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456Y1 -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엔진시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엔진시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456Y1
KR970004456Y1 KR2019940021789U KR19940021789U KR970004456Y1 KR 970004456 Y1 KR970004456 Y1 KR 970004456Y1 KR 2019940021789 U KR2019940021789 U KR 2019940021789U KR 19940021789 U KR19940021789 U KR 19940021789U KR 970004456 Y1 KR970004456 Y1 KR 9700044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gnal
parking brake
control unit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481U (ko
Inventor
박화용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1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456Y1/ko
Publication of KR9600084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4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4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4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02N11/101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 F02N11/103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according to the vehicle transmission or clutch st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08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N2200/0801Vehic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08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N2200/0803Parking brake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엔진시동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엔진시동제어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속도감지펄스발생수단 30 : 주차브레이크 조작감지수단
40 : 노어케이트 50 : J/K플립플롭
60 : 시동단속부 61 : 스위칭소자
70 : 엔진제어부 80 : 이그니션모듈
본 고안은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엔진시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차시의 차량이 주행하려는 상태에서 주차브레이크가 온되어 있게 되면 엔진의 시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엔진시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에서는 장시간 주차 또는 소정 시간의 정차를 위해 그 차량의 추진축에 장착된 브레이크드럼을 제동시키거나 뒷차륜을 제동시키도록 조작되는 주차브레이크(Parking Brake)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바, 이러한 주차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는 운전석의 부근에 설치된 주차브레이크 레버가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게 되면 와이어 또는 링키지의 작동에 의해 제동동작이 기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주차브레이크장치에 따르면 정차된 차량이 그 주차브레이크가 작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대로 구행하게 되면 브레이크드럼의 마모 또는 손상이 촉진될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주행동작이 어렵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이 정차상태에서 주행하려고 하는 경우에 주차브레이크가 온되어 있게 되면 엔진의 시동을 정지시켜 그 차량이 주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엔진시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엔진의 동작상태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엔진제어부와, 상기 엔진제어부로 부터의 점화신호를 인가받아 차량의 주행을 위한 시동동작을 수행하는 이그니션모듈을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펄스발생수단으로 부터의 속도감지펄스신호와 주차브레이크의 조작상태를 감지하는 주차브레이크조작감지수단으로 부터의 레벨신호를 입력받아 논리합처리 및 반전처리하는 노어게이트와, 그 제1입력단자를 통해 배터리전원을 입력받고 그 제2입력단자를 통해 상기 노어게이트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서 그 클록펄스단자를 통해 상기 속도감지펄스발생수단으로 부터의 속도감지펄스신호를 입력받게 되면 그 반전출력단자를 통해 반전된 레벨의 프레임신호를 발생하는 J/K 플립플롭 및 상기 J/K플립플롭으로 부터의 프레임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엔진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점화신호를 접지측으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시동단속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상태를 따른 엔진시동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정차 상태의 차량이 주행하려는 경우에 그 차량의 주차브레이크가 작동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엔진의 시동을 정지시켜서 차량이 주행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엔진시동제어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고안의 장치에서 참조부호 40은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펄스발생수단(20)으로 부터의 속도감지펄스신호와 주차브레이크의 조작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주차브레이크조작감지수단(30)으로 부터의 레벨신호를 입력받아 논리합처리하기 위한 노어게이트이다.
