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377B1 -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 - Google Patents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377B1
KR102244377B1 KR1020190022104A KR20190022104A KR102244377B1 KR 102244377 B1 KR102244377 B1 KR 102244377B1 KR 1020190022104 A KR1020190022104 A KR 1020190022104A KR 20190022104 A KR20190022104 A KR 20190022104A KR 102244377 B1 KR102244377 B1 KR 102244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ion switch
switching
circuit breaker
mode selection
disconn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501A (ko
Inventor
서우석
Original Assignee
서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우석 filed Critical 서우석
Priority to KR1020190022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37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3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용 현장제어반(LCP)의 모드선택스위치, 차단기(CB) 및 단로기(DS)의 스위칭이 수동이 아니라 유무선통신에 의해 원격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순회점검반의 현장출동횟수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정전시간 또한 감소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은, 내부에 제 1 및 제 2 단로기와 차단기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원격자동제어모드와 현장제어모드로 스위칭되는 모드선택스위치와,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외부와의 유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단로기, 상기 차단기 및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의 상태를 측정감시하는 메인컨트롤러와, 상기 제 1 및 제 2 단로기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단로기를 각각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칭모터와, 상기 차단기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기를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칭모터와,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드선택스위치를 스위칭하는 제 3 스위칭모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SMART CONTROL TYPE LOCAL CONTROL PANEL FOR ELECTRIC POWER DISTRIBUTION}
본 발명은 원격감시 및 데이터수집(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cquisition) 시스템에 의해 감시제어되는 송전계통시스템 상에서 변전소의 하류에 설치되는 원격제어반(RTU: Remote Terminal Unit)에 의해 제어되는 배전기에 형성되어 순회점검반의 수동현장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배전용 현장제어반(LCP: Local Control Panel)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계통시스템은 발전소에 의해 발전된 고압의 전기를 다수의 변전소로 송전한 후 해당 변전소에서 송배전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전한 다음 배전기를 통해 수용가로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각각의 변전소에의 하류에는 원격제어반(RTU: Remote Terminal Unit)이 설치되는데, 이 원격제어반(RTU)은 그 하류에 설치되는 배전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기관망을 통해 원격감시 및 데이터수집(SCADA: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cquisition) 시스템에 의해 감시제어된다.
이러한 원격감시 및 데이터수집(SCADA) 시스템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1-0020018호(2001.03.15. 공개)에는 발전소로부터 발전된 전력을 복수개의 변전소 및 그 변전소간을 연결하는 송전선로를 매개로 송전하며, 상기 각 변전소의 송전선로상에는 송전계통상의 고장을 신속하게 검출하여 자동으로 해당 계통 선로를 차단시키는 다기종 복수의 디지털 보호 계전기 및 각 전력계통상의 고장전후의 필요한 데이터를 기록 저장하는 다기종 복수의 고장기록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전력 시스템에 있어서, 다기종 복수의 상기 디지털 보호 계전기와 상기 고장 기록장치로부터 전력계통 상태에 관한 각종의 정보 데이터를 취득, 관리 및 저장하고, 상위로 단일 모뎀을 매개로 하는 단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취득된 데이터를 원격 전송하는 데이터 수집/전송장치와, 상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표시하며, 상기 데이터 수집/전송장치와 상호 통신하는 퍼스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계통의 상태 정보 수집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한편 배전기는 실제 변전소로부터 전압을 수전한 후 수용가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전한 다음 수용가로 배전하는 전기설비로, 수변전반, 수배전반, 배전반 등으로 불려지며, 가스절연스위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와 주변압기(Tr)와 차단기(CB)와 단로기(DS) 등을 포함한다.
또한 배전기에는 순회점검반으로 하여금 차단기(CB: Curcuit Breaker)와 단로기(DS: Disconnecting Switch) 등의 수동현장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배전용 현장제어반(LCP: Local Control Panel)이 형성된다.
