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348B1 -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348B1
KR970002348B1 KR1019940012008A KR19940012008A KR970002348B1 KR 970002348 B1 KR970002348 B1 KR 970002348B1 KR 1019940012008 A KR1019940012008 A KR 1019940012008A KR 19940012008 A KR19940012008 A KR 19940012008A KR 970002348 B1 KR970002348 B1 KR 970002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orage area
recording
storage areas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2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5258A (ko
Inventor
김성기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2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348B1/ko
Publication of KR950035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5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voice messaging, e.g. dicta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방법의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재생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 메트릭스 20 : 마이콤
21 : 중앙처리장치 22 : 타이머
23 : 롬 24 : 램
30 : 표시부 40 : 제1변환부
50 : 제2변환부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통화내용을 선택적으로 녹음하여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무선주파수로 통신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며 통화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일명 휴대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화기는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다는 편리성을 증진시켰으나, 상대편의 통화내용을 저장할 수 없다는 불편을 초래하였다. 즉, 전화 통화중에는 상대편의 통화내용 예컨대, 전화번호를 기록하여야 할 경우가 많으나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이동중인 경우가 많으므로 별도의 메모도구등을 이용하여 전화번화를 기록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불편이 있게 된다.
이러한 불편은 종래의 자동응답 전화기에서와 같이 상대편의 통화내용을 별도의 오디오 데크등을 이용하여 오디오 테이프에 녹음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으나, 휴대용 전화기는 사용자가 갖고 다니기에 편리하도록 소형, 경량화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오디오 데크등을 장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오디오 데크를 이용하여 오디오 테이프에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경우에는 오디오 테이프에 다수개의 통화내용이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통화내용을 재생하여 청취하기 위해서는 오디오 테이프를 고속전진, 또는 고속후진시키며 원하는 통화내용이 저장된 구간을 탐색하여야 하므로 장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휴대용 전화기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오디오 데크를 제어하기 어려우므로 원하는 통화 내용이 녹음된 오디오 테이프의 구간을 탐색하기는 상당히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통화내용들을 다수의 저장영역을 갖는 저장부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전화내용을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통화내용을 저장부의 저장영역들중의 하나에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통화내용이 저장된 저장부의 저장영역을 선택하여 독취할 수 있게 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재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표시부와;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저장영역들과; 휴대용 전화기의 스피커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제1변환부와; 인가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나로그신호로 변환시키는 제2변환부와; 녹음 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제1변환부의 디지탈신호를 저장영역들중의 하나에 기록하고, 기록중인 저장영역을 표시부에 표시하며, 재생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가 기록된 저장영역들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저장영역의 음성신호를 독취하여 제2변환부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장치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다수의 저장영역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방법으로서, 녹음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녹음모드이면 저장영역들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저장영역을 표시하는 단계와; 휴대용 전화기의 음성을 선택된 저장영역에 기록하는 단계와; 연속녹음모드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연속녹음모드가 설정되면, 선택된 저장영역에 더 이상의 음성신호를 기록할 수 없을 때에 저장영역들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로 귀환하는 단계와; 연속녹음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선택된 저장영역에 더 이상의 음성신호를 기록할 수 없을 때에 저장영역에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다수의 저장영역에 음성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재생방법으로서, 재생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저장영역들중에 음성신호가 기록된 저장영역을 표시하는 단계와; 표시된 저장영역들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저장영역의 음성신호를 독취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재생방법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블럭도로서, 키 메트릭스(10), 마이콤(20), 표시부(30) 및 제1, 2변환부(40,50)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키 메트릭스(10)는 다이얼링을 위한 다이얼 키(K1)들외에 녹음 키(K2), 연속녹음 키(K3), 재생 키(K4) 및 재생중단 키(K5)가 구성되어 눌려진 키에 대응하는 키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키 메트릭스(10)로부터 키신호를 입력하는 마이콤(20)은 중앙처리장치(21)와 타이머(22) 및 롬(ROM)(23)과 램(RAM)(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마이콤(20)은 후술하는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롬(2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예컨대 램(24)내에/의 정보를 기록/독취하는 것을 제어하고, 상기 표시부(30)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1)와 롬(ROM)을 제어부(100)로 칭하고, 상기 램(24)을 저장부(200)라고 칭하였다. 저장부(200)를 이루는 램(24)은 어드레스에 의하여 몇 개의 저장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0)는 저장영역을 지정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독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부(200) 즉, 램(24)을 3개의 저장영역(R1,R2,R3)으로 구분하였다.
