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165B1 -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165B1
KR970004165B1 KR1019880008948A KR880008948A KR970004165B1 KR 970004165 B1 KR970004165 B1 KR 970004165B1 KR 1019880008948 A KR1019880008948 A KR 1019880008948A KR 880008948 A KR880008948 A KR 880008948A KR 970004165 B1 KR970004165 B1 KR 970004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agnet
knife blade
sleeve
form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553A (ko
Inventor
버크호우트 로날드
제라두스 베난티우스 반 스티포우트 요하네스
안토니우스 빌렘 마리아 코버 요제프
린더트 호에프 안툰
얀 크나펜 베렌드
Original Assignee
오세-네델란드 비.브이
얀 엔슈이스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NL8701985A external-priority patent/NL8701985A/nl
Priority claimed from NL8801309A external-priority patent/NL8801309A/nl
Application filed by 오세-네델란드 비.브이, 얀 엔슈이스트라 filed Critical 오세-네델란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890003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7/00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patterns other than charge patterns, e.g. an electric conductivity pattern; Processes involving a migration, e.g. photoelectrophoresis, photoelectrosolography; Processes involving a selective transfer, e.g. electrophoto-adhesive processes; Apparatus essentially involving a single such proces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3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powder image is formed directly on the recording material, e.g. by using a liquid toner
    • G03G15/34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powder image is formed directly on the recording material, e.g. by using a liquid toner by selectively transferring the powder to the recording medium, e.g. by using a LED array
    • G03G15/34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powder image is formed directly on the recording material, e.g. by using a liquid toner by selectively transferring the powder to the recording medium, e.g. by using a LED array using a stylus or a multi-styli ar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using magnetic brush
    • G03G15/0921Details concerning the magnetic brush roller structure, e.g. magnet configu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7/00Details of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patterns other than charge patterns
    • G03G2217/0075Process using an image-carrying member having an electrode array on its su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gnetic Brush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Using Other Than Carlson'S Method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Printers Or Record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And Radiation Mean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인쇄장치
제1도는 정전인쇄장치의 원리를 보인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의 제1실시형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의 제3실시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형성소자 41 : 유전층
84 : 현상장치 86,87 : 자석
88 : 나이프 블레이드 90 : 상-형성영역
92 : 슬리이브