이러한 배전기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6-0076656호(2006.08.14. 공개)에는 고압을 수전하여 상용전압으로 강압시켜 건물단위별 또는 공장단위별로 공급하기 위한 수변전장치에 있어서, 수변전반과 변전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변전반에는, 배전선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인입구와, 상기 인입구의 하류에 연결되는 자동구간개폐기와, 상기 자동구간개폐기의 하류에 연결되는 피뢰기와, 상기 자동구간개폐기의 하류에 연결되는 파워퓨즈와, 상기 파워퓨즈의 하류에 연결되는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압변류기와, 상기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압변류기에 연결되어 전력량을 측정하는 적산전력계가 포함되며, 상기 변전반에는, 상기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압변류기의 하류에 연결되며 상기 수변전반 및 변전반에 상응하는 수의 파워퓨즈부재가 1개의 가스절연케이스 내에 병렬수납된 가스절연형 파워퓨즈가 포함되고, 상기 수변전반 및 변전반에는 상기 파워퓨즈부재의 하류에 그 1차측이 연결되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의 2차측에 연결되는 주차단기와, 상기 주차단기에 연결되며 필요시 각각의 부하를 차단하는 다수의 배선용 차단기가 각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형 파워퓨즈를 구비한 수변전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원격감시 및 데이터수집(SCADA) 시스템이 다운되거나, 인트라넷이나 이더넷 등과 같은 기관망에 이상이 발생될 경우에는 원격제어반(RTU)의 원격감시 및 데이터수집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원격감시 및 데이터수집(SCADA) 시스템과 기관망에 이상이 없다 하더라도 현장의 원격제어반(RTU)과 배전용 현장제어반(LCP)의 상태 이상 등으로 원격제어반(RTU)과 배전용 현장제어반(LCP)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순회점검반이 현장으로 출동하여 상태점검하는 시간 동안 정전이 발생되어 수용가에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전술한 고장은 순회점검반이 배전용 현장제어반(LCP)의 모드선택스위치를 통해 차단기(CB)와 단로기(DS)를 스위칭조작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정상화되는 사례가 빈번함도 불구하고, 종래의 배전용 현장제어반(LCP)의 경우에는 원격으로 이를 스위칭조작할 수 없어 순회점검반의 빈번한 현장출동을 야기시킬 뿐만 아니 정전시간을 감소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1-0020018호(2001.03.15. 공개)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6-0076656호(2006.08.14.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전용 현장제어반(LCP)의 모드선택스위치, 차단기(CB) 및 단로기(DS)의 스위칭이 수동이 아니라 유무선통신에 의해 원격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순회점검반의 현장출동횟수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정전시간 또한 감소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을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용 현장제어반(LCP)의 모드선택스위치, 차단기(CB) 및 단로기(DS)의 스위칭상태와 배전용 현장제어반(LCP)의 현재상태 등이 실시간으로 측정 및 감시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을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원격감시 및 데이터수집(SCADA) 시스템에 의해 감시제어되는 송전계통시스템 상에서 변전소의 하류에 설치되는 배전기에 형성되는 배전용 현장제어반에 있어서, 내부에 제 1 및 제 2 단로기와 차단기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원격자동제어모드와 현장제어모드로 스위칭되는 모드선택스위치와, 상기 본체 상에 설치되고 외부와의 유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단로기, 상기 차단기 및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상기 본체 및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의 상태를 측정감시하는 메인컨트롤러와, 상기 제 1 및 제 2 단로기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단로기를 각각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칭모터와, 상기 차단기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기를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칭모터와,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드선택스위치를 스위칭하는 제 3 스위칭모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서 상기 제 1 단로기는 상기 차단기의 상류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단로기는 상기 차단기의 하류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단로기와 상기 차단기 사이에는 제 1 접지스위치가 분기연결되고, 상기 제 2 단로기와 상기 차단기 사이에는 제 2 접지스위치가 병렬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상기 원격감시 및 데이터수집(SCADA) 시스템 또는 원격제어단말과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본체 및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의 상태를 측정감시하기 위한 감시부와, 상기 통신부의 입력신호와 상기 감시부의 측정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칭모터의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중앙처리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감시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단로기, 상기 차단기, 상기 제 1 및 제 2 접지스위치 및 상기 모드선택스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배전기의 계기용변압기(PT: Potential Transformer), 계기용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에 의하면, 배전용 현장제어반(LCP)의 모드선택스위치, 차단기(CB) 및 단로기(DS)의 스위칭이 순회점검반에 의해 수동이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통신부를 통한 유무선통신에 따른 