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024B1 - 우선권을 갖는 멀티 리모콘을 통한 보일러의 온수/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우선권을 갖는 멀티 리모콘을 통한 보일러의 온수/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024B1
KR100390024B1 KR10-2000-0076464A KR20000076464A KR100390024B1 KR 100390024 B1 KR100390024 B1 KR 100390024B1 KR 20000076464 A KR20000076464 A KR 20000076464A KR 100390024 B1 KR100390024 B1 KR 100390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mote control
control
remote
pri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7843A (ko
Inventor
이황의
김석구
봉근욱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6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024B1/ko
Publication of KR20020047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7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02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6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 F24D19/106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the combination of central heating and domestic hot water regulation in function of the temperature of the domestic hot 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14Calling by using pul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4Gas or oil fired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선권을 갖는 멀티 리모콘을 통한 보일러의 온수/난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선키가 구비된 수개의 메인 리모콘을 각각의 방, 예를 들어 메인 리모콘 1은 거실, 메인 리모콘 2는 안방에 설치하여 거실의 리모콘에서 우선키를 눌러 거실 리모콘을 대표 리모콘으로 한 상태에서, 안방 리모콘이 사용중이면 안방 리모콘의 설정상태는 취소되고 우선 대표권으로 결정된 거실 리모콘의 사용 및 설정,조작상태를 거실 리모콘과 똑같이 표시는 해주되, 설정 및 조작등의 사용권은 불허하고, 거실 리모콘으로 난방과 온수의 설정 및 작동 ON-OFF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처럼 거실 리모콘을 우선으로 하여 사용할때 안방 리모콘에서 우선키가 눌러지면 이번에는 반대로 안방 리모콘의 설정.조작이 가능한 대표 리모콘으로 변환되게 하여 지금까지의 대표 리모콘이던 거실 리모콘은 안방 리모콘의 표시 및 설정상태를 그대로 표시만 해주는 방식을 통해 난방과 온수의 모든 상태를 동시에 우선권이 부여되는 리모콘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종래에서 온수기능만 가능하도록한 불편함과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우선권을 갖는 멀티 리모콘을 통한 보일러의 온수/난방 제어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t water supplying/heating of boiler by using multi-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우선권을 갖는 멀티 리모콘을 통한 보일러의 온수/난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욱상세히는, 난방/온수 겸용 조작 및 표시가 가능하고 우선키가 부가 설치된 리모트 콘트롤(이하 리모콘이라 약칭함)을 2개 또는 그 이상 다수개를 연결한 후 특정 리모콘에 설치되어진 우선키를 선택하면 우선키가 선택되어진 리모콘이 2개 또는 다수개의 리모콘을 대표 하도록 하여 우선키가 선택되어진 리모콘은 난방/온수 조작과 표시가 모두 가능하고 타 리모콘은 우선키가 선택되어진 리모콘의 표시상태를 그대로 표시하도록 하여, 각각의 방에서 난방과 온수에 대한 대표작동의 우선권이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발명한 것이다.
