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304B1 - 스프링 풀림장치(disconnect)를 갖는 조이스틱 - Google Patents

스프링 풀림장치(disconnect)를 갖는 조이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304B1
KR970004304B1 KR1019890005310A KR890005310A KR970004304B1 KR 970004304 B1 KR970004304 B1 KR 970004304B1 KR 1019890005310 A KR1019890005310 A KR 1019890005310A KR 890005310 A KR890005310 A KR 890005310A KR 970004304 B1 KR970004304 B1 KR 970004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forementioned
pair
spring
boss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374A (ko
Inventor
루데어 헤이스 찰리스
Original Assignee
루데어 헤이스 찰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데어 헤이스 찰리스 filed Critical 루데어 헤이스 찰리스
Publication of KR900002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9/04785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the operating part of a switch arrangement
    • G05G9/04788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the operating part of a switch arrangement comprising additional control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03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 G05G2009/04714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with orthogonal axes
    • G05G2009/04718Mounting of controlling member with orthogonal axes with cardan or gimbal type joi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characterised by means converting mechanical movement into electric signals
    • G05G2009/04748Position sensor for rotary movement, e.g. potentiomet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7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with additional switches or sensors on the ha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201Control moves in two pl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스프링 풀림장치(disconnect)를 갖는 조이스틱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하는 조이스틱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작동을 보여주는 제1도의 선 2-2를 따라 자른 평면도.
제3a도는 제2도의 선 3-3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3b도는 제2도의 선 3-3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4a도는 제2도의 선 4-4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4b도는 제2도의 선 4-4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선 5-5을 따라 자른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을 위한 가위 구조의 단면도.
제7a도는 전위차계장치의 단면도.
제7b도는 선택위치에서의 전위차계장치의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모든 요소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조이스틱12 : 하우징
13 : 핸들15 : 기관총 단추
16,18 : 가이드17 : 스틱축
19 : 회전 부분20,23 : 구멍
21 : 바렐회전자25,27 : 조절휠
31 : 버턴33 : 베일
35 : 요홈배열36 : 지지판
41,43 : 힌지45 : 회전 저어널
47 : 너어널49 : 포오크 장치
51 : 저어널 베어링53,76,87,89 : 축
55 : 스프링리턴장치57 : 스프링 홈-리턴 장치
58,60 : 다리59,61 : 전위차계
62,63 : 아암63 : 융기부
65,67 : 보스70,71 : 풀림 장치
73,83,84,85 : 구멍74 : 스프링
75 : 지지판77 : 요홈
80,90,92 : 슬롯트81 : 압축스프링
93,95,105 : 탭94 : 전위차계지지링
99,101 : 베어링 보스
본 발명은 조이스틱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축을 따라 움직이는 바렐회전이 이용되는 신규하고 개량된 조이스틱에 관한 것이다.
바렐회전이 이용되는 조이스틱장치분야에서는, 장치의 조심을 위해 스프링 귀환을 사용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다-방향 위치제어를 필요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 장치로 사용하기에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 타입장치를 조심하기 위한 스프링 귀환은 컴퓨터 게임등에 많이 이용된다.
바렐회전을 가지는 본 발명의 조이스틱장치는 다중축운동(multiple axis movement)과 다중축 아날로그 신호제어(multiple axis analog signal control)를 위해 사용된다. 제어레바는 선택적으로 두축상에 스프링 중심이 두어지거나, 한축에 스프링 중심이 두어지고 나머지에 마찰력에 의해 중심이 두어지거나 혹은 둘다에 마찰력에 의해 중심을 두게 된다. 각 축을 위한 스위치 장치는 선택적으로 축운동을 위한 스프링조심장치를 정합하거나 이탈한다. 전체 조이스틱 장치는 스프링을 제외하고는 플라스틱 부품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존재하는 일반적인 목적과 많은 장점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하기에 상세 설명에서 쉽게 알게 될 것이다. 이들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것이며 전도면에 걸쳐 같은 부품은 같은 부호를 붙여 표시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이스틱(11)이 제1도에서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조이스틱은 바렐회전자(21)내의 구멍(20)내에 맞추어지는 팽창된 회전부분(19)을 가진 스틱축(17)에 부착되는 핸들(13)을 포함한다. 바렐회전자(21)는 조이스틱의 하우징(12)의 구멍(23)내에 위치된다.
