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483B1 - 창문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창문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483B1
KR101060483B1 KR1020080116044A KR20080116044A KR101060483B1 KR 101060483 B1 KR101060483 B1 KR 101060483B1 KR 1020080116044 A KR1020080116044 A KR 1020080116044A KR 20080116044 A KR20080116044 A KR 20080116044A KR 101060483 B1 KR101060483 B1 KR 101060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opening
rotating
clos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7154A (ko
Inventor
이두현
Original Assignee
이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현 filed Critical 이두현
Priority to KR1020080116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4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57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연에 권회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권회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창틀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권회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기 권회부재가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창문의 전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권회부재가 회전할 시 좌우로 이동하여 창문을 개폐시키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구동부재가 상기 권회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단속하여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개방된 상태의 창문을 통해 실내로 빗물 등이 들어올 우려가 없음은 물론 동력단속부재의 동력단속여부에 따라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창문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개폐부재, 동력단속부재, 제어부

Description

창문개폐장치{A WINDOW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연에 권회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권회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창틀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권회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기 권회부재가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창문의 전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권회부재가 회전할 시 좌우로 이동하여 창문을 개폐시키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구동부재가 상기 권회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단속하여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설치되어 외부의 풍경이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채광 및 환기를 목적으로 설치된다.
창문은 구조에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는 미닫이형과, 힌지에 의해 회전개폐되는 여닫이형 및 암(Arm)에 의해 회전개폐되는 암형으로 대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창문은 사람이 직접 여닫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나 관리자가 건물의 실내 환기를 위해 문을 열어 놓거나 창문을 사용 후 문을 닫지 않고 퇴근 또는 외부로 나간 상태에서 비 등이 내리게 될 경우 열어진 상태의 창문을 통해 빗물 등이 고스란히 실내로 들어와 실내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특히 비가 올경우 열어진 상태의 창문을 자동으로 폐쇄하여 빗물 등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창문개폐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개방된 상태의 창문을 통해 실내로 빗물 등이 들어올 우려가 없음은 물론 동력단속부재의 동력단속여부에 따라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창문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는 창문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연에 권회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권회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창틀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권회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기 권회부재가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창문의 전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권회부재가 회전할 시 좌우로 이동하여 창문을 개폐시키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구동부재가 상기 권회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단속하여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의 구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창틀 전면에 구비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하부 일측에 수직으로 축결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 하측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 하측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가 하단에 축결합되고,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 일측에 수직으로 축결합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의 상단에 치합된 상태로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 상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기어박스의 상부 타측에 수평방향으로 축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종동기어가 축결합되며,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베어링고정되어 상기 기어박스의 외부로 노출되고, 일측면에 삽입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외주연에 권회된 상기 권회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력단속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타측면에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회전축의 절개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이 하단에 형성된 슬릿에 게재된 상태에서 하단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회전판을 좌우이동시켜 상기 회전판의 삽입돌기가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이동판과; 상기 좌우이동판의 상단에 형성된 슬릿에 타측이 게재되고, 상기 좌우이동판의 하단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좌우이동판의 상단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좌우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비를 