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502Y1 - 모터 원격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원격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502Y1
KR200176502Y1 KR2019990022840U KR19990022840U KR200176502Y1 KR 200176502 Y1 KR200176502 Y1 KR 200176502Y1 KR 2019990022840 U KR2019990022840 U KR 2019990022840U KR 19990022840 U KR19990022840 U KR 19990022840U KR 200176502 Y1 KR200176502 Y1 KR 200176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otor
mcc
unit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태
김성진
조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어텍
Priority to KR2019990022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5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5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의 원격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에는 PLC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이는 MCC 유니트와 PLC간에 많은 수의 신호선들이 직접 결선되어야 하므로 결선이 대단히 복잡하고 운영프로그램을 새로이 장착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를 감안하여 MCC 유니트 내부에 설치되는 MCC 원격제어모듈과; 다수의 MCC 원격제어모듈과 멀티통신하고 원격지의 중앙제어실과 직렬통신하는 데이터 수집장치와; 상기 MCC 유니트와 개별적으로 직렬통신하는 현장 스위치 모듈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격지의 중앙제어실에는 데이터 수집장치와, 중앙제어 조작반의 모자이크 패널과,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를 위한 P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MCC 유니트와 데이터 수집장치 및 현장 스위치 모듈간에 각각 멀티통신선 및 직렬통신선만 연결하면 되므로 결선이 단순해지고, 모터 제어의 신뢰성을향상시키며, 설치비용, 차지하는 면적, 인건비등등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 원격 제어장치{Remote motor controller}
본 고안은 MCC(Motor Control Center) 유니트를 멀티 통신을 이용하여 중앙 제어실(원격제어반)에서 운영 프로그램에 의하여 다수의 모터를 개별 제어 하며 모터의 운전 상태를 감시하는 기능과 MCC 유니트와 개별 통신을 하여 원격지에서 제어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 하는 모터의 원격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MCC의 원격 제어 방식중 일대일 결선에 의한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MCC 유니트의 조작부 스위치를 중앙 제어실까지 일대일 연장 결선하여 구현하는 방법으로 설치 비용이 과다하다는 점과 공사 또한 매우 복잡하고 중앙제어반 구성이 매우 복잡하다. 이는 넓은 설치 공간 확보되어야 하며 운영 데이타를 취득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2중으로 비용을 소요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MCC반의 외부 구조와 원격제어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모터를 제어 하기 위한 모터 제어 시퀀스가 MCC 유니트(20)에 구성 되어 있으며 이러한 MCC 유니트(20)가 여러 개 설치 되어 MCC반을 구성 한다. 모터가 설치된 현장에는 현장 스위치 조작반(10)이 설치되고, 상기 MCC반의 MCC 유니트(20)와 일대일로 대응해서 설치된다. 그리고, 원격제어반에는 상기 MCC반의 MCC 유니트와 일대일로 대응해서 하나의 원격제어 유니트(30)가 설치된다. 원격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각 각의 유니트에서 제어 및 표시에 대한 LINE을 연장하여 결선 하여야 한다.