이 하우징은 전기 출력전위차계를 영으로 하기 위해 한쌍의 조절휠(25)와 (27)를 포함한다. 하우징(12)은 조이스틱(11)내에 포함된 스프링리턴장치를 이후 설명될 방식으로 맞물고 푸는 한쌍의 손가락으로 작동될 수 있는 스위치 장치(29와 31)를 지지한다. 또한 조이스틱은 핸들(13)에 위치된 기관총 단추(15)를 가진다. 하우징(11)은 필요에 따라 다른 조종단추들도 포함될 것이다.
제1도의 조이스틱의 바닥에서 보고 바닥부품(14)이 제거된 제2도를 참조하면, 하우징(11)이 조이스틱의 모든 작동을 지지하는 베일(33)을 포함함을 볼 수 있다. 조이스틱의 하우징(11)은 선호적으로 베일(33)을 포함하여 한조각으로 사출성형된다. 베일은 회전저어널(45)에 의해 바렐회전장치(21)를 지지한다.
바렐회전장치(21)의 다른 축은 베일(33)에 의해 텅(tungue)과 요홈배열(35)에 의해 고정된 지지판(36)을 통하여 연장하는 전위차계(59)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지지된다. 축은 지지판(36)을 통하여 저어널(47)로 연장하고 여기에 강제 끼워맞춤에 의해 고착된다. 이렇게 정착되면, 바렐회전장치(21)는 저어널(45)에서 전후로 회전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위차계(59)의 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포오크 장치(49)는 메일(33)에 의해 지지된다. 포오크 장치(49)는 바렐회전장치(21)의 회전축에 직각인 베일(33)에 저어널베어링(51)에 의해 장착된다. 따라서, 포오크 장치(49)의 회전축은 바렐회전 장치(21)의 회전축에 수직하다. 포오크 장치(49)의 다른 단부는 전위차계(61)의 회전축에 의해 지지된다. 전위차계(61)는 베일(33)의 텅과 요홈배열(37)내에 맞추어지는 지지판(75)에 의해 지지된다.
스틱축(17)은 한쌍의 힌지(41)과 (43)에 의해 바렐회전 장치(21)에 관해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이들 힌지(41과 43)는 스틱축(17)이 바렐회전장치(21)에 관해 직각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렇게 회전함에 의해, 포오크 장치(49)를 접촉하는 스틱축(17)의 연장된 단부(24)가 포오크장치(49)를 회전시켜 전위차계(61)의 축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바렐회전장치(21)의 저어널(47)주위에 스프링 리턴장치(55)가 장착된다. 이 스프링 리턴 장치는 바렐회전장치(21)가 스틱축(17)이 운전자에 의해 풀어지고 난 후 중앙축은 원위치에 귀환하도록 한다. 스위치(29)에 의해 손가락으로 작동되는 스프링 리턴풀림장치(70)은 스프링 리턴장치(55)와 결합작동한다(제1도). 스프링 리턴장치(55)와 풀림장치(70)는 바렐회전장치가 홈-모우드 혹은 마찰모우드 작동으로 스프링 리턴하도록 한다. 마찰모우드 작동은 바렐회전장치(21)가 운전자에 의해 위치된 장소에서 기다리도록 하는 것이다.
유사한 스프링 홈-리턴 장치(57)와 풀림 장치(71)가 포오크(49)의 회전축을 따라 바렐회전 수단(21)의 직각으로 위치된다. 스프링리턴장치(57)는 포오크(49)와 결합하여 스틱축(17)과 그의 확대부분(19)이 홈모우드로 귀환하는 상태로 혹은 조작자에 의해 위치된 곳에 스틱축(17)이 유지되는 마찰모우드에서 작동되어지도록 한다.
지금부터 제3a도와 제3b도를 참조하면, 스프링리턴 장치(57)와 스프링 풀림장치(71)를 위해 선호된 구조가 도시되었다. 같은 방식으로 포오크 장치(49)와 바렐회전장치(21)을 위한 스프링풀림장치와 스프링 귀환장치가 작동한다. 따라서, 하나의 배열판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 것이다. 제3a도와 제3b도는 포오크 장치(49)에 부착된 스프링 풀림장치(71)와 스프링리턴장치(57)를 설명한다. 스프링리턴장치(57)는 선호적으로 전위차계(61)의 축(5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치된 가위구조이다. 스프링리턴장치(57)는 각기 한쌍의 상부 아암(64)와 (62)에 연결된 한쌍의 하부다리(58)과 (60)을 가진다. 하부다리(58과 60)는 팽창스프링(59)에 의해 한데 고정된다. 스프링(59)은 이에 의해, 가위스프링리턴장치(57)의 상부아암(62,64)이 닫히게 하고 이에 의해 포오크(49)의 선호적으로 연장부에 고정부착되는 보스(67)를 누른다.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전위차계(61)의 축(53)은 포오크(49)에 관해 억지맞춤으로 고정되어 들어간다.
