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764Y1 - 조립식 엘리베이터 승강로 - Google Patents

조립식 엘리베이터 승강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764Y1
KR970003764Y1 KR92004001U KR920004001U KR970003764Y1 KR 970003764 Y1 KR970003764 Y1 KR 970003764Y1 KR 92004001 U KR92004001 U KR 92004001U KR 920004001 U KR920004001 U KR 920004001U KR 970003764 Y1 KR970003764 Y1 KR 970003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view
hoistway
suppo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4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597U (ko
Inventor
김두훈
Original Assignee
이희종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종,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희종
Priority to KR92004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764Y1/ko
Publication of KR9300215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5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764Y1/ko

Link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조립식 엘리베이터 승강로
제1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는 A부분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부분 분해사시도.
제5도는 제3도의 B부분 분해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C부분 분해사시도.
제8도는 제6도의 D부분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엘리베이터 2 : 빔
3 : 연결부재 4 : 체결부재
7 : 지지빔 13 : 지지브라켓
14 : 지지부재
본 고안은 조립식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건물내에 조립해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건물내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때에 제1도 내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의 콘크리트벽(15)에 앵커볼트(16)를 박아서 고정시킨 후에 와셔(5)를 삽입시키고, 상기 앵커볼트(16)에 하부브라켓(8a)을 삽입시키고 다시 와셔(5)를 삽입시켜서 너트(6)로서 고정시킨다. 그 다음에 하부브라켓(8a)의 상부에 상부브라켓(9a)의 위치를 조정하여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킨 후에 상기 상부브라켓(9a)에 가이드레일(10)을 설치해서 승강로를 시공한 후에 상기 가이드 레일(10)들의 상이에 균형추(12)와 엘리베이터(1)를 설치하여 사용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시공할 때에 콘크리트벽(15)의 두께가 각층마다 다르고, 특히 승강로가 좁게 시공되었을 경우에는 일일이 콘크리트벽(15)을 파내야 할 뿐만 아니라 매번 콘크리트벽(15)에 치수를 재고, 구멍을 뚫어야 하므로 인한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시공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건물내에 조립해서 설치하여 승강로의 시공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공간내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가 승강하는 승강로가 빔으로 연결되어 결합된 조립식 엘리베이터가 승강로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3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A부분 분해사시도이며, 제5도는 제3도의 B부분 분해사시도이고, 제6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제7도는 제6도의 C부분 분해사시도이고, 제8도는 제6도의 D부분 종단면도이다.
엘리베이터(1)가 승강하는 승강로가 빔(2)으로 연결되어 결합되고, 상,하의 빔(beam)(2)과 빔(2)사이는 빔(2)의 끝단에 설치된 연결부 제(3)에 다른 빔(2)이 삽입되어 체결부(4)가 상기 연결부재(3)와 빔(2)을 관통하여 와셔(5) 및 너트(6)로 고정되어 연결되고, 상기 상하로 결합된 빔(2)들 사이에는 복수개의 지지빔(7)들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승강로내 좌,우 양측의 지지빔(7)에는 소정 간격으로 하부브라켓(8)과 그 상부에 상부브라켓(9)이 얹혀져서 상기 지지빔(7)과, 상,하브라켓(9),(8)을 체결부재(4)가 관통하여 와셔(5) 및 너트(6)로 고정되고 상기 상부브라켓(9)에는 각각 엘리베이터(1)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0)이 설치된다.
또한 승강로내 후방의 지지빔(7)에는 좌,우 양측에 소정간격으로 체결부재(4)가 상기 지지빔(7)과 균형추브라켓(11)을 관통하여 와셔(5) 및 너트(6)로서 고정되고, 상기 균형추 브라켓(11)에는 각각 균형추(12)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0)이 설치된다.
또한 승강로내 전방의 지지빔(7)에는 소정간격으로 지지브라켓(13)이 고정되어 지지브라켓(13) 상부에 지지부재(14)가 얹혀져서 체결부재(4)가 지지부재(14)와 지지브라켓(13)을 관통하여 와셔(5) 및 너트(6)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3도 내지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1)를 설치하기 위한 건물내에 얼레베이터(1)가 승강하는 승강로를 빔(2)과 빔(2)으로 연결하여 결합시켜서 시공하므로 인한 승강로의 시공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최소한의 공간내에 엘리베이터((1)를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1)가 승강하는 승강로를 빔(2)으로 연결하여 결합시켜서 시공하므로써 승강로를 시공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적의 공간내에 엘리베이터(1)를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 승강로상에 복수열로 상,하로 길게 설치된 다수의 빔(2)과 상기 각 빔의 끝단에 빔을 감쌀수 있는 형태로 설치되어 각 빔 사이에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빔을 지지해주는 다수개의 지지빔(7)과 상기 각 지지빔에 결합된 다수의 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엘리베이터 승강로.
KR92004001U 1992-03-12 1992-03-12 조립식 엘리베이터 승강로 KR970003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4001U KR970003764Y1 (ko) 1992-03-12 1992-03-12 조립식 엘리베이터 승강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4001U KR970003764Y1 (ko) 1992-03-12 1992-03-12 조립식 엘리베이터 승강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597U KR930021597U (ko) 1993-10-15
KR970003764Y1 true KR970003764Y1 (ko) 1997-04-23

Family

ID=19330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4001U KR970003764Y1 (ko) 1992-03-12 1992-03-12 조립식 엘리베이터 승강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7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597U (ko) 199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3764Y1 (ko) 조립식 엘리베이터 승강로
JPH0220354Y2 (ko)
US6595331B2 (en) Bracket for securing elevator components
JPH1149463A (ja) 巻き取り式フェッシャープレート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20010111537A (ko)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KR102655505B1 (ko) 확장가변형 곤돌라
JP3505900B2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用足場装置
JPH0772064B2 (ja) エレベーター用鉄塔昇降路
JPH05124780A (ja) エレベータの塔内配線構造およびガイドレール
KR920005920Y1 (ko) 엘리베이터의 매달림풀리 고정구조
JPS6346449Y2 (ko)
KR910004880Y1 (ko) 엘레베이터의 레일장치
BG113553A (bg)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на модулна тераса
JP2698063B2 (ja) エレベータを内蔵する建築物
JPH021327Y2 (ko)
JPH08169662A (ja) エレベーターの吊上装置
JPH083558Y2 (ja) ユニット階段取付構造
JPH0198584A (ja) 昇降機用鉄骨式昇降路構造
JPH0772065B2 (ja) エレベーター用鉄塔昇降路
KR20050096908A (ko) 엘리베이터의 작업 발판 장치
JPH0772066B2 (ja) エレベーター用鉄塔昇降路
JPH1122216A (ja) 建築躯体付き浴室ユニットの輸送構造
JPH08158468A (ja) 木質ユニット建物の腕木取付構造
JP2001146837A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に渡した作業通路
JPH0774073B2 (ja) エレベ−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