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1668B1 - 무선 전화기의 음성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전화기의 음성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1668B1
KR100501668B1 KR10-2002-0023200A KR20020023200A KR100501668B1 KR 100501668 B1 KR100501668 B1 KR 100501668B1 KR 20020023200 A KR20020023200 A KR 20020023200A KR 100501668 B1 KR100501668 B1 KR 100501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signal
wireless telephone
output device
sound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3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7318A (ko
Inventor
김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인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인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인콤
Priority to KR10-2002-0023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1668B1/ko
Publication of KR20020037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1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1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42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에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은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오디오 신호 재생부를 통하여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레벨로 변경하고, 이를 음성 신호의 배경음으로 출력하는 배경음 제어부와,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로부터 자동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동 응답 메시지를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가 설정된 상대방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자동 응답 제어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통화 내역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통화 내역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화기의 음성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PORTABLE AUDIO SYSTEM FOR CONTROLLING VOICE SIGNAL OF MOBILE TELEPHONE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USING THAT}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에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사람들의 생활은 복잡해지고, 다양한 형태의 업무로 인하여 사람들의 이동성이 증가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종래의 유선 전화기에 구속되지 않고, 이동 중에도 통화가 가능한 무선 전화기가 널리 보급되었다. 이동 중에도 통화가 가능한 무선 전화기로는 셀룰러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사람들의 이동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동 중에도 음악이나 강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이 널리 애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은 카세트,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및 그 밖의 다양한 오디오 파일 재생기를 포함한다.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사용할 때, 사용자는 이어폰이나 헤드셋을 이용하여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오디오 신호를 청취한다. 그러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통하오 음악이나 강의 음성과 같은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는 동안에, 사용자는 이어폰이나 헤드셋에 의하여 외부와의 음성 전달이 거의 차단된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는 동안에는 타인의 음성이나 무선 전화기의 벨 소리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과 무선 전화기를 연결하는 연결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연결 장치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과 무선 전화기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잭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오디오 신호 또는 무선 전화기의 음성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과 무선 전화기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는 이어폰이나 헤드셋 외에 추가적인 비용의 지출이 요구된다.
또한, 최근에는 무선의 음성 통신 외에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복합 휴대폰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오디오 기능을 구비한 복합 휴대폰은 종래의 오디오 시스템과 무선 전화기가 결합된 것으로 제조 비용이 상당히 증가하게 되며, 사용자의 이용 의사와 상관없이 오디오 기능이 첨부됨으로써, 사용자의 욕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수신자의 전화기에 표시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Caller Identification Display: CID)가 대중화되고 있으며, 자동 응답이나 통화 내역의 녹음과 같이 다양한 통화 서비스를 활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메모리와 고성능의 데이터 처리가 요구되는데 비하여, 무선 전화기는 갈수록 소형화되어 가는 추세이기 때문에 이러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 전화기와 연결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무선 전화기의 음성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청취 또는 통화 상태에 따라 오디오 신호 및 무선 전화기의 음성 신호의 음량을 필요에 따라 선택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무선 전화기를 통한 자동 응답 기능 또는 음성 저장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은 무선 전화기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가 저장된 매체로부터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오디오 신호 재생부와, 무선 전화기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와,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의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와, 상기 오디오 신호 재생부,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오디오 신호 재생부를 통하여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레벨로 변경하고, 이를 음성 신호의 배경음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은 카세트 테이프, CD 플레이어 및 MP3 플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은 무선 전화기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가 저장된 매체로부터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오디오 신호 재생부와, 무선 전화기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와,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의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와,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상기 오디오 신호 재생부,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로부터 자동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동 응답 메시지를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가 설정된 상대방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은 무선 전화기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가 저장된 매체로부터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오디오 신호 재생부와, 무선 전화기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와,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의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와, 음성 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상기 오디오 신호 재생부,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통화 내역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제어 장치는 무선 전화기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오디오 신호 재생부를 통하여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레벨로 변경하고, 이를 음성 신호의 배경음으로 출력하는 배경음 제어부와,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로부터 자동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동 응답 메시지를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가 설정된 상대방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자동 응답 제어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통화 내역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통화 내역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외부에 형성되어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가 저장된 매체로부터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오디오 신호 재생부와, 무선 