제3b도를 참조하여, 포오크(49)의 우측으로의 움직임이 설명된다. 제3b도 역시 부동 위치의 스프링풀림장치(71)를 설명한다. 따라서, 풀림장치(71)의 부품인 보스(65)는 가위 스프링리턴장치(57)의 다리(58과 60)사이에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포오크(49)의 우측움직임은 보스(67)가 가위장치의 아암(62)을 우측으로 밀게 된다. 보스(65)가 다리(58)의 움직임을 막기 때문에, 다리(60)만 스프링(59)의 스프링장력을 받으면서 움직인다. 결과적으로, 포오크(49)에 연결된 스틱축이 풀리때는 스프링(59)의 작용에 의해 제3a도에 도시된 홈위치로 귀환될 것이다. 오른쪽에 반대방향의 포오크(49)의 움직임은 포오크(49)의 보스(67)가 아암(64)을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한다. 이에의해 풀립장치(71)의 보스(65)는 다리(60)를 잡아 다리(58)만이 스프링장력(59)을 받으면서 움직이게 허용한다. 이 방식으로 우측 혹은 좌측으로의 회전은 스프링(59)의 장력을 받는다. 스틱축의 해방은 스프링(59)의 장력이 포오크(49)를 보상적으로 귀환시키고 스틱축(17)이 그의 홈위치로 귀환하게 할 수 있다.
스프링귀환장치를 풀고 포오크의 움직임에 대한 그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버턴(31)이 움직여야 한다.
제4a도와 제4b도를 참조하면 스프링푸는장치가 명확히 설명되어 있다. 텅과 그루브 배역(37)의 수단에 의해 베일(33)내에 잡혀 있는 지지판(75)은 스프링풀림장치(71)를 지지한다. 손가락으로 작동할 수 있는 버턴(31)과 압축스프링장치(61)가 스프링풀림장치(71)의 부품과 일체로 되어 있다. 비작동상태에서, 스프링풀림장치(71)는 지지판(75)의 부분인 한쌍의 가이드(16,18)사이에 위치된다. 부가하여, 저어널(79)은 측부대향보스(65)로부터 지지판(75)내의 요홈(77)속으로 연장하여 풀림장치(71)가 조이스틱(11)을 위한 하우징의 베이스(69)에 관해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한다. 스프링풀림장치(71)내의 구멍(73)은 지지판(75)을 통하여 연장하는 전위계(61)의 회전축을 싸고 있다. 제4a도에서 표시된 위치내의 보스(65)는 제3a도와 제3b도에 도시된 가위스프링리턴장치(57)의 다리(58과 60)를 맞물도록 하는 위치에 있다.
제4도를 지금부터 설명하면, 이는 가위장치가 풀릴 때 스프링리턴풀림장치(71)의 위치를 설명하는 것으로,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버턴(31)이 좌측으로 눌려지거나 움직여지게 된다. 이는 스프링(61)을 눌러 풀림장치(71)에 부착된 보스(65)가 베이스(69)에 관해 아래로 움직이도록 한다.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스위치(31)를 좌측으로 움직임에 의해 융기부(63)는 하우징(12)(제1도)의 상부에 위치된 슬롯트(도시하지 않았음)의 변부아래에 잡히고 이에 의해 스프링(61)이 압축된 상태로 잡혀 보스(65)를 그의 아래방향으로 유지시킨다.
보스(65)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아랫방향으로 위치되었을 때, 한쌍의 구멍(83,85)과 각기 정렬되고 가위스프링리턴장치의 다리(58,60)로 잘려진다. 이 위치(65a)의 보스(65)로는 포오크의 움직임이 부착된 보스(67)를 움직임이 우측이냐 좌측이냐에 따라 아암(62) 혹은 (64)을 움직인다. 압축스프링(59)은 보스(67)에 대한 압축상태로 아암(62와 64)을 유지한다. 보스(65a)가 도시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하부다리(58) 혹은 (60)에 고정되지 않아 전체 가위장치가 회전하게 된다. 포오크 장치는 위치된 장소에 정지한다. 이는 마찰모우드가 된다.