종래의 보일러에서는 사용되는 멀티 리모콘은 도 1과 같이, 메인 리모콘은 난방/온수 조작 및 설정을 표함한 표시가 가능하고, 그 밖에 욕실이나 타 방 등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서브 리모콘들은 온수에 대한 조작 및 설정을 포함한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즉, 종래에는 난방/온수의 ON/OFF 및 온도 설정등이 가능한 메인 리모콘을 상시 대표로하고, 온수를 사용하는 각 샤워 또는 목욕실에 서브 리모콘을 설치하여 특정 서브 리모콘을 통해 온수모드가 선택되면 메인 리모콘의 온수와 타 서브 리모콘의 온수에 대하여 우선권이 현재 조작된 서브 리모콘으로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은 난방의 우선 조작권 이동이 불가능하고, 또 온수모드만 가능한 제한적 우선권으로 사용상의 불편함과 기술적인 한계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종래의 서브 리모콘과 달리 우선키와 난방/온수모드 선택키가 모두 설치되어 있는 메인 리모콘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장소에 자유롭게 설치하여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 리모콘의 우선키가 조작되면 또 다른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수개의 메인 리모콘을 대표 하도록 하여 우선키에 의해 선택되어진 리모콘에서 난방/온수 조작은 물론 표시가 모두 가능하고, 타 리모콘은 우선키가 선택되어진 리모콘의 표시상태를 그대로 표시되게 하여, 각각의 방에서 난방과 온수에 대한 대표작동의 우선권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우선권을 갖는 멀티 리모콘을 통한 보일러의 온수/난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선키가 구비된 수개의 메인 리모콘을 각각의 방, 예를 들어 메인 리모콘 1은 거실, 메인 리모콘 2는 안방에 설치하여 거실의 리모콘에서 우선키를 눌러 거실 리모콘을 대표 리모콘으로 한 상태에서, 안방 리모콘이 사용중이면 안방 리모콘의 설정상태는 취소되고 우선 대표권으로 결정된 거실 리모콘의 사용 및 설정,조작상태를 거실 리모콘과 똑같이 표시는 해주되, 설정 및 조작등의 사용권은 불허하고, 거실 리모콘으로 난방과 온수의 설정 및 작동 ON-OFF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처럼 거실 리모콘을 우선으로 하여 사용할때 안방 리모콘에서 우선키가 눌러지면 이번에는 반대로 안방 리모콘의 설정.조작이 가능한 대표 리모콘으로 변환되게 하여 지금까지의 대표 리모콘이던 거실 리모콘은 안방 리모콘의 표시 및 설정상태를 그대로 표시만 해주도록 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난방과 온수의 모든 상태를 동시에 우선권이 부여되는 리모콘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 종래의 기술에서 온수기능만 가능하도록한 불편함과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보일러와 멀티 리모콘의 연결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보일러에서의 멀티 리모콘 연결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멀티 리모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우선키 2 : 입력신호 전달부
3 : 우선키 입력 판별부 4 : 우선 리모콘 작동제어 출력부
5 : 표시부 제어회로부 6 : 표시부
7 : 우선 리모콘 정보 입출력부 8,17 :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
18 : 우선 리모콘 판별 및 신호교번 출력부
19 : 우선 리모콘 기능전환 및 제어부
20 : 열량구성부 21 : 온도비교 및 연소제어부
22 : 팬모터 제어부 23 : 팬구동 회로부
24 : 팬 25 : 기능부품 제어부
26 : 기능부품 제어출력군 27 : 기능부품 제어회로군
28 : 기능부품군 29 : 온도감지기
30 : 온도전압 변환부 31 : 온도인식부
32 : 불꽃감지기 33 : 연소감지 출력부
34 : 입력신호 제어부 1001-100n : 리모콘
