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373Y1 - 비닐하우스의 개폐 콘트롤 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의 개폐 콘트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373Y1
KR970002373Y1 KR2019940018918U KR19940018918U KR970002373Y1 KR 970002373 Y1 KR970002373 Y1 KR 970002373Y1 KR 2019940018918 U KR2019940018918 U KR 2019940018918U KR 19940018918 U KR19940018918 U KR 19940018918U KR 970002373 Y1 KR970002373 Y1 KR 970002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data
opening
temperature senso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89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597U (ko
Inventor
지상철
Original Assignee
지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상철 filed Critical 지상철
Priority to KR20199400189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373Y1/ko
Publication of KR9600035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5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3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비닐하우스의 개폐 콘트롤 장치
본 고안의 실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온도 센서부 20 : 스위치 모드
30 : 메인 콘트롤러 40 : 통신선
50,60,70 : 로칼박스 81,82,83 : 개폐동작부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천장, 이중천장, 삼중천창, 측창 등을 자동개폐시키는 비닐하우스 개페장치에 있어서, 각 연동별로 설치된 창개폐 조절용 개폐기를 중앙 집중 제어방식으로 콘트롤 하되 최소한의 전선을 이용하여 메인 콘트롤러에서 각 연동에 설치된 개폐기를 콘트롤 하도록 하는 비닐 하우스 개폐 콘트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는 그 크기에 따라 여러개의 비닐하우스를 연이어 설치하고 있으며 연속적으로 설치된 비닐하우스를 1연동, 2연동....으로 칭한다.
각각의 연동에는 맨윗면의 천창과 그밑의 이중천창 및 삼중천창이 설치되고 바깥쪽 연동에는 측창이 설치된다.
천창과 이중천창 및 삼중천창 그리고 측장에는 개폐기를 달아 비닐하우스 내부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시켜 주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비닐하우스 개폐기용 모터는 본 출원인이 실용 신안등록출원 92-20880,20881호로 선출원한바 있으며 실 용신안등록출원 94-5937호로는 개폐기의 분산제어 방식을 선출원 한바 있다.
분산제어 방식은 각 개폐기에 공급되는 전선을 2개만 할당하여 전선수를 줄이는 한편 각 연동마다 분산 제어장치를 두어 분산 제어장치에서 각 개폐기가 연결되게 하므로 규격화 및 생산성을 늘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분산제어 방식은 각 모터의 콘트롤을 변경시킬 경우 배선을 다시 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즉 측창의 개폐제어를 천창과 같이 개폐되게 하거나 천창을 측창과 같이 개폐되도록 하고자 할 경우 개폐기 모터에 연결된 배선을 다시 해 주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하나의 메인 콘트롤러에서 각 연동에 설치된 개폐기 모터를 각각 콘트롤 할수 있도록 하되 하나의 통신선을 이용하여 각 개폐기 콘트롤이 가능 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 내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 센서의 입력을 인식하여 각 개폐기 모터 구동제어 신호를 박스(BOX)데이타와 함께 하나의 통신선을 통하여 송출하도록 하고 동작 연동에서는 미리 정해진 박스데이타에 따른 모터 구동 제어 신호를 인식하여 각각의 개폐기 모터를 콘트롤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실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비닐 하우스내에 설치되고 내부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부(10)와, 온도센서부(10)의 온도센서 입력에 박스테이타를 실어 하나의 통신선으로 송신하는 메인 콘트롤러(30)와, 각 연동 마다 설치되고 통신선으로 인가된 데이터중에서 박스데이타가 일치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모터 구동을 제어하는 로칼박스(50)(60)(70)와, 상기 로칼 박스(50)(60)(70)의 모터 구동신호에 의해 각연동에 설치된 개폐기의 개폐동작을 선택하는 개폐동작부(81)(82)(83)로 구성된다.
여기서 메인 콘트롤러(30)는 비닐하우스에 한 개만 설치되는 것으로 온도 센서부(10)의 온도센서 입력을 조합 설정기(32)의 박스데이타와 조합시키는 조합회로(31)와, 상기 조합회로(31)의 조합 데이터와 스위치 보드(20)의 수동 스위치 신호를 절환 선택하는 자, 수동 절환회로(33)와, 상기 자, 수동 전환회로(33)의 선택출력을 선택적으로 출력 시키는 멀티플렉서(34)와, 상기 멀티플렉서(34)의 출력테이타를 증폭시켜 하나의 통신선(40)으로 출력시키는 출력부(35)로 구성된다. 이때 통신선(40)은 8라인의 모터 구동데이타와 4라인의 박스테이타를 전송 시킬수 있는 12라인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메인 콘트롤러(30)내부에 전원부(36)가 구성되어 각각의 필요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전원부(36)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다.