감지하는 비감지센서와; 외부의 바람을 감지하는 바람감지센서와; 외부의 눈을 감지하는 눈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비감지센서는 창틀 후면에 설치되고, 타측면에 수평바가 일정간격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 전도체와, 상기 일측 전도체의 수평바 사이에 위치하는 수평바가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연장형성되는 타측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전도체와; 상기 일측 전도체와 타측 전도체 사이에 구비되는 비전도체와; 상기 일측 전도체의 수평바와 상기 타측 전도체의 수평바로 전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전도체의 수평바와 상기 타측 전도체의 수평바 사이로 비가 유입될 시 누전되는 전기의 감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누전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에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를 미리 입력할 수 있는 누전감도입력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전감지부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와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리모콘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어부가 동력단속부재와 개폐부재를 제어하여 특히 개방된 상태의 창문이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의 창문을 통해 실내로 빗물, 강한 바람, 눈 등이 들어올 우려가 없음은 물론 동력단속부재의 단속여부에 따라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창문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단속부재가 회전판, 좌우이동판 및 좌우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동력단속부재가 상기 권회부재로 전달되는 상기 구동부재의동력을 보다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비감지센서, 바람감지센서 및 눈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여 개방된 상태의 창문이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의 창문을 통해 실내로 빗물, 강한 바람, 눈 등이 들어올 우려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비감지센서가 전도체, 비전도체 및 누전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비감지센서가 외부의 비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감지하여 상기 제 어부로 출력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가 상기 누전감지부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와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에 따라 개방된 상태의 창문이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리모콘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예를 들어, 먼거리에서도 상기 리모콘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창문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창문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동력단속부재(30)가 동력을 단속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창문개폐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개폐부재(10), 동력단속부재(30)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창문개폐장치는 예를 들어 특히, 베란다용 창문에 설치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상기 개폐부재(10)는 창틀(5)에 구비된 창문(7)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창문(7)을 개방 및 폐쇄하는 것으로써,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5) 전면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110)와; 상기 회전부재(110)의 외주연에 권회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회전부재(110)를 회전시키는 권회부재(130)와; 상기 회전부재(11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창틀(5) 전면 일측에 예를 들어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권회부재(1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150)와; 상기 구동부재(150)가 회전시키는 상기 권회부재(130)가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창문(7)의 전면 상측에 예를 들어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권회부재(130)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시 좌우로 이동하여 창문을 개폐시키는 이동부재(17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회전부재(110)는 창틀(5) 전면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되는 도르래, 롤러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권회부재(130)는 와이어로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부재(15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크게 상기 회전부재(11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창틀(5)전 면에 구비되는 기어박스(151)와; 상기 기어박스(151)의 하부 일측에 수직으로 축결합되는 구동모터(152)와; 상기 구동모터(152)의 구동축(152a)에 축결합되어 상기 기어박스(151)의 내부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구동기어(153)와; 상기 구동기어(153)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기어박스(151)의 내부 하측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피동기어(154)와; 상기 피동기어(154)가 하단에 축결합되고, 상기 기어박스(151)의 내부 일측에 수직으로 축결합되는 웜기어(155)와; 상기 웜기어(155)의 상단에 치합된 상태로 상기 기어박스(151)의 내부 상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종동기어(156)와; 상기 기어박스(151)의 상부 타측에 수평방향으로 축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종동기어(156)가 축결합되며,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홈(157a)이 형성되는 회전축(157)과; 상기 회전축(157)의 타측에 베어링고정되어 상기 기어박스(151)의 외부로 노출되고, 일측면에 삽입홈(158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외주연에 권회된 상기 권회부재(13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150)의 회전부재(158)는 상기 회전축(157)의 타측에 베어링고정되는 도르래 또는 롤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동부재(150)의 회전부재(158)가 상기 회전축(157)을 통해 상기 종동기어(156)를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구동부재(150)의 회전부재(158)의 외주연에 권회된 상기 권회부재(130)는 상기 구동부재(150)의 회전부재(158)를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이동부재(170)가 상기 권회부재(130)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창문(7)을 개폐시키게 된다.(도 6 및 도 7 참조.)
