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689B1 -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689B1
KR102312689B1 KR1020170047782A KR20170047782A KR102312689B1 KR 102312689 B1 KR102312689 B1 KR 102312689B1 KR 1020170047782 A KR1020170047782 A KR 1020170047782A KR 20170047782 A KR20170047782 A KR 20170047782A KR 102312689 B1 KR102312689 B1 KR 102312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reless terminal
distribution
protection relay
switc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450A (ko
Inventor
전병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70047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68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61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ransmission of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의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는 배전반의 배전 동작 및 배전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여, 이상 발생시 배전반의 배전 선로를 차단하고, 배전 동작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송출하는 보호 계전기, 및 보호 계전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수신되는 배전 동작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를 영상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무선 단말기기를 포함하는바, 배전반, 수배전반, 분전반 등의 다양한 배전반들에 적용되어, 보호 계전기들의 동작 상태와 배전 선로들을 모니터링한 결과 정보들을 관리자가 무선 단말기기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자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배전반들의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PROTECTIVE RELAY EQUIPMENT USING THE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배전반, 수배전반, 분전반 등에 적용되어, 보호 계전기들의 동작 상태와 배전 선로들을 모니터링한 결과 정보들을 관리자가 무선 단말기기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자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배전반 등의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의 계통 전력을 수용가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배전반, 수배전반, 분전반 등이 활용된다.
배전반은 변전소에서 수용 장소까지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각 수용가에 설치되어 배전 계통을 지배하고, 전기의 배분과 개폐, 안전, 계량 등을 행하는 장치로서, 개폐기, 차단기, 보호 계전기, 계기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분전반이나 수배전반 또한 발전소로부터 전력을 받아 나눠줄 수 있도록 차단기, 보호 계전기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배전반, 수배전반, 분전반 등에 필수로 구성되는 보호 계전기는 배전 선로, 발전기, 각종 부하 등의 전압, 전류 등을 실시간 계측하여, 전력 계통의 감시를 수행한다. 그리고 단락, 지락 등의 사고 발생 시에는 차단기를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고장 선로를 건전 선로로부터 분리시킨다.
종래의 배전반이나 분전반 등에는 보호 계전기의 차단기 제어 동작을 비롯하여, 전력 계통이나 배전 선로의 전력 전송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이상 유무를 알람하기 위해, 제어 보드와 함께 알람용 버저나 LED 표시장치 등이 설치되었다. 이에, 관리자는 보호 계전기의 제어보드나 LED 표시장치를 찾아 배전 선로의 전기량(예를 들어, 전압, 전류, 전력량, 주파수, 위상 등)을 확인하고, 그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제어보드나 LED 표시장치 등은 보호 계전기의 장착 위치에 따라 그 설치 위치도 다양해질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들은 전력 변환 설비들의 크기나 형태 및 보호 계전기의 장착 위치를 감안하여 LED 표시장치 등을 찾아 모니터링 결과와 동작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배전반, 수배전반, 분전반 등이 특정 공간에 다수 설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관리자가 일일이 배전반, 수배전반, 분전반 별로 제어보드나 LED 표시장치를 찾아 제어 상태를 확인하고, 동작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했다. 따라서, 종래에는 배전반 등의 관리 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었고, 전기량 등의 계전 상태 확인도 어려워서 정확성과 신뢰도가 모두 저하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전반, 수배전반, 분전반 등에 적용되어, 보호 계전기들의 동작 상태와 배전 선로들을 모니터링한 결과 정보들을 관리자가 무선 단말기기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자들의 편의성을 높이고 배전 기기들의 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는 배전반의 배전 동작 및 배전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여, 이상 발생시 배전반의 배전 선로를 차단하고, 배전 동작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송출하는 보호 계전기, 및 보호 계전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수신되는 배전 동작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를 영상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무선 단말기기를 포함한다.