제6도에 표시된 위치(65b)에 보스(65)가 위치되면, 스프링풀림장치(71)가 제4a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으므로, 보스(65b)가 스프링가위장치의 아래다리(58,60) 둘다에 접촉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만일, 포오크장치가 우측 혹은 좌측으로 움직여 보스(67)가 아암(62)을 좌로 혹은 아암(64)을 우측의 어느쪽으로 움직이도록 한다면, 대향하부다리(58) 혹은 (60)가 보스(65B)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다. 이는 스프링귀환이 홈-모우드로 가게 한다.
제4도에 도시된 것같은 스프링(61)을 사용하지 않고, 제5도에 도시쇤 압축스프링(81)이 선호된 실시예로써 이용되어도 좋다.
제7도는 전위차계의 눈금제로화장치를 설명한다. 조절휠(27)은 지지판(75)내에 축받이된 축(87)에서 회동한다. 축(89)은 조정휠(27)에 고착되고 이로부터 연장한다. 이축은 전위계 지지판(66)의 구멍(29)내에 맞추어진다. 이위의 전위계(61)가 지지판(66)의 구멍속으로 삽입하는 탭(93,95)에 의해 장착된다.
제7b도를 참조하면, 조절휠(27)이 좌측방향(97)으로 움직여, 이들 축(87)에서 회동하게 한다. 축(87)은 조절휠(27)의 구멍속에 축받이되고 지지판(75)에 고착된다. 방향(97)으로의 이러한 회동운동은 전위차계(61)의 전체몸체가 피봇축(89)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회동하게 만든다.
고정된 전위차계(61)의 축으로, 아날로그 혹은 전기적홈 혹은 영위치가 바라는 데로 조절된다.
제8도를 참조하면, 여기서는 하우징을 제외한 다른 부속이 조이스틱 장치와 관련된 모든 부품이 분해되어 도시되어 있다. 스틱축(17)은 바렐회전장치(21)의 회전축에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스틱축(17)은 그의 연장팁(24)에 의해 슬롯트(22)에서 포오크(49)를 정합한다. 바렐회전장치(21)를 움직임이 없이 스틱축(170)을 움직임은 포오크(49)가 베어링 보스(101)과 (99)내에 대칭으로 위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베어링보스(47과 45)내에 대칭으로 위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바렐회전장치(21)를 회전시키면, 스틱축(17)의 연장부(24)가 이를 회전시킴이 없이 단순히 포오크(49)의 슬롯트(22)내에서 움직이도록 할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렐회전장치(21)가 하나의 직각축을 따라 회전시키고, 바렐장치(21)내의 스틱축(17) 회전은 포오크장치(49)를 통하여 또다른 직각축을 따라 회전하게 한다. 물론, 바렐회전장치(21)와 포오크장치(49)는 조작자에 의한 스틱축(17)의 각운동의 결과로 동시에 회전하게 됨을 이해해야 된다. 바렐회전장치(21)는 가위스프링리턴장치의 두 아암(55)와 (56) 사이와 속으로 연장하는 그의 보스(22)의 단부에 고착된다. 스프링리턴장치의 아암(55)와 (56)이 베어링 표면(47)에서 회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22)는 바렐회전장치(21)가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리턴장치의 아암(55)와 (56)을 움직일 것이다. 그에 부착된 손가락 작동가능한 버턴(29)과 그의 반대부분에 스프링(74)을 가지는 스프링풀림장치(70)는 풀림구조(70)로부터 지지판(36)의 슬롯트(80)속으로 연장하는 축(76)에 의해 지지판(36)에 장착된다. 풀림장치(70)는 손으로 작동가능한 버턴(29)상에 위치된 압력의 결과로 스프링(74)의 압력을 받으며 슬롯트(80)를 오르내린다.
지지판(36)의 반대축에, 또다른 저어널축(82)이 연장하고 조절휠(25)의 구멍(84)속으로 축받이된다. 조절휠(25)은 그의 반대축으로부터 연장하여 전위차계지지링(94)의 슬롯트(88)내에 맞추어지는 저어널축(86)을 가진다. 지지링(94)은 전위차계가 지지링(94)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전위차계(59)의 탭을 수용하기 위한 한쌍의 슬롯트(92와 90)를 가지고 있다. 전위차계(59)의 축(98)은 여러 부품의 구멍을 통하여 바렐회전장치(21)의 베어링 보스(47)와 억지끼워맞춤되게 연장한다.