도 4는 창문(7)의 전면에 구비된 이동부재(170)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권회부재(13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문(7)의 전면 상측에 구비된 상기 이동부재(170)의 내부를 경유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권회부재(130)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이동부재(17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상기 이동부재(170)의 내부를 경유하는 상기 권회부재(130)의 외주연이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170)의 내주연에 본드 등의 접착제(171)에 의해 접합고정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재(170) 상부와 상기 권회부재(13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피스 등의 고정부재(173)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170)의 내부를 경유하는 상기 권회부재(130)가 상기 이동부재(170)와 상호체결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상기 권회부재(130)가 정역방향으로 회전될 시 상기 이동부재(17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동력단속부재(30)는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부재(150)가 상기 권회부재(130)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단속(斷續)하여 창문(7)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써,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157)의 외주연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타측면에 상기 구동부재(150)의 회전부재(158)의 삽입홈(158a)에 삽입되는 삽입돌기(301a)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회전축(157)의 절개홈(157a)에 삽입되는 돌출부(301b)가 형성되는 회전판(301)과; 상기 회전판(301)의 일측이 하단에 형성된 슬릿(303a)에 게재된 상태에서 하단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회전판(301)을 좌우이동시켜 상기 회전판(301)의 삽입돌기(301a)가 상기 구동부재(150)의 회전부재(158)의 삽입홈(158a)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이동판(303)과; 상기 좌우이동판(303)의 상단에 형성된 슬릿(303b)에 타측이 게재되고, 상기 좌우이동판(303)의 하단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좌우이동판(303)의 상단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3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305)의 타측에는 좌우이동하는 자성을 지닌 로드(305a)가 구비되는데, 상기 로드(305a)는 상기 좌우이동판(303)의 상단에 형성된 슬릿(303b)에 게재된다.
상기 로드(305a)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좌우이동부재(305)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지된 전자석의 극성변화에 의해 좌우이동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방법에 의해 좌우이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좌우이동부재(305)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전자석이 상기 로드(305a)와 같은 자성을 발생시킬 경우 척력(斥力)에 의해 상기 로드(305a)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좌우이동부재(305)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전자석이 상기 로드(305a)와 다른 자성을 발생 시킬 경우 인력(引力)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되었던 상기 로드(305a)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부재(305)의 로드(305a)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좌우이동판(303)의 상단은 좌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좌우이동판(303)의 하단은 우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회전판(301)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판(301)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시 상기 구동부재(150)의 회전부재(158)의 삽입홈(158a)에 삽입된 상기 회전판(301)의 삽입돌기(301a)는 외부로 이탈되는데,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창문(7)을 좌우로 직접이동시켜 창문을 수동으로 개폐하게 된다.
사용자가 창문(7)을 직접 좌우로 이동시킬 시 상기 이동부재(170)는 좌우이동되는 창문(7)을 따라 좌우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권회부재(130)는 좌우로 이동하는 상기 이동부재(170)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권회부재(130)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개폐부재(10)의 회전부재(110)와 상기 구동부재(150)의 회전축 타측에 베어링고정된 회전부재(158)은 공회전(空回轉)하게 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부재(305)의 로드(305a)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좌우이동판(303)의 상단은 우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좌우이동판(303)의 하단은 좌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회전판(301)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판(301)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시 상기 회전판(301)의 삽입돌기(301a)는 상기 구동부재(150)의 회전부재(158)의 삽입홈(158a)에 삽입되고, 이상태에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52)가 구동될 시 상기 구동모터(152)의 동력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153), 피동기어(154), 웜기어(155), 종동기어(156), 회전축(157)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판(301)의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301b)가 상기 회전축(157)의 절개홈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회전판(301)은 상기 회전축(157)을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301)의 삽입돌기(301a)가 상기 구동부재(150)의 회전부재(158)의 삽입홈(158a)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재(150)의 회전부재(158) 또한 상기 회전판(301)을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재(150)의 회전부재(158)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시 상기 구동부재(150)의 회전부재(158)의 외주연과 상기 개폐부재(10)의 회전부재(110)의 외주연게 감겨진 상기 권회부재(130) 역시 정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동부재(170)는 상기 권회부재(130)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창문(7)을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동력단속부재(30)가 회전판(301), 좌우이동판(303) 및 좌우이동부재(305)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동력단속부재(30)가 상기 권회부재(130)로 전달되는 상기 구동부재(150)의 동력을 보다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는 비감지센서(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제어부(7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70)는 전원공급부(7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와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를 제어하는 것으로써, 외부의 비를 감지하는 비감지센서(50)와; 외부의 바람을 감지하는 바람감지센서(53)와; 외부의 눈을 감지하는 눈감지센서(5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와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를 제어하여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폐쇄시키거나 폐쇄된 창문(7)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개방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비감지센서(50), 바람감지센서(53) 및 눈감지센서(55)는 예를 들어 