로칼박스(50)는 통신선(40)을 통하여 인가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반전 증폭 시키는 수신회로(51)와, 상기 수신회로(51)에 인가된 데이터중 박스 데이터를 박스 설정기(53)로 설정시킨 데이터와 비교하는 박스비교기(52)와, 박스비교기(52)에서 동일 박스 데이터로 비교될 때 모터 구동 데이터 상태를 유지 시키는 상태 유지기(54)와,
상기 상태유지기(54)에서 유지된 모터 구동 신호를 증폭시켜 릴레이(56)(57)로 출력시키는 출력회로(5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태유지기(54)는 래치로 구성되고 로칼 박스(50)는 각 연동별로 설치되므로 로칼박스(50)와 연동수는 일치된다.
개폐 동작부(81)는 모터(M1-M4)로 구성되어 천창, 이중천창, 삼중천창, 측창의 개폐기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에서 온도센서부(10)는 4개 온도센서부(10)는 4개 온도센서(11-14)로 구성되어 비닐하우스내의 온도를 체크 감지 하게 되며 본 고안은 상기 온도 센서(11-14)로 온도 감지 결과에 따라 각 연동 개폐기가 콘트롤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온도 센서부(10)의 온도 감지 신호는 메인 콘트롤러(30)의 조합 회로(31)에 인가되어 조합 설정기(32)로 설정시킨 박스 데이터와 조합되어 진다.
여기서 조합 회로(31) 및 조합 설정기(32)는 연동 개수와 동일하며 조합 설정기(32)의 박스 데이터는 각 연동별로 설치된 로칼 박스(50)의 박스 설정기(53)와 일치 시킨다.
예를 들면 첫 번째 조합 설정기(32)에서 A라는 박스데이타를 설정하면 첫 번째 연동의 박스설정기(53)도 A라는 박스데이타를 설정해 주어야 한다.
조합회로(31)에서 온도 감지 신호와 박스 데이터가 조합된 신호는 자, 수동 전환회로(33)에서 선택적으로 멀티플렉서(34)에 인가 된다.
여기서 자, 수동 전환회로(33)는 스위치보드(20)에서 자동을 선택하면 조합회로(31)의 출력을 멀티플렉서(34)에 인가시키고 수동을 선택하면 스위치보드(20)에 설치된 수동조절 스위치 신호를 멀티플렉서(34)에 인가 시킨다.
따라서 자동을 선택하면 각 연동의 개폐기가 온도 센서부(10)의 온도 감지 신호에 의하여 개폐 동작이 선택되어지고 수동을 선택하면 수동조절 스위치로 조정한 상태에 따라 개폐기의 개폐동작이 선택되어 진다.
멀티플렉서(34)에서 선택되어진 데이터(4개의 박스테이타와 8개의 신호데이타)는 출력부(35)에서 증폭 되어진 후 12라인의 통신선(40)을 통하여 각 로칼 박스(50)(60)(70)에 전달된다.
로칼박스(50)의 수신회로(51)에서는 통신선(40)으로 인가된 데이터를 반전 증폭시킨후 박스 테이타를 박스 비교기(52)에 인가시켜 박스 설정기(53)의 설정된 박스 데이터와 비교되게 한다.
박스비교기(52)에서 수신된 박스데이타와 설정된 박스데이타가 일치하면 래치로 구성되는 상태유지기(54)에서 박스데이타 이외의 모터 구동 신호를 상태 유지 시킨다.
나머지 로칼 박스(60)(70)의 동작도 상기와 동일하므로 하나의 통신선(40)으로 데이터를 전송시키더라도 미리 박스데이타를 일치시킨 연동에서 필요한 모터 구동 신호만 상태 유지 시키게 된다.