도 2는 종래 MCC반의 내부 구조와 원격제어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MCC 유니트(20)는 주전원 입력부(차단기)(21)와, 주전원을 제어하여 모터에 공급/차단하는 주전원 제어부(스위치)(22)와, 제어모드를 자동/수동, 원격/MCC 제어 등의 모드를 선택하여 제어모드를 전환하는 제어모드 전환회로부(23)와, MCC 유니트를 통해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스위치 회로부(24)와, 제어스위치 회로부(24) 및 제어모드 전환회로부(23)의 제어에 의해 상기한 주전원 제어부(22)를 제어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25)와, 상기 모터의 구동전압/전류 등을 감지하여 모터보호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보호회로부(26)와, 상기 제어보드와, 제어스위치 및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회로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현장 조작 스위치반(10)은, 제어모드 전환회로부(11)와, 제어스위치 회로부(12)와 표시회로부(13)로 구성되고, 이는 상기 MCC 유니트(20)의 제어모드 전환 회로부(23), 제어스위치 회로부(24) 및 표시회로부(27)와 각 신호선이 연결되어 MCC 유니트(20)를 통해서 현장의 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즉, 정지 조작선, 기동 조작선, 운전조작선, 자동제어선택 조작선, 수동제어 선택 조작선, 현장제어 선택 조작선, 모터 트립 표시신호선과, 전원라인(L, N)을 일대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격 제어반의 중앙제어실 제어반(30)은, 제어모드 전환 회로부(31)와, 제어스위치 회로부(32)와, 표시 회로부(33)로 구성되고, 전원선, 정지조작선, 기동조작선, 운전조작선, 자동제어선택 조작선, 수동제어 선택조작선, 모터 트립 표시신호선일 상기 MCC 유니트(20)와 일대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모터 원격제어장치의 문제점은, 현 구조에서 모터를 원격제어(중앙제어반, 현장제어반)를 하기 위해서는 MCC 유니트(20)의 조작 및 표시부를 중앙제어부 및 현장 제어부에 각각의 제어선 및 표시 램프라인을 연장하여 연결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구조가 아주 복잡 할 분 아니라 설치 비용 및 설치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원격 제어 및 감시를 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근거리에서의 원격제어는 가능하나, 원거리에서의 원격 제어는 이 방법으로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제한이 있다. 특히 대단위 아파트 단지나 상가 지역에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원격 제어 및 감시가 필수이지만 상기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실용화하기 힘든 실정이다.
도 3은 종래 PLC를 이용한 모터의 원격 제어 장치 구성도이고, 도 4은 종래 PLC를 이용한 모터의 원격 제어 장치 상세 구성도이다.
이 방법은 MCC 유니트(20)의 조작부 스위치 및 표시부 LAMP LINE을 중앙 제어실(30)까지 연장 하기 위하여 PLC(40)(50)를 사용하여 통신으로 중앙 제어실(30)에 연결하는 방법이다.
PLC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식의 MCC 외부 구조는 도 3과 같고, 내부 구조는 도 4와 같다.
모터를 제어 하기 위한 모터 제어시퀀스가 MCC 유니트(20)에 구성 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니트(20)가 여러 개 설치되어 MCC반을 구성 한다. 그 MCC반에 PLC모듈(40)을 설치하여 다수의 MCC 유니트(20)들과 각 신호선들이 연결되어 원격제어반(30)과 통신선을 통해 통신하도록 연결된다. 아울러 중앙 제어반(30)에서도 원격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각 각의 중앙제어반(30)들과 각종 신호선들과 연결되고, 상기 MCC 제어반의 PLC모듈(40)과 통신하는 PLC 모듈(50)이 설치된다. 그리고 현장에서의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각 각의 MCC 유니트(20)에서 제어 및 표시에 대한 LINE을 현장으로 연장 하여 현장 스위치 시퀀스 회로(10)에 연결 하여야 한다.
이와같은 PLC 모듈(40)(50)을 이용한 원격 제어장치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PLC를 이용하여 원격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PLC PANEL을 설치 하여야 하므로 설치 공간이 확대된다. 또, 기존 설비에 PLC PANEL의 추가 설치 및 프로그래밍, 각 MCC 유니트에서 PLC PANEL 까지의 연장 결선등에 따른 인건비 및 구입 비용이 증가 된다. 또, 1개의 PLC SET에 열반되어 있는 MCC반 모두를 제어 하므로 PLC 고장 발생시 열반된 MCC 그룹은 원격제어가 불가능해진다. 그리고, 현장 제어 기능을 구현 하려면 일대일 결선에 의한 방법과 동일하게 결선 작업을 해야한다.