무선 단말기기로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별로 식별 번호와 구조상 설계된 위치를 모두 확인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별로 확인된 식별 번호, 무선 통신 접속 정보, 및 구조상 설계된 위치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영상으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별 식별 번호나 구조상 설계된 위치 정보를 관리자가 선택하면, 선택된 보호 계전기에서 검출된 배전반의 배전 동작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를 수치, 문자, 계기판 및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술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는 배전반, 수배전반, 분전반 등에 적용되어, 보호 계전기들의 동작 상태와 배전 선로들을 모니터링한 결과 정보들을 관리자가 무선 단말기기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배전반 등을 관리하는 관리자들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관리자들이 결과 정보들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전반 등의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전반, 수배전반, 분전반 등이 특정 공간에 다수 설비되어 있는 경우, 관리자가 특정 공간에 인접하거나 들어섰을 때, 무선 단말기기로 다수 배전반의 동작 상태와 배전 선로들을 모니터링한 결과 정보들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도도 높이고 신뢰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관리자가 일일이 배전반, 수배전반, 분전반 등을 구분하여 찾지 않고, 해당 위치에만 인접하게 가더라도 근거리에 있는 배전반에 대한 동작상태와 그 이상 유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소모 시간과 인력 및 관리 비용을 줄여 배전 기기들의 관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 계전기에 인접하게 위치한 무선 단말기기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배전반들에 구비된 보호 계전기들의 제어 보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호 계전기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전반들의 동작 상태와 보호 계전기의 모니터링 결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기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 계전 장치는 배전반(100)들 각각의 배전 동작 및 배전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여, 이상 발생시 해당 배전반(100)의 배전 선로를 차단하고, 배전 동작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송출하는 복수의 보호 계전기(200), 및 각각의 보호 계전기(2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수신되는 배전 동작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를 영상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단말기기(300)를 포함한다.
각각의 배전반(100)은 기본적으로는 전력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배전시켜 수용가와 연계되는 배전 선로로 공급한다.
보호 계전기(200)는 각각의 배전반(100)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계전기(2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각 배전 선로의 전력 전송 상태 및 배전반(100)의 배전 상태를 감시한 결과 정보를 무선 단말기기(300)로 송출한다.
보호 계전기(20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 파이(Wi-Fi), 와이다이(Wi-Di), 비콘(iBeacon), 지그비(Zigbee)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송출되는 배전반(100)의 전력 전송 상태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는 배전반(100)의 입출력 전력 정보, 계전 동작 정보, 계통 상태 정보, 차단기 및 배전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배전반(100)의 입출력 전력 정보는 배전반(100)로 입력되는 계통 전력의 입력 전력량 정보, 및 배전반(100)에서 수용가의 소비 전력 계통으로 출력되는 출력 전력량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계전 동작 정보는 보호 계전기(300)의 정상 동작 유/무를 포함하는 정보로서, 디지털 보호 계전기(300)에서 계전되는 배전반(100)의 입력/출력 전압 값이나 전류 값이 될 수 있다.
계통 상태 정보는 계통 전력과 소비 전력 계통의 전력 전송 상태를 검출한 전보로서, 계통 전력과 소비 전력 계통의 전력 전송 유/무 상태 정보, 또는 계통 전력과 소비 전력 계통의 오픈 또는 쇼트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차단기 상태 정보는 차단기의 차단 또는 개통 스위칭 상태를 나타낸 정보이며, 배전반(100)의 상태 정보는 배전반의 정상 동작 유/무 상태 정보일 수 있다.
복수의 보호 계전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단말기기(30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접속되면, 접속 여부 또는 접속 상태 정보를 각각 다르게 미리 설정된 고유의 LED 색이나 LCD 배경색으로 표시한다.
복수의 보호 계전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단말기기(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접속되면, 접속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한 고유의 색을 미리 설정 및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무선 단말기기(300)가 연결되면, 접속 여부 또는 접속 상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자신만의 고유의 LED 색이나 LCD 배경색으로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무선 단말기기(300)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접속된 보호 계전기(200) 고유의 LED 색이나 LCD 배경색과 동일한 색으로 LCD 배경색을 하나 또는 다수의 색으로 분할하여 표시한다.
