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237B1 - 전류 불연속모드의 타려식 스위칭전원의 소프트 스위칭회로 - Google Patents

전류 불연속모드의 타려식 스위칭전원의 소프트 스위칭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237B1
KR970003237B1 KR1019930000122A KR930000122A KR970003237B1 KR 970003237 B1 KR970003237 B1 KR 970003237B1 KR 1019930000122 A KR1019930000122 A KR 1019930000122A KR 930000122 A KR930000122 A KR 930000122A KR 970003237 B1 KR970003237 B1 KR 970003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transistor
current
circuit
main switching
snubbe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072A (ko
Inventor
모리오 사또
Original Assignee
오오히라덴시 가부시끼가이샤
모리오 사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히라덴시 가부시끼가이샤, 모리오 사또 filed Critical 오오히라덴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1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2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several active switch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02M1/0054Transistor switching losses
    • H02M1/0058Transistor switching losses by employing soft switching techniques, i.e. commutation of transistors when applied voltage is zero or when current flow is zer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류 불연속모드의 타려식 스위칭전원의 소프트 스위칭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회로에 있어서는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12)의 드레인 전류와 드레인·소오스전압과 스너버 콘덴서(14)의 충방전 전류와 스너버 콘덴서(14) 양단전압의 각각의 파형도이다.
제4도는 종래의 방식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5도는 제4도의 회로에 있어서의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12)의 드레인 전류와 드레인·소오스전압과 스너버 콘덴서(14)의 충방전 전류와 스너버 콘덴서(14) 양단의 전압의 각각의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메인스위칭 트랜스의 1차권선 12 :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
13 : 콘트롤회로 14 : 스너버 콘덴서
15 : 보조스위칭 트랜지스터 16 : 다이오드
17 : 지연회로 101 : 직류전원
102 : 메인스위칭 트랜스 103 : 다이오드
104 : 직류전원
105 : 메인스위칭 트랜스의 2차권선
106 : 다이오드 107 : 평활콘덴서
108 : 부하저항 131 : 콘트롤회로의 출력단자
132 : 콘트롤회로의 전압검출단자 133 : 콘트롤회로의 접지단자
134 : 콘트롤회로의 전원공급단자 171 : 가포화 인덕터
172 : 저항 173 : 콘덴서
174 : 저항 201 : 저항
202 : 다이오드
401 :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전류
402 :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오스전압
403 : 스너버 콘덴서의 전류
404 : 스너버 콘덴서양단의 전압 501 : 전류불연속기간
본 발명은 스위칭전원의 노이즈 경감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위칭전원의 노이즈 경감회로로서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너버회로가 적용되고 있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회로에서는 스너버 콘덴서(14)의 충방전에 의한 전력손실이 커지고, 효율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방식에서는 스너버 콘덴서(14)에 충반전 양방향의 전류가 자유로이 흐르기 때문에, 전류불연속기간의 스너버 콘덴서(14) 양단의 전압은 스너버 콘덴서(14)의 용량과 1차권선(11)의 인덕턴스로 결정되는 공진주기로 진동하고 있고, 진폭이 최대일때에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12)가 턴온하면 턴온손실이 최대가 되고 진폭이 최소일때에 턴온하면 최소가 된다.
따라서 스너버 콘덴서(14)의 충방전을 제어하여,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12)가 턴온할때는 항상 스너버 콘덴서(14) 양단의 전압이 최소가 되도록 함으로써 전력손실을 억제하고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의 제1도에 있어서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12)보다 지연되어 턴온한 보조스위칭 트랜지스터(15)는 턴오프도 지연되기 때문에 턴오프시에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12)에 가해지는 전압은 보조스위칭 트랜지스터(15)를 통하고, 스너버 콘덴서(14)에 충전된다.
