47a)에 형성된 구멍(47b)에 걸쳐져 있다.
푸셔(50)는, 이 푸셔(50)의 가압부(50b)와 반대쪽에 도약용 돌출부(50c)가 설치되어 있고, 푸셔틀체(41)의 실린더(44) 부착측과 반대측의 옆판(41c)에는, 도약용 돌출부(50c)에 작용하는 도약작용판(52)이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레임유지판(36A,36B)은 제2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상태(우측)에 있고, 도시하지 않은 메인운반수단(제6도 참조)에 의해 운반되어온 리드프레임(3)이 프레임유지판(36A,36B)의 윗쫏에서 위치결정되어 정지되면, 실린더(23)가 이 실린더(23)의 작동로드가 돌출하도록 작동하여 운반수단지지틀체(21), 즉 프레임유지판(36A,36B)이 상승하고, 메인운반수단(2) 상의 리드프레임(3)은 프레임 유지판(36A,36B)에 지지된다.
다음에 모터(31)가 구동하여 타이밍풀리(32)가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고, 타이밍벨트(33)의 회전은 타이밍풀리(29) 및 타이밍풀리(26,27)를 통하여 타이밍벨트(28)가 화살표방향(c)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유지판(36A,37B)은 36A1,36B1의 위치에서 대기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11A,11B)상에 리드프레임(3)이 없는 상태로된 경우, 모터(31)는 재차 타이밍풀리(32)가 화살표시(B)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고, 프레임 유지판(36A,36B)은 36A2,36B2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1A,11B) 윗쪽에 위치한다. 여기서 푸셔(50)는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1A,11B)사이로부터 상승한 상태에 있다.
다음에 실린더(23)가 상기와 반대방향(실린더 23의 작동로드가 안으로 들어오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프레임 유지판(36A,36B)이 하강한다. 이것에 의해 프레임유지판(36A,36B)상의 리드프레임(3)은 가이드레일(11A,11B)상에 얹혀진다. 그 후, 모터(31)가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구동되고, 프레임 유지판(36A,36B)은 원래의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에 복귀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가이드레일(11A,11B)상에 얹혀진 리드프레임(3)은 도시하지 않은 가공장치로부터 리드프레임(3)의 요구가 있으면 푸셔수단(40)이 작동한다. 먼저 실린더(44)의 작동로드가 안으로 들어가고, 푸셔지지판(47)이 화살표시(D) 방향으로 이동한다.
푸셔지지판(47)이 화살표시(D) 방향으로 이동하면, 푸셔(50)의 도약용 돌출부(50c)는 도약작용판(52)으로부터 떨어지므로, 푸셔(50)는 복귀용 코일스프링(51)의 가압력으로 지지축(48)을 중심으로하여 화살표시(A) 방향으로 회전하고, 푸셔지지판(48)의 스토퍼부(47a)에 닿아 회전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푸셔(50)는 50₁로 나타내는 상태로 되고, 리드프레임(3)이 후단의 뒤쫏에 위치한다. 그후는 푸셔지지판(47)과 함께 추셔(50)가 화살표시(D) 방향으로 이동하고, 50₂로 표시하는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리드프레임(3)은 푸셔(50)의 가압부(50b)에서 가압되어 가공장치쪽으로 이송된다. 그 후, 실린더(44)의 작동로드가 돌출하여 화살표시(D)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먼저 푸셔(50)가 50₂로 표시하는 위치로부터 50₁로 표시하는 상태로 되면, 푸셔(50)의 도약용 돌출부(50c)가 도약작용판(52)에 접촉한다.
이 상태로부터 다시 푸셔지지판(47)이 화살표시(D)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푸셔(50)의 도약용 돌출부(50c)는 도약 작용판(52)으로 가압되어 화살표시(A)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가압부(50b)는 가이드레일(11A,11B) 사이로부터 윗쪽으로 도약된다.
그런데 도시한 바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푸셔(50)가 50₁의 상태시는 푸셔(50)는 프레임 유지판(36A,36B)의 이동궤적의 수직면밖에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본 실시예와 같이 푸셔(50)를 가이드레일(11A,11B) 사이로부터 도약시킴없이, 항상 50₁의 상태로 두어도 아무런 지장은 없다.
그러나 리드프레임(3)의 길이가 변경되고, 가량 프레임 유지판(36A,36B)이 운반되는 리드프레임(3)의 후단이 실시예에 예시하는 3개의 프레임 유지판(36A,36B) 내의 중앙 프레임 유지판(36A,36B)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면, 푸셔수단(40)을 전후로 움직여서 푸셔(50)의 가압부(50b)를 리드프레임(3)의 후단에 위치하도록 한 경우에 있어서의 50₁의 상태시는, 푸셔(50)는 중앙의 프레임 유지판(36A,36B)의 이동궤적에 일치한다.
이 경우, 푸셔(50)가 50₁의 상태 그대로이면, 프레임 유지판(36A,36B)에 의해 리드프레임(3)을 가이드레일(11A,11B)쪽에 운반하면 프레임 유지판(36A,36B)은 푸셔(50)에 닿는다.
이 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푸셔(50)를 50₁의 상태로부터 화살표시(D) 방향과 반대방향에 약간 이동시킬 뿐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푸셔(50)의 도약용 돌출부(50c)가 도약작용판(52)으로 가압되어 푸셔(50)의 가압부(50b)는 도약되어 프레임 유지판(36A,36B)으로부터 윗쪽으로 위치한 상태로 된다.
그래서,이 상태로 프레임 유지판(36A,36B)에 의해 리드프레임(3)을 가이드레일(11A,11B)쪽으로 운반하면, 프레임 유지판(36A,36B)이 푸셔(50)에 닿는 일은 없다.
이와같이, 푸셔(50)를 푸셔지지판(47)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또한 푸셔(50)를 복귀용 코일스프링(51)으로 가압하면, 또 도약작용판(52)을 설치한 대단히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장치의 원가 절감을 도모 할 수 있다.
또 리드프레임(3)이 가이드레일(11A,11B)상에 적재된 후는 즉시 푸셔(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의하면 판 형상부재를 송출하는 푸셔와,이 푸셔를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하며, 또한 푸셔의 가압부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푸셔의 판 형상부재 송출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가지는 푸셔지지판과, 푸셔가 상기 스토퍼부에 접촉되도록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푸셔지지판을 왕복구동시키는 구동원과, 푸셔가 판 형상부재 송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었을 때의 이동종료직전에서 상기 가압수단에 저항하여 푸셔를 판 형상부재 송출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도약작용판을 구비한 구성으로 형성되므로, 장치의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푸셔를 신속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Claims (1)