본 발명은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전면을 갖는 가동형의 상-형성소자, 회전형의 전도성 비자성체 슬리이브가 상-형성소자의 표면 가까이에 배치된 상-형성단, 정보 패턴에 따라서 전도성의 자기흡착성 토너분말이 존재하게 되는 상-형성소자와 자기로울러 사이에 전기장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영역에 자기장을 발생하며 자기로울러의 슬리이브 내측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두 자석의 동일자극 사이에 고정되는 강자성체 나이프 블레이드로 구성된 수단으로 구성되는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인쇄장치가 유럽특허출원제 191521호에서 공지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인쇄장치에 있어서, 자기로울러와 상-형성소자 사이의 나이프 블레이드에 형성된 토너브러쉬는 형태가 일정하지 아니하고 실제로는 연속적으로 어느 정도 변화한다. 브러쉬 형태의 작은 변화는 브러쉬를 형성하는 토너분말의 변화, 예를 들어 토너입자의 입자크기, 입자크기 분포와 자기특성, 그리고 토너브러쉬에서 토너분말의 밀도(품질)의 변화 등에 의하여 일어난다. 토너브러쉬의 형태의 변화는 상-형성소자가 토너브러쉬를 떠나는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토너브러쉬 경계선의 형태와 위치가 변화되게 한다. 따라서 토너입자가 상-형성소자상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되지 않으므로 상-형성 과정중에 상의 형성에 오류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결점이 없는 서두에 언급된 형태의 인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목적은 나이프 블레이드의 평면과, 상-형성소자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하는 슬리이브의 선상에서 자기로울러의 슬리이브에 대한 접선방향 평면이 상-형상소자가 상-형성단을 떠나는 측에서 보았을 때에 70°-85°사이의 각도를 포함하도록 하므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 결과로 자기장이 자기로울러와 상-형성소자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토너의 조성과 밀도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안정된 토너브러쉬를 얻을 수 있다. 만약 상기 각도가 72.5°-77.5°사이인 경우에 가장 안정된 상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의 구체화된 실시형태에 따라서, 나이프 블레이드가 사이에 고정되는 자석은 이 나이프 블레이드에 대하여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며, 상-형성소자가 상-형성단을 떠나는 측으로부터 보았을때에 나이프 블레이드의 전방에 위치하는 자석은 타측 자석보다 나이프 블레이드의 단부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자석은 나이프 블레이드를 향하는 각 자석면의 중간에서 측정된 0.30T보다 크거나 같은 자기인덕선을 갖는 영구자석으로 구성된다. 그 결과로 자기로울러와 상-형성소자 사이의 영역에 강한 자기장이 형성되므로서 비록 이 영역에 매우 적은 양이 자기안료를 갖는 토너분말이 있다하더라도 안정된 토너브러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의 따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강자성체판이 나이프 블레이드로부터 원격한 각 자석의 측부에 대하여 배치되며 이 강자성체판은 0.5-2mm 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자기장이 상-형성소자를 향하여 보다 강하게 향하게 되므로서 보다 안정된 토너브러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형성소자가 상-형성단으로 진입하는 측에서 볼 때에 제3자석이 나이프 블레이드에 대하여 고정된 자석의 직전방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자석은 자기로울러의 슬리이브 가까이에 배치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나이프 블레이드와 자기로울러의 슬리이브에 대한 접선방향 평면사이의 내각은 78.5°-83.5°사이가 좋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보다 적합한 자기장의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개선된다는 한 관점에서 상-형성소자가 상-형성단으로 진입하는 측의 방향에서 토너브러쉬로부터 과인의 토너가 배출된다. 이는 제3자석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자기장이 상-형성단의 진입측에서 자기로울러의 슬리이브의 대부분에 대하여 작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유전층내에 그리고 그 하측에 다수의 제어가능한 전극으로 구성되는 정전층을 구비한 회전드럼(10)형태의 상-형성소자를 갖는 정전인쇄장치의 원리를 보인 것이다.
상-형성소자(10)의 표면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서 자기로울러(12)가 상-형성단(11)에 배치되고 이 자기로울러(12)는 회전형의 전도성 비자성체 슬리이브와 내부 고정자석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자기로울러(12)의 회전 슬리이브는 전도성이며 자기흡착성을 갖는 토너분말의 균일한 층으로 덮히고, 토너분말은 상-형성영역(13)에서 상-형성소자(10)와 접촉한다. 자기로울러(12)와 상-형성소자의 하나 이상의 선택적으로 제어가능한 전극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므로서 분말화상이 상-형성소자(10)에 형성된다. 이 분말화상은 압력을 가하므로서 고무피복형 가열로울러(14)로 옮겨진다. 급지단(26)으로부터 로울러(25)에 의하여 용지가 옮겨지고 이 용지는 가이드트랙(24)과 로울러(22)(23)를 통하여 가열단(19)으로 공급된다. 가열단(19)은 가열로울러(20)의 둘레에 감겨 돌아가는 벨트(21)로 구성된다. 용지는 벨트(21)와 접촉하여 가열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열된 용지는 로울러(14)(15) 사이를 지나게 되며 로울러(14)상에 실려있는 연화된 분말화상이 용지로 완전히 옮겨진다. 벨트(21)와 로울러(14)의 온도는 화상이 용지에 용착될 수 있도록 상호조절된다. 화상이 실린 용지는 콘 베이어 로울러(17)를 통하여 수집트레이(18)로 공급된다. 전자회로로 구성된 장치(30)는 원고의 광학적인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화시키며 이 전기적 신호는 슬라이딩 접점을 구비한 와이어(31)와 상-형성소자(10)의 절연된 측벽에 배치된 전도성 트랙(32)을 통하여 제어가능한 전극(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음)으로 공급된다.