따라서 메인 콘트롤러(30)에서 로칼박스(50)의 구동을 콘트롤 할수 있으며 이러한 콘트롤 방법은 단순히 12라인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통신선(40)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므로 설기가 간단하고 개폐기의 동작 상태를 변환시키더라도 간단히 그 동작을 수행 시킬 수 있다.
상태 유지기(54)에서 상태 유지된 모터 구동 신호는 출력회로(55)에서 증폭시켜 릴레이(56)(57)를 구동시킴으로써 개폐 동작부(81)의 모터(M1-M4)를 콘트롤 하게 된다.
즉 개폐 동작부(81)에 설치된 4개의 개폐기에 사용된 모터를 온도센서(11-14)의 출력에 따라 각각 구동제어 시킬수도 있고 하나의 온도 센서(11)출력을 이용하여 4개의 모터를 동시에 구동제어 시킬수도 있다.
이러한 개폐기 모터 구동 동작은 단순히 조합 설정기(32)에서의 조합 상태에 따라 변화 시킬수 있으므로 간단히 목적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으며 기존과 같이 모터에 연결된 라인을 다시 설치 접속 시켜야 하는 불편이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개폐기 제어에 있어서, 각 연동의 개폐기 동작을 메인콘트롤러에서 하나의 통신선을 이용하여 간단히 콘트롤 해 줄수 있는 것으로 개폐기 동작제어의 간단함과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비닐하우스내에 설치되어 각 부위 온도를 측정 감지하는 온도 센서부(10)와, 온도 센서부(10)의 온도센서 입력을 선택하고 제어 연동을 지정하는 박스 데이터와 조합하여 하나의 통신선(40)으로 각 연동에 송신하는 메인 콘트롤러(30)와, 각 연동마다 설치되고 통신선으로 인가된 데이터중에서 박스데이타가 일치하는 데이타를 수신하여 모터 구동을 제어하는 로칼박스(50)(60)(70)와, 상기 로칼 콘트롤러(50)(60)(70)의 모터 구동신호에 의해 각연동에 설치된 개폐기의 개폐동작이 선택되는 개폐동작부(81)(82)(83)로 구성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 개폐콘트롤 장치.
KR2019940018918U 1994-07-26 1994-07-26 비닐하우스의 개폐 콘트롤 장치 KR970002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8918U KR970002373Y1 (ko) 1994-07-26 1994-07-26 비닐하우스의 개폐 콘트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8918U KR970002373Y1 (ko) 1994-07-26 1994-07-26 비닐하우스의 개폐 콘트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597U KR960003597U (ko) 1996-02-14
KR970002373Y1 true KR970002373Y1 (ko) 1997-03-21

Family

ID=19389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8918U KR970002373Y1 (ko) 1994-07-26 1994-07-26 비닐하우스의 개폐 콘트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37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2623B1 (ko) * 2020-05-29 2022-07-20 김경준 다수 비닐하우스의 자연환기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597U (ko) 1996-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9987A (en) Window operator control
ATE131899T1 (de) Fenstersystem für ein gebäude
CA2109144A1 (en) Electronic Switch Assembly for Motorized Window System
US5414334A (en) Control device for an asynchronous roller-blind motor
KR970002373Y1 (ko) 비닐하우스의 개폐 콘트롤 장치
JP3691390B2 (ja) 電動ブラインド装置
KR101060483B1 (ko) 창문개폐장치
KR970078715A (ko) 원격조정 통합 가정 자동화 시스템
JPH0314983A (ja) 弁の遠隔制御装置
JPH0317385A (ja) ブラインドの制御装置
KR960010452Y1 (ko) 비닐하우스 개폐기용 모터 콘트롤 장치
JPH0420197A (ja) 環境制御システム
KR200180392Y1 (ko) 기계설비의 배선 절감장치
KR100333268B1 (ko)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
JPH09116970A (ja) 遠隔電源制御システム
JPH0791137A (ja) 電動式扉装置
JP2711164B2 (ja) エクステリア電建設備
JPH08151877A (ja) 建築用電動開閉装置における誤作動防止構造
JPH06241545A (ja) 空気調和設備
JP2542943Y2 (ja) 電動採光窓装置
JPH05248152A (ja) 電動開閉装置
KR950012302B1 (ko)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
JPH0530582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H06137049A (ja) 電動開閉機器制御装置
JP2000096958A (ja) 電動シャッターの配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