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505B1 -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통신인터페이스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통신인터페이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505B1
KR100783505B1 KR1020060053562A KR20060053562A KR100783505B1 KR 100783505 B1 KR100783505 B1 KR 100783505B1 KR 1020060053562 A KR1020060053562 A KR 1020060053562A KR 20060053562 A KR20060053562 A KR 20060053562A KR 100783505 B1 KR100783505 B1 KR 10078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alarm
display module
field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남
Original Assignee
대웅전기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웅전기공업(주) filed Critical 대웅전기공업(주)
Priority to KR1020060053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32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J13/0005System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the power network elements or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elements or equipment being or involving power plugs or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3Environmental or reliability tes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 통신인터페이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장정보처리반을 구성하는 입력단말인터페이스의 입력포트에 대응하여 모자이크장치에 상태표시모듈, 경보표시모듈 및 계측표시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입력포트로 입력되는 신호의 입력속성을 상태모드, 경보모드 및 계측모드로 지정하기 위한 입력속성 지정스위치를 모자이크장치에 더 형성하여 입력속성 지정스위치 조작에 의해 설정된 입력포트의 입력속성에 따라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태표시모듈, 경보표시모듈, 계측표시모듈 중 하나 이상의 모듈이 작동하도록 구성하므로서, 복수의 출력모듈에 대응하도록 입력모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작업자의 입력속성 지정스위치 조작에 따라 입력값에 대한 출력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모니터링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 통신 인터페이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장기기, 모자이크장치, 현장정보처리반, 상태표시모듈, 경보표시모듈,계측표시모듈, 입력단말인터페이스, 입력속성 지정스위치,

Description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 통신인터페이스장치{Communication interface device}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변전소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전체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통신인터페이스장치를 보인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현장기기, 2: 현장정보처리반,
3: RTU-FPD, 4: RTU-MPD,
5: 모자이크장치, 6: 광케이블,
21: 입력제어부, 22: 입력단말인터페이스,
51: 통신인터페이스부, 52: 통신포트,
53: 중앙제어부, 54: 입력속성 지정스위치,
60: 상태표시모듈, 61: 상태제어부,
62: 출력단말인터페이스, 70: 경보표시모듈,
80: 계측표시모듈, 81: 계측제어부,
본 발명은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 통신인터페이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장정보처리반을 구성하는 입력단말인터페이스의 입력포트에 대응하여 모자이크장치에 상태표시모듈, 경보표시모듈 및 계측표시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입력포트로 입력되는 신호의 입력속성을 상태모드, 경보모드 및 계측모드로 지정하기 위한 입력속성 지정스위치를 모자이크장치에 더 형성하여 입력속성 지정스위치 조작에 의해 설정된 입력포트의 입력속성에 따라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태표시모듈, 경보표시모듈, 계측표시모듈 중 하나 이상의 모듈이 작동하도록 구성하므로서, 복수의 출력모듈에 대응하도록 입력모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작업자의 입력속성 지정스위치 조작에 따라 입력값에 대한 출력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모니터링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 통신 인터페이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로부터 제공되고 있다.
즉, 변전소는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선로나 배전선로를 통하여 수용가에게 보내는 과정에서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위하여 설치되는 시설이라 할 수 있으며, 상기 변전소는 154KV, 23KV용 현장설비로 나뉘어지며, 23KV 변전소를 통해 각 부하(소비자)로 전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각각의 변전소에는 부하측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도중 단락이나 지락상태일때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선로를 차단하는 복수개의 차단기가 설치된다.