200 :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보일러에서의 멀티 리모콘 연결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멀티 리모콘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보일러 본체의 제어부(200)와 상호 병렬 연결되는 수개의 리모콘(1001-100n)들은, 해당 리모콘을 대표로 선택할 수 있도록 설치된 우선키(1)와; 상기 우선키(1)의 조작이 있을시 그 키신호를 우선키 입력 판별부(3)로 전달하는 입력신호 전달부(2)와; 상기 입력신호 전달부(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해당 리모콘에 설치되어 있는 우선키 조작신호인지를 판별하는 우선키 입력 판별부(3)와; 상기 우선키 입력 판별부(3)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표시부 제어회로부(5) 및 우선 리모콘 정보 입출력부(7)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우선 리모콘 정보 입출력부(7)를 통해 전송되어 오는 타 리모콘 및 제어부의 상태정보 등을 표시부 제어회로부(5)로 전달하는 우선 리모콘 작동제어 출력부(4)와; 상기 우선 리모콘 정보 입출력부(7)를 통해 각종 상태 및 표시정보 등을 입력받아 표시부(6)에 숫자나 문자 또는 도형 등으로 표시해 주는 표시부 제어회로부(5)와;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와 우선 리모콘 작동제어 출력부(4) 사이에서 자체 리모콘의조작 및 설정정보를 포함하여 제어부(200) 및 타 리모콘들로 부터 입력되는 각종 조작 및 설정정보를 포함한 상태정보 등을 입출력시켜 주는 우선 리모콘 정보 입출력부(7)와; 상기 우선 리모콘 정보 입출력부(7)와 타 리모콘 및 제어부(200) 사이에서 오가는 각종 정보를 원할히 송수신시켜 주는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8)로 구성하고,
수개의 리모콘(1001-100n)들 중 우선권을 갖는 어느 하나의 리모콘에서 출력되는 제어정보에 부응하여 보일러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보일러 본체내의 제어부(200)는, 상기 리모콘(1001-100n)들과 제어부(200) 사이에서 오가는 각종 정보를 원할히 송수신시켜 주는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17)와; 상기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17)와 우선 리모콘 기능전환 및 제어부(19) 및 입력신호 제어부(34) 사이에 설치되어 수개의 리모콘(1001-100n) 중 어느 리모콘이 우선인지를 판별함과 동시에 각종 감지 및 상태 정보등을 교번하여 출력시켜 주는 우선 리모콘 판별 및 신호교번 출력부(18)와; 우선 리모콘 판별 및 신호교번 출력부(18)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우선 리모콘의 설정 등에 부응하는 기능전환과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우선 리모콘 기능전환 및 제어부(19)와; 상기 우선 리모콘 기능전환 및 제어부(19)의 출력신호에 부응하는 열량를 산출해내는 열량구성부(20)와; 입력신호 제어부(34)를 통해 입력되는 현재의 난방 및 온수온도와 상기 열량구성부(20)에서 요구하는 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그 결과에 부응하는 연소 및 소화신호를 출력하는 온도비교 및 연소제어부(21)와; 상기 온도비교 및 연소제어부(21)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팬구동 회로부(23)를 통해 팬(24)의 구동을 제어하는 팬모터 제어부(22)와; 우선 리모콘 기능전환 및 제어부(19)의 출력신호에 부응하는 기능부품들에 대해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부품 제어부(25)와; 상기 기능부품 제어부(25)와 온도비교 및 연소제어부(21)의 출력신호에 부응하는 기능부품 제어신호를 기능부품 제어회로군(27)을 통해 기능부품군(28)으로 출력시켜 주는 기능부품 제어출력군(26)과; 온도전압 변환부(30)를 통해 온도감지기(29)에서 감지되는 난방 및 온수온도를 입력받아 그때 그때의 난방 및 온수온도 변화값을 인식하는 온도인식부(31)와; 연소감지 출력부(33)를 통해 불꽃감지기(32)에서 검출되는 연소상태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상기 온도인식부(31)를 통해 난방 및 온수온도 변화값을 입력받아 우선 리모콘 판별 및 신호교번 출력부(18)와 온도비교 및 연소제어부(21)로 송출시켜 주는 입력신호 제어부(3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면상에서 별도의 블럭으로 표기한 리모콘(1001-100n)내의 우선키 입력 판별부(3)와 우선 리모콘 작동제어 출력부(4)를 포함하여 제어부(200)내의 