만일, 무선 단말기기(300)와 복수의 보호 계전기(200)가 동시에 접속되어, 무선 단말기기(300)의 한 화면으로 복수의 보호 계전기(200)가 접속되었음을 표시하는 경우, 무선 단말기기(300)는 다수의 분할 화면으로 각각 접속된 보호 계전기(200)의 접속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무선 단말기기(300)는 동시 접속된 보호 계전기(200)의 수에 따라 화면을 다수의 분할 화면으로 분할하여 각 분할 영역별로 보호 계전기(200) 고유의 색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해당 보호 계전기(200)에 표시되는 고유 색과 무선 단말기기(300)의 분할 화면으로 표시되는 색을 매치시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단말기기(300)는 관리자가 소지하여 이동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로써, 이동시 각각의 보호 계전기(2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수신되는 배전 동작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를 영상 표시화면으로 표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호 계전기에 인접하게 위치한 무선 단말기기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기(3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별로 식별 번호와 동작 상태정보, 및 구조상 설계된 위치를 모두 확인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별로 확인된 식별 번호, 무선 통신 접속 정보, 및 구조상 설계된 위치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즉, 무선 단말기기(3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별로 식별 번호와 함께, 해당 보호 계전기별 동작 상태 정보나 무선 통신 접속 정보를 텍스트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기기(300)는 실제 구성된 각 보호 계전기별 구조상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형태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의 무선 통신 접속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보호 계전기(200)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단말기기(30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접속되면, 접속 여부 또는 접속 상태 정보를 각각 다르게 미리 설정된 고유의 LED 색이나 LCD 배경색으로 표시한다.
무선 단말기기(300)는 실시간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특정 공간이나 위치 있을 때,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수행되는 각각의 보호 계전기들과는 무선 접속된다. 그리고 무선 접속된 보호 계전기들로부터 식별 번호와 동작 상태정보를 수신한다.
이에, 무선 단말기기(300)는 무선 접속된 보호 계전기들로부터 수신된 식별 번호를 자체 저장된 구조상 설계된 위치 정보와 대응시켜, 도 2와 같이, 실제 구성된 각 보호 계전기별 구조상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형태로 무선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의 무선 통신 접속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무선 단말기기(300)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접속된 보호 계전기(200) 고유의 LED 색이나 LCD 배경색과 동일한 색으로 LCD 배경색을 하나 또는 다수의 색으로 표시한다.
이에, 관리자는 무선 단말기기(300)를 소지하고 특정 공간에 위치했을 때, 해당 위치에서 실제 구성된 각 보호 계전기별 구조상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형태로 무선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의 무선 통신 접속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는 해당 보호 계전기들의 위치 정보를 그래픽 형태로 표시함과 더불어, 해당 보호 계전기별 동작 상태 정보나 무선 통신 접속 정보가 텍스트로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일일이 보호 계전기들의 식별 번호나 설계 위치 등을 확인할 필요 없어, 실제 구성된 각 보호 계전기별 구조상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을 통해, 현재 무선 접속된 보호 계전기의 위치와 식별 번호 및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초기 상태에서 관리자는 특정 사물의 배치 구조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실제로 적어도 어느 한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별 배치 위치 및 크기를 동일하게 배치시키고 식별 번호와도 매칭시켜, 그래픽 형태로 생성 및 저장해둘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단말기기(300)에 저장된 보호 계전기의 구조상 설계된 위치 정보는 관리자가 특정 사물의 배치 구조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실제로 적어도 어느 한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별 배치 위치 및 크기를 동일하게 배치시키고 식별 번호와도 매칭시켜, 그래픽 형태로 생성 및 저장해둔 위치 정보이다.
도 2와 같이, 무선 단말기기(300)에 무선 접속된 보호 계전기들로부터 수신된 식별 번호와 실제 구성된 각 보호 계전기별 구조상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형태로 보호 계전기의 무선 통신 접속 정보가 표시되면, 관리자는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보호 계전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무선 단말기기(300)는 영상으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별 식별 번호나 구조상 설계된 위치 정보를 관리자가 선택하면, 선택된 보호 계전기에서 검출된 배전반(100)의 배전 동작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를 수치, 문자, 계기판 및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
도 3은 도 1의 배전반들에 구비된 보호 계전기들의 제어 보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계전기(200)는 각각의 배전반(100)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구성되는바, 각 보호 계전기(200)의 제어보드는 각 배전반(100)의 케이스 전면부나 상부면 등에 별도로 설치되어, 외부에 보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호 계전기(200)의 제어 보드에는 현재의 배전반(100) 동작 상태와 자체 보호 계전 동작 상태 등을 포함하는 동작 상태정보, 및 무선 단말기기(30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 상태 정보를 LED(L1 내지 L5)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 표시부(210), 및 배전반(100)의 배전 동작 및 보호 계전기 자체의 배전 선로 감지 동작을 관리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조작 스위치부(220)를 포함한다.
