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302B1 -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302B1
KR950012302B1 KR1019920020510A KR920020510A KR950012302B1 KR 950012302 B1 KR950012302 B1 KR 950012302B1 KR 1019920020510 A KR1019920020510 A KR 1019920020510A KR 920020510 A KR920020510 A KR 920020510A KR 950012302 B1 KR950012302 B1 KR 950012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room
monitoring
elevator
car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0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329A (ko
Inventor
김원길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지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지주현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0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2302B1/ko
Publication of KR94001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3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기계실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제1컴퓨터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감시센터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제2컴퓨터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필드데이터변환부와 기계실에 설치되는 데이의 데이터포착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제5도와 제6도는 기계실과 감시센터의 모니터화면의 그래픽모드에 의한 화면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제5도는 텍스트표시방식의 표시화면을 나타내고, 제6도는 그래픽표시방식의 표시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6 : 엘리베이터제어부 17 : 케이블
20 : 필드데이터변환부 30 : 기계실시스템(제1컴퓨터수단)
31 : CPU 32 : 기억부
33 : 표시부 34 : 키입력부
40 : 감시센터시스템(제2컴퓨터수단) 41 : CPU
42 : 기억부 43 : 표시부
44 : 키입력부 50 : 전용회선
51, 52 : 모뎀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의 운전중 다수의 감시대상포인트와 알람프로세스로직(alarm process logic)포인트의 데이터를 전화회선과 퍼스널컴퓨터의 모뎀을 사용하여 실시간 처리하여 화면표시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운전상태를 항상 감시할 수 있도록 된 엘리베이터 원격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직방향의 승강 및 하강운동에 의해 인적 및 물적 수송작업을 실행하는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통상 안전운전을 위해 기계실의 엘리베이터 제어패널로부터 설정된 예컨대 엘리베이터 카(이하, 단지 "카"로 약칭함)의 위치 및 방향이라던지, 주전원의 상태, 안전라인등의 상태 등과 같은 다수의 감시포인트에 대응하는 센서수단들의 접점들을 동일한 건물내의 감시센터까지 배선하여 그 감시센터내에 설치된 릴레이 패널이나 모자이크감시반 패널에 구비되는 상태표시 발광소자(LED)를 구동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의 감지대상포인트의 상황을 감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다수의 감시대상포인트 접점들에 대한 배선이 각각 감시센터까지 연결되어야 하므로 배선의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손실이 초래된다.