우선 리모콘 판별 및 신호교번 출력부(18)와, 우선 리모콘 기능전환 및 제어부(19), 열량구성부(20), 온도비교 및 연소제어부(21), 팬모터 제어부(22), 기능부품 제어부(25), 기능부품 제어출력군(26), 온도인식부(31) 및 입력신호 제어부(34)는 각각 리모콘 또는 제어부내에 기 설치되어 있는 마이컴내에 내장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방법은 전원전압이 공급되면 멀티 리모콘이 설치된 상태인지를 검출하여 멀티 리모콘 제어 시스템이 아니면 단수 리모콘을 통한 통상운전을 실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멀티 리모콘이 설치된 상태이면 이전 사용 리모콘에 의한 설정모드로 작동을 개시하여 현재 설정된 우선 리모콘은 난방/온수 조작 및 설정 입력이 가능토록 하고, 타 리모콘들의 난방/온수 조작 및 설정 입력을 불가능토록하되 표시부상에는 우선키가 조작된 리모콘의 표시상태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시키며 계속해서 타 리모콘들에 설치되어 있는 우선키가 조작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타 리모콘에서 우선키가 입력되면, 타 우선 리모콘에 의한 난방 및 온수 설정/조작 상태로 각 기구작동을 전환함과 동시에 해당 리모콘의 우선 선택을 표시하고, 현재(즉, 이전) 우선 리모콘에 의한 난방 및 온수 설정/조작 상태는 해제함과 동시에 타 우선 리모콘의 표시상태와 동일하게 표시한 후 타 우선 리모콘을 현재 사용 리모콘으로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 및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방에 설치된 수개의 리모콘(1001-100n) 중 예를들어 거실에 설치된 리모콘의 우선키(1)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해당 우선키신호는 입력신호 전달부(2)와, 우선키 입력 판별부(3), 우선 리모콘 작동제어 출력부(4) 및 표시부 제어회로부(5)를 통해 표시부(6)로 출력되어 상기 표시부(6)상에는 해당 리모콘에의에 설정된 모드 및 온도로 난방 또는 온수 작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임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조작된 우선 리모콘내의 우선 리모콘 작동제어 출력부(4)에서는 우선 리모콘의 조작 및 설정상태를 우선 리모콘 정보 입출력부(7)와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8)를 통해 본체의 제어부(200)로 전송하게 되므로 상기 제어부(200)내에 설치되어 있는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17)에서 이를 입력받아 우선 리모콘 판별 및 신호교번 출력부(18)로 입력시켜 주게 되므로 상기 우선 리모콘 판별 및 신호교번 출력부(18)에서 복수 또는 멀티 리모콘의 현재 우선 선택 리모콘을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수개의 리모콘들 중 어느 리모콘이 우선 리모콘인지를 판별한 상기 우선 리모콘 판별 및 신호교번 출력부(18)에서는 판별 리모콘의 설정 및 조작상태신호를 우선 리모콘 기능전환 및 제어부(19)로 출력시켜 상기 우선 리모콘 기능전환 및 제어부(19)로 하여금 해당 우선 리모콘에 의해 설정 및 조작된 상태에 따른 제어신호를 열량구성부(20)와 온도비교 및 연소제어부(21), 팬모터 제어부(22) 및 팬구동 회로부(23)를 통해 급기 팬(24)을 적절히 제어토록 함과 동시에 기능부품 제어부(25)와 기능부품 제어출력군(26) 및 기능부품 제어회로군(27)를 통해 펌프나 가스 비례 전자변, 3방변 및 점화기 등으로 이루어진 기능부품군(28)을 적절히 작동시키도록 한다.
이와같이 수개의 리모콘(1001-100n)중 우선키(1)가 작동된 특정 리모콘에 의해 설정 및 조작상태에 대응하여 보일러가 온수 또는 난방모드로 작동되고 있는도중 온도감지기(29)에 의해 검출된 난방 및 온수온도는 온도전압 변환부(30)를 통해 온도인식부(31)로 입력되어 현재 보일러의 온수 또는 난방온도가 인식된 후 입력신호 제어부(34)와 온도비교 및 연소제어부(21)로 출력되어지고, 또 불꽃감지기(32)에 의해 검출되는 연소 및 소화감신호는 연소감지 출력부(33)를 입력신호 제어부(34)로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신호 제어부(34)에서 버너의 연소,소화를 판별하여 그 신호를 우선 리모콘 판별 및 신호교번 출력부(18)로 입력시켜 주게 되므로 상기 우선 리모콘 판별 및 신호교번 출력부(18)에는 이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다시 