메인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차단기(CB), 단로기(DS) 및 모드선택스위치에 연결된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칭모터가 작동되면서 원격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순회점검반의 현장출동횟수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정전시간 또한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에 의하면, 배전용 현장제어반(LCP)의 모드선택스위치, 차단기(CB) 및 단로기(DS)의 스위칭상태와 배전용 현장제어반(LCP)의 현재상태 등이 감시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 및 감시되고 메인컨트롤러를 통해 현재 필요한 조치가 자동으로 행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의 기본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의 싱세구조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의 기본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의 싱세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은, 원격감시 및 데이터수집(SCADA) 시스템에 의해 감시제어되는 송전계통시스템 상에서 변전소의 하류에 설치되는 배전기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와 차단기(13)가 구비되는 본체(10)와, 본체(10)에 설치되고 원격자동제어모드와 현장제어모드로 스위칭되는 모드선택스위치(20)와, 본체(10) 상에 설치되고 외부와의 유무선통신을 통해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 차단기(13) 및 모드선택스위치(20)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본체(10) 및 모드선택스위치(20)의 상태를 측정감시하는 메인컨트롤러(30)와,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메인컨트롤러(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를 각각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칭모터(40a, 40b)와, 차단기(13)의 일측에 설치되고 메인컨트롤러(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단기(13)를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칭모터(50)와, 모드선택스위치(20)의 일측에 설치되고 메인컨트롤러(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드선택스위치(20)를 스위칭하는 제 3 스위칭모터(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을 형성하는 것으로, 원격감시 및 데이터수집(SCADA) 시스템에 의해 감시제어되는 송전계통시스템 상에서 변전소의 하류에 설치되는 배전기에 형성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와 차단기(13)가 구비된다. 본체(10)에서 제 1 단로기(11a)는 차단기(13)의 상류에 설치되고 제 2 단로기(11b)는 차단기(13)의 하류에 설치되는데,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는 차단기(13)가 차단, 즉 off로 스위칭될 경우에 충전전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차단기(13)가 투입, 즉 on으로 스위칭될 경우에 전로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10)에서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기(13)는 고장전류를 차단하고 정상적인 부하전류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진공차단기, 공기차단기를 비롯하여 바이메탈차단기, 전자석 차단기 등과 같은 기계식 차단기나 전자식 차단기로도 형성 가능하다.
또한 제 1 단로기(11a)와 차단기(13) 사이에는 제 1 접지스위치(15a)가 분기연결되고, 제 2 단로기(11b)와 차단기(13) 사이에는 제 2 접지스위치(15b)가 병렬연결된다. 제 1 및 제 2 접지스위치(15a, 15b)는 차단기(13)의 고장 시에 사고전류를 접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술한 본체(10)에는 모드선택스위치(20)가 설치된다. 모드선택스위치(20)는 원격감시 및 데이터수집(SCADA) 시스템에 의해 원격으로 자동제어되는 원격자동제어모드와 사고발생시나 현장점검시에 원격제어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본체(10)의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 차단기(13) 및 제 1 및 제 2 접지스위치(15a, 15b)를 제어하기 위한 현장제어모드로 스위칭되도록 하는 스위치이다.
통상의 모드선택스위치(20)는 순회점검반이 현장점검이나 고장수리시에 현장에서 수동으로 조작하는 현장제어모드로 스위칭조작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원격감시 및 데이터수집(SCADA) 시스템 또는 원격제어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스위칭조작된다.
전술힌 본체(10) 상에는 메인컨트롤러(30)가 설치된다. 메인컨트롤러(30)는 외부와의 유무선통신을 통해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 차단기(13) 및 모드선택스위치(20)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본체(10) 및 모드선택스위치(20)의 상태를 측정감시하는 제어부이다.
메인컨트롤러(30)는 원격감시 및 데이터수집(SCADA) 시스템 또는 원격제어단말과의 유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31)와, 본체(10) 및 모드선택스위치(20)의 상태를 측정감시하기 위한 감시부(33)와, 통신부(31)의 입력신호와 감시부(33)의 측정신호에 따라 차후에 설명될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칭모터(40, 50, 60)의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중앙처리유닛(35)을 포함한다.
특히 감시부(33)는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 차단기(13), 제 1 및 제 2 접지스위치(15a, 15b) 및 모드선택스위치(20)에 연결되어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 차단기(13), 제 1 및 제 2 접지스위치(15a, 15b) 및 모드선택스위치(20)의 스위칭 접점상태를 측정감시한다.
또한 감시부(33)는 고전압을 측정하기 위해 2차측을 100V로 하여 사용하는 전압 변성기인 계기용변압기(PT: Potential Transformer)와, 배전기에서 교류 전류계의 측정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사용되는 측정용 또는 제어용 변압기로 고전압의 전류를 저전압의 전류로 변성하는 경우에도 사용되는 계기용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에 연결되어 해당 전압값 및 전류값을 측정감시한다.
