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641B1 - 다중 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641B1
KR100421641B1 KR10-2000-0043110A KR20000043110A KR100421641B1 KR 100421641 B1 KR100421641 B1 KR 100421641B1 KR 20000043110 A KR20000043110 A KR 20000043110A KR 100421641 B1 KR100421641 B1 KR 100421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boiler
cone
cones
mai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9732A (ko
Inventor
강신구
강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Priority to KR10-2000-0043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641B1/ko
Publication of KR20020009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3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d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한 대의 보일러에 대해 동일한 기능 및 성능을 갖는 다수 개의 룸콘을 각기 다른 원하는 곳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 관계없이 가장 가까이 있는 룸콘을 선택하여 보일러의 난방/온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 개의 룸콘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면 자동으로 나머지 룸콘 중 어느 하나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보일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중 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boiler using multiple room-controller}
본 발명은 다중 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한 대의 보일러에 대해 동일한 기능 및 성능을 갖는 다수 개의 룸콘을 각기 다른 원하는 곳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 관계없이 가장 가까이 있는 룸콘을 선택하여 보일러의 난방/온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 개의 룸콘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면 자동으로 나머지 룸콘 중 어느 하나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보일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중 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한 공간 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일의 능률을 올리도록 하는 것을 공기조화라 하며, 이때 사용되는 인위적인 수단을 공기조화장치라고 한다.
이 공기조화장치에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냉방장치와 온도를 높이는 난방장치가 있다.
난방장치는 에너지원에 따라 유류를 사용하는 기름보일러와 기체를 사용하는 가스보일러로 구분되는데, 기름보일러와 가스보일러는 유류와 가스가 산화되면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유체(물)를 가열하고, 이 가열된 유체를 순환시켜 실내의 온도를 높임과 동시에 온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기능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고, 사용되는 연료 또한 폐기물이나 태양열 등으로 확대되면서 누구나 보일러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난방 및 온수를 제공받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보일러(200) 사용 시에 사용자는 보일러(200)의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메인콘트롤러(210)나 집안에 설치되어 있는 룸콘(100)을 이용하여 구동을 제어하게 되는데, 보일러(200) 한 대당 룸콘(100)이 하나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일러(200)의 작동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룸콘(100)이 설치된 곳까지 가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특히, 가옥 구조가 2층과 같이 2가구 이상이 살고 있는 경우에는 더욱더 불편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2층집인 경우 주로 룸콘(100)은 1층 안방에 설치된다.이런 경우 2층에 있는 사람 및 다른 방에 있는 사람이 보일러(200)를 난방 및 온수기능을 조작할 경우 안방으로 이동해 조작해야 되며, 특히 한밤중에 조작할 경우에는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한편, 최근에는 온수를 많이 사용함에 따라 생활의 편리를 위해 보일러 1대에 난방과 온수를 제어하는 메인룸콘과 온수만을 제어할 수 있는 여러 개의 보조룸콘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품까지 설계되어 온수를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여러 개의 보조룸콘을 설치할 수 있도록 소비자가 보조룸콘을 조작하면 메인룸콘에서 이를 판단하고 보조룸콘의 온수 설정 상태를 보일러의 메인콘트롤러로 전송하여 보조룸콘의 온수기능 선택상태에 따라 보일러의 온수운전을 제어하도록 하는 방안이 연구 개발되어 제안되기도 하였다.