제2도는 화살표(35)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절연층(43)이 구비된 상-형성소자(10)를 통한 단면을 보인 것으로, 절연층(43)에는 드럼의 운동방향으로 무단히 연장되고 유전층(41)으로 덮여있는 다수의 상호인접하고 절연된 전극(42)이 배치되어 있다. 현상장치(84)는 두 자석(86)(87) 사이에 고정된 강자성체 나이프 블레이드(88)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89)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접지형 슬리이브(92)로 구성된다.
강자성체 나이프 블레이드(88)의 두께는 최적한 자속을 발생하도록 적어도 0.4mm이어야 하나 구조적인 이유로 약 4mm의 최대두께가 이용된다. 동일극성끼리 나이프 블레이드(88)에 접촉하고 있는 자석(86)(87)은 상-형성영역에서 협소한 자기장을 발생하며, 이 자기장은 슬리이브(92)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나이프 블레이드(88)의 단부로부터 방출된다. 공급장치(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음)에 의하여, 예를 들어 자기 브러쉬에 의하여 유전층(41)에는 균일한 층의 전도성 자성 토너가 도포된다. 이러한 공급과정은 운동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상-형성영역(90)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형성소자(10)의 주연부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토너분말은 직접적인 자기장의 영향하에 매우 좁은 토너브러쉬를 형성하기 위해 상-형성소자(10)를 통해 상-형성영역(20)으로 옮겨진다.
가능한 한 예리한 토너브러쉬를 얻기 위하여 적어도 상-형성소자(10)가 상-형성영역(90)을 떠나는 측에 큰 자기기울기를 갖는 가능한한 최강의 자기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나이프 블레이드(88)와 자석(86)(87)으로 구성된 조립체가 드럼(36)과 슬리이브(92)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각도 α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 각도 α는 5°-20°사이, 좋기로는 12.5°-17.5°이다.
예리한 토너브러쉬를 얻기 위한 부가적인 단계는 자석(86)(87)을 나이프 블레이드(88)에 대하여 상호 어긋나게 배치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자석(87)은 자석(86)보다 나이프 블레이드(88)의 단부측에 보다 근접하여 배치된다. 자석(86)(87)을 0.30T보다 크거나 같은 자기인덕션 B를 갖는 영구자석으로 구성하므로서 자기특성이 빈약한 토너를 사용한다하여도 매우 강한 자기장을 얻을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상기 자기인덕션의 값은 길이가 310mm 이고 폭이 15mm이며 두께가 6mm인 자석에서 이 자석이 나이프 블레이드(88)에 대하여 고정되는 면의 중앙에는 에프 더블유 벨 인코포레이티드(FW Bell Ine.)의 가우스메타 모델 615가 구비된 SAB1-1802형의 홀-프로브(Hall-probe)를 통하여 측정되었다. 적합한 자석으로서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재질로서의 네오디뮴-철-보론 합금이 있다.