또한 전술한 본체(10)의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의 일측에는 제 1 스위칭모터(40a, 40b)가 각각 설치된다. 제 1 스위칭모터(40a, 40b)는 메인컨트롤러(30)의 제어신호, 즉 통신부(31)와 감시부(33)의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중앙처리유닛(35)에서 신호처리된 후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의 접점을 on 또는 off로 각각 스위칭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의 스위치를 강제회동시키는 구동모터식 액츄에이터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본체(10)의 차단기(13)의 일측에는 제 2 스위칭모터(50)가 설치된다. 제 2 스위칭모터(50)는 메인컨트롤러(30)의 제어신호, 즉 통신부(31)와 감시부(33)의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중앙처리유닛(35)에서 신호처리된 후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차단기(13)의 접점을 on 또는 off로 각각 스위칭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차단기(13)의 스위치를 강제회동시키는 구동모터식 액츄에이터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모드선택스위치(20)의 일측에는 제 3 스위칭모터(60)가 설치된다. 제 3 스위칭모터(60)는 메인컨트롤러(30)의 제어신호, 즉 통신부(31)와 감시부(33)의 입력신호를 기반으로 중앙처리유닛(35)에서 신호처리된 후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모드선택스위치(20)의 스위치를 강제회동시키는 구동모터식 액츄에이터로 형성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이 배전기에 적용될 경우에는, 모드선택스위치(20),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 및 차단기(13)의 스위칭이 순회점검반에 의해 수동이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통신부(41)를 통한 유무선통신에 따른 메인컨트롤러(30)의 제어에 따라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 차단기(13) 및 모드선택스위치(20)에 연결된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칭모터(40, 50 및 60)가 작동되면서 원격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순회점검반의 현장출동횟수가 감소될 뿐만 아니라 정전시간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이 배전기에 적용될 경우에는, 모드선택스위치(20),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 및 차단기(13)의 스위칭상태와 배전용 현장제어반(LCP)의 현재상태, 특히 계기용변압기(PT), 계기용변류기(CT)에 의한 전압/전류값, 배전용 현장제어반(LCP)의 개폐여부 등이 감시부(33)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 및 감시되고 메인컨트롤러(30)를 통해 현재 필요한 조치가 자동으로 행해질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본체
11a : 제 1 단로기
11b : 제 2 단로기
13 : 차단기
15a : 제 1 접지스위치
15b : 제 2 접지스위치
20 : 모드선택스위치
30 : 메인컨트롤러
31 : 통신부
33 : 감시부
35 : 중앙처리유닛
40a, 40b : 제 1 스위칭모터
50 : 제 2 스위칭모터
60 : 제 3 스위칭모터

Claims (4)

  1. 원격감시 및 데이터수집(SCADA) 시스템에 의해 감시제어되는 송전계통시스템 상에서 변전소의 하류에 설치되는 배전기에 형성되는 배전용 현장제어반에 있어서,
    내부에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와 차단기(13)가 구비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에 설치되고 상기 원격감시 및 데이터수집(SCADA) 시스템에 의해 제어되는 원격자동제어모드와 사고발생시 또는 현장점검시에 원격제어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현장제어모드 중 하나로 상기 원격감시 및 데이터수집(SCADA) 시스템 또는 상기 원격제어단말을 통해 원격으로 스위칭되는 모드선택스위치(20);
    상기 본체(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원격감시 및 데이터수집(SCADA) 시스템 또는 원격제어단말과의 유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 상기 차단기(13) 및 상기 모드선택스위치(20)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상기 본체(10) 및 상기 모드선택스위치(20)의 상태를 측정감시하는 메인컨트롤러(30);
    상기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를 각각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칭모터(40a, 40b);
    상기 차단기(13)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단기(13)를 스위칭하는 제 2 스위칭모터(50); 및
    상기 모드선택스위치(2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모드선택스위치(20)를 스위칭하는 제 3 스위칭모터(6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30)는 상기 원격감시 및 데이터수집(SCADA) 시스템 또는 원격제어단말과의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31)와, 상기 본체(10) 및 상기 모드선택스위치(20)의 상태를 측정감시하기 위한 감시부(33)와, 상기 통신부(31)의 입력신호와 상기 감시부(33)의 측정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스위칭모터(40, 50, 60)의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중앙처리유닛(35)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에서 상기 제 1 단로기(11a)는 상기 차단기(13)의 상류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단로기(11b)는 상기 차단기(13)의 하류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단로기(11a)와 상기 차단기(13) 사이에는 제 1 접지스위치(15a)가 분기연결되고, 상기 제 2 단로기(11b)와 상기 차단기(13) 사이에는 제 2 접지스위치(15b)가 병렬연결되며,