  1. 판 형상부재를 송출하는 푸셔와, 이 푸셔를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하고, 또한, 푸셔의 가압부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푸셔의 한 형상부재 송출방향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부를 가지는 푸셔지지판과, 푸셔가 상기 스토퍼부에 접촉하도록 가압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푸셔지지판을 왕복구동시키는 구동원과 푸셔가 판 형상부재 송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었을때의 이동종료 직전에서 상기 가압수단에 저항하여 푸셔를 판 형상부재 송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도약작용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셔수단.
KR1019930005269A 1992-05-19 1993-03-31 푸셔수단 KR970004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50103 1992-05-19
JP4150103A JP3041809B2 (ja) 1992-05-19 1992-05-19 プッシャ手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131A KR930024131A (ko) 1993-12-22
KR970004819B1 true KR970004819B1 (ko) 1997-04-04

Family

ID=1548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5269A KR970004819B1 (ko) 1992-05-19 1993-03-31 푸셔수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435681A (ko)
JP (1) JP3041809B2 (ko)
KR (1) KR9700048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8561B1 (en) * 1988-05-16 2001-09-11 Elm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bing, testing, burn-in, repairing and programming of integrated circuits in a closed environment using a single apparatus
JP3225341B2 (ja) * 1995-08-04 2001-11-05 株式会社新川 リードフレームのプッシャ装置
KR100333345B1 (ko) * 2000-02-22 2002-04-18 김영건 반도체패키지용 마킹 장치의 푸셔 어셈블리
US6257044B1 (en) * 2000-02-22 2001-07-10 Dickerson Tool & Engineering, Lp Stock pusher
CN102064121B (zh) * 2010-11-22 2012-08-22 南通富士通微电子股份有限公司 键合机右爪
US10435249B2 (en) * 2017-05-29 2019-10-08 Jtekt Corporation Convey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6764C (ko) *
JPS5616322A (en) * 1979-07-19 1981-0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nalog/digital converter
JP2640341B2 (ja) * 1986-04-01 1997-08-13 株式会社 新川 搬送装置
JPS6431688A (en) * 1987-07-29 1989-02-01 Asahi Chemical Ind Recording method of information with high sensitivity
JP2668735B2 (ja) * 1989-11-13 1997-10-27 株式会社新川 搬送装置
JP2893224B2 (ja) * 1991-08-08 1999-05-17 株式会社新川 リードフレーム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326573A (ja) 1993-12-10
KR930024131A (ko) 1993-12-22
US5435681A (en) 1995-07-25
JP3041809B2 (ja)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067B1 (ko) 컨베이어 폭 조절 기능을 갖는 카툰 반전 이송 공급장치
US5086678A (en) Workpiece conveying method and device for a cutting machine
KR970004819B1 (ko) 푸셔수단
KR0159552B1 (ko) 매거진 운송장치
KR100255464B1 (ko) 매거진 반송장치
GB11184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cans to carriers
CN208811307U (zh) 一种cob基板的全自动激光打标设备
US5839877A (en) Suction holding assembly for lead frames
KR950014682B1 (ko) 리드 프레임 반송장치
CN210391656U (zh) 一种瓶子排列装置
CN114156715A (zh) 一种料带折断机构及其全自动端子插接设备
KR100217287B1 (ko) 리드프레임의 푸셔장치
CN111731591B (zh) 针对方形包装盒的二等分式分配输送装置
CN210175220U (zh) 一种瓷砖包装上泡沫机构
JPH0539124A (ja) 回路基板収納装置
US2746662A (en) Automatic carton-case loading machine
EP0796552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moving, in particular replacing, substrate boards in a component mounting machine
CN116767747B (zh) 一种改进型皮带输送装置
CN220222600U (zh) 一种用于自动上料设备的输出机构
CN218490023U (zh) 一种存储理料设备
KR19980063429A (ko) 리드프레임의 분리이송장치
JP3616715B2 (ja) 基板移載装置
KR19980053926U (ko) 팰릿타이저 캐리어의 제품 낙하방지용 스토퍼
JP3254454B2 (ja) 打栓方法及び装置
KR0155451B1 (ko) 전자부품삽입기의 프린트기판 받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