제3도는 제2도에 보인 구조와 동일한 상-형성소자(10)가 현상장치(150)과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 현상장치(150)는 자석(154)(155)사이에 고정된 강자성체 나이프 블레이드(153)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152)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된 접지형 슬라이브(51)로 구성된다. 동일 자극이 나이프 블레이드(153)에 접촉된 자석(154)(155)은 상-형성영역(160)에서 슬리이브(51)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나이프 블레이드(153)의 단부로부터 방출되는 협소한 자기장을 발생한다. 제2도에 관련하여 언급된 바와 같이, 공급장치(도시하지 않았음)는 유전층(41)에 균일한 층의 전도성 자기 토너를 공급한다. 이러한 공급은 상-형성영역(160)의 전방에서 상-형성소자(10)의 운동방향으로 행하여진다. 따라서, 토너분말은 상-형성영역(160)에서 직접적인 자기장의 영향에서 매우 협소한 토너브러쉬를 형성하도록 상-형성소자(10)를 통하여 상-형성영역(160)으로 이송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강자성체판(161)(162)은 각각 자석시스템의 양측에서 자석(154)(155)에 대하여 고정되며, 이 강자성체판의 두께는 0.5-2mm이다. 나머지 이 실시형태의 자석시스템은 제2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자석시스템과 동일하다. 강자성체판(161)(162)을 이용하므로서 상-형성영역(160)에서 자기기울기의 장해가 감소된다. 과잉의 토너는 슬리이브(151)를 통하여 옮겨지고 이 슬리이브에서 스트립퍼(165)에 의해 제거된 다음 트레이(166)에 수집된다.
제4도는 제2도에 관련하여 언급된 구조와 동일한 상-형성소자(10)가 현상장치(100)와 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의 제3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 현상장치(100)는 자석(106)(107)사이에 고정된 강자성체 나이프 블레이드(105)를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102)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된 접지형 슬라이브(101)로 구성된다. 동일자극이 나이프 블레이드(105)에 접촉된 자석(106)(107)은 슬리이브(101)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나이프 블레이드(105)의 단부로부터 방출되는 상-형성영역(108)의 협소한 자기장을 발생한다. 제2도에 관련하여 언급된 바와 같이, 공급장치(도시하지 않았음)는 유전층(41)에 균일한 층의 전도성 자기 토너를 공급한다. 이러한 공급은 상-형성영역(108)의 전방에서 상-형성소자(10)의 운동방향으로 행하여진다. 따라서, 토너분말은 상-형성영역(108)에서 직접적인 자기장의 영향하에 매우 협소한 토너브러쉬를 형성하도록 상-형성소자(10)를 통하여 상-형성영역(108)으로 이송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현상장치(100)의 자석시스템에 제3의 자석(110)이 부가적으로 착설된다. 아울러 전체 자석시스템은 드럼(6)과 슬리이브(101)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대하여 각도 β를 이루도록 착설되며, 이 각도 β는 6.5°-11.5°사이이다.
자석시스템(105)(106)(107)에 대하여 자석(110)를 부가하므로서 상-형성영역(108)의 협소하고 강한 자기장을 한층 더 보강한다. 결국 출구측에서 가장 예리한 토너브러쉬가 형성된다.
입구측에서 보충자석(110)은 자기장이 자기로울러 슬리이브 표면의 전체에 걸쳐 작용되도록 하므로서 여분의 토너분말이 슬리이브(101)에 의해 상-형성영역(108)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옮겨나가도록 한다. 여분의 토너는 슬리이브(101)의 표면에 실리어 옮겨지고 스트립퍼(115)에 의하여 분리 제거된 다음 트레이(116)에 수집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구성과 유사하게 자석(106)(107)이 나이프 블레이드(105)에 대하여 일측 자석(107)이 타측 자석(106)보다 나이프 블레이드의 단부에 근접되게 상호 어긋나는 형태로 배치되는 구성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 역시 예리한 토너브러쉬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다.