창틀(5) 후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외부의 비, 바람, 눈을 각각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70)로 출력하게 되는데, 이중 상기 바람감지센서(53)와 눈감지센서(55)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70)가 비감지센서(50), 바람감지센서(53) 및 눈감지센서(5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와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를 제어하여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이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을 통해 실내로 빗물, 바람, 눈 등이 들어올 우려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비감지센서(50)는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창틀(5) 후면에 설치되고 타측면에 수평바(513)가 일정간격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 전도체(511)와, 상기 일측 전도체(511)의 수평바(513) 사이에 위치하는 수평바(517)가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연장형성되는 타측 전도체(515)로 이루어지는 전도체(510)와; 상기 일측 전도체(511)와 타측 전도체(515) 사이에 구비되는 비전도체(530)와; 상기 일측 전도체(511)의 수평바(513)와 상기 타측 전도체(515)의 수평바(517)로 전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전도체(511)의 수평바(513)와 상기 타측 전도체(515)의 수평바(517) 사이로 비가 유입될 시 누전되는 전기의 감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0)로 출력하는 누전감지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예를 들어 상기 전도체(510)는 알루미늄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전도체(530)는 고무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감지센서(50)가 전도체(510), 비전도체(530) 및 누전감지부(550)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비감지센서(50)가 외부의 비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0)로 출력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70)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기의 누전감도수치를 미리 입력할 수 있는 누전감도입력부(7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비감지센서(50)의 누전감지부(550)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와 상기 누전감도입력부(730)를 통해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와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누전감도입력부(730)는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0)상에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으로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창문(7)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비감지센서(50)의 누전감지부(550)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가 상기 제어부(70)에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판(301)의 삽입돌기(301a)가 상기 구동부재(150)의 회전부재(158)의 삽입홈(158a)에 삽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비감지센서(50)의 누전감지부(550)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가 상기 제어부(70)에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판(301)의 삽입돌기(301a)가 상기 구동부재(150)의 회전부재(158)의 삽입홈(158a)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를 구동시켜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이 좌측으로 이동되어 폐쇄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누전감지부(550)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와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 와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를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에 따라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이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70)는 리모콘(750)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77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와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상기 리모콘(750)은 상기 수신부(770)로 예를 들어, RF 신호등을 송신할 수 있겠으나,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와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특히, 적외선 신호를 상기 수신부(770)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신부(770)는 예를 들어, 상기 창틀(5)의 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750)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리모콘(750)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창문(7)이 수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도록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와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의 작동을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개방 및 폐쇄버튼과;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와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의 작동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수동/자동전환버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750)의 수동/자동전환버튼을 조작하여 상 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와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의 작동을 수동상태로 전환시킨 경우 사용자는 먼거리에서 상기 개방 및 폐쇄버튼을 사용하여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와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의 작동을 수동으로 직접 제어하여 창문(7)을 수동으로 개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750)의 수동/자동전환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와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의 작동을 자동상태로 전환시킨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비감지센서(50), 바람감지센서(53) 및 눈감지센서(5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와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리모콘(750)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수신부(770)가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와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를 제어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예를 들어, 먼거리에서도 상기 리모콘(750)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부(70)를 통해 창문(7)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창문(7)이 좌우로 이동하여 개방 및 폐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틀(5)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 비된 창문(7)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9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위치감지센서(9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와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를 제어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상기 