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268B1 -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268B1
KR100333268B1 KR1019990006588A KR19990006588A KR100333268B1 KR 100333268 B1 KR100333268 B1 KR 100333268B1 KR 1019990006588 A KR1019990006588 A KR 1019990006588A KR 19990006588 A KR19990006588 A KR 19990006588A KR 100333268 B1 KR100333268 B1 KR 100333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entral monitoring
building
monitoring panel
mai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6863A (ko
Inventor
오승욱
Original Assignee
문성주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주,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filed Critical 문성주
Priority to KR1019990006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268B1/ko
Publication of KR20000056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구비된 복수개의 기능모듈과; 상기 복수개의 기능모듈과 각각 연결되어 다른 장치와의 제어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입출력 모듈과; 일 측이 상기 중앙감시반과 연결되어 빌딩내에 설치된 각종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타 측이 상기 입출력모듈과 복수개의 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중앙감시반의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설정치에 따라 상기 각 기능모듈을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러와;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로 구성되어 빌딩에 설치된 상기 기능모듈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빌딩관리자로부터 소정의 설정치를 입출력하도록 구비된 중앙감시반과;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중앙감시반과의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시리얼 통신장치와;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입출력버스와의 데이터 통신 및 전원을 송수신하기 위한 투 라인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아파트자동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의 배선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APARTMENT AUTOMATIC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메인 컨트롤러와 입출력 모듈 사이에 2개의 케이블로써 전원을 공급하고, 데이터 신호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에는 거주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관리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도 아파트에 설치된 각종 장치들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아파트에 설치되어 거주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내지 제n 기능모듈(16a)(16b)(16c)(16d)(16e)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모듈의 종류와 개수는 아파트의 크기나 구조에 따라 서로 다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언급을 생략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서, 아파트 주차장의 환기를 위하여 설치된 주차장 환기 시스템, 아파트 주민에게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탱크의 수위를 감지한 다음, 물탱크에 적정량의 물이 채워져 있지 않으면 상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도물을 저장하였다가 물이 넘치기 직전에 상수도관으로부터의 물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된 수위조절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이밖에도, 아파트의 온도를 소정 레벨 이상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난방시스템, 빌딩 내부의 조명 기구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조명장치, 빌딩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적절히 제어하는 전력제어장치 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내지 제n 기능모듈(16a)(16b)(16c)(16d)(16n)은 그 자체로서 동작하지 않고,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다른 장치 즉, 소정의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는 제어장치와 매체를 통해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어장치와 접속되어 제어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통신할 때, 이를 관리할 장치 즉, 입출력모듈(14)과 연결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입출력모듈(14)과 제1 내지 제n 기능모듈 간에는 시리얼통신 케이블로써 연결되어 시리얼통신칩인 RS-485칩에 의한 시리얼통신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입출력모듈(14)은 복수개의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n 기능모듈(16a)(16b)(16c)(16d)(16n)을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러(12)와 연결되어 있고, 이 메인컨트롤러(12)는 중앙감시반(10)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중앙감시반(10)과 상기 메인컨트롤러(12)는 제1 버스(L1)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메인컨트롤러(12)는 입출력모듈(14)와 제2 버스(L2)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아파트자동화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파트의 관리책임자는 중앙감시반(10)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데이터를 참고하여 아파트에 설치된 각종 장치들 즉, 제1 내지 제n 기능모듈의 동작상태를 점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감시반(10)은 컴퓨터본체와, 모니터와, 입력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중앙감시반의 컴퓨터본체에는 빌딩에설치된 기능모듈의 동작상태를 관리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고, 기능모듈의 설정치를 변경하도록 데이터를 입력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관리자에 의해서 입력된 설정치에 따라 아파트에 설치된 각종 장치들은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아파트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입출력모듈 사이에 설치된 디지털 입력라인과, 디지털 출력라인과, 아나로그 입력라인과, 그리고 전원라인등의 연결배선 때문에 배선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여러가닥으로 이루어진 배선라인 때문에 실내 미관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메인컨트롤러와 입출력모듈 사이에 두 개의 라인만으로 된 투라인 신호방식을 채택하여 각종 배선 비용을 절감하도록 한 아파트자동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3a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아파트자동제어시스템의 투라인 버스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감시반12 ; 메인컨트롤러
14 ; 입출력모듈16a ; 제1 기능모듈
16b ; 제2 기능모듈16c ; 제3 기능모듈
16d ; 제4 기능모듈16n ; 제n 기능모듈
L1 ; 제1 버스L2 ; 제2 버스