Claims (7)

  1. 유전면(41)을 갖는 가동형의 상-형성소자(10), 회전형의 전도성 비자성체 슬리이브(92)가 상-형성소자(10)의 표면 가까이에 배치된 상-형성단, 정보패턴에 따라서 전도성의 자기흡착성 토너분말이 존재하게 되는 상-형성소자(10)와 자기로울러(84) 사이에 전기장을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영역에 자기장을 발생하며 자기로울러의 슬리이브 내측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두 자석(86)(87)의 동일자극 사이에 고정되는 강자성체 나이프 블레이드(88)로 구성된 수단으로 구성되는 정보재생을 위한 인쇄장치에 있어서, 나이프 블레이드(88)의 평면과, 상-형성소자(10)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하는 슬리이브의 선상에서 자기로울러의 슬리이브(92)에 대한 접선방향 평면사이의 각도가 상-형성소자가 상-형성단을 떠나는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80°-85°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자석(86)(87)이 나이프 블레이드(88)에 대하여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형성소자(10)가 상-형성단을 떠나는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나이프 블레이드의 전방에 위치하는 자석(86)이 나이프 블레이드로부터 타측 자석(87)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3. 청구범위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가 72.5°-77.5°사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4. 청구범위 1항-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석(86)(87)이 나이프 블레이드(88)를 향하는 자석(86)(87)의 각 표면의 중앙에서 측정된 0.30T보다 크거나 동일한 자기인덕션을 갖는 영구자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5. 전기 청구범위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자성체판(161)(162)이 나이프 블레이드(153)로부터 원격한 각자석(154)(155)의 측부에 배치되고, 이러한 판(161)(162)의 두께가 0.5-2mm 사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6. 청구범위 1항, 2항, 4항 또는 5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형성소자(10)가 상-형성단(108)으로 진입하는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3자석(110)이 나이프 블레이드(105)에 고정된 자석(107)의 직전방에 고정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자석(110)이 자기로울러(110)의 슬리이브(101)에 근접하여 배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7. 청구범위 6항에 있어서, 나이프 블레이드(105)의 평면과 자기로울러의 슬리이브(101)에 대한 접선방향 평면사이의 각도가 78.5°-83.5°사이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KR1019880008948A 1987-08-25 1988-07-18 인쇄장치 KR970004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701985A NL8701985A (nl) 1987-08-25 1987-08-25 Drukinrichting met een magneetrol omvattende een stationair, tussen gelijknamige magneetpolen opgesloten, ferromagnetisch mesblad.
NL8701985 1987-08-25
NL8801309A NL8801309A (nl) 1988-05-20 1988-05-20 Drukinrichting met een magneetrol omvattende een stationair, tussen gelijknamige magneetpolen opgesloten, ferromagnatisch mesblad.
NL8801309 1988-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553A KR890003553A (ko) 1989-04-15
KR970004165B1 true KR970004165B1 (ko) 1997-03-25

Family

ID=26646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948A KR970004165B1 (ko) 1987-08-25 1988-07-18 인쇄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84188A (ko)
EP (1) EP0304983B1 (ko)
JP (1) JPH0816813B2 (ko)
KR (1) KR970004165B1 (ko)
AU (1) AU602233B2 (ko)
DE (1) DE3868785D1 (ko)
HK (1) HK127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327U (ko) * 2016-10-28 2018-05-09 서울특별시 대기전력 차단용 검전 플러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000912A (nl) * 1990-04-18 1991-11-18 Oce Nederland Bv Werkwijze voor het vormen van zichtbare beelden, alsmede tonerpoeder ten gebruike in de werkwijze.
JPH04356068A (ja) * 1990-06-25 1992-12-09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NL9102074A (nl) * 1991-12-12 1993-07-01 Oce Nederland Bv Drukinrichting.
NL9200977A (nl) * 1992-06-04 1994-01-03 Oce Nederland Bv Beeldvormingsinrichting.
NL9301300A (nl) * 1993-07-23 1995-02-16 Oce Nederland Bv Beeldvormingsinrichting, alsmede een beeldregistratie-element voor toepassing daarin.
NL9302135A (nl) * 1993-12-08 1995-07-03 Oce Nederland Bv Beeldvormingsinrichting, alsmede een beeldregistratie-element voor toepassing daarin.
NL9402196A (nl) 1994-12-23 1996-08-01 Oce Nederland Bv Werkwijze voor het registreren van beelden, alsmede een beeldvormingsinrichting voor toepassing van de werkwijze.