보조스위칭 트랜지스터(15)는, 전류불연속기간에 들어가기전에 완전히 턴오프되도록 지연시간이 설정되어 있고 전류불연속기간에 들어가면 스너버 콘덴서(14)는 다이오드(16)에 의한 방전의 방향에만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방전 전류를 스너버 콘덴서(14)와 1차권선(11)이 만들어진 공진회로에 있어서의 공진의 반파기간만 흐르고, 따라서 스너버 콘덴서(14) 양단의 전압이 최소가 된 곳에서 공진이 스톱한다.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12)가 다시 턴온할때의 스너버 콘덴서(14) 양단의 전압이 최소가 되기 때문에 턴온손실은 작아진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의 회로에 있어서의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12)의 드레인전류와 드레인·소오스전압과 스너버 콘덴서(14)의 전류와 스너버 콘덴서(14) 양단의 전압파형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제5도는 종래의 방식을 나타내는 제4도의 회로에 있어서의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12)의 드레인전류와 드레인·소오스전압과 콘덴서(14)의 전류와 스너버 콘덴서(14) 양단의 전압파형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보조스위칭 트랜지스터(15)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다이오드(103)는 원리상 불필요하지만 보조스위칭 트랜지스터(15)의 기생용량이 회로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부착된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콘트롤회로(13)로부터 출력되는 턴온신호에 의해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12)가 턴온하고, 이어서 가포화 인덕터(171)를 이용한 지연회로(17)에 의해 지연된 턴온신호에 의해 보조스위칭 트랜지스터(15)가 턴온한다.
지연시간은, 최소 온(ON) 기간보다 작아지도록 설정하지만, 가포화 인덕터를 이용할 경우는 가포화 인덕터의 전압시간적(時間積)을 턴온신호의 전압으로 나눈 값이 거의 지연시간에 같아지는 것을 고려하여, 가포화 인덕터(171)의 전압시간적을 결정하여 둔다.
콘트롤회로(13)로부터 출력되는 턴오프의 신호에 의해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12)가 오프하고, 이어서 보조스위칭 트랜지스터(15)가 지연되어 턴오프한다.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12)가 턴오프하여도, 보조스위칭 트랜지스터(15)가 온상태이므로, 1차권선(11)의 전류는 스너버 콘덴서(14)에 흐르고, 서서히 오프하여 노이즈의 발생을 억제한다.
스너버 콘덴서(14)에 흐르는 전류가 제로가 될 때까지의 시간은 스너버 콘덴서(14)의 용량에 거의 비례하지만, 그 기간 보조스위칭 트랜지스터(15)가 온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연시간을 설정한다. 그러나 가포화 인덕터(171)에 의한 지연회로에서는, 턴온시의 지연과 턴오프시의 지연을 제각기 설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최소 온(ON) 기간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할 수 있도록, 스너버 콘덴서(14)의 용량도 미리 결정하여 두는 것이 필요하다.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12)와 보조스위칭 트랜지스터(15)의 양방이 오프상태인 채로, 전류불연속기간에 들어가면, 스너버 콘덴서(14)와 1차권선(11)에 의한 공진이 개시되고, 스너버 콘덴서(14)에 충전되어 있는 전압은 방전된다. 그때 스너버 콘덴서(14)와 1차권선(11)의 저항성분 및 다이오드(16)의 순방향 드롭전압에 의해 전력손실이 생기지만, 대부분은 입력측에 희생된다고 생각해도 좋다.
스너버 콘덴서(14)와 1차권선(11)에 의한 공진은 공진루프내에 다이오드(16)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반파만으로 끝나고, 스너버 콘덴서(14)에는 최소 전압이 남고, 그 전압을 담당하는 에너지는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12)가 다시 온(ON) 하였을때에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12)를 흐르고 전력손실이 된다. 그러나 이 전력손실은 스너버 콘덴서(14)에 남는 최소 전압이 제로에 근사치가 되도록, 스위칭 듀티비를 선택함으로써 작게 할 수 잇다.