우선 리모콘 기능전환 및 제어부(19)를 통해 각종 부하를 제어함과 동시에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17)를 통해 각각의 리모콘(1001-100n)으로 전송시켜 주게 되므로 각각의 리모콘에서는 이를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8)와 우선 리모콘 정보 입출력부(7) 및 우선 리모콘 작동제어 출력부(4)로 전송시켜 주게 되어 각각의 리모콘(1001-100n)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우선 리모콘 작동제어 출력부(4)에서 보일러 본체의 운전상태를 파악하여 그 상태를 표시부 제어회로부(5)를 통해 표시부(6)상에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거실에 설치되어 있는 리모콘(예를들어 리모콘 1)에 의한 우선 난방 및 온수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안방에 설치되어 있는 리모콘(예를들어 리모콘 2)의 우선키(1)가 조작되면 전술한 바와 동일한 루트를 통해 해당 리모콘의 표시부(6)와 제어부(200)내의 우선 리모콘 판별 및 신호교번 출력부(18)로 전달되므로 상기 우선 리모콘 판별 및 신호교번 출력부(18)에서 리모콘 2에 의해 우선 난방 및 온수가 설정된 것으로 인식하고 해당 리모콘의 설정 및 조작상태신호를 우선 리모콘 기능전환 및 제어부(19)로 출력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우선 리모콘 기능전환 및 제어부(19)에서는 이전에 우선 리모콘 1에 의한 작동되던 각 기구물의 작동을 멈추게 하고 우선 리모콘 2에 의해 설정 및 조작된 상태로 난방 또는 온수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열량구성부(20)와 기능부품 제어부(25)로 출력하게 되는데, 이하의 작동은 상기 우선 리모콘 1이 조작되었을 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보일러의 제어부에서는 전원전압이 초기 투입되면 이전에 사용되던 우선 리모콘에 의해 설정된 조건으로 보일러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현재 설정된 우선 리모콘은 난방/온수 조작 및 설정 입력이 가능토록 하고, 타 리모콘들은 난방/온수 조작 및 설정 입력이 불가능하게 하되 그의 표시부상에는 우선키가 조작된 이전 또는 현재 리모콘의 표시상태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타 리모콘의 우선키가 조작되면 현재 조작된 타 리모콘에 의한 난방 및 온수 설정/조작 상태로 각 기구물이 작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리모콘의 우선 선택을 표시하고, 현재 우선 리모콘(즉, 타 리모콘이 작동되기 전의 리모콘)에 의한 난방 및 온수 설정/조작 상태는 해제함과 동시에 표시부상에는 이번에 조작된 타 우선 리모콘의 표시상태와 동일하게 표시하고, 타 우선 리모콘을 현재 사용 리모콘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보일러를 이용하여 난방 및 온수운전이 실시되는 건물내의 각 장소에 설치될 모든 리모콘에 우선키와 난방/온수모드 선택키를 설치하여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리모콘의 우선키가 조작되면 해당 리모콘이 또 다른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수개의 리모콘을 대표하도록 하여 우선키에 의해 선택되어진 리모콘에서 난방/온수 조작은 물론 표시가 모두 가능하고, 타 리모콘은 우선키가 선택되어진 리모콘의 표시상태가 그대로 표시되도록 하므로써, 각각의 방에서 난방과 온수에 대한 대표 작동의 우선권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어 리모콘의 사용성 및 보일러의 온수/난방 제어에 편리성을 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소정 프로그램의 수행을 통해 보일러의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200)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어부(200)와 상호 병렬 연결되는 수개의 리모콘(1001-100n)들을 구비한 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1001-100n)은, 해당 리모콘을 대표로 선택할 수 있도록 설치된 우선키(1)와;