또한, 카의 운행중에 초래 가능한 고장 또는 장애의 발생시에도 단지 발광소자의 점멸상태에 의해서만 해당하는 고장 또는 장애의 감시대상포인트에 대한 표시만이 수행되게 되므로, 고장(또는 장애)의 내용이라던지 그 고장내용의 기록이 불가능하여 엘리베이터의 효율적인 유지보수에 불리함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된 감시포인트 이외에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관련된 다른 포인트에 대한 감시 동작은 불가능하게 된다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주요 목적은 기계실과 감시센터내에 엘리베이터의 운행시 상태점검이 필요한 다수의 감시대상포인트에 관한 데이터를 온라인(On-line)처리하여 전화회선을 매개로 감시센터내의 컴퓨터수단의 화면상에 각 감지포인트에 관한 상태를 표시하도록 된 엘리베이터의 원격제어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실과 감시센터내에 설치되어 전화회선으로 상호 결합된 컴퓨터수단을 이용하여 각 감시대상포인트의 현재상태를 저장 및 그래픽 모드(Graphic Mode)에 의한 텍스트표현방식 또는 그래픽표현방식으로 표시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를 실시간 원격감시할 수 있도록 된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한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CAR1-CAR16)에 대응적으로 설치되어 해당하는 카의 운행을 제어하면서 각 카에 대해 설정된 다수의 감시대상포인트로부터 현재 운행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엘리베이터제어부(11-6)와; 이 엘리베이터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현재운행상태신호를 케이블(17)을 통해 수취하여 신호의 절연분리 및 2진화데이터로 변환하는 필드데이터변환부(20); 기계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필드데이터변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각 카의 감시대상포인트에 관한 감시화면을 표시함과 더불어 알람프로세스로직을 수행하는 제1컴퓨터수단(30); 감시센터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컴퓨터수단(3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그 제1컴퓨터수단(30)과 동일한 방식으로 감시화면을 재현함과 더불어 알람프로세스로직을 수행하는 제2컴퓨터수단(40) 및; 상기 제1 및 제2컴퓨터수단(30,40)을 상호 온라인접속하는 모뎀수단(51,52) 및 전용회선(50)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전용회선(50)은 소정의 전송속도(2400bps, MNP기능내장)로 정합된 모뎀수단(51,52)에 의해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하는 전화회선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컴퓨터수단(30,40)은 각 카에 대한 다수의 감시대상포인트의 현재운행상태에 대한 감시 화면을 그래픽 모드(Graphic Mode)하에서 선택되는 텍스트표시방식 화면이나 그래픽표시방식 화면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의 블록구성도로서, 참조부호 11-16은 최소한 하나 이상의 카(CAR1-CAR16)에 부가되어 해당하는 카의 운행을 제어하면서 각 카(CAR1-CAR16)의 운행(고장/장애여부)를 감시하기 위해, 예컨대 각 카(CAR1-CAR16)의 도어개폐상태, 안전라인의 상태, 각 카(CAR1 : CAR16)의 이동방향 등에 관한 다수의 감시대상포인트로부터 현재운행상태의 출력과 알람프로세스로직에 해당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엘리베이터제어부로서, 이 엘리베이터제어부(11-16)로부터의 출력은 케이블(17)을 통해 예컨대 기계실에 설치되는 필드데이터변환부(20)에 인가된다.
이 필드데이터변환부(20)는 상기 각 카(CAR1,CAR2,…,CAR16)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제어부(11-16)에서 각 카의 감시대상포인트의 현재상태에 대한 신호가 케이블(17)을 통해 인가되는 경우 그 상태신호가 기계실과 감지센터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제1 및 제2컴퓨터수단에서 처리가능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예컨대 포트커플러로 구성되어 입력(발광소자)과 출력(수광소자)측이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에서 각 카(CAR1-CAR16)의 감시대상포인트에 대한 광신호가 입력측에 인가되면 그 대응하는 출력측에서 전기적인 신호로 수취하는 신호절연회로(21)와 그 신호절연회로(21)에서 얻어지는 다수의 감시대상포인트에 대한 데이터를 2진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지털데이터화 하는 데이터변환회로(22)로 구성되다(제4도 참조).