다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모터 원격 제어장치의 문제점을 개선시켜 기존의 복잡한 구조를 단일화한 통신을 이용한 모터 원격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원격 제어장치는, 각 MCC 유니트내에 MCC 원격제어모듈을 기존 회로에 병렬로 연결하여 설치하여 그 MCC 원격제어모듈을 통해 현장 스위치모듈이나, 데이터 수집장치에 연결하고, 그 데이터 수집장치를 통해 원격제어반에 연결하여 MCC 유니트와 외부 원격제어장치간에 단순한 통신선로만 배선하여 원격제어시스템을 달성시키는 것이다.
이는 설치도 간단하고 PLC를 사용 할 때처럼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하지 않아도되 사용 하기가 수월하다.
또한 현장 조작 스위치부도 기존의 결선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제작된 스위치 BOX에 통신 LINE만 연결하면 되므로 설치 시간 및 제작 시간이 단축되어 비용이 기존 구조에 비해 1/3로 축소 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아날로그 제어방식 모터제어장치(MCC) 구성도.
도 2는 종래 MCC반의 내부 구조와 원격제어 구성도.
도 3은 종래 PLC를 이용한 모터의 원격 제어 장치 구성도.
도 4은 종래 PLC를 이용한 모터의 원격 제어 장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모터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MCC 원격제어모듈의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현장 스위치 모듈의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데이터 수집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MCC 유니트 101 : 주전원입력부
102 : 주전원제어부 103 : 제어모드 변환부
104 : 제어스위치 회로부 105 : 표시회로부
106 : 제어회로부 107 : 보호회로부
110 : MCC 원격제어모듈 111,203,301 : 마이크로 프로세서
112 : 디지털 입력부 113 : 디지털 출력부
114,204,302,303 : 직렬통신부 115,304 : 멀티통신부
200 : 현장 스위치 모듈 201 : 조작키 및 키입력부
202,305 : 표시부 300A,300B : 데이터 수집장치
400 : 중앙 제어 조작반 500 : PC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모터 원격 제어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본 고안의 MCC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은 3가지로 구성 되어 있다.
MCC 유니트 내부에 설치되는 MCC 원격제어모듈과; 다수의 MCC 원격제어모듈과 멀티통신하고 원격지의 중앙제어실과 직렬통신하는 데이터 수집장치와; 상기 MCC 유니트와 개별적으로 직렬통신하는 현장 스위치 모듈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격지의 중앙제어실에는 데이터 수집장치와, 중앙제어 조작반의 모자이크 패널과,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를 위한 P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MCC 유니트(100)내부에 설치되어 중앙 제어 조작반(400)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모터(1)를 제어하고, 모터(1)의 상태를 중앙 제어반(400)에 전송하는 MCC 원격 제어모듈(110)을 설치하고, 현장에서 MCC 원격 제어모듈(110)과 통신 하여 모터(1)를 제어 하는 현장 스위치 박스(200)와, 여러대(64개)의 MCC 원격제어모듈(110)과 통신 하여 중앙 제어반(400)의 제어 명령 및 MCC 유니트(100)의 모터 상태 데이터를 중앙 제어반(400)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MCC반의 데이터 수집장치(300) 및 그 MCC반의 데이터 수집장치(300A)와 통신하여 중안제어반(400)과 연결시키는 중앙제어실의 데이터 수집장치(300B)와, 그 중앙제어실의 데이터 수집장치(300B)와 연결되어 운영자가 모니터링하기 위한 PC 모니터부(5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MCC반 데이터 수집장치(300)는 다수의 MCC 유니트(100)와 단일 통신라인으로 연결되어 멀티통신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MCC 유니트(100)는, 주전원 입력부(101)와, 그 주전원 입력부(101)의 전원을 모터(1)에 공급/차단시켜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주전원 제어부(102)와, 원격제어모드, 현장제어모드, 수동제어모드, 자동제어모드 