LED 표시부(210)에는 각각의 LED(L1 내지 L5)가 구비되어 각각의 LED(L1 내지 L5)를 통해 배전반(100)의 동작 상태와 자체 보호 계전 동작 상태, 및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LED(L1)의 온/오프를 통해서는 배전반(100)의 정상 동작 유/무 정보, 제2 LED(L2)의 온/오프를 통해서는 자체 보호 계전 동작 유/무 정보, 제3 LED(L3)의 온/오프를 통해서는 무선 단말기기(30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 상태 정보, 제4 LED(L4)의 온/오프를 통해서는 이상 발생에 따른 배전 선로를 차단 정보, 제5 LED(L5)의 온/오프를 통해서는 배전반(100)나 현재 보호 계전기(200)의 자체 고장 진단 및 고장 발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조작 스위치부(220)의 경우는 관리자가 수동으로 배전반(100)이나 현재 보호 계전기(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호 계전기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호 계전기(200)는 배전 상태 검출부(230), 입출력 검출부(240), 차단기 제어부(250), 중앙 처리부(260), 무선 통신부(270), LED 표시 제어부(280) 구성을 더 포함한다.
배전 상태 검출부(230)는 배전반(100)에서 계통 전력의 전압 및 전류를 배전하는 배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그리고 입출력 검출부(240)는 배전반(100)의 전력 전송 상태 및 배전 상태를 실시간 감지한다.
이에, 중앙 처리부(260)는 배전 상태 검출부(230)와 입출력 검출부(240)의 감지 결과에 따라 배전반(100)에서 배전되거나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전력이 끊기거나,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낮아지면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차단기를 통해 배전 선로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차단기 제어부(250)가 중앙 처리부(260)의 차단 명령에 따라 별도의 차단기를 제어하여 배전 선로의 오픈 또는 쇼트 동작을 스위칭하게 된다.
중앙 처리부(260)는 배전 상태 검출부(230)와 입출력 검출부(240)를 통해 배전반(100)의 전력 전송 상태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를 받아, 전력 전송 상태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로부터 배전반(100)의 입출력 전력 정보, 계전 동작 정보, 계통 상태 정보, 보호 계전기나 차단기 및 배전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추출된 배전반(100)의 입출력 전력 정보, 계전 동작 정보, 계통 상태 정보, 보호 계전기나 차단기 및 배전반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무선 통신부(270)와 공유한다.
무선 통신부(270)는 중앙 처리부(260)로부터 배전반(100)의 전력 전송 상태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를 받아,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접속된 무선 단말기기(300)로 송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27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 파이(Wi-Fi), 와이다이(Wi-Di), 비콘(iBeacon),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270)는 실시간으로 각 배전 선로의 전력 전송 상태 및 배전반(100)의 배전 상태를 감시한 결과 정보를 무선 단말기기(300)로 송출한다.
LED 표시 제어부(280)는 중앙 처리부(260) 또는 무선 통신부(270)로부터 배전반(100)의 전력 전송 상태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를 받아, 적어도 하나의 LED 표시부(210)를 통해 표시한다.
이때, LED 표시 제어부(280)는 제1 LED(L1)의 온/오프를 통해서는 배전반(100)의 정상 동작 유/무 정보, 제2 LED(L2)의 온/오프를 통해서는 자체 보호 계전 동작 유/무 정보, 제3 LED(L3)의 온/오프를 통해서는 무선 단말기기(30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 상태 정보, 제4 LED(L4)의 온/오프를 통해서는 이상 발생에 따른 배전 선로를 차단 정보, 제5 LED(L5)의 온/오프를 통해서는 배전반(100)이나 현재 보호 계전기(200)의 자체 고장 진단 및 고장 발생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전반들의 동작 상태와 보호 계전기의 모니터링 결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무선 단말기기의 표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보호 계전기(200)의 LED 표시부(210)를 통해 표시되는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 외에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는 무선 단말기기(300)를 통해 배전 선로의 전력 전송 상태 및 배전반(100)의 배전 상태를 감시한 결과 정보를 자세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단말기기(300)에 무선 접속된 보호 계전기들로부터 수신된 식별 번호와 실제 구성된 각 보호 계전기별 구조상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형태로 보호 계전기의 무선 통신 접속 정보가 표시되면, 관리자는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보호 계전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무선 단말기기(300)는 영상으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별 식별 번호나 구조상 설계된 위치 정보를 관리자가 선택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보호 계전기(100)에서 검출된 배전반(100)의 배전 동작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가 수치, 문자, 계기판 및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된다.