포오크(49)의 축을 따라 이용된 구조를 참조하면, 포오크(49)가 그의 베어링 보스(99와 101)주위를 회전함을 알 수 있다. 베어링보스(101)는 보스(67)가 가위장치의 상부아암(62와 64)사이에 맞추어지도록 가위장치의 두 아암을 수용한다. 스프링(59)은 가위장치의 다리(60과 58)의 후크-형정합수단에 부착하여 이들이 한데 당겨지고 아암(62, 64)을 포오크(49)의 보스에다 밀어주게 한다. 한쌍의 구멍(83)은 스프링리턴장치의 다리(58과 60)에 위치된다.
손가락으로 작동되는 버턴(31), 일체의 부품 및 그의 반대단부에서의 스프링장치를 가진 스프링풀림장치(71)는 지지판(75)내에 슬롯트(77)에 미끄럼정합하는 연장축(79)에 의해 지지판(75)에 미끄럼장착된다. 축(79)은 풀림장치(71)에 고정부착된다. 풀림망치(71)의 반대측에는, 보스(65)가 그로부터 연장하고 스프링가위장치의 다리(58)과 (60)내에 맞추어진다.
스프링풀림장치(71)는 슬롯트(77)내에서 아래위로 움직여 보스(65)가 같이 움직이도록 한다. 상부위치에서 보스(65)는 가위장치의 한다리 혹은 다른 다리를 고정적으로 유지한다. 하부위치에서는, 보스(65)가 단순히 가위장치의 다리(58,60)내의 구멍(83)내에서 미끄럼운동하게 하여 전체구조가 포오크(49)와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지지판(75)은 그로부터 연장하고, 조절휠(27)의 구멍(83)속으로 축받이되어 휠(27)이 저어널축(87)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된 베어링축(87)을 가진다. 조절휠(27)에 장착된 저어널축(89)은 전위차계 지지링(66)의 슬롯트(91)내에 맞추어진다. 전위차계지지링(66)은 전위차계(61)의 텝(105)을 수용하는 한쌍의 슬롯트를 가져 전위차계(61)가 링(66)을 지지하도록 고정부착된다. 전위차계(61)의 축(53)이 기술된 여려 부품의 구멍을 통하여 연장하고 포오크(49)의 베어링 보스(101)내의 구멍속으로 억지맞춤된다.

Claims (18)

  1. 하우징과, 전술한 하우징내의 제1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지지된 바렐-형 회전수단(barrel-shaped rotating means)과, 전술한 바렐회전수단내의 구멍을 통하여 돌출하고 정합하며 제2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그에 힌지연결되어 있는 스틱축(stick shaft)과, 전술한 바렐회전수단에 연결되어 이에 의해 작동하도록된 1전위차계(potentiometer)와, 전술한 하우징내의 제2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지지한 포오크부재를 포함하며, 전술한 스틱축이 전술한 포오크 부재를 정합하고 회전하는 그의 하나의 단부를 가지며, 전술한 포오크부재에 연결되어 이에 의해 작동되는 제2전위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조이스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술한 바렐회전수단은 중립중앙위치로 탄지하여 전술한 스틱축이 풀렸을 때는 언제나, 바렐이 그의 중심위치로 가도록 만드는 제1장치와, 전술한 포오크부재를 중립중앙위치로 탄지하여 전술한 스틱축이 풀렸을 때는 언제나 포오크부재가 그의 중심위치로 회전하도록 만드는 제2장치를 더 포함하는 개량된 조이스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1탄지장치를 풀어, 전술한 바렐회전수단이 전술한 스틱축에 의해 위치된 위치에 유지되게 하는 제1풀림수단과, 전술한 제2탄지장치를 풀어, 전술한 포오크부재가 전술한 스틱축에 의해 위치된 위치에 유지되게 하는 제2풀림수단을 더 포함하는 개량된 조이스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전술한 바렐회전수단이 전술한 제1전위차계의 축을 정합하여 회전시키는 개량된 조이스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전술한 포오크부재가 전술한 제2전위차계의 축을 정합하여 회전시키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전술한 바렐회전수단을 중앙위치로 탄지하기 위한 전술한 제1탄지수단이, 전술한 바렐회전수단과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된 가위장치수단과, 전술한 가위장치의 한쌍의 아암의 제1단부에 연결되어 제1단부와 그 반대의 제2단부쌍의 아암을 한데 누르는 팽창스프링을 포함하고, 전술한 바렐회전수단에 고정부착되고 전술한 가위장치의 제2단부에서 한쌍의 아암사이를 연장하는 보스를 포함하여, 그의 축을 따라 전후로 움직이는 전술한 바렐회전 수단의 움직임이 전술한 바렐회전수단과 같은 방향으로 전술한 보스와 전술한 가위장치를 움직이게 하는 개량된 조이스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전술한 가위장치의 한쌍의 아암중 각 하나가 스프링단부에서 그에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는 개량된 조이스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1탄지장치를 풀기 위한 전술한 제1풀림수단이 전술한 가위장치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제1의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부재와, 전술한 제1의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부재를 제1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 수단과, 전술한 제1의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부재가 제1방향으로 탄지되었을 때 그의 스프링단부에서 전술한 가위장치의 한쌍의 아암을 정합하고, 전술한 제1의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부재가 제2방향으로 움직였을 때, 그에 형성된 오목부를 정합하도록 전술한 제1의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부재에 고정부착된 보스를 포함하여, 전술한 가위장치가 제1방향으로 탄지될 때는 전술한 보스에 고정되고 전술한 보스가 제2방향으로 위치될 때는 드럼회전수단과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개량된 조이스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전술한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부재가 전술한 스프링수단에 대향하며 제2방향으로 한 위치에 전술한 부재를 잡아두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전술한 위치는 제1풀림장치를 위한 풀림위치를 구성하는 개량된 조이스틱.