등의 제어모드를 변환시키는 제어모드 변환부(103)와, 그 제어모드의 변환과 운전제어 및 각 제어값 설정 등을 하는 제어 스위치 회로부(104)와, 모터의 운전상태 및 상기 제어 스위치 회로부(104)의 조작에 따른 상태 표시를 하는 표시회로부(105)와, 상기 제어 스위치 회로부(104)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주전원 제어부(102)를 제어하여 모터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106)와, 상기 모터(1)의 구동전류/전압을 검출하여 모터 보호를 위해 상기 제어회로부(106)를 제어하는 보호회로부(107)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MCC 유니트(100)에 있어서, 본고안은 MCC 원격제어모듈(110)을 더 포함시켜 구성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MCC 원격제어모듈의 구성도이다. 상기 MCC 원격제어모듈(110)은 상기 제어스위치 회로부(104), 표시회로부(105) 및 제어회로부(106)와 각 신호선이 병렬 연결되고, 모터의 상태를 입력받는 디지털 입력부(112)와, 모터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디지털 출력부(113)와, 그 디지털 입력부(112)와 디지털 출력부(113)를 통해 모터상태 정보를 외부의 중앙제어반으로 전송하고, 현장 스위치 모듈과 중앙제어반의 제어명령에 따라 모터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와, 그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현장 스위치 모듈(200)과직렬통신하기 위한 직렬통신부(114)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수집장치(300A)와 멀티통신을 하기 위한 멀티통신부(115)로 구성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현장 스위치 모듈의 구성도이다.
현장 스위치 모듈(200)은 모터가 설치된 현장에서 원격제어로서 MCC반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정지, 기동, 운전, 자동/수동, 운전모드전환 등의 모터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 키 및 키 입력부(201)와, 모터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02)와, 상기 MCC 원격제어모듈과 통신하여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모터상태를 수신받는 직렬통신부(204)와, 상기 조작키 및 키 입력부(201)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명령을 직렬통신부(204)를 통해 전송함과 아울러 수신된 모터 상태를 상기 표시부(202)에 표시시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03)로 구성된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데이터 수집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원격지의 데이터 수집장치와 통신하는 직렬통신부(302)와, PC와 통신하여 제어명령을 수신받고 모터 상태를 전송하는 직렬통십누(203)와, MCC 원격제어모듈(110) 또는 중앙 제어 조작반(400)의 모자이크 패널과 통신하여 제어명령을 수신받고 모터 상태를 전송하는 멀티통신부(304)와, 상기 직렬통신부(302)(303)를 제어하여 원격지의 데이터 수집장치와 통신함과 아울러 PC와 통신하고, 상기 멀티통신부(304)를 제어하여 다수개의 MCC 원격제어모듈(110)들 또는 중앙제어 조작반(400)의 다수의 모자이크판넬들과 멀티통신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1)와, 그 마이크로 프로세서(301)의 제어에 의해 통신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05)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기존의 PLC를 이용하여 원격제어를 하는 방법과 달리 외부에 판넬 설치가 필요 없고, MCC 유니트 내부에 MCC 원격제어모듈(110)을 설치 하면 된다. 