여기서, 각 감시대상포인트에 대한 입력신호의 전압범위에 따른 임계전압(threshold voltage)은 DC 18V로 설정되고, 그에 따라 상기 필드데이터변환부(20)의 출력측 (즉, 포토커플러의 수광소자측)에 예컨대 발광소자(LED; 도시는 생략)를 설치하여 각 감시대상포인트들의 현재 상태 (즉, LED의 ON/OFF상태)를 1차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드데이터변환부(20)에서 출력되는 각 감시대상포인트의 상태데이터는 예를 들어 제2도에 도시된 내부블록구성을 갖는 제1컴퓨터수단으로서의 기계실시스템(30)에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버스슬롯(Busslot)를 매개하여 인가된다. 즉, 상기 제1컴퓨터수단(30)은 상기 필드데이터변환부(20)에서 2진화 데이터(즉,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되어 그 제1컴퓨터수단(30)의 버스슬롯에 설치된 데이터포획부(18)에 프랫케이블(flat cable : 도시 생략)을 통해 연결되어 각 감시대상포인트의 상태출력을 처리하는 예컨대 80286 CPU로 이루어진 CPU(31)와, 본 발명에서 상정하는 화면표시(텍스트표시/그래픽표시)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상기 CPU(31)에서 실행되는 제어프로그램이 등록되면서 각 감시대상포인트에서 검출되는 각 카의 운행상태 즉, 고장상태, 고장일시 등과 같은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인메모리용량 1M 바이트이상 또는 40M 하드디스크로 이루어진 기억부(32), 상기 CPU(31)에서 처리된 감시대상포인트의 현재 상태출력을 기초로 각 카(CAR1-CAR16)의 운행상태를 텍스트표면 방식이나 그래픽표면 방식으로 표시하는 표시부(33),이 표시부(33)에 표시된 내용을 하드카피하는 프린터부(36), 상기 표시부의 표시모드(텍스트표시방식 또는 그래픽표시방식)의 설정 등을 위한 키입력부(34), 상기 표시부(33)에 표시된 화면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송신/수신을 위한 통신회로부(35) 및, 상기 데이터포획부(18)와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이터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3도는 감시센터에 설치되는 제2컴퓨터수단(40)의 블록구성도로서, 제2도에 도시된 기계실시스템으로서의 제1컴퓨터수단(30)으로부터 모뎀(51)과 예컨대 전송선로로서의 전화회선(50) 및 모뎀(52)을 통해 상기 제1컴퓨터수단(30)에서 입력되는 감시대상포인트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예컨대 80286 CPU로 구성된 CPU(41)와, 이 CPU(4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등록된 기억부(42), 상기 CPU(41)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제1컴퓨터수단(30)의 표시부(33)와 동일한 표시모드(즉, 그래픽표시방식 또는 덱스트표시방식)로 표시해 주는 표시부(43), 제어명령입력을 위한 키입력부(44), 모뎀(52)을 통한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통신회로부(45) 및 상기 표시부(43)에 표시된 화면을 하드카피출력하는 프린터(46)로 구성된다.
또, 제4도는 상기 필드데이터변환부((20)와 제1컴퓨터수단(30)사이의 테이터인터페이스를 위한 데이터포획부(18)의 개략적인 도면으로, 상기 필드데이터변환부(20)는 상기 케이블(17)을 통해 입력되는 각 카(CAR1-CAR16)의 감시대상포인트의 상태신호가 입력측에 인가되고, 그 입력측에 인가되는 상태신호에 대해 광전송방식으로 입력측과는 전기적인 절연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출력측에서 상기 상태신호에 대한 광전(光電)변환신호가 검출되는 예컨대 포토커플러로 구성된 신호절연회로(21)와 그 신호절연회로(21)의 출력측에 나타나는 상태신호의 2진화(디지탈데이터화)를 수행하는 2진화회로부(22)로 구성된다.
또, 상기 데이터포획부(18)는 상기 2진화회로부(22)와의 데이터입출력을 위한 I/O 회로부(18-1), 시스템의 인터럽트처리를 위한 인터럽트회로(18-2), 어드레스버스(18-3)와 제어버스(18-4) 및 데이터버스(15-6)을 통해 인가되는 어드레스 및 제어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18-5)등을 갖추어 구성되어, 그 필드 데이터변환부(20)에서 변환된 디지털데이터에 대해 상기 기계실시스템으로서의 제1컴퓨터수단(30)에 인가되도록 하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지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엘리베이터제어부(11-16)에 의해 제어되는 카(CAR1-CAR16)의 운행상태에 따른 각 감시대상포인트의 신호와 알람프로세스로직의 신호가 케이블(14)을 통해 감시대상포인트(20)에 인가되고, 그에 따라 필드데이터변환부(20)에서는 그 카에 대한 상태신호에 대해 포토커플러로 구성된 신호절연회로(21)에서 입력측과 출력측신호의 광전변환에 의해 출력측의 전기적인 신호에 대한 레벨변환을 수행한 다음, 상기 2진화변환부(22)에서 2진비트데이터(디지탈데이터)로 처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필드데이터변환부(20)에는 각 감시대상포인트에 대응하여 LED 발광소자(도시는 생략)를 부가하여 1차적으로 엘리베이터의 각 감시대상포인트에 대한 ON/OFF 표시에 의한 1차적인 상태감시가 행해지도록 하게 된다.