  10. 제8항에 있어서, 전술한 스프링수단이 전술한 제1의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부재의 구조물과 일체로 형성된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개량된 조이스틱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전술한 스프링수단이 전술한 제1의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부재에 부착된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개량된 조이스틱장치.
  12. 하우징과 전술한 하우징내의 제1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지지된 바렐-형 회전수단(barrel-shaped rotating means)과, 전술한 바렐회전수단내의 구멍을 통하여 돌출하고 정합하며 제2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그에 힌지연결되어 있는 스틱축(stick shaft)과, 전술한 하우징내의 제2축을 따라 회전하도록 지지한 포오크부재를 포함하며, 전술한 스틱축이 전술한 포오크부재를 정합하고 회전하는 그의 하나의 단부를 가지며, 전술한 바렐회전수단은 중립중앙위치로 탄지하여 전술한 스틱축이 풀렸을때는 언제나, 바렐이 그의 중심위치로 가도록 만드는 제1장치와 전술한 포오크부재를 중립중앙위치로 탄지하여 전술한 스틱축이 풀렸을 때는 언제나 포오크 부재가 그의 중심위치로 회전하도록 만드는 제2장치를 포함하고 전술한 제1탄지 장치를 풀어 전술한 바렐회전수단이 전술한 스틱축에 의해 위치된 위치에 유지되게 하는 제1풀림수단과, 전술한 제2탄지장치를 풀어, 전술한 포오크 부재가 전술한 스틱축에 의해 위치된 위치에 유지되게 하는 제2풀림수단을 포함하는 개량된 조이스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전술한 바렐회전수단을 중앙위치로 탄지하기 위한 전술한 제1탄지수단이, 전술한 바렐회전수단과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된 가위 장치 수단과, 전술한 가위장치의 한쌍의 아암의 제1단부에 연결되어 제1단부와 그 반대의 제2단부쌍의 아암을 한데 누르는 팽창스프링을 포함하고, 전술한 바렐회전수단에 고정부착되고 전술한 가위장치의 제2단부에서 한쌍의 아암사이를 연장하는 보스를 포함하여, 그의 축을 따라 전후로 움직이는 전술한 바렐회전 수단의 움직임이 전술한 바렐회전수단과 같은 방향으로 전술한 보스와 전술한 가위장치를 움직이게 하는 개량된 조이스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전술한 가위장치의 한쌍의 아암중 각 하나가 스프링단부에서 그에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는 개량된 조이스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1탄지장치를 풀기 위한 전술한 제1풀림수단이, 전술한 가위장치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제1의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부재와, 전술한 제1의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부재를 제1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 수단과, 전술한 제1의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부재가 제1방향으로 탄지되었을 때 그의 스프링단부에서 전술한 가위장치의 한쌍의 아암을 정합하고, 전술한 제1의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부재가 제2방향으로 움직였을 때, 그에 형성된 오목부를 정합하도록 전술한 제1의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부재에 고정부착된 보스를 포함하여, 전술한 가위장치가 제1방향으로 탄지될 때는 전술한 보스에 고정되고 전술한 보스가 제2방향으로 위치될 때는 드럼회전수단과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개량된 조이스틱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전술한 포오크부재를 중앙위치로 지지하기 위한 전술한 제2탄지수단이, 전술한 포오크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장착된 가위장치수단과, 전술한 가위장치의 한쌍의 아암의 제1단부에 연결되어 제1단부와 그 반대의 제2단부쌍의 아암을 한데 누르는 팽창스프링을 포함하고, 전술한 포오크부재에 고정부착되고 전술한 가위장치의 제2단부에서 한쌍의 아암사이를 연장하는 보스를 포함하여, 그의 축을 따라 전후로 움직이는 전술한 포오크부재의 움직임이 전술한 포오크부재와 같은 방향으로 전술한 보스와 전술한 가위장치를 움직이게 하는 개량된 조이스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전술한 가위장치의 한쌍의 아암중 각 하나가 스프링단부에서 그에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는 개량된 조이스틱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전술한 제2탄지장치를 풀기 위한 전술한 제2풀림수단이, 전술한 가위장치의 회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제2의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부재와, 전술한 제2의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부재를 제1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수단과, 전술한 제2의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부재가 제1방향으로 탄지되었을 때 그의 스프링단부에서 전술한 가위 장치의 한쌍의 아암을 정합하고, 전술한 제2의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부재가 제2방향으로 움직였을 때, 그에 형성된 오목부를 정합하도록 전술한 제1의 손가락으로 작동가능한 부재에 고정부착된 보스를 포함하며, 전술한 가위장치가 제1방향으로 탄지될 때는 전술한 보스에 고정되고 전술한 보스가 제2방향으로 위치될 때는 포오크부재와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개량된 조이스틱장치.