본 고안의 MCC 원격제어모듈(110)은, 기존 MCC 유니트(100) 내에 설치하는 것으로, 제어회로부(106)와 제어스위치 회로부(104) 및 표시회로부(105) 간에 연결된 각 신호선들을 병렬 연결하고, MCC 원격제어 모듈(110)내부의 디지털 출력부(113)에 상기 아날로그방식의 제어회로부(106), 제어스위치회로부(104) 및 표시회로부(105)의 각 접점들과 병렬로 연결된 신호선들을 디지털 제어에 의해 단속하여 아날로그방식의 제어와 병렬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데, 아날로그 스위치 회로부(104)에 설치된 운전스위치의 조작과 동일하게 원격 제어를 하기 위해서 그 아날로그 운전 스위치의 양단 접점을 MCC 원격제어모듈(110)의 디지털 출력부(113)에 결선하고, 그 디지털 출력부 내부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의 제어에 의거해서 상기 운전스위치의 양단 접점을 단속할 수 있는 디지털 스위치(스위치 소자)를 설치하여 원격 제어명령에 의해서 그 디지털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스위치를 조작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처럼 MCC 원격 제어모듈(110)은 아날로그 MCC 유니트(100) 내에 설치되고 디지털 출력부(113) 및 디지털 입력부(112)의 구성을 아날로그 제어회로부(106), 스위치 회로부(104) 및 표시호로부(105)의 각 신호선들과 병렬로 디지털 소자를 연결하여 디지털 신호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결선하고, 이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에 의해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직력통신부(1154)를 통해서는 현장 스위치 모듈(200)과 통신하고, 멀티통신 부(115)를 통해서는 데이터 스집장치(300)와 통신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현장 스위치 모듈(200)은 조작키 및 키 입력부(201)를 통해서 조작된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203)의 제어에 의해 직렬통신부(204)를 통해서 MCC 원격제어모듈(110)로 송신되고, MCC 제어모듈(110)에서 디지털 출력부(113)를 통해서 해당 제어명령에 의해 신호선을 제어하여 모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중앙 제어실에서 원격 제어하기 위해서는 MCC반 데이터 수집장치(300A)와 중앙 제어실 데이터 수집장치(300B)를 두어 서로간에 직렬통신으로 통신하고, 그 중앙제어실 데이터 수집장치(300B)가 중앙 제어 조작반(400)의 각 모자이크 패널과 연결시켜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또 중앙제어실 데이터 수집장치(300B)에서 직렬통신을 통하여 PC(500)와 통신하도록 연결함으로써, PC에서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수집장치(300A, 300B)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적어도 2개의 직렬통신부(302),(303)와 하나의 멀티통신부(304)를 구비하고 그 통신부들을 제어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01)가 구비되므로, 직렬통신부를 통해서 MCC반과 중앙제어실 간의 데이터 수집장치끼리 통신하고, 아울러 PC와 통신이 가능하게 되며, 멀티통신부(304)를 통해서는 MCC 유니트들 또는 모자이크 패널들과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MCC반 데이터 수집장치(300A)에는 멀티통신부(115)를 통해서 다수(예; 64개)의 MCC 유니트(100)들과 연결되어 멀티통신 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데이터 수집장치(300B)의 4P의 멀티통신라인에 다수의 MCC 유니트(100)들을 병렬로 결선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각 MCC 유니트와 PLC간에 각각 많은 수의 결선을 해야하는 단점을 해결하여 4P의 멀티통신라인만 결선하여 많은 수의 MCC 유니트를 결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기 설치된 기존 설비에도 설치가 가능 하므로 원격 제어를 하기위여 신설 공사를 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구조 자체가 간단 하므로 인건비, 설치 비용이 대폭 축소 된다( 기존 방법의 1/3로 축소됨).
또한, PLC를 사용하여 원격 제어를 할 경우에는 PLC 고장시 연결된 모든 MCC 유니트는 원격제어가 불가능해 진다. 하지만 개선된 원격 제어 장치는 각각의 유니트에 설치 되기 때문에 고장시 고장난 MCC 유니트만 원격 제어를 할 수 없고 다른 MCC 유니트는 모두 제어가 가능 하다.
그리고, 기존 구조에서 현장 제어 기능을 구현 하려면 일대일 결선에 의하여 현장으로 제어 LINE을 연장하고 현장 제어 BOX도 MCC 유니트 동일하게 시퀀스 회로를 구성 해야 했었다. 하지만 개선된 방법에 있어서는 전자적으로 제작된 스위치 모듈에 통신 LINE만 연결 하면 되므로 설치 시간 및 비용을 최소 1/3로 축소 할 수 있다.
또한, 기존 구조에서 원격 제어 기능을 구현 하려면 PLC의 PROGRAM- ING을 하여야 하므로 전문가 만이 작업이 가능 하였다. 하지만 개선 방법은 모터 제어를 위한 전용 운영 PROGRAM이 적용되므로 별도의 PROGRAM이 필요 없어 누구나 쉽게 설치 할 수 있다.