하지만 이 방식 또한 보일러의 난방 기능에 대해서는 메인룸콘으로만 조작할 수 있어 난방 관련하여 기능 변경을 할 경우에는 메인룸콘이 설치된 장소로 이동해야 되고, 온수제어기능을 갖는 보조룸콘 또한 메인룸콘이 고장나면 전혀 사용할 수 없어 룸콘은 여러 개이지만 난방 관련 기능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우리나라에 경우에는 룸콘 1개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해 과거의 불편함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대의 보일러에 대해 동일한 기능 및 성능을 갖는 다수 개의 룸콘 즉, 일반적인 보일러의 난방/온수 관련 모든 기능을 갖는 룸콘을 여러 개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장소 각기 다른 곳에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일러의 난방/온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 관계없이 가장 가까이 있는 룸콘을 선택하여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다수 개의 룸콘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면 자동으로 나머지 룸콘 중 하나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고장난 룸콘이 선택되었던 기능으로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게 보일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중 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룸콘과 보일러 간의 배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 개의 룸콘과 보일러 간의 배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룸콘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선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룸콘A,B,C의 동작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설정부 20 ; 연산부
30 ; 제어부 40 ; 통신데이터 처리부
50 ; 통신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각각 다른 곳에 설치된 다수 개의 룸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보일러의 동작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동작에 대응되는 제어신호가 보일러의 메인콘트롤러에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콘트롤러가 보일러의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룸콘과 보일러의 메인콘트롤러는 일정주기로 통신을 하면서 상기 제어신호를 송, 수신하고, 상기 다수 개의 룸콘은 일정주기로 서로 통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 개의 룸콘과 보일러 간의 배선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룸콘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선도이고,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룸콘A,B,C의 동작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룸콘을 이용한 보일러의 제어방법은, 동일한 기능 및 성능을 갖고 각기 다른 곳에 설치된 다수 개의 룸콘 (3,4,5)과 보일러(1)의 메인콘트롤러(2) 간의 통신이 일어나면서 진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룸콘(3,4,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1)의 동작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10; 10a,10b,10c)와, 상기에서 설정된 동작에 대해 입력된 제어신호가 노이즈 등에 의해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산부(20; 20a,20b,20c)와, 상기 제어신호가 비교, 판단되는 제어부(30; 30a,30b, 30c)와, 상기 제어신호가 통신데이터로 변환되는 통신데이터 처리부(40; 40a,40b, 40c)와, 상기 통신데이터를 다른 룸콘 및 보일러(1)의 메인콘트롤러(2)로 전송시키는 통신부(50; 50a,50b,50c)와, 보일러(1)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60; 60a,60b,6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다수개의 룸콘(3,4,5)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일러(1)의 구동을 제어하고자 할 때는, 우선 가장 가까이 위치한 룸콘을 찾는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룸콘(3,4,5)이 욕실, 안방, 거실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욕실에 설치된 룸콘(3)을 "A"라 하고, 안방에 설치된 룸콘(4)을 "B"라고 하고, 거실에 설치된 룸콘(5)을 "C"라고 할 때, 사용자가 욕실에서 보일러(1)의 기능 중 온수를 선택하고자 한다면, 룸콘A(3)의 설정부(10a)에서 "온수" 버튼을 누른다.
이때, 상기 설정부의 도면번호를 10a라 한 것은 룸콘A(3)의 설정부(10)란 뜻으로, 이는 룸콘B(4)와 룸콘C(5)에도 적용된다.
이후, 상기 룸콘A(3)의 설정부(10a)로 설정된 동작에 대한 제어신호는 노이즈 등에 의해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룸콘A(3)의 연산부(20a)를 거쳐, 룸콘A(3)의 제어부(30a)에 전송된다.
이후, 상기 룸콘A(3)의 제어부(30a)에서 비교, 판단된 제어신호는 룸콘A(3)의 통신데이터 처리부(40a)에서 통신데이터로 변환되고, 상기 통신데이터는 룸콘A(3)의 통신부(50a)에서 다른 룸콘B,C(4,5)의 통신부(50b, 50c) 및 보일러(1)의 메인콘트롤러(2)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룸콘A(3)에서 다른 룸콘B,C(4,5)의 통신부(50b, 50c) 및 보일러(1)의 메인콘트롤러(2)로의 전송은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이뤄진다.
즉, 상기 룸콘A,B,C(3,4,5)와 보일러(1)의 메인콘트롤러(2) 간에는 일정한 통신주기가 있어 그에 따라 통신시간이 되면 서로 통신이 이뤄지고 난 후, 각기 다른 룸콘 간에도 일정한 통신주기가 있어 그에 따라 통신시간이 되면 통신이 이뤄지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룸콘A(3)와 보일러(1)의 메인콘트롤러(2) 간의 통신시간이 되면 룸콘A(3)의 통신부(50a)에서 보일러(1)의 메인콘트롤러(2)로 통신데이터가 전송되고, 상기 보일러(1)의 메인콘트롤러(2)에서는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보일러(1)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후, 상기 룸콘A(3)과 보일러(1)의 메인콘트롤러(2) 간의 통신이 끝나고 각기 다른 룸콘간의 통신시간이 되면, 상기 룸콘A(3)의 통신부(50a)에서는 상기 룸콘B,C(4,5)의 통신부(50b, 50c)에 통신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래서, 상기 룸콘B(4)의 통신부(50b)에 상기 통신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는 룸콘B(4)의 통신데이터처리부(40b)를 거쳐 룸콘B(4)의 제어부(30b)로 보내지고, 상기 룸콘B(4)의 제어부(30b)에서는 룸콘A(3)가 선택되었다는 것을 판단하고, 판단한 내용을 룸콘B(4)의 표시부(60b)에 출력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룸콘B(4)의 "OFF"에 불이 들어오고, 동시에 룸콘A(3)에 의해 설정된 "온수" 기능에 불이 들어온다.