KR1019890005310A 1988-07-08 1989-04-22 스프링 풀림장치(disconnect)를 갖는 조이스틱 KR970004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216,830 US4857881A (en) 1988-07-08 1988-07-08 Joystick with spring disconnect
US216,830 1988-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374A KR900002374A (ko) 1990-02-28
KR970004304B1 true KR970004304B1 (ko) 1997-03-26

Family

ID=2280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310A KR970004304B1 (ko) 1988-07-08 1989-04-22 스프링 풀림장치(disconnect)를 갖는 조이스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57881A (ko)
EP (1) EP0349714A3 (ko)
JP (1) JPH02112123A (ko)
KR (1) KR970004304B1 (ko)
CA (1) CA130465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6008B1 (fr) * 1989-04-13 1994-02-18 Valeo Potentiometre rotatif
JPH0751625Y2 (ja) * 1990-06-18 1995-11-22 京セラ株式会社 ジョイスティック
US5889670A (en) 1991-10-24 1999-03-30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actilely responsive user interface
US5805140A (en) * 1993-07-16 1998-09-08 Immersion Corporation High bandwidth force feedback interface using voice coils and flexures
US5675309A (en) * 1995-06-29 1997-10-07 Devolpi Dean Curved disc joystick pointing device
US6704001B1 (en) 1995-11-17 2004-03-09 Immersion Corporation Force feedback device including actuator with moving magnet
US6639581B1 (en) 1995-11-17 2003-10-28 Immersion Corporation Flexure mechanism for interface device
WO1997020305A1 (en) 1995-11-30 1997-06-05 Virtual Technologies, Inc. Tactile feedback man-machine interface device
US6024576A (en) 1996-09-06 2000-02-15 Immersion Corporation Hemispherical, high bandwidth mechanical interface for computer systems
JP2996930B2 (ja) * 1997-04-04 2000-01-11 三和電子株式会社 ジョイスティックコントローラー
JP3167958B2 (ja) * 1997-05-08 2001-05-21 コナミ株式会社 多方向切替操作装置
US6104382A (en) 1997-10-31 2000-08-15 Immersion Corporation Force feedback transmission mechanisms
US6020875A (en) * 1997-10-31 2000-02-01 Immersion Corporation High fidelity mechanical transmission system and interface device
US6211861B1 (en) * 1998-06-23 2001-04-03 Immersion Corporation Tactile mouse device
US6040758A (en) * 1998-11-06 2000-03-21 Midway Games Inc. Potentiometer mounting clip for a joystick controller
JP3413594B2 (ja) * 1999-10-26 2003-06-03 株式会社テムザック 指操作装置およびその指操作装置を用いた腕操作装置
TW493183B (en) 2000-03-23 2002-07-01 Alps Electric Co Ltd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US7084854B1 (en) 2000-09-28 2006-08-01 Immersion Corporation Actuator for providing tactile sensations and device for directional tactile sensations
JP2002208331A (ja) * 2001-01-12 2002-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方向操作スイッチ
EP1256901A3 (de) * 2001-05-12 2003-07-2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orrichtung zum Erfassen von Schiebe- und Drehbewegungen als Dateneingabevorrichtung für einen Computer
IL143255A (en) 2001-05-20 2015-09-24 Simbionix Ltd Endoscopic ultrasonography simulation
US6892597B2 (en) 2001-07-27 2005-05-17 Pelco Joystick
US6748604B2 (en) * 2002-05-30 2004-06-15 Finger Fitting Products, Inc. Glove massager