상기 설명과같이 변전소에는 수용가로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아주 복잡한 설비가 갖추어지게되며, 이러한 변전소에 설치된 차단기와 같은 각종 장치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고장의 징후를 미리 발견하여 대비하거나 아니면 발생된 고장에 신속히 대응하여 복구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시스템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모니터링시스템은 변전소, 즉 현장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상태정보, 경보정보 및 동작정보를 이용하여 모니터링시스템에 구비된 현장기기에 대응하는 램프를 점등시켜 현장기기의 구동상태를 표시하게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현장기기로부터 상태정보, 경보정보 및 동작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측과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램프를 구동시키거나 동작횟수를 계측하여 출력하는 출력측이 1:1 대응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모니터링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게되어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장정보처리반을 구성하는 입력단말인터페이스의 입력포트에 대응하여 모자이크장치에 상태표시모듈, 경보표시모듈 및 계측표시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입력포트로 입력되는 신호의 입력속성을 상태모드, 경보모드 및 계측모드로 지정하기 위한 입력속성 지정스위치를 모자이크장치에 더 형성하여 입력속성 지정스위치 조작에 의해 설정된 입력포트의 입력속성에 따라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태표시모듈, 경보표시모듈, 계측표시모듈 중 하나 이상의 모듈이 작동하도록 구성하므로서, 복수의 출력모듈에 대응하도록 입력모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작업자의 입력속성 지정스위치 조작에 따라 입력값에 대한 출력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모니터링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 통신 인터페이스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과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변전소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을 도시한 것으로서,
변전소 현장기기(1)와;
상기 현장기기(1)로부터 제공되는 차단기 동작 및 경보, 현장설비 상태감지신호 등을 공급받아 RTU-FPD(3) 및 모자이크장치(5)로 송신하고, RTU-FPD(3) 또는 모자이크장치(5)로부터 송신된 현장기기 제어신호를 현장기기(1)로 공급하는 현장정보처리반(2)과;
상기 현장정보처리반(2)에서 송신되는 각종신호를 RTU-MPD(4)를 통해 메인관 리센터(SCADA)로 송신하는 RTU-FPD(3)와;
전면에 현장기기(1)의 결선상태를 축소하여 한눈에 볼수있도록 전면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현장정보처리반(2)과 광케이블(6)로 연결되어 현장정보처리반(2)으로부터 제공되는 변전소의 경보,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전면패널에 설치된 현장기기에 대응하는 각종 램프를 점등함과 동시에 차단기의 동작횟수를 카운팅하여 표시하며, 차단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는 모자이크장치(5); 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은 현장기기(1)에 설치된 차단기 등의 작동 및 경보상태가 광케이블(6)을 통해 모자이크장치(5)로 공급되어 모자이크장치(5)의 전면패널에 표시됨에 따라 변전소의 각종 장비의 동작상태를 작업자가 한눈에 모니터링할 수 있게된다.
한편, 도 2 는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통신인터페이스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현장정보처리반(2)은 현장기기(1)로부터 상태신호, 경보신호, 및 동작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다수의 입력포트(1~20)를 갖는 입력단말인터페이스(22)와, 상기 입력단말인터페이스(22)로 입력된 입력신호를 광케이블(6)을 통해 모자이크장치(5)의 출력모듈(60,70,80)로 전송하는 입력제어부(21)로 구성되고,
상기 모자이크장치(5)는
현장정보처리반(2), 상태표시모듈(60), 경보표시모듈(70), 계측표시모듈(80) 과 데이타 통신하기 위한 다수의 통신포트(52)와, 상기 통신포트(52)를 통해 입출력되는 신호의 입력속성을 상태모드, 경보모드 및 계측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입력속성 지정스위치(54)와, 상기 입력속성 지정스위치(54)에 의해 설정된 입력속성에 따라 현장정보처리반(2)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상태표시모듈(60), 경보표시모듈(70), 계측표시모듈(80)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중앙제어부(53)로 이루어진 통신인터페이스부(51)와;
상기 중앙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통신포트(52)를 통해 공급되는 입력신호를 출력단말 인터페이스(62)에 공급하는 상태제어부(61)와, 상기 상태제어부(61)를 통해 공급된 입력신호로 램프(63)를 점등시켜 현장기기(1)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출력단말인터페이스(62)로 구성된 상태표시모듈(60)과;
상기 중앙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통신포트(52)를 통해 공급되는 입력신호를 경보출력인터페이스(72)에 공급하는 경보제어부(71)와, 상기 경보제어부(71)를 통해 공급된 입력신호로 경보램프(73)를 점등시켜 현장기기(1)의 경보상태를 표시하는 경보출력 인터페이스(72)로 구성된 경보표시모듈(70)과;
상기 중앙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통신포트(52)를 통해 공급되는 입력신호(차단기동작신호)를 적산하고, 그 적산된 정보를 적산값출력인터페이스(82)로 공급하는 계측제어부(81)와, 상기 계측제어부(81)에서 공급된 적산정보를 디스플레이부(83)를 통해 출력하는 적산값출력인터페이스(82)로 구성된 계측표시모듈(80); 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장기기(1)를 구성하는 차단기와 같은 장비의 상태신호, 경보신호 및 동작신호가 현장정보처리반(2)의 입력단말인터페이스(22)를 구성하는 다수의 입력포트(1~20)로 입력되고, 입력제어부(21)는 입력단말인터페이스(22)로 입력된 각종 신호를 모자이크장치(5)로 출력하여 상태표시모듈(60), 경보표시모듈(70), 계측표시모듈(80) 중 하나 이상의 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력단말인터페이스(22)의 입력포트(1~20)를 구성하는 어느하나의 입력포트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해 3가지의 출력모듈(60,70,80)이 존재하게되므로, 입력포트로 입력되는 입력신호가 어느 하나의 출력모듈(60,70,80)로 출력될 수 있도록 모자이크장치(5)에 구비된 입력속성 지정스위치(54)를 이용하여 입력신호의 입력속성을 설정한다.