그리고, 룸콘 간의 통신시간이 되면 룸콘A(3)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된 내용을 룸콘B(4)의 통신부(50b)를 통해 룸콘A(3) 및 룸콘C(5)의 통신부(50a, 50c)로 보낸다.
이때, 상기 룸콘C(5)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거치면서 룸콘A(3)가 선택되어 있다는 것이 판단되면, 이는 룸콘C(5)의 표시부(60C)에 출력된다.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룸콘C(5)에도 역시 "OFF"에 불이 들어오고, 동시에 룸콘A(3)에 의해 설정된 "온수" 기능에 불이 들어온다.
그리고, 역시 룸콘 간의 통신시간이 되면, 룸콘A(3)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된 내용을 룸콘A(3) 및 룸콘B(4)의 통신부(50a, 50b)로 보낸다.
이후, 상기 룸콘A(3)에서는 통신부(50a)를 통해 룸콘B(4)와 룸콘C(5)에서 송신된 내용을 수신하고, 룸콘A(3)의 통신데이터처리부(40a), 제어부(30a)를 거치면서 자신이 선택된 것이 인정되었음이 판단되면, 룸콘A(3)의 표시부(60a)에 이를 출력한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한 "온수" 기능 및 "ON"에 불이 켜지면서, 사용자가 룸콘A(3)를 이용하여 "온수" 기능을 설정했음을 알리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보일러(1)의 기능을 재설정하고자 하여 사용자가 가장 가까이 있는 룸콘을 통해 보일러(1)의 기능을 재설정하면,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거치면서 보일러(1)의 구동이 제어된다.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은 동일한 기능 및 성능을 갖는 다수개의 룸콘A,B,C(3,4,5)를 통해 보일러(1)를 각각 제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 관계없이 가장 가까이 있는 룸콘을 선택하여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특히, 상기 다수 개의 룸콘(3,4,5)들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서로 통신 송/수신을 하여 우선순위 및 이상상태를 확인하기 때문에 다수 개의 룸콘(3,4,5)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면, 자동으로 나머지 룸콘 중 어느 하나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고장난 룸콘이 선택되었던 기능으로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 대의 보일러에 대해 동일한 기능 및 성능을 갖는 다수 개의 룸콘을 소비자가 원하는 장소 각기 다른 곳에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보일러의 난방/온수 운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위치한 곳에 관계없이 가장 가까이 있는 룸콘을 선택하여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필요이상 이동하여 보일러를 조작하지 않아도 돼 원하는 대로 편리하게 보일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이상 발생 시 보일러 관리자가 A/S하기 위해 보일러실과 룸콘이 설치되어 있는 안방 또는 거실로 이동하지 않고 보일러실과 가장 가까이 있는 룸콘을 선택하여 A/S 처리할 수 있어 더욱더 편리하다.그리고, 상기와 같이 룸콘 간 서로 통신을 하므로 다수 개의 룸콘이 각각의 상태를 송/수신된 통신데이터로 판단할 수 있어 다수 개의 룸콘 중 비 선택된 룸콘이 고장(통신 답변 및 오류..)나면, A/S 받을 때까지 고장난 룸콘을 제외한 나머지 룸콘에 의해 보일러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되어 사용 중인 룸콘이 고장나도, 자동으로 나머지 룸콘 중 하나가 선택되어 고장난 룸콘이 선택되었던 기능으로 보일러를 제어할 수 있어 A/S받을 때까지 보일러를 정상적으로 계속 사용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보일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룸콘의 설정된 기능에 대응되는 제어신호가 보일러의 메인콘트롤러에 전송되어 그 제어신호에 따라 메인콘트롤러가 보일러의 운전을 제어하고, 그 제어 상태에 대응되는 신호가 룸콘으로 전송되어 상태를 표시하는 보일러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 및 성능을 갖는 다수 개의 룸콘이 보일러의 메인콘트롤러에 병렬 연결되는 단계와;
    다수개의 룸콘 중 소비자에 의해 버튼이 최종 조작된 룸콘으로 항상 자동 선택되고, 상기 설정된 동작에 대응되는 제어신호가 보일러의 메인콘트롤러에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콘트롤러가 보일러의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룸콘 중 선택된 룸콘과 보일러의 메인콘트롤러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1:1 통신을 하면서 상기 제어신호를 송, 수신하고 비선택된 룸콘들은 메인콘트롤러의 통신데이터를 수신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룸콘들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서로 통신 송/수신을 하여 우선순위 및 이상상태를 확인하며, 다수 개의 룸콘 중 선택된 룸콘이 고장난 경우, 자동으로 다른 룸콘이 선택되어 보일러 메인콘트롤러와 통신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
KR10-2000-0043110A 2000-07-26 2000-07-26 다중 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 KR100421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110A KR100421641B1 (ko) 2000-07-26 2000-07-26 다중 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110A KR100421641B1 (ko) 2000-07-26 2000-07-26 다중 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732A KR20020009732A (ko) 2002-02-02
KR100421641B1 true KR100421641B1 (ko) 2004-03-10