    상기 감시부(33)는 상기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 상기 차단기(13), 상기 제 1 및 제 2 접지스위치(15a, 15b) 및 상기 모드선택스위치(20)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단로기(11a, 11b), 차단기(13), 제 1 및 제 2 접지스위치(15a, 15b) 및 모드선택스위치(20)의 스위칭 접점상태를 측정감시하고, 상기 배전기의 계기용변압기(PT: Potential Transformer), 계기용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에 연결되어 상기 계기용변압기의 전압값 및 상기 계기용변류기의 전류값을 측정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22104A 2019-02-25 2019-02-25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 KR102244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104A KR102244377B1 (ko) 2019-02-25 2019-02-25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104A KR102244377B1 (ko) 2019-02-25 2019-02-25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501A KR20200103501A (ko) 2020-09-02
KR102244377B1 true KR102244377B1 (ko) 2021-04-23

Family

ID=7246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104A KR102244377B1 (ko) 2019-02-25 2019-02-25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3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502Y1 (ko) * 1999-10-22 2000-04-15 주식회사어텍 모터 원격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748B1 (ko) 1999-08-31 2002-08-09 주식회사 젤파워 전력계통의 상태 정보 수집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
KR100870938B1 (ko) * 2004-06-04 2008-12-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통신망을 이용한 경량 전철용 직류 배전반 시스템
KR100636926B1 (ko) 2004-12-29 2006-10-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KR100663956B1 (ko) * 2005-11-10 2007-01-04 윤기형 스카다 기능의 원격소장치를 갖는 변전소 내집중감시제어반의 원격관리 시스템 및 그의 운용방법
KR20130043319A (ko) * 2011-10-20 2013-04-30 김계수 모드 설정 제어방식의 배전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502Y1 (ko) * 1999-10-22 2000-04-15 주식회사어텍 모터 원격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501A (ko)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12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electrical power
KR102035351B1 (ko) 전기 설비 유지보수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145266B1 (ko) 전력계통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449865A (zh) 一种用于配电网络故障定位隔离的智能馈线终端ftu
KR100990736B1 (ko) 보호 배전반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보호 시스템
CN208571394U (zh) 一种基于智能控制器的光伏发电用箱式变电站
KR101713076B1 (ko) 전력설비 보호계전기의 보호요소 계측값 및 동작상태 표시 시스템
KR101223670B1 (ko) 상용-비상용 전력수급 제어 기능을 가지는 전력컨트롤러가 내장된 수배전반 및 이의 작동방법
EP1782517B1 (de) Vorrichtung zur sicheren trennung einer kraftwerksanlage von einem netz bei einem netzfehler
KR101302068B1 (ko) 통합형 전철제어반 glds
KR102244377B1 (ko) 스마트 제어식 배전용 현장제어반
KR20110017573A (ko) 전기철도의 통합형 직류 보호 계전 시스템
KR101084058B1 (ko) 차단기 자동 제어 기능을 구비한 특고전압 수전설비
CN204992580U (zh) 双电源供电可扩展不重复固定式计量设备
CN105471095B (zh) 一种低压交流环网回路电源监测方法
Purucker et al. Feeder automation designs for installing an integrated distribution control system
Bright et al. Integrated monitoring, protection, and control systems for industrial and commercial power systems
KR100532925B1 (ko) 배전자동화기반의 비접지계 지락고장구간 검출방법
WO2023135968A1 (ja) プラント監視システム及びプラント監視装置
CN204992274U (zh) 双电源高供高计和高供低计可扩展不重复固定式计量设备
CN219554656U (zh) 一种检修电源配电优化设备
US20230135520A1 (en) Network protector for secondary distribution network that includes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KR102617698B1 (ko) 충전식 직류공급기기가 내장된 가스절연개폐장치
KR20120004823A (ko) 고압활선 감시 기능을 구비한 중전기기 제어용 io-box
de Andrade Barreto et al. Underground low voltage smarter grid at CE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