상기 입력속성 지정스위치(54)의 조작에 의해 상태모드, 경보모드, 계측모드가 설정된다.
작업자의 입력속성 지정스위치(54) 조작에 의해 상태모드가 설정되면,
모자이크장치(5)의 중앙제어부(53)는 통신포트(52)로 입력되는 입력신호가 상태표시모듈(60)로 공급되도록 어드레스를 지정하고, 이에의해 입력신호가 상태표시모듈(60)의 상태제어부(61)로 공급되며, 상기 상태제어부(61)의 제어동작에 의해 입력신호가 출력단말인터페이스(62)를 통해 램프(63)로 공급되어 램프(63)가 점등되어 현장기기(1)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게된다.
한편, 작업자의 입력속성 지정스위치(54) 조작에 의해 경보모드가 설정되면,
모자이크장치(5)의 중앙제어부(53)는 통신포트(52)로 입력되는 입력신호가 경보표시모듈(70)로 공급되도록 어드레스를 지정하고, 이에의하여 입력신호가 경보표시모듈(70)의 경보제어부(71)로 공급되며, 상기 경보제어부(71)의 제어동작에 의해 입력신호가 경보출력인터페이스(71)를 통해 경보램프(73)로 공급되어 경보램프(73)가 점등되어 현장기기(1)의 경보상태를 표시하게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의 입력속성 지정스위치(54) 조작에 의해 계측모드가 설정되면,
모자이크장치(5)의 중앙제어부(53)는 통신포트(52)로 입력되는 입력신호가 계측표시모듈(80)로 공급되도록 어드레스를 지정하고, 이에의하여 입력신호(차단기동작신호)가 계측표시모듈(80)의 계측제어부(81)로 공급된다.
상기 계측제어부(81)는 차단기 동작횟수를 적산한 후 그 적산정보를 적산값출력인터페이스(82)로 공급하여 디스플레이부(83)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같은 동작에 의해 현장정보처리반(2)의 입력단말인터페이스(22)를 구성하는 하나의 입력포트로 입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작업자의 입력속성 지정스위치(54) 조작에 따라 각기 다른 출력모듈(60,70,80)을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출력할 수 있게되므로서, 다수의 출력모듈(60,70,80)에 대응하여 동일한 갯수의 입력모듈을 구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의 단순화로 인해 제품의 성능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현장정보처리반을 구성하는 입력단말인 터페이스의 입력포트에 대응하여 모자이크장치에 상태표시모듈, 경보표시모듈 및 계측표시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입력포트로 입력되는 신호의 입력속성을 상태모드, 경보모드 및 계측모드로 지정하기 위한 입력속성 지정스위치를 모자이크장치에 더 형성하여 입력속성 지정스위치 조작에 의해 설정된 입력포트의 입력속성에 따라 입력신호에 대응하여 상태표시모듈, 경보표시모듈, 계측표시모듈 중 하나 이상의 모듈이 작동하도록 구성하므로서, 복수의 출력모듈에 대응하도록 입력모듈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작업자의 입력속성 지정스위치 조작에 따라 입력값에 대한 출력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모니터링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 통신 인터페이스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변전소 현장기기(1)와, 상기 현장기기(1)로부터 제공되는 차단기 동작 및 경보, 현장설비 상태감지신호를 공급받아 모자이크장치(5)로 송신하는 현장정보처리반(2)과, 전면에 현장기기(1)의 결선상태를 축소하여 한눈에 볼수있도록 전면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현장정보처리반(2)과 광케이블(6)로 연결되어 현장정보처리반(2)으로부터 제공되는 변전소의 경보, 상태, 동작신호에 따라 전면패널에 설치된 현장기기에 대응하는 각종 램프를 점등함과 동시에 차단기의 동작횟수를 카운팅하여 표시하는 모자이크장치(5)로 구성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현장정보처리반(2)은 현장기기(1)로부터 상태신호, 경보신호, 및 동작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다수의 입력포트를 갖는 입력단말인터페이스(22)와, 상기 입력단말인터페이스(22)로 입력된 입력신호를 광케이블(6)을 통해 모자이크장치(5)의 출력모듈(60,70,80)로 전송하는 입력제어부(21)로 구성되고,
    상기 모자이크장치(5)는
    현장정보처리반(2), 상태표시모듈(60), 경보표시모듈(70), 계측표시모듈(80)과 데이타 통신하기 위한 다수의 통신포트(52)와, 상기 통신포트(52)를 통해 입출력되는 신호의 입력속성을 상태모드, 경보모드 및 계측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입력속성 지정스위치(54)와, 상기 입력속성 지정스위치(54)에 의해 설정된 입력속성에 따라 현장정보처리반(2)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를 상태표시모듈(60), 경보표시모듈(70), 계측표시모듈(80)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는 중앙제어부(53)로 이루어진 통신인터페이스부(5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 통신인터페이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모듈(60)은 상기 중앙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통신포트(52)를 통해 공급되는 입력신호를 출력단말 인터페이스(62)에 공급하는 상태제어부(61)와, 상기 상태제어부(61)를 통해 공급된 입력신호로 램프(63)를 점등시켜 현장기기(1)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출력단말인터페이스(62)로 구성되고,