이어, 2진화비트데이터는 상기 제1컴퓨터수단(30)의 버스슬롯에 장착된 상기 데이터포획부(18)를 매개하여 기계실의 제1컴퓨터수단(30)의 CPU(31)에 인가된다. 이 CPU(31)는 입력된 감시대상포인트 데이터와 알람프로세스로직데이터를 기억부(3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기억 및 표시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여 그 기억부(32)에 저장하는 한편, 상기 기억부키입력부(34)에서 지정된 표시모드에 따라 제5도의 텍스트표시방식 또는 제6도의 그래픽표시방식으로 표시부(33)상에 표시하게 되고, 상기 기억부(32)에 저장된 감시대상포인트 데이터에 대해서는 상기 키입력부(34)에서 하드카피출력의 지시에 의해 프린터(36)에 의해 프린트되거나 상기 통신회로부(35)를 통해 외부적인 통신이 수행되도록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키입력부(34)에 의해 지정되는 그래픽모드하에서의 표시방식에서 제5도에 도시된 텍스트표시방식의 표시화면구성에 따르면, 영역(100)에는 기계실과 감시센터사이의 통신상태가 표시되고, 영역(101)에는 각 표시대상포인트에 대한 고장(또는 장애)메시지가 표시되며, 영역(102)에는 그 고정발생시간이 시·분·초단위로 표시되고, 영역(103)에는 현재의 시간 텍스트(text)표현 방식으로 표시된다. 또, 영역(104∼107)은 4카단위로 카번호(CR1-CR16)가 표시되고, 영역(108a-108d)에는 각 카(CR1-CR16)에 대한 감시대상포인트의 운행로직상태 즉, 카(CR1-CR16)의 위치, 안전라인의 상태, 도어의 상태, 자동점검상태, 주전원의 상태 등에 대한 로직 상태(Logic State)항목이 텍스트표현방식으로 표시된다.
이에 대해, 제6도의 그래픽표시방식의 화면은 영역(200-203)에 기계실과 감시센터사이의 통신상태, 고장메세지, 고장발생시간(시·분·초) 및 현재시간이 표시되고, 영역(204,215)은 해당 카(CR1-CR16)의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업/다운방향의 운행상태를 나타내고, 영역(205,216)은 카(CAR1-CAR16)가 소정층에 도착하여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이 영역(204,215 : 205,216)에 대한 표시는 기억부(3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영역(207,209,211,213)의 영역에 이미지카피방식으로 표시된다. 또, 영역(208,210,211,214)은 카(CAR1-CAR16)의 홀호출(업/다운방향) 및 카호출의 등록내용이 표시된다. 또, 영역(206,217)에는 해당 건물의 층수가 표시되고, 영역(218)에는 자동운행/점검/고장의 표시가 이루어지며, 영역(219)에는 각 카(CR1-CR16)의 명칭이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한 그래픽표시화면의 내용들은 그래픽모드하에서 각기 다른 색상으로 표시, 즉 표시부(33)를 컬러모니터로 구성하여 오퍼레이터가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표시화면데이터는 기계실시스템으로서의 제1컴퓨터수단(30)의 통신회로부(35)에 연결된 모뎀(51)과 전화회선(50)을 경유하여 감시센터에 설치되는 제2컴퓨터수단(40)에 접속되는 모뎀(52)을 통해 감시센터의 제2컴퓨터수단(40)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2컴퓨터수단(40)의 CPU(41)는 통신회로부(45)를 매개하여 입력된 표시화면데이터를 기억부(42)에 저장함과 더불어 표시부(43)에다 상기 기계실시스템과 동일한 방식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감시센터시스템으로서의 제2컴퓨터수단(40)의 표시부(43)에 표시된 데이터는 상기 기계실시스템으로서의 제1컴퓨터수단(30)과 동일하게 CPU(41)의 제어하에 프리터(46)를 통해 하드카피출력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실과 감시센터에 대한 데이터전송에 전화회선을 이용하여 복잡한 배관 및 배선의 문제가 간소화되고, 엘리베이터운행로직상태가 카제어 패널내에서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고장발생시 고장부위의 감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표시화면의 내용에 따라 고장상태를 즉시 파악하게 유지보수가 가능하므로 엘리베이터의 휴지기간이 단축될 수 있어 수송능력이 확보될 수 있다.