상술한 표시부(30)는 액정화면등으로 되어 제어부(100)에 따라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표시부(30)는 음극선관등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나, 휴대용 전화기의 일측에 장착되어야 하므로 액정화면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제1변환부(40)는 휴대용 전화기의 스피커에 연결된 샘플링 및 홀드부(41)와 A/D변환부(42)로 구성되어 스피커의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로서 상기 저장부(200)에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제2변환부(50)는 D/A변환부(51)와 증폭부(52)로 이루어져 상기 저장부(200)의 디지탈 신호를 아나로그신호로 변환시켜 휴대용 전화기의 스피커에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상술한 구성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의 녹음 및 재생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롬(23)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도의 흐름도는 상기 제1변환부(40)의 디지탈 신호를 상기 저장부(200)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100)는 단계(61)에서 휴대용 전화기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한 후에 단계(62)로 진행한다. 단계(62)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녹음 키(K2)가 눌려져 녹음신호가 인가되는가를 판단하여 녹음 키(K2)가 눌려졌을 때에 단계(63,64,65)로 진행한다. 즉, 제어부(100)는 녹음 키(K2)가 눌려져 녹음 모드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하여 녹음모드가 설정되었을 때에 단계(63,64,65)를 수행하는 것이다. 단계(63,64,65)에서 제어부(100)는 상기 저장부(200)의 저장영역(R1,R2,R3)중에 정보들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즉, 비어있는 저장영역(R1,R2 또는 R3)을 탐색하여 비어있는 저장영역(R1,R2 또는 R3)이 탐색되면, 단계(66,67 또는 68)로 진행한다. 단계(66,67 또는 68)에서 제어부(100)는 탐색된 저장영역(R1,R2 또는 R3)에 타이머(22)의 현재시간을 저장하고 단계(70)로 진행한다. 그러나, 제어부(100)는 단계(65)의 판단결과, 비어있는 저장영역이 없는 경우에는 단계(69)로 진행한다. 단계(69)에 제어부(100)는 각 저장영역(R1,R2 또는 R3)에 기록된 시간을 비교하여 가장 빠른 시간이 기록된 즉, 가장 오랜시간동안 새로운 정보가 기록되지 않은(사용되지 않은) 저장영역(R1,R2 또는 R3)을 선택하고 선택된 저장영역(R1,R2 또는 R3)에 타이머(22)의 현재 시간을 저장한 후에 단계(70)로 진행한다. 단계(70)에 제어부(100)는 상기 표시부(30)로 하여금 선택된 저장영역(R1,R2 또는 R3)을 표시하게 하고 단계(71)로 진행한다. 단계(71)에서 제어부(100)는 선택된 저장영역(R1,R2 또는 R3)을 기록모드로 구동시켜 상기 제1변환부(4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탈 신호 즉, 스피커의 음성신호를 기록하게 하는 것이다.
단계(71)를 수행한 제어부(100)는 단계(72)로 진행하여 선택된 저장영역(R1,R2 또는 R3)의 저장용량이 소정 용량이상으로 남아 있는가 즉, 앞으로 소정 시간동안 연속하여 디지탈신호를 기록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여 기록할 수 있을 때에는 단계(71)로 귀환하나, 기록할 수 없을 때에는 단계(73)로 진행한다. 단계(73)에서 제어부(100)는 상기 표시부(30)로 하여금 선택된 저장영역(R1,R2 또는 R3)의 저장용량이 얼마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단계(74)로 진행한다. 단계(74)에서 제어부(100)는 상기 연속녹음 키(K3)가 눌려졌는가 즉, 연속녹음신호가 인가되어 연속녹음모드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연속녹음모드가 설정되었으면, 단계(75)로 진행하고, 연속녹음모드가 설정되지 않았다면, 단계(76)로 진행한다.