Family

ID=19680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110A KR100421641B1 (ko) 2000-07-26 2000-07-26 다중 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6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912B1 (ko) 2017-09-19 2019-02-2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 온도조절기의 멀티 연결시 실내온도 제어방법
KR20190078825A (ko) 2017-12-27 2019-07-0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복수의 온도조절기 동시 연결시 자동설정 및 통신패킷 자동 갱신방법
KR102070187B1 (ko) 2018-11-27 2020-01-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와 룸콘 간의 통신상태확인 장치 및 방법
KR20200103447A (ko) * 2019-02-25 2020-09-02 정기영 중앙난방 및 급탕온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024B1 (ko) * 2000-12-14 2003-07-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우선권을 갖는 멀티 리모콘을 통한 보일러의 온수/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888853B1 (ko) * 2007-06-19 2009-03-17 (주)이씨엘 자동 제어 난방시스템
KR20210071331A (ko)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보일러 시스템을 위한 멀티-룸콘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328U (ko) * 1993-07-16 1995-02-17 이철희 보일러용 다중 원격조정기
JPH07293905A (ja) * 1994-04-28 1995-11-10 Sanyo Electric Co Ltd 暖房装置
KR20000034716A (ko) * 1998-11-30 2000-06-26 강성모 보일러의 원격 조작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328U (ko) * 1993-07-16 1995-02-17 이철희 보일러용 다중 원격조정기
JPH07293905A (ja) * 1994-04-28 1995-11-10 Sanyo Electric Co Ltd 暖房装置
KR20000034716A (ko) * 1998-11-30 2000-06-26 강성모 보일러의 원격 조작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912B1 (ko) 2017-09-19 2019-02-2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 온도조절기의 멀티 연결시 실내온도 제어방법
KR20190078825A (ko) 2017-12-27 2019-07-0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복수의 온도조절기 동시 연결시 자동설정 및 통신패킷 자동 갱신방법
KR102070187B1 (ko) 2018-11-27 2020-01-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와 룸콘 간의 통신상태확인 장치 및 방법
KR20200103447A (ko) * 2019-02-25 2020-09-02 정기영 중앙난방 및 급탕온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68625B1 (ko) * 2019-02-25 2021-06-22 정기영 중앙난방 및 급탕온도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732A (ko) 200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7820B1 (e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air conditioner
US7651034B2 (en) Appliance room controller
KR100421641B1 (ko) 다중 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
KR200342139Y1 (ko) 무선 각방 제어 난방시스템
EP2674822B1 (en) Connecting split HVAC systems to the internet and/or smart utility meters
JP7330547B2 (ja) リモコン通信を用いた節電制御システム
JP2008176767A (ja) ビルディング管理システム
KR102331001B1 (ko) 온수매트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09734A (ko) 하나의 룸콘을 이용한 다수 개의 보일러 제어방법
KR100611899B1 (ko) 각방온도 제어시스템의 난방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390024B1 (ko) 우선권을 갖는 멀티 리모콘을 통한 보일러의 온수/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949912B1 (ko) 보일러 온도조절기의 멀티 연결시 실내온도 제어방법
KR102036114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JPS60103243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100669653B1 (ko) 각방 난방장치의 통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438313B1 (ko) 개별 난방 제어 시스템
KR20020047844A (ko) 리모트 콘트롤을 이용한 보일러의 난방/온수 선택장치 및그 방법
JP4147889B2 (ja) 無線床暖房制御装置
KR100669654B1 (ko) 온수 제어 기능을 갖는 각방 온도 제어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온수 제어 방법
JP3025600B2 (ja) 温水式セントラルヒーティ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床暖房装置及びエアコンの制御装置
JPS60233438A (ja) 空気調和機の集中制御装置
JPH0894153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20020006211A (ko) 인터넷을 통한 보일러 관리방법
KR20090077263A (ko) 공기조화 시스템
KR20000002599U (ko) 보일러의 온도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