즉, 무선 단말기기(300)의 영상으로 배전반(100)의 정상 동작 유/무 정보, 자체 보호 계전 동작 유/무 정보, 무선 단말기기(30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 상태 정보, 이상 발생에 따른 배전 선로를 차단 정보, 배전반(100)이나 현재 보호 계전기(200)의 자체 고장 진단 및 고장 발생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해당 보호 계전기(100)에 가까이 가서 일일이 상태 정보를 확인하지 않고도 일정 거리를 두고 해당 보호 계전기(100)에서 검출된 배전반(100)의 배전 동작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가 수치, 문자, 계기판 및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단말기기(300)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는 배전반, 수배전반, 분전반 등의 다양한 배전반(100)들에 적용되어, 보호 계전기(200)들의 동작 상태와 배전 선로들을 모니터링한 결과 정보들을 관리자가 무선 단말기기(300)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배전반(100)들을 관리하는 관리자들의 편의성을 높이면서도 관리자들이 결과 정보들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전반(100)들의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전반, 수배전반, 분전반 등이 특정 공간에 다수 설비되어 있는 경우, 관리자가 특정 공간에 인접하거나 들어섰을 때, 무선 단말기기(300)로 다수 배전반 등의 동작 상태와 배전 선로들을 모니터링한 결과 정보들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도도 높이고 신뢰성까지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자가 일일이 배전반, 수배전반, 분전반 등을 구분하여 찾지 않고, 해당 위치에만 인접하게 가더라도 근거리에 있는 배전반 등에 대한 동작상태와 그 이상 유무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소모 시간과 인력 및 관리 비용을 줄여 배전반 등의 관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도면 및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 예는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배전반
200: 보호 계전기
210: LED 표시부
220: 조작 스위치부
230: 배전 상태 검출부
240: 입출력 검출부
250: 차단기 제어부
260: 중앙 처리부
270: 무선 통신부
280: LED 표시 제어부
300: 무선 단말기기

Claims (9)

  1. 배전반의 배전 동작 및 배전 상태를 실시간 감시하여, 이상 발생시 상기 배전반의 배전 선로를 차단하고, 상기 배전 동작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송출하는 복수의 보호 계전기; 및
    상기 복수의 보호 계전기 중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수신되는 배전 동작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를 영상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무선 단말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보호 계전기는
    상기 무선 단말기기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접속되면, 접속 여부 또는 접속 상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고유의 LED 색이나 LCD 배경색으로 표시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기는
    상기 복수의 보호 계전기가 실제 구성된 구조상 설계된 위치 정보와 대응되는 그래픽 형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별 미리 설정된 고유의 LED 색이나 LCD 배경색과 동일한 색으로 상기 접속 여부 또는 상기 접속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기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별로 식별 번호와 구조상 설계된 위치를 모두 확인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별로 확인된 상기 식별 번호, 무선 통신 접속 정보, 상기 고유색 및 상기 구조상 설계된 위치 정보를 영상 및 배경색으로 표시하는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기는
    상기 영상으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별 식별 번호나 구조상 설계된 위치 정보를 관리자가 선택하면,
    선택된 보호 계전기에서 검출된 배전반의 배전 동작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를 수치, 문자, 계기판 및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하는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상 설계된 위치 정보는
    관리자가 특정 사물의 배치 구조 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실제로 적어도 어느 한 공간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호 계전기별 배치 위치 및 크기를 동일하게 배치시켜 그래픽 형태로 생성 및 저장해둔 위치 정보인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계전기는
    현재 동작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정보, 고유의 배경색 및 상기 무선 단말기기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 상태 정보를 LED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LED 표시부; 및
    상기 배전반의 배전 동작 및 보호 계전기 자체의 배전 선로 감지 동작을 관리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조작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계전기는
    상기 배전반의 정상 동작 유무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배전 상태 검출부;
    계통 전력과 소비 전력 계통인 상기 배전 선로의 전력 전송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입출력 검출부;
    차단기를 제어하여 상기 배전 선로의 오픈 또는 쇼트 동작을 스위칭하는 차단 제어부;
    상기 배전 상태 검출부와 상기 입출력 검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배전반에서 배전되거나 입력 또는 출력되는 전력이 끊기거나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낮아지면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상기 차단기를 통해 상기 배전 선로를 차단하는 중앙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계전기는