    상기 우선키(1)의 조작이 있을시 이를 입력신호 전달부(2)를 통해 입력받아 판별하여 표시부 제어회로부(5) 및 우선 리모콘 정보 입출력부(7)로 전달함과 동시에 우선 리모콘 정보 입출력부(7)를 통해 전송되어 오는 타 리모콘 및 제어부의 상태정보 등을 표시부 제어회로부(5)로 전달하는 리모콘 마이컴과;
    상기 우선 리모콘 정보 입출력부(7)를 통해 각종 상태 및 표시정보 등을 입력받아 표시부(6)에 숫자나 문자 또는 도형 등으로 표시해 주는 표시부 제어회로부(5)와;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8)와 우선 리모콘 작동제어 출력부(4) 사이에서 자체 리모콘의 조작 및 설정정보를 포함하여 제어부(200) 및 타 리모콘들로 부터 입력되는 온수,난방의 각종 조작 및 설정정보를 포함한 상태정보 등을 입출력시켜 주는 우선 리모콘 정보 입출력부(7)와;
    상기 우선 리모콘 정보 입출력부(7)와 타 리모콘 및 제어부(200) 사이에서오가는 온수,난방의 각종 정보를 원할히 송수신시켜 주는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8)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권을 갖는 멀티 리모콘을 통한 보일러의 온수/난방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리모콘(1001-100n)들과 제어부(200) 사이에서 오가는 각종 정보를 원할히 송수신시켜 주는 반송파 통신 송수신부(17)와; 수개의 리모콘(1001-100n) 중 어느 리모콘이 우선인지를 판별함과 동시에 각종 감지 및 상태 정보등을 교번하여 출력시켜 주는 우선 리모콘 판별 및 신호교번 출력부(18)와; 우선 리모콘 판별 및 신호교번 출력부(18)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우선 리모콘의 설정 등에 부응하는 기능전환과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우선 리모콘 기능전환 및 제어부(19)와; 상기 우선 리모콘 기능전환 및 제어부(19)의 출력신호에 부응하는 열량를 산출해내는 열량구성부(20)와; 입력신호 제어부(34)를 통해 입력되는 현재의 난방 및 온수온도와 상기 열량구성부(20)에서 요구하는 온도를 상호 비교하여 그 결과에 부응하는 연소 및 소화신호를 출력하는 온도비교 및 연소제어부(21)와; 상기 온도비교 및 연소제어부(21)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팬구동 회로부(23)를 통해 팬(24)의 구동을 제어하는 팬모터 제어부(22)와; 상기 우선 리모콘 기능전환 및 제어부(19)의 출력신호에 부응하는 기능부품들에 대해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기능부품 제어부(25)와; 상기 기능부품 제어부(25)와 온도비교 및 연소제어부(21)의 출력신호에 부응하는 기능부품 제어신호를 기능부품 제어회로군(27)을 통해 기능부품군(28)으로 출력시켜 주는 기능부품 제어출력군(26)과; 온도전압 변환부(30)를 통해 온도감지기(29)에서 감지되는 난방 및 온수온도를 입력받아 인식하는 온도인식부(31)와; 연소감지 출력부(33)를 통해 불꽃감지기(32)에서 검출되는 연소상태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상기 온도인식부(31)를 통해 난방 및 온수온도 변화값을 입력받아 우선 리모콘 판별 및 신호교번 출력부(18)와 온도비교 및 연소제어부(21)로 송출시켜 주는 입력신호 제어부(3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권을 갖는 멀티 리모콘을 통한 보일러의 온수/난방 제어장치.
  3. 전원전압이 공급되면 멀티 리모콘이 설치된 상태인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멀티 리모콘이 설치된 상태이면 이전 사용 리모콘에 의한 설정모드로 작동을 개시하여 현재 설정된 우선 리모콘은 난방/온수 조작 및 설정 입력이 가능토록 하고, 타 리모콘들의 난방/온수 조작 및 설정 입력을 불가능토록하되 표시부상에는 우선키가 조작된 리모콘의 표시상태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시키며 계속해서 타 리모콘들에 설치되어 있는 우선키가 조작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타 리모콘에서 우선키가 입력되면, 타 우선 리모콘에 의한 난방 및 온수 설정/조작 상태로 각 기구작동을 전환함과 동시에 해당 리모콘의 우선 선택을 표시하고, 현재 우선 리모콘에 의한 난방 및 온수 설정/조작 상태는 해제함과 동시에 타 우선 리모콘의 표시상태와 동일하게 표시한 후 타 우선 리모콘을 현재 사용 리모콘으로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권을 갖는 멀티 리모콘을 통한 보일러의 온수/난방 제어방법.