여기서, 상기 속도감지펄스발생수단(20)은 차량이 정지되는 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로우레벨의 속도감지펄스신호가 발생되고 차량의 주행상태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하이레벨의 속도감지펄스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주차브레이크감지수단(30)은 주차브레이크의 조작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로우레벨의 출력신호가 발생되고 주차브레이크의 미조작상태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하이레벨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참조부호 50은 그 제1입력단자(J)를 통해 배터리전원(B+)을 인가받고 그 제2입력단자(K)를 통해 상기 노어게이트(40)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한편, 그 클록펄스단자(CP)로 부터 상기 속도감지펄스발생수단(20)으로 부터 속도감지펄스신호를 인가받은 결과로 그 반전출력단자(/Q: /Q는 반전단자표시)를 통해 소정 레벨의 반전된 프레임신호를 출력하는 J/K플립플롭이고, 60은 상기 J/K플립플롭(50)으로 부터의 프레임 신호를 입력받아서 엔진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엔진제어부(7)로 부터 발생되어 차량의 주행을 위한 시동동작을 수행하는 이니션모듈(8)에 인가되는 점화신호를 단속하기 위한 시동단속부로서, 상기 반전단자(/Q)로 부터의 프레임신호를 그 베이스측에 입력받아 스위칭동작되고서 상기 엔진제어부(70)에서 발생되는 점화신호를 그 콜렉터측에 인가받아 그 에미트측을 통해 접지측으로 바이패스시키지 위한 예컨대 NPN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스위칭소자로 이루어진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제1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정차상태의 차량이 주행하기 위해 엔진제어부(70)로 부터 점화신호가 발생되어 이그니션모듈(80)에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주차브레이크조작감지수단(30)에서 주차브레이크의 조작상태가 감지되는 경우에, 노어게이트(40)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속도감지펄스발생수단(20)으로 부터의 로우레벨의 속도감지펄스신호와 상기 주차브레이크조작감지수부(30)로 부터의 로우레벨신호를 입력받아 논리합처리 및 반전처리하고서 하이레벨신호를 출력하고, J/K플립플롭(50)은 그 제1입력단자(J)를 통해 배터리전원(B+)을 입력받고 그 제2입력단자(K)를 통해 상기 노어게이트(40)로 부터의 하이레벨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한편, 상기 차량이 소정의 주행속도로 주행을 개시하는 경우에, 상기 속도감지펄스발생수단(20)은 주행속도의 감지에 의해 하이레벨의 속도감지펄스신호를 발생하는 한편, 상기 J/K플립플롭(50)은 그 클록펄스단자(CP)를 통해 상기 속도감지펄스발생수단(20)으로부터의 하이레벨의 속도감지펄스신호를 입력받아 그 반전출력단자(/Q)를 통해 하이레벨의 프레임신호를 출력하게 됨에 따라, 시동단속부(60)의 스위칭소자(61)는 그 베이스측에 상기 하이레벨의 프레임신호를 입력받아 온동작되어, 상기 엔진제어부(70)로 부터의 점화신호가 상기 스위칭소자(61)의 콜렉터측으로 인가되어 접지측으로 바이패스되는 한편, 상기 이그니션모듈(80)은 상기 전화신호를 인가받지 못하게 되어 시동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정차시의 차량이 주행하려고 하는 경우에 그 차량의 주차브레이크가 온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면 엔진제어부에서 이그니션모듈로 인가되는 점화신호를 접지측으로 바이패스시켜서 엔진의 시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차량이 주행하지 못하도록 동작함에 따라, 브레이크드럼의 마모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엔진의 동작상태를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엔진제어부(70)와, 상기 엔진제어부(70)로 부터의 점화신호로 인가받아 차량의 주행을 위한 시동동작을 수행하는 이그니션모듈(80)을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펄스발생수단(20)으로 부터의 속도감지펄스신호와 주차브레이크의 조작상태를 감지하는 주차브레이크조작감지수단(30)으로 부터의 레벨신호를 입력받아 논리합처리 및 반전처리하는 노어게이트(40)와 그 제1입력단자(J)를 통해 배터리전원(B+)을 입력받고 그 제2입력단자(K)를 통해 상기 노어게이트(40)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고서 그 클록펄스수단자(CP)를 통해 상기 속도감지펄스발생수단(20)으로 부터의 속도감지펄스신호를 입력받게 되면 그 반전출력단자(/Q)를 통해 반전된 레벨의 프레임신호를 발생하는 J/K플립플롭(50) 및, 상기 J/K플립플롭(50)으로 부터의 프레임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엔진제어부(70)에서 발생되는 점화신호를 접지측으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시동단속부(6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엔진시동제어장치.
KR2019940021789U 1994-08-27 1994-08-27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엔진시동제어장치 KR9700044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789U KR970004456Y1 (ko) 1994-08-27 1994-08-27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엔진시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789U KR970004456Y1 (ko) 1994-08-27 1994-08-27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엔진시동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481U KR960008481U (ko) 1996-03-15
KR970004456Y1 true KR970004456Y1 (ko) 1997-05-09

Family

ID=1939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789U KR970004456Y1 (ko) 1994-08-27 1994-08-27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엔진시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45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481U (ko) 199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5312B2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3844596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US5067577A (en) Motor-driven type front and 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KR970004456Y1 (ko)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조작상태에 따른 엔진시동제어장치
US5498941A (en) Speed control device used for electric automobiles and method therefor
JP2614720B2 (ja) 補助動力装置
JP3418700B2 (ja) 電動車の走行制御装置
KR100286526B1 (ko) 자동차의 엔진 시동 제어방법
KR960007420B1 (ko) 산업차량에 있어서 유압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제어장치
KR0154027B1 (ko)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7212904A (ja) 電気自動車用電源スイッチ
KR100187471B1 (ko) 주차 브레이크 경보장치
KR960018219A (ko) 엔진 재시동장치
JP3173883B2 (ja) 空転防止機能を備えたディーゼル車両
KR200204154Y1 (ko) 자동차용 경보기
KR0166318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잠금장치
JPH07257296A (ja) 車両用電源装置
KR950015902A (ko) 자동차용 충전발전기 제어장치
JPH03226206A (ja) 電動車輌のモータ制御装置
KR19980044315U (ko) 차량의 급제동시 제동거리 제어장치
JPH06335116A (ja) 電動車の速度制御装置
KR970074473A (ko) 자동차의 저속회전시 능동 비선형 조향 콘트롤러
KR19980039452U (ko) 차량의 비상등경고장치
JPS59184044A (ja) 車両用ワイパ装置
KR970074360A (ko) 운전자의 핸들조작 불능시 안전 운행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