    상기 중앙 처리부로부터 상기 배전반의 전력 전송 상태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를 받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접속된 상기 무선 단말기기로 송출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중앙 처리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배전반의 전력 전송 상태 및 배전 상태 감시 결과 정보를 받아,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LED 표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LED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표시부를 통해 상기 배전반이나 현재 보호 계전기의 전원 온/오프 정보, 상기 무선 단말기기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 상태 정보, 이상 발생에 따른 상기 배전반의 배전 선로를 차단 정보, 상기 차단기의 트립 상태 정보, 상기 배전반이나 현재 보호 계전기의 자체 고장 진단 및 고장 발생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KR1020170047782A 2017-04-13 2017-04-13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KR102312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782A KR102312689B1 (ko) 2017-04-13 2017-04-13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782A KR102312689B1 (ko) 2017-04-13 2017-04-13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450A KR20180115450A (ko) 2018-10-23
KR102312689B1 true KR102312689B1 (ko) 2021-10-13

Family

ID=6410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782A KR102312689B1 (ko) 2017-04-13 2017-04-13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6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183B1 (ko) * 2020-06-30 2022-09-13 한국전력공사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908B1 (ko) * 2011-09-21 2012-08-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디지털 계전계측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217674B1 (ko) * 2011-03-30 2013-01-09 박기주 수배전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73642B1 (ko) 2012-08-10 2016-11-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디지털 전기 계측, 계전 기기
KR101705965B1 (ko) 2015-02-02 2017-02-13 (주)인터전기 이중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전력 관리 보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8369A (ko) * 2011-12-30 2013-07-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디지털 보호 계전기 및 이의 정보 수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674B1 (ko) * 2011-03-30 2013-01-09 박기주 수배전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175908B1 (ko) * 2011-09-21 2012-08-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디지털 계전계측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73642B1 (ko) 2012-08-10 2016-11-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디지털 전기 계측, 계전 기기
KR101705965B1 (ko) 2015-02-02 2017-02-13 (주)인터전기 이중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전력 관리 보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450A (ko)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5610B2 (en) Method and device for analyzing and processing abnormal load on premises broadcasting device
KR100990736B1 (ko) 보호 배전반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보호 시스템
KR101081929B1 (ko) 분전반 통합 감시 시스템
KR20080098950A (ko) 분전장치용 화재감시시스템
KR100783503B1 (ko) 변전소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
KR102043441B1 (ko) IoT 기반 이동통신용 스마트 분전반 제어 장치
KR20160056540A (ko) 수배전반 유지보수를 위한 감시제어장치 및 방법
KR102312689B1 (ko) 무선 단말기기를 이용한 보호 계전 장치
CN105119246B (zh) 电弧光保护系统
KR101794580B1 (ko) 지능형 세대 분전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119223A (ko) 변전소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배전반의 마스터씨피유 이중화구조
CN105281300B (zh) 一种实时分布式监测系统
KR101005089B1 (ko) 수배전반용 디지털 보호계전장치
KR20130001059A (ko) 현장 감시 장치, 디지털 보호 계전기의 전력계통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207719795U (zh) 一种多角度电弧光综合保护系统
KR101900308B1 (ko) 복수개의 led 램프의 점멸 속도 및 방향을 제어하여 전력량을 나타내기 위한 디지털 전기 계측 기기
JP6746444B2 (ja) トンネル防災システム
KR20180115451A (ko) 보호 계전 상태를 표시하는 디지털 배전 장치
KR20110043303A (ko) 선박용 배전반 상태감시 및 제어용 무선조작반
KR20070119222A (ko)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용 차단기 테스트장치
KR100889045B1 (ko) 타이머 기능을 가진 디지틀 분전함
US10896658B1 (en) Virtual display
KR101705965B1 (ko) 이중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전력 관리 보호 장치
KR100806773B1 (ko) 지능형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장치
KR200426099Y1 (ko)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용 차단기 테스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