KR10-2000-0076464A 2000-12-14 2000-12-14 우선권을 갖는 멀티 리모콘을 통한 보일러의 온수/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390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464A KR100390024B1 (ko) 2000-12-14 2000-12-14 우선권을 갖는 멀티 리모콘을 통한 보일러의 온수/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464A KR100390024B1 (ko) 2000-12-14 2000-12-14 우선권을 갖는 멀티 리모콘을 통한 보일러의 온수/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843A KR20020047843A (ko) 2002-06-22
KR100390024B1 true KR100390024B1 (ko) 2003-07-04

Family

ID=27681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464A KR100390024B1 (ko) 2000-12-14 2000-12-14 우선권을 갖는 멀티 리모콘을 통한 보일러의 온수/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825A (ko) 2017-12-27 2019-07-0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복수의 온도조절기 동시 연결시 자동설정 및 통신패킷 자동 갱신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8772B (zh) * 2020-12-31 2022-06-14 广东万和热能科技有限公司 热水器的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328U (ko) * 1993-07-16 1995-02-17 이철희 보일러용 다중 원격조정기
JPH08226701A (ja) * 1995-02-23 1996-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給湯機
KR20000034716A (ko) * 1998-11-30 2000-06-26 강성모 보일러의 원격 조작방법 및 그 장치
KR200210519Y1 (ko) * 2000-07-26 2001-01-15 주식회사경동보일러 보일러의 멀티플로어장치
KR20020009732A (ko) * 2000-07-26 2002-02-02 김철병 다중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4328U (ko) * 1993-07-16 1995-02-17 이철희 보일러용 다중 원격조정기
JPH08226701A (ja) * 1995-02-23 1996-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給湯機
KR20000034716A (ko) * 1998-11-30 2000-06-26 강성모 보일러의 원격 조작방법 및 그 장치
KR200210519Y1 (ko) * 2000-07-26 2001-01-15 주식회사경동보일러 보일러의 멀티플로어장치
KR20020009732A (ko) * 2000-07-26 2002-02-02 김철병 다중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825A (ko) 2017-12-27 2019-07-0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복수의 온도조절기 동시 연결시 자동설정 및 통신패킷 자동 갱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7843A (ko) 200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0024B1 (ko) 우선권을 갖는 멀티 리모콘을 통한 보일러의 온수/난방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421641B1 (ko) 다중 룸콘을 이용한 보일러 제어방법
KR100489960B1 (ko) 리모트 콘트롤을 이용한 보일러의 난방/온수 선택장치 및그 방법
JPH07293905A (ja) 暖房装置
KR100611899B1 (ko) 각방온도 제어시스템의 난방수 온도 제어 방법 및 장치
JP4562383B2 (ja) 機器制御装置および機器制御システム
JP3821580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418052B1 (ko) 각방 제어용 밸브의 오동작 검출에 의한 보일러 제어장치및 그 방법
KR940011902A (ko) 난방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H0928055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JPH07305843A (ja) 給湯器のメンテナンス装置
KR100418051B1 (ko) 메인 및 서브 리모콘 조작우선 순위에 의한 보일러의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3083603A (ja) 給湯装置
KR200258097Y1 (ko) 다중온도 조절장치
JP3745236B2 (ja) 床暖房装置
KR100669654B1 (ko) 온수 제어 기능을 갖는 각방 온도 제어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온수 제어 방법
JP2726623B2 (ja) 給湯器用のメンテナンス装置
KR20090008822A (ko) 보일러 운전모드 전환방법
KR200165761Y1 (ko) 전자렌지의 원격경보장치
KR100283263B1 (ko) 가스보일러의 리모콘상태 검지방법 및 장치
JPH0722428B2 (ja) 給湯器の遠隔制御装置
KR20020009734A (ko) 하나의 룸콘을 이용한 다수 개의 보일러 제어방법
JPS6262149A (ja) 遠隔操作可能な機器の故障表示装置
KR200290258Y1 (ko) 온도조절장치
KR200188227Y1 (ko) 가스보일러의 리모콘상태 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