US7850456B2 (en) 2003-07-15 2010-12-14 Simbionix Ltd. Surgical simul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20060070482A1 (en) * 2004-06-17 2006-04-06 Deere &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Control lever with rotary wheel
US7843426B2 (en) * 2006-11-15 2010-11-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ctive human-machine interface system including interposed sector gears
US8033197B2 (en) * 2006-11-20 2011-10-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ully floating, self-aligning, self-adjusting gimbal assembly for an active human machine interface
CN101627411B (zh) 2007-01-16 2014-03-19 西姆博尼克斯有限公司 用于执行模拟的图像导引医疗过程的设备和方法
US8543338B2 (en) 2007-01-16 2013-09-24 Simbionix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puterized simulations for image-guided procedures using a patient specific model
US20110048153A1 (en) * 2008-01-14 2011-03-03 Rema Lipprandt Gmbh & Co. Kg Joystick
JP5155725B2 (ja) * 2008-04-15 2013-03-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5768578B2 (ja) * 2011-08-08 2015-08-26 ヤマハ株式会社 操作子装置
US9056668B2 (en) * 2012-07-12 2015-06-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ircraft control stick operational in active and passive modes
US10183218B1 (en) 2017-07-13 2019-01-22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Detachable joystick for video game controller
US10272327B2 (en) * 2017-07-13 2019-04-30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Detachable joystick for video game controller
USD890846S1 (en) 2017-08-07 2020-07-21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Video game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5050A (en) * 1980-12-08 1982-04-13 Kraft Systems, Inc. Control stick assembly
US4489304A (en) * 1983-07-22 1984-12-18 Hayes Charles L Spring disconnect mechanism for self centering multiple axis analog control stick
US4620176A (en) * 1984-09-25 1986-10-28 Hayes Charles L Control stick mechanism
US4763100A (en) * 1987-08-13 1988-08-09 Wood Lawson A Joystick with additional degree of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49714A3 (en) 1991-01-02
CA1304653C (en) 1992-07-07
EP0349714A2 (en) 1990-01-10
JPH02112123A (ja) 1990-04-24
KR900002374A (ko) 1990-02-28
US4857881A (en) 198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304B1 (ko) 스프링 풀림장치(disconnect)를 갖는 조이스틱
AU640427B2 (en) Pointing device with adjustable clamp attachable to a keyboard
JP3283745B2 (ja) 電動工具の操作レバー
US5912661A (en) Z-encoder mechanism
EP2228705B1 (en) Pedal input device with three rotational degrees of freedom
WO1998016285A1 (fr) Dispositif d'actionnement de machines de jeu
US6512188B2 (en) Lockout mechanism for power tool
JPH10214128A (ja) ジョイスティック型多機能コントローラ
US5406040A (en) Joystick with improved actuator
JP2001135198A (ja) エンタテインメントシステムの操作装置及びこの操作装置を有するエンタテインメントシステム
TWM620265U (zh) 按鍵模組
KR900008691Y1 (ko) 신호입력 장치
JPH0740429Y2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のキャンセル機構
US4327260A (en) Locking device for two push buttons
JPH0541922Y2 (ko)
JPH1190050A (ja) 模型用操縦装置のレバー自動復帰機構
JPH0515345Y2 (ko)
JPH0125366Y2 (ko)
JPS6320029Y2 (ko)
KR20000010033A (ko) 조향핸들의 틸트 조정장치
JPH02257532A (ja) 電気機器スイッチ装置
JP3789642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H04127936U (ja) 多方向スイツチ
JPH07141963A (ja) レバースイッチ装置
JPS63285828A (ja) 押釦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