L3 ; 제3 버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빌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구비된 복수개의 기능모듈과; 상기 복수개의 기능모듈과 각각 연결되어 다른 장치와의 제어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입출력 모듈과; 일 측이 상기 중앙감시반과 연결되어 빌딩내에 설치된 각종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타 측이 상기 입출력모듈과 복수개의 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중앙감시반의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설정치에 따라 상기 각 기능모듈을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러와;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로 구성되어 빌딩에 설치된 상기 기능모듈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빌딩관리자로부터 소정의 설정치를 입출력하도록 구비된 중앙감시반을 포함한 아파트자동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아파트내에 설치되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1 내지 제n 기능모듈(16a)(16b)(16c)(16n)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각 기능모듈은 아파트에 거주하는 사람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된 장치로서, 예를들어서 밀폐된 지하의 공기를 환기시켜주기 위한 지하주차장 환기시스템, 아파트 내부를 적절한 온도로 설정해주기 위한 중앙집중식 냉난방시스템등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n 기능모듈(16a)(16b)(16c)(16n)은 외부와의 제어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입출력모듈(14)과 연결되어 있고, 이 입출력모듈(14)은 상기 기능모듈(16a)(16b)(16c)(16n)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컨트롤러(12)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컨트롤러(12)는 중앙감시반(10)과 연결되어 있고, 이 중앙감시반(10)은 아파트에 설치된 각종 장치들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하고, 관리자의 설정치를 입력받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중앙감시반(10)은 컴퓨터본체와, 모니터와, 입력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 라인 버스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메인컨트롤러 내부에는 투 라인 버스방식에 따른 구동부(40)가 장착되고, 상기 입출력 모듈 내부에는 수신부(50)가 장착된다. 상기 구동부(40)는 전송할 데이터를 소정의 전압레벨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42)와, 데이터를 통신형식으로 변환시키는 통신부(44)와, 전송할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선택부(46)와, 신호선택부(46)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칭부(4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신부(50)는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대역폭으로 걸러주는 노이즈필터(56)와, 걸러진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해주는 증폭기(54)와, 증폭된 신호를 검사하는 히스테리시스 비교기(5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아파트자동화시스템에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 상기 입출력모듈 사이에 행해지는 투 라인버스 방식의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 컨트롤러와, 입출력모듈간에 주고받는 신호 형태는 전원, 제어신호, 데이터신호가 있는데, 이러한 모든 신호가 두 개의 라인으로 된 케이블을 통하여 이뤄지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투 라인 버스 방식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신호변환부(42)에서 송신할 데이터를 소정의 전압레벨로 변환하고, 상기 통신부(44)는 변환된 데이터를 데이터 통신 형식에 맞도록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신호선택부(46)는 전송하고자 하는 많은 데이터중에서 우선적으로 송신해야할 데이터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스위칭부(48)는선택된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노이즈필터(56)는 수신된 신호중에서 소정의 대역폭을 가진 신호만을 선택하고, 선택된 신호는 상기 증폭기(54)를 통하여 소정의 레벨로 증폭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증폭된 신호는 상기 히스테리시스 비교기(52)를 통하여 통신에러 여부를 검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의 배선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빌딩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구비된 복수개의 기능모듈과,
    상기 복수개의 기능모듈과 각각 연결되어 다른 장치와의 제어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입출력 모듈과,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로 구성되어 빌딩에 설치된 상기 기능모듈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빌딩관리자로부터 소정의 설정치를 입출력하도록 구비된 중앙감시반과,
    일 측이 상기 중앙감시반과 연결되어 빌딩내에 설치된 각종 장치들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타 측이 상기 입출력모듈과 2개의 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중앙감시반의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설정치에 따라 상기 각 기능모듈을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러와,
    상기 중앙감시반과 상기 메인 컨트롤러와의 시리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시리얼 통신부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컨트롤러와 상기 입출력모듈사이에 연결된 2개의 케이블로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전원을 송수신하기 위한 투라인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아파트자동제어시스템.
  2. 청구항2는 삭제 되었습니다.
KR1019990006588A 1999-02-26 1999-02-26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 KR100333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588A KR100333268B1 (ko) 1999-02-26 1999-02-26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588A KR100333268B1 (ko) 1999-02-26 1999-02-26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863A KR20000056863A (ko) 2000-09-15
KR100333268B1 true KR100333268B1 (ko) 2002-04-24

Family

ID=19575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588A KR100333268B1 (ko) 1999-02-26 1999-02-26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2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863A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43226B1 (en) Lighting control
US5743101A (en) Air-conditioner
JPS6290049A (ja) 2線式通信方式
JPS62269596A (ja) 遠隔操作盤
KR200427916Y1 (ko) 키패드 방식 및 2선식 직류 전력선 통신의직접디지털제어기를 이용한 빌딩 자동제어 시스템
KR100545623B1 (ko)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JPH1084360A (ja) 制御装置
KR100333268B1 (ko)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
US20020147874A1 (en) Control arrangement
KR200176502Y1 (ko) 모터 원격 제어장치
KR100421641B1 (ko) 다중 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
JPH10304467A (ja) 負荷制御用端末装置及び負荷制御システム
KR102298928B1 (ko) 공동주택의 세대별 통신용 케이블 점검 및 관리 시스템
JP4333250B2 (ja) 防災照明用監視システム
CN218918243U (zh) 一种光字牌报警系统
KR100513670B1 (ko) 론워크 및 아이피에스를 이용한 버스용 룸램프 제어 방법
EP1356352A1 (en) Control arrangement based on can-bus technology
CN216351862U (zh) 智能iot手自动控制盘
KR200444668Y1 (ko) 택시용 빈차등
JPH09284229A (ja) 閉空間光伝送システム
JP4550467B2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運転システム
JPH0685594B2 (ja) ホーム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H05297986A (ja) オンライン端末電源の集中制御装置
KR200338008Y1 (ko) 오토 리프팅 멀티박스 장치
JP4828319B2 (ja) エレベータ信号伝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