위치감지센서(90)는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문(7)의 전면 타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자석(910)과; 창틀(5)의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창문(7)을 따라 좌우이동하는 상기 자석(910)의 자력을 감지하는 일측 홀센서(930) 및 타측 홀센서(9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와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에 의해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이 좌측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자석(910)과 상기 타측 홀센서(950)의 거리는 좁혀지게 되고, 이때 상기 타측 홀센서(950)는 상기 자석(910)의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0)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타측 홀센서(95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창문(7)이 완전히 폐쇄된 것으로 인식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판(301)의 삽입돌기(301a)가 상기 구동부재(150)의 회전부재(158)의 삽입홈(158a)에 삽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와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에 의해 개방된 상태의 창 문(7)이 우측방향으로 이동될 시 상기 자석(910)과 상기 일측 홀센서(930)의 거리는 좁혀지게 되고, 이때 상기 일측 홀센서(930)는 상기 자석(910)의 자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0)로 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일측 홀센서(9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창문(7)이 완전히 개방된 것으로 인식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판(301)의 삽입돌기(301a)가 상기 구동부재(150)의 회전부재(158)의 삽입홈(158a)에 삽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비감지센서(50), 바람감지센서(53) 및 눈감지센서(5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좌우이동부재(305)와 상기 개폐부재(10)의 구동모터(152)를 제어하여 특히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이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의 창문(7)을 통해 실내로 빗물 등이 들어올 우려가 없음은 물론 상기 동력단속부재(30)의 단속여부에 따라 창문(7)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창문(7)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창문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동력단속부재가 동력을 단속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창문의 전면에 구비된 이동부재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비감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창문이 좌우로 이동하여 개방 및 폐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창틀, 7; 창문,
10; 개폐부재, 110, 158; 회전부재,
130; 권회부재, 150; 구동부재,
151; 기어박스, 152; 구동모터,
152a; 구동축, 153; 구동기어,
154; 피동기어, 155; 웜기어,
156; 종동기어, 157; 회전축,
157a; 절개홈, 158a; 삽입홈,
170; 이동부재, 171; 접착제,
173; 고정부재, 30; 동력단속부재,
301; 회전판, 301a; 삽입돌기,
301b; 돌출부, 303; 좌우이동판,
303a, 303b; 슬릿, 305; 좌우이동부재,
305a; 로드, 50; 비감지센서,
53; 바람감지센서, 55; 눈감지센서,
510; 전도체, 511; 일측 전도체,
513, 517; 수평바, 515; 타측 전도체,
530; 비전도체, 550; 누전감지부,
70; 제어부, 710; 전원공급부,
730; 누전감도입력부, 750; 리모콘,
770; 수신부, 90; 위치감지센서,
910; 자석, 930; 일측 홀센서,
950; 타측 홀센서.

Claims (6)

  1.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틀 전면에 일정간격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외주연에 권회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권회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창틀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권회부재가 회전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기 권회부재가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창문의 전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권회부재가 회전할 시 좌우로 이동하여 창문을 개폐시키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지는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구동부재가 상기 권회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단속하여 창문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의 구동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창틀 전면에 구비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하부 일측에 수직으로 축결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 하측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기어박스 의 내부 하측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가 하단에 축결합되고,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 일측에 수직으로 축결합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의 상단에 치합된 상태로 상기 기어박스의 내부 상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기어박스의 상부 타측에 수평방향으로 축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종동기어가 축결합되며,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홈이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타측에 베어링고정되어 상기 기어박스의 외부로 노출되고, 일측면에 삽입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외주연에 권회된 상기 권회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력단속부재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타측면에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회전축의 절개홈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이 하단에 형성된 슬릿에 게재된 상태에서 하단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회전판을 좌우이동시켜 상기 회전판의 삽입돌기가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좌우이동판과; 상기 좌우이동판의 상단에 형성된 슬릿에 타측이 게재되고, 상기 좌우이동판의 하단이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좌우이동판의 상단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는 좌우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의 비를 감지하는 비감지센서와;
    외부의 바람을 감지하는 바람감지센서와;
    외부의 눈을 감지하는 눈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비감지센서는 창틀 후면에 설치되고, 타측면에 수평바가 일정간격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 전도체와, 상기 일측 전도체의 수평바 사이에 위치하는 수평바가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연장형성되는 타측 전도체로 이루어지는 전도체와;
    상기 일측 전도체와 타측 전도체 사이에 구비되는 비전도체와;
    상기 일측 전도체의 수평바와 상기 타측 전도체의 수평바로 전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전도체의 수평바와 상기 타측 전도체의 수평바 사이로 비가 유입될 시 누전되는 전기의 감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누전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를 미리 입력할 수 있는 누전감도입력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전감지부가 출력하는 전기의 누전감도수치와 미리 입력된 누전감도수치를 비교하여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리모콘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단속부재와 상기 개폐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개폐장치.