제2도에 있어서, 제1도와 다른 점은 지연회로(17) 뿐이며, 이와 같은 간단한 지연회로에서도 조건만 맞으면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또 능동소자에 의한 지연회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기존의 거의 모든 타려식 스위칭전원에 약간의 부품을 추가하는 것만으로 응용할 수가 있고, 더욱이 노이즈를 경감하는 효과는 부분공진의 노이즈 레벨에 가깝게 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전류 불연속모드의 타려식 스위칭전원의 메인스위칭 트랜스의 1차권선과, 상기 1차권선과 직렬로 접속된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와, 상기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를 온오프시키는 콘트롤회로와, 상기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턴오프할때에 상기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에 가해지는 서지전압을 흡수하기 위해 접속된, 콘덴서와 보조스위칭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와, 상기 콘덴서가 흡수하여 충전한 전압을 전류불연속기간에 상기 제1차권선을 통해 방전시키기 위해 상기 보조스위칭 트랜지스터에 병렬로 접속된 다이오드와, 상기 보조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온오프의 시각을 상기 메인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온오프의 시각보다 지연시키기 위해, 상기 콘트롤회로와 상기 보조스위칭 트랜지스터와의 사이에 접속된 지연회로와 이루어지고, 이것에 의해, 스위칭 노이즈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불연속모드의 타려식 스위칭전원의 소프트 스위칭회로.
KR1019930000122A 1992-12-17 1993-01-07 전류 불연속모드의 타려식 스위칭전원의 소프트 스위칭회로 KR970003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61792A JP2835899B2 (ja) 1992-12-17 1992-12-17 電流不連続モードの他励式スイッチング電源のソフトスイッチング回路
JP92-361792 1992-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072A KR940019072A (ko) 1994-08-19
KR970003237B1 true KR970003237B1 (ko) 1997-03-15

Family

ID=18474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122A KR970003237B1 (ko) 1992-12-17 1993-01-07 전류 불연속모드의 타려식 스위칭전원의 소프트 스위칭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35899B2 (ko)
KR (1) KR9700032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4946A (ja) * 2000-07-25 2002-02-08 Tdk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030022424A (ko) * 2001-07-31 2003-03-17 이현우 고역률 패널 에어컨용 전력변환장치
CN100342631C (zh) * 2002-11-08 2007-10-10 杭州千岛湖恒源电气有限公司 无损耗吸收的软开关电路
JP6132280B2 (ja) * 2012-12-14 2017-05-24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及びそれを搭載した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35899B2 (ja) 1998-12-14
KR940019072A (ko) 1994-08-19
JPH06189538A (ja) 199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4768A (en) Fixed frequency converter switching at zero voltage
US6031747A (en) Interleaved synchronous flyback converter with high efficiency over a wide operating load range
US6788556B2 (en) Switching power source device
US96410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zero voltage switching in power conversion systems
JPH0760998B2 (ja) 全ブリッジ・電力変換回路
US5027263A (en) Switching power source means
JPH09163736A (ja) Dc−dcコンバ−タ
US5654626A (en) Boost-converter with low losses
JP3475892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5333104A (en) Inverter power source
JPH076733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のスナバ回路
KR970003237B1 (ko) 전류 불연속모드의 타려식 스위칭전원의 소프트 스위칭회로
US6590790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KR20010110710A (ko) Dc/dc 변환 회로
JP2602752B2 (ja) 絶縁ゲート型電力用半導体素子の駆動回路
US20020000923A1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US6969975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power factor correction
JP3109667B1 (ja) Dc−dcコンバータ
JP2604668B2 (ja) スイッチング回路のスナバー回路
JP425380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9205770A (ja) Dc−dcコンバータ
KR960007997B1 (ko)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
JPH08317639A (ja) 同期制流方式のリンギングチョークコンバータ
JPH114578A (ja) 電圧変換装置
KR100215631B1 (ko)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smps)에서의 스위칭턴-온시 초기손실 방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