단계(75)에서 제어부(100)는 선택된 저장영역(R1,R2 또는 R3)이 더 이상의 디지탈 신호를 저장할 수 없는 상태인가 즉, 저장용량만큼의 디지탈신호를 저장하였는가를 판단하여, 저장용량만큼의 디지탈신호를 저장하지 않았을 때에 단계(71)로 진행하나, 저장용량만큼의 디지탈신호를 저장하였을 때에는 단계(63)로 귀환하므로 새로운 저장영역(R1,R2 또는 R3)에 디지탈신호를 연속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단계(76)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75)에서와 같이 선택된 저장영역(R1,R2 또는 R3)이 저장용량만큼의 디지탈신호를 저장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자장용량만큼의 디지탈신호를 저장하지 않았을 때에는 단계(71)로 귀환하나, 저장용량만큼의 디지탈신호를 저장하였을때에는 단계(77)로 진행하여 녹음모드를 중단시키고 단계(61)로 귀환하는 것이다.
제3도에 도시한 흐름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저장영역(R1,R2 또는 R3)에 기록된 디지탈화된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상기 롬(23)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단계(81)에서 휴대용 전화기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한 후에 단계(82)로 진행한다. 단계(82)로 진행한 제어부(100)는 상기 재생 키(K4)가 눌려졌는가 즉, 재생신호가 인가되어 재생모드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제어부(100)는 단계(82)의 판단결과 재생모드가 설정되었다면, 단계(83)로 진행하여 저장부(200)의 각 저장영역(R1,R2,R3)과 저장영역(R1,R2,R3)에 음성신호가 기록된 시간이 상기 표시부(3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단계(84,85,86)로 진행하여 키 메트릭스로부터 인가되는 선택신호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된 저장영역(R1,R2,R3)중의 하나가 선택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저장영역(R1,R2,R3)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는 휴대용 전화기의 다이얼 키(K1)의 1, 2, 3키들의 키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단계(84,85,86)에 의하여 저장영역(R1,R2,R3)중의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단계(87)로 진행하여 선택된 저장영역(R1,R2 또는 R3)에 저장된 디지탈신호를 독취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저장부(20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저장영역(R1,R2 또는 R3)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신호는 제2변환부(50)에 의하여 아나로그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에 인가되므로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자는 저장영역(R1,R2 또는 R3)에 저장된 음성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계(87)를 수행한 제어부(100)는 단계(88)로 진행하여 재생중단 키(K5)의 재생중단신호가 인가되는가를 판단하여 재생중단 키(K5)가 눌려졌다면 단계(81)로 귀환하여 저장영역(R1,R2,R3)의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모드를 중단하고 전화기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단계(88)의 판단결과 재생중단 키(K5)가 눌려지지 않았다면 단계(89)로 진행하여 선택된 저장영역(R1,R2 또는 R3)에 저장된 디지탈신호가 모두 출력되었는가를 판단하여 모두 출력되었다면 단계(81)로 귀환하므로 재생모드를 중단하나, 모두 출력되지 않았다면, 단계(87)로 귀환하여 지정된 저장영역(R1,R2 또는 R3)의 디지탈신호가 계속하여 출력되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변환부(40)에 인가되는 음성신호는 스피커로부터 인가되게 하여 상대방의 음성만을 저장할 수 있게 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마이크의 음성신호를 제1변환부(100)에 인가되게 하여 사용자의 음성도 저장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중에 필요한 음성신호를 선택적으로 녹음하고, 녹음된 음성신호들중에서 필요한 것만을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어 휴대용 전화기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표시부와; 적어도 두개 이상의 저장영역들과;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스피커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키는 제1변환부와; 인가되는 디지탈신호를 아나로그신호로 변환시키는 제2변환부와; 녹음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제1변환부의 디지탈신호를 상기 저장영역들중의 하나에 기록하고, 기록중이 저장영역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재생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가 기록된 저장영역들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저장영역의 음성신호를 독취하여 상기 제2변환부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장치.