Claims (4)

  1. 모터를 제어하는 MCC 유니트에 외부에서 원격제어명령을 전달하여 모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모터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MCC 유니트(100) 내부에 설치되어 아날로그 방식의 각 조작스위치 및 제어 신호선들을 디지털 스위치 접점들을 병렬 결선하고, 외부의 원격제어수단들과 직렬통신 및 멀티통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통한 외부의 원격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디지털 접점을 통해 모터제어명령을 하거나 모터의 동작상태를 검출하여 외부 원격제어수단에게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MCC 원격제어모듈(110)과;
    현장에서 상기 MCC 원격 제어모듈(110)과 직렬통신으로 연결되어 MCC 원격제어모듈(110)과의 통신하고, 스위치 조작에 의한 모터 제어명령을 전달하여 모터를 제어함과 아울러 모터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현장 스위치 박스(200)와;
    다수의 MCC 원격제어모듈(110)과 멀티통신으로 연결하여 멀티통신하며, 원격지의 중앙 제어실의 원격 제어명령과 모터 상태 신호를 전달시키는 MCC반 데이터 수집장치(300A)와;
    상기 MCC반 데이터 수집장치(300A)와 직렬통신으로 연결되어 원격지의 중앙제어실에 설치된 다수의 중앙제어 조작반(400)의 모자이크 패널과 멀티통신한과 아울러 모니터링 및 모터의 원격 제어를 위한 PC(500)와 통신하여 원격지에서 모터를 제어하고 모터상태를 감시할 수 있게 하는 중앙제어실 데이터 수집장치(300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원격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CC 원격제어모듈(110)은,
    MCC 유니트의 제어스위치 회로부(104), 표시회로부(105) 및 제어회로부(106)와 각 신호선이 병렬 연결되고, 모터의 상태를 입력받는 디지털 입력부(112)와, 모터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디지털 출력부(113)와, 그 디지털 입력부(112)와 디지털 출력부(113)를 통해 모터상태 정보를 외부의 중앙제어반으로 전송하고, 현장 스위치 모듈과 중앙제어반의 제어명령에 따라 모터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와, 그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의 제어에 따라 외부의 현장 스위치 모듈(200)과직렬통신하기 위한 직렬통신부(114)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1)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수집장치(300A)와 멀티통신을 하기 위한 멀티통신부(1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원격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현장 스위치 모듈(200)은
    모터가 설치된 현장에서 원격제어로서 MCC반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정지, 기동, 운전, 자동/수동, 운전모드전환 등의 모터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 키 및 키 입력부(201)와, 모터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02)와, 상기 MCC 원격제어모듈과 통신하여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모터상태를 수신받는 직렬통신부(204)와, 상기 조작키 및 키 입력부(201)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명령을 직렬통신부(204)를 통해 전송함과 아울러 수신된 모터 상태를 상기 표시부(202)에 표시시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0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원격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장치(300A, 300B)는,
    원격지의 데이터 수집장치와 통신하는 직렬통신부(302)와, PC와 통신하여 제어명령을 수신받고 모터 상태를 전송하는 직렬통십누(203)와, MCC 원격제어모듈(110) 또는 중앙 제어 조작반(400)의 모자이크 패널과 통신하여 제어명령을 수신받고 모터 상태를 전송하는 멀티통신부(304)와, 상기 직렬통신부(302)(303)를 제어하여 원격지의 데이터 수집장치와 통신함과 아울러 PC와 통신하고, 상기 멀티통신부(304)를 제어하여 다수개의 MCC 원격제어모듈(110)들 또는 중앙제어 조작반(400)의 다수의 모자이크판넬들과 멀티통신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1)와, 그 마이크로 프로세서(301)의 제어에 의해 통신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0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원격제어장치.