KR1020080116044A 2008-11-21 2008-11-21 창문개폐장치 KR101060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044A KR101060483B1 (ko) 2008-11-21 2008-11-21 창문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6044A KR101060483B1 (ko) 2008-11-21 2008-11-21 창문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154A KR20100057154A (ko) 2010-05-31
KR101060483B1 true KR101060483B1 (ko) 2011-08-30

Family

ID=42280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044A KR101060483B1 (ko) 2008-11-21 2008-11-21 창문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634B1 (ko) * 2013-08-14 2014-11-03 (주)에이치에스지 자동문용 동력전달구조
CN107448090A (zh) * 2017-08-07 2017-12-08 丁玉清 一种雨天自动关窗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662Y1 (ko) 2003-06-10 2003-08-25 임춘수 창문 자동 개폐장치
KR200324668Y1 (ko) 2003-06-11 2003-08-25 주식회사 윈도우컴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화 개폐장치
JP2008274710A (ja) 2007-05-07 2008-11-13 Keiichi Ueno 建物用窓閉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662Y1 (ko) 2003-06-10 2003-08-25 임춘수 창문 자동 개폐장치
KR200324668Y1 (ko) 2003-06-11 2003-08-25 주식회사 윈도우컴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화 개폐장치
JP2008274710A (ja) 2007-05-07 2008-11-13 Keiichi Ueno 建物用窓閉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154A (ko) 201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484B1 (ko) 창문개폐장치
US9038317B2 (en) Residential window power actuator
KR101060499B1 (ko) 창문개폐장치
KR200324668Y1 (ko)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화 개폐장치
KR101997724B1 (ko) 자동 잠금 기능을 구비하는 창호
US20070271848A1 (en) Integrated power window and skylight operating systems
KR20090107888A (ko) 빛 센서를 이용한 전동커튼 제어장치
US20090025296A1 (en) Sliding door and window operating system
KR20080100917A (ko) 지능형 창호 시스템
US9689190B2 (en) Intelligent control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doors and windows
KR20200094591A (ko) 주변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되는 창호시스템
KR101060483B1 (ko) 창문개폐장치
KR101060498B1 (ko) 창문개폐장치
US20130091769A1 (en) Automated glazing assembly
KR101060500B1 (ko) 창문개폐장치
KR101397187B1 (ko) 창문 자동 닫힘장치
KR101028141B1 (ko) 공동주택용 복도 창문의 자동개폐장치
JP2010112036A (ja) 開閉装置
US1054461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motorised drive device of a sliding window for a building
JP2001299108A (ja) 温室等のカーテン開閉制御システム
KR20100022561A (ko) 자동 창호 시스템
KR20120132745A (ko) 창문개폐장치
CN206386054U (zh) 一种纱窗用遮雨卷帘
RU2740237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климатом в помещении
KR200304347Y1 (ko) 원격 제어 방식에 의한 프로젝션 창의 창문 자동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