DE69529753T2 (de) * 1995-11-07 2003-10-16 Oce Nederland Bv Magnetsystem für ein bilderzeugendes Gerät
NL1003680C2 (nl) * 1996-07-25 1998-01-28 Oce Tech Bv Beeldafdrukinrichting.
JP2001183879A (ja) 1999-10-12 2001-07-06 Oce Technol Bv 幽霊像を抑制する方法
US6795101B2 (en) 2001-04-27 2004-09-21 Oce-Technologies B.V. Direct imaging process with feed back control by measuring the amount of toner deposited
JP2006528783A (ja) 2003-05-16 2006-12-21 ザ・ビーオーシー・グループ・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磁気共鳴装置内で表面を洗浄して鉄の粒子を取り除く方法
KR100728386B1 (ko) * 2006-02-02 2007-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제조방법 및 그 장치
EP2068205B1 (en) 2007-12-07 2011-09-21 Océ-Technologies B.V. Magnet knife assembly for a toner developing device
JP5379865B2 (ja) 2008-12-23 2013-12-25 オセ−テクノロジーズ ビーブイ 画像形成装置を動作する方法、及び、当該方法の適用のための画像形成装置
EP2839346A1 (en) 2012-04-19 2015-02-25 OCE-Technologies B.V. An image forming device comprising a direct image forming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1868A (en) * 1979-12-08 1981-07-04 Olympus Optical Co Ltd Magnet roll developing device
JPS575063A (en) * 1980-06-13 1982-01-11 Olympus Optical Co Ltd Magnet roll developing device
JPH062416B2 (ja) * 1984-01-30 1994-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噴射記録ヘッドの製造方法
NL8500319A (nl) * 1985-02-06 1986-09-01 Oce Nederland B V Patents And Inrichting voor het weergeven van informatie.
JPS62297865A (ja) * 1986-06-18 1987-12-25 Hitachi Ltd 画像記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327U (ko) * 2016-10-28 2018-05-09 서울특별시 대기전력 차단용 검전 플러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114688A (en) 1989-03-02
JPS6470779A (en) 1989-03-16
EP0304983A1 (en) 1989-03-01
HK12793A (en) 1993-02-26
EP0304983B1 (en) 1992-03-04
DE3868785D1 (de) 1992-04-09
JPH0816813B2 (ja) 1996-02-21
KR890003553A (ko) 1989-04-15
US4884188A (en) 1989-11-28
AU602233B2 (en) 1990-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165B1 (ko) 인쇄장치
GB2089244A (en)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
EP0191521A1 (en) Printing device
US4662311A (en) Developing device
US4576463A (en) Developing apparatus for electrostatic photography
US4218691A (en) Recording apparatus with improved counter electrode
GB2042278A (en) Forming electrostatic images
JP3237818B2 (ja) 印刷ヘツド構造体及びdep装置
EP0635768B1 (en) Image-forming device and an image-recording element for use therein
US4575218A (en) Developing apparatus for electrostatic photography
EP0055030A2 (en) Electrographic method and apparatus
EP0573096B1 (en) Image-forming device
EP0691586B1 (en) Colour reproduction machine with development units having unequal and/or adjustable width development nip
US5083145A (en) Non-arcing blade printer
US6040847A (en) Method of recording images and an image-forming device for application of the method
EP0126615B1 (en) Electrographic recording apparatus
CN107300843A (zh) 显影设备以及图像形成装置
US4433041A (en) Recording method
US4318972A (en) Method for inducing an electrostatic image in a conductive member
NL8701985A (nl) Drukinrichting met een magneetrol omvattende een stationair, tussen gelijknamige magneetpolen opgesloten, ferromagnetisch mesblad.
JPH0740579A (ja) 画像形成装置
JPS58211172A (ja) 乾式現像装置
NL8801309A (nl) Drukinrichting met een magneetrol omvattende een stationair, tussen gelijknamige magneetpolen opgesloten, ferromagnatisch mesblad.
US5272033A (en) Method of forming visible images
JPS58178378A (ja) 画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