KR2019990022840U 1999-10-22 1999-10-22 모터 원격 제어장치 KR200176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840U KR200176502Y1 (ko) 1999-10-22 1999-10-22 모터 원격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840U KR200176502Y1 (ko) 1999-10-22 1999-10-22 모터 원격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502Y1 true KR200176502Y1 (ko) 2000-04-15

Family

ID=1959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840U KR200176502Y1 (ko) 1999-10-22 1999-10-22 모터 원격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502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337B1 (ko) 2005-01-21 2006-11-23 비콤시스템주식회사 마을 하수 처리장용 현장 제어 감시반 및 그의 제어회로
KR100823531B1 (ko) * 2007-04-17 2008-04-21 한선화 다종 구동소자 제어장치
KR100905907B1 (ko) * 2007-07-12 2009-07-02 유한회사 타오스 주파수 신호를 이용한 모터 제어 센터 및 이를 위한마스터, 스위치 및 램프 제어 장치
KR100960265B1 (ko) * 2009-10-08 2010-06-04 엔지이티(주) 플랜트용 전동기의 제어 시스템
KR100984147B1 (ko) 2009-11-05 2010-09-29 (주)서림이피씨 계측(계장 및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505703B1 (ko) 2011-03-22 2015-03-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03501A (ko) * 2019-02-25 2020-09-02 서우석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337B1 (ko) 2005-01-21 2006-11-23 비콤시스템주식회사 마을 하수 처리장용 현장 제어 감시반 및 그의 제어회로
KR100823531B1 (ko) * 2007-04-17 2008-04-21 한선화 다종 구동소자 제어장치
KR100905907B1 (ko) * 2007-07-12 2009-07-02 유한회사 타오스 주파수 신호를 이용한 모터 제어 센터 및 이를 위한마스터, 스위치 및 램프 제어 장치
KR100960265B1 (ko) * 2009-10-08 2010-06-04 엔지이티(주) 플랜트용 전동기의 제어 시스템
KR100984147B1 (ko) 2009-11-05 2010-09-29 (주)서림이피씨 계측(계장 및 원격) 제어 시스템
KR101505703B1 (ko) 2011-03-22 2015-03-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03501A (ko) * 2019-02-25 2020-09-02 서우석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
KR102244377B1 (ko) * 2019-02-25 2021-04-23 서우석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8190B1 (en) Multi-axis motor controller
US20090143917A1 (en) Residential Environmental Management Control System Interlink
US8018089B2 (en) System controller for integrated lighting control panels
KR200176502Y1 (ko) 모터 원격 제어장치
JP3395032B2 (ja) 配電盤開閉装置と操作監視制御システム
US4906143A (en) Electro-hydraulic control systems
KR20060134238A (ko) 다수의 조명을 제어하는 시스템
GB2266167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KR101005089B1 (ko) 수배전반용 디지털 보호계전장치
KR101103622B1 (ko) 전력제어 표준화를 위해 하네스 연결방식을 사용한 전동기 제어반
KR20200087797A (ko) 일종의 표준궤도의 스마트 홈 시스템
JPH0715253Y2 (ja) パターン設定用端末器
KR100783505B1 (ko)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통신인터페이스장치
JPH06301615A (ja) 多機能型携帯入出力装置による現場操作監視方法と装置
CN112305975B (zh) 一种远程控制的选择开关
JPH102283A (ja) ポンプ制御装置
JP6943408B2 (ja) 中継端子台
KR200267251Y1 (ko) 다중 모터 급수 제어 시스템
KR100513499B1 (ko) 무선모터제어장치
KR0145755B1 (ko) 교류 전원 라인을 통신 매체로 하는 전등 개별 제어회로
JP2003036112A (ja) 配電盤開閉装置と操作監視制御システム
KR100333268B1 (ko) 아파트 자동제어시스템
KR0182676B1 (ko) 피엘씨의 전압 및 전류 출력 겸용 디/에이 변환 유닛
JPH03195195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JP3291036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