    상기 경보표시모듈(70)은 상기 중앙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통신포트(52)를 통해 공급되는 입력신호를 경보출력인터페이스(72)에 공급하는 경보제어부(71)와, 상기 경보제어부(71)를 통해 공급된 입력신호로 경보램프(73)를 점등시켜 현장기기(1)의 경보상태를 표시하는 경보출력 인터페이스(72)로 구성되며,
    상기 계측표시모듈(80)은 상기 중앙제어부(53)의 제어에 따라 통신포트(52)를 통해 공급되는 입력신호(차단기동작신호)를 적산하고, 그 적산된 정보를 적산값출력인터페이스(82)로 공급하는 계측제어부(81)와, 상기 계측제어부(81)에서 공급된 적산정보를 디스플레이부(83)를 통해 출력하는 적산값출력인터페이스(8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 통신인터페이스장치.
KR1020060053562A 2006-06-14 2006-06-14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통신인터페이스장치 KR10078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562A KR100783505B1 (ko) 2006-06-14 2006-06-14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통신인터페이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3562A KR100783505B1 (ko) 2006-06-14 2006-06-14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통신인터페이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505B1 true KR100783505B1 (ko) 2007-12-11

Family

ID=39140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562A KR100783505B1 (ko) 2006-06-14 2006-06-14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통신인터페이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602A (ko) * 2021-11-18 2023-05-25 (주)가온테크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860A (ko) * 2018-12-20 2019-01-0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적응형 증강현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860A (ko) * 2018-12-20 2019-01-03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적응형 증강현실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2602A (ko) * 2021-11-18 2023-05-25 (주)가온테크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
KR102648384B1 (ko) 2021-11-18 2024-03-18 (주)가온테크 디지털 축소형 비디오 월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2008468A (es) Panel de interruptor de circuito.
KR100783503B1 (ko) 변전소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
KR20080038754A (ko) 배전자동화시스템
KR100825359B1 (ko) 변전소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배전반의 마스터씨피유 이중화구조
CN101322209A (zh) 监测连接在开关设备上游的保护装置的方法
KR100866994B1 (ko) 변전소의 운영 상태 감시 시스템
KR100783505B1 (ko)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통신인터페이스장치
JPH10164775A (ja) 配電盤開閉装置と操作監視制御システム
KR20070119222A (ko)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용 차단기 테스트장치
KR100971996B1 (ko) 수배전반의 전력 제어 표준화를 위한 하네스 연결 장치
KR101005089B1 (ko) 수배전반용 디지털 보호계전장치
KR20180115451A (ko) 보호 계전 상태를 표시하는 디지털 배전 장치
KR200426099Y1 (ko)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용 차단기 테스트장치
KR100826887B1 (ko) 변전소 작동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디지탈 모니터링시스템의 모듈화된 스위치모듈을 이용한 차단기 전원제어장치
KR101089578B1 (ko) 전력선모뎀을 이용한 전력기기함 감시장치
KR100754906B1 (ko)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입출력 어드레스지정방법
KR101614255B1 (ko) 복수 개 피더의 전류 흐름 감시 장치 및 이를 적용한 배전반
KR100885036B1 (ko) 디지털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시뮬레이팅 장치 및시뮬레이팅 시스템
WO2018158942A1 (ja) バスダクト用分岐ユニット
KR102312689B1 (ko)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KR200426630Y1 (ko) 변전소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배전반의 마스터씨피유 이중화구조
KR20160094703A (ko) 이중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전력 관리 보호 장치
KR20080003282U (ko) 배전반 통합 감시장치
CN107621798B (zh) 基于一键占用技术的交通区域控制器显示控制方法
KR100885629B1 (ko) 전력 설비 모의 시험기 및 전력 설비 모의 시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