Claims (5)

  1. 최소한 하나이상의 엘리베이터 카(CR1-CR16)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해당하는 카의 운행을 제어하면서 각 감시대상포인트로부터의 현재상태신호를 출력하는 엘리베이터제어부(11-16)와; 상기 엘리베이터제어부(11-16)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현재상태신호를 케이블(17)을 통해 수취하여 신호의 절연처리 및 2진화 데이터로 변환하는 필드데이터변환부(20); 기계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필드데이터변환부(20)에서 변환된 2진화데이터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각 감시포인트에 관한 감시화면을 표시함과 더불어 알람프로세스로직을 수행하는 기계실시스템수단(30); 감시센터내에 설치되어 상기 기계실시스템수단(3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그 기계실시스템수단(30)과 동일한 화면표시방식으로 감시화면을 재현함과 더불어 알람프로세스로직을 수행하는 감시센터시스템(40) 및; 상기 기계실 및 감시센터시스템(30,40)을 상호 온라인접속하는 모뎀수단(51,52) 및 전용회선(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시스템(30)과 감시센터시스템(40)은 퍼스널컴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시스템(30)과 감시센터시스템(40)을 라인접속하는 전송수단(50)은 전화회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시스템(30)과 감시센터시스템(40)은 각 카(CR1-CR16)의 운행상태를 넥스트표현방식표시 또는 그래픽표현방식으로 표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레이터변환부(20)에는 각 카(CR1-CR16)의 운행상태를 발광표시하는 발광표시수단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
KR1019920020510A 1992-11-03 1992-11-03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 KR950012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0510A KR950012302B1 (ko) 1992-11-03 1992-11-03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0510A KR950012302B1 (ko) 1992-11-03 1992-11-03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329A KR940011329A (ko) 1994-06-21
KR950012302B1 true KR950012302B1 (ko) 1995-10-16

Family

ID=19342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0510A KR950012302B1 (ko) 1992-11-03 1992-11-03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23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329A (ko) 1994-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01494A (ja) エレベータの地震時復旧装置
WO2003086935A1 (fr) Systeme de maintenance pour ascenseur
KR950012302B1 (ko) 엘리베이터의 원격감시시스템
JPS6327267B2 (ko)
JP4606865B2 (ja) メンテナンス報知方法
JP2007162267A (ja) 電動開閉装置の制御システム
CN112134360A (zh) 一种电梯供电电路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0312078B1 (ko) 화재 감시 및 관리장치
CN206466848U (zh) 一种可报警的电梯楼层操作设备
JPH09267980A (ja) エレベータ監視制御装置
KR101074492B1 (ko) 전동차 출입문의 고장감지를 위한 무선 개폐장치
WO2022190342A1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CN103663023B (zh) 电梯的远程监视装置
JPH0610424Y2 (ja) 多項目入力、状態表示操作盤
KR940006909A (ko) 엘리베이터 감시제어장치
JP2022162471A (ja) 監視装置
KR0167160B1 (ko)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KR910009071B1 (ko) 승강기의 원격감시제어방법 및 장치
KR100346282B1 (ko) 직렬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0509829B1 (ko) 휠체어리프트원격관제시스템
KR101106191B1 (ko) 지하철 역사 엘리베이터 화재 연동시스템
JP3503189B2 (ja) 機械警備システム
JPH03138275A (ja) エレベータ防犯監視装置
CN116443683A (zh) 无人货梯控制系统
JPH0822589A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