  2. 다수의 저장영역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방법으로서, 녹음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녹음모드이면 상기 저장영역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저장영역을 표시하는 단계와; 휴대용 전화기의 음성을 선택된 저장영역에 기록하는 단계와; 연속녹음모드가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연속녹음모드가 설정되면, 선택된 저장영역에 더 이상의 음성신호를 기록할 수 없을 때에 상기 저장영역들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로 귀환하는 단계와; 연속녹음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저장영역에 더 이상의 음성신호를 기록할 수 없을 때에 저장영역에 음성신호를 기록하는 과정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저장영역들중에 상기 음성신호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저장영역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영역들에 상기 음성신호가 저장되도록 선택된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영역 모드에 음성신호가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음성신호가 상기 저장영역들에 저장된 시간을 비교하여 가장 빨리 음성신호가 저장되었던 저장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방법.
  4. 다수의 저장영역에 음성신호가 기록되어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재생방법으로서, 재생모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영역들중에 음성신호가 기록된 저장영역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저장영역들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저장영역의 음성신호를 독취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재생방법.
KR1019940012008A 1994-05-31 1994-05-31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KR970002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2008A KR970002348B1 (ko) 1994-05-31 1994-05-31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2008A KR970002348B1 (ko) 1994-05-31 1994-05-31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5258A KR950035258A (ko) 1995-12-30
KR970002348B1 true KR970002348B1 (ko) 1997-03-03

Family

ID=19384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2008A KR970002348B1 (ko) 1994-05-31 1994-05-31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3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080A (ko) * 2000-06-21 2002-01-04 서승현 통화 녹음 장치
KR100827173B1 (ko) * 2006-12-22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화 내용 녹음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3167B1 (ko) * 1998-05-22 2001-03-02 윤종용 음성인식전화기의음성메모장치
KR100532313B1 (ko) * 1998-08-06 200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수신된 음성 저장시간 표시방법
KR100462882B1 (ko) * 2002-04-22 2004-12-17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음성 녹취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전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080A (ko) * 2000-06-21 2002-01-04 서승현 통화 녹음 장치
KR100827173B1 (ko) * 2006-12-22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통화 내용 녹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5258A (ko) 199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0076B1 (en) Portable telephone with voice-prompted menu screens
JP2001094635A (ja) 電話端末装置
KR970002348B1 (ko)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내용 녹음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JP2002164998A (ja) 録音機能を持つ携帯電話機
JP4332927B2 (ja) 編集装置
JPH09252372A (ja) ボイスメモ機能付き携帯情報端末
JPS62248356A (ja) 通信システム
JP2001186569A (ja) 携帯型無線電話機
JPH10136079A (ja) メッセージ再生装置及びメッセージ再生方法
KR100662261B1 (ko) 오디오 데이터 저장 및 재생을 위한 이동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방법
KR100396328B1 (ko) 전화통화에 의한 데이터의 저장장치 및 저장방법
JPH05103076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3248398A (ja) デイジタル録音再生機の録音再生方式
KR960020100A (ko) 자동 응답 기능을 가진 휴대폰
JPH01270192A (ja) Icカード
JPH08163276A (ja) 無線携帯電話機
JPS6218858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04306947A (ja) 音声蓄積装置
JPH10200620A (ja) 携帯形電話機
KR100501668B1 (ko) 무선 전화기의 음성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JPH04107044A (ja) ボタン電話装置
JPH08331237A (ja) 留守番電話装置
JPH10150506A (ja) 電話機
JPH0563842A (ja) 通信装置
KR20010025975A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메시지량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