전화기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와,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의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와,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상기 오디오 신호 재생부,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은 무선 전화기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 설정 신호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레벨로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배경음으로 하여,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가 설정된 상대방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은 무선 전화기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 설정 신호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메모리로부터 자동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자동 응답 메시지를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가 설정된 상대방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은 무선 전화기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 설정 신호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가 설정된 상대방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사용자와 상대방 사이에 수행된 통화 내역을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전체적인 연결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은 이동 중에 통화가 가능한 무선 전화기(10)와 연결되어, 무선 전화기(10)를 통하여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음성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청취할 수 있는 사운드 입출력 장치(20)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사운드 입출력 장치(20)는 이어폰이나 헤드셋과 같이 음성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사운드 입출력 장치(20)는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지 않고, 음성 신호의 입력 및 출력이 가능한 핸즈 프리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 사용자는 무선 전화기(10)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 또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장치(20)를 통하여 청취할 수 있으며, 무선 전화기(10)를 통하여 호가 설정된 상대방에게 음성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은 무선 전화기(10)에 비하여 대용량의 메모리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은 무선 전화기(10)와의 연결을 위한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110),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130), 오디오 신호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150), 오디오 재생 상태 등의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40)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무선 전화기의 음성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 1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110)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과 무선 전화기(10)를 연결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통상적인 연결 잭을 이용하여 무선 전화기에 구비된 연결 잭 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110)는 이어폰이나 핸즈 프리를 결합하기 위하여, 무선 전화기(10)에 형성된 통상의 연결 잭 홀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130)는 이어폰이나 헤드셋과 결합될 수 있는 통상의 연결 잭 홀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일반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 과 ROM(Read Only Memory) 같은 저장 매체 형태인 고속의 메인 메모리와, 테이프, CD-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장기(long-term) 저장 매체 형태의 보조 메모리 및 전기, 자기, 광학이나 그 밖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메모리는 디스플레이(140)를 통하여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는 메모리(150)가 여러 가지 저장 성능을 구비하는 제품으로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CPU(120)는 계산을 수행하기 위한 ALU(Arithmetic Logic Unit)와, 데이터 및 명령어의 일시적인 저장을 위한 레지스터 및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CPU(120)는 디지털(Digital) 사의 알파(Alpha), MIPS 테크놀로지, NEC, IDT, 지멘스(Siemens) 등의 MIPS, 인텔(Intel)과 사이릭스(Cyrix), AMD 및 넥스젠(Nexgen) 및 IBM과 모토롤라(Motorola)와 같이 다양한 회사의 아키텍쳐(Architecture)를 갖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PDP(Plasma Display Pannel)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은 카세트 테이프 또는 CD와 같이, 오디오 신호를 저장하는 기록 매체로부터 선택된 오디오 파일을 추출하여 이를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 재생부를 포함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에서, CPU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CPU(120)는 무선 전화기(10)를 통하여 전송되는 음성 신호를 제어하는 음성 신호 제어부(122),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을 통하여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는 오디오 신호 제어부(124),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제어하는 자동 응답 제어부(126) 및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상대방과 통화한 통화 내역을 저장하거나 이를 재생할 수 있는 통화 내역 제어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신호 제어부(122)는 오디오 신호의 재생 중에 무선 통화를 요청하는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따라 무선 전화기(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상대방의 음성 신호를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을 경유하여 사운드 입출력 장치(20)로 제공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무선 전화기(10)를 조작하지 않고도, 사운드 입출력 장치(20)를 통하여 상대방과의 통화가 가능하다.
오디오 신호 제어부(124)는 상대방으로부터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재생 또는 레벨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즉,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을 통하여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레벨로 감소시킴으로써, 통화중의 배경 음악으로 이용할 수 있다.
자동 응답 제어부(126)는 통화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의 메모리(150)에 저장된 자동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고, 무선 전화기(10)를 통하여 상대방에게 제공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을 통하여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설정에 따라 상대방과의 통화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통화 내역 제어부(128)는 상대방과의 무선 통화 내역을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의 메모리(150)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이를 재생하는 부분이다. 통상의 무선 전화기(10)는 소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이 불가능하지만, 상대적으로 대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이러한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세부적인 기능을 제어하기 위하여,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 내부에 CPU(120)를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핸즈 프리와 같이 사운드 입출력 장치(20)에 제어 패널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의 각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에 부착되어 있는 제어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 사운드 입출력 장치(20)에 부착되거나 여기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어 패널을 이용하여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100)의 각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통화 중의 배경음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전화기와 사운드 입출력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통하여 선택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고, 사운드 입출력 장치를 통하여 이를 청취하고 있을 것이다(s10). 재생된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는 과정에서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되면(s12),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에서 이를 감지하고,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레벨로 변경한다(s14). 이 때, 사용자는 호 설정 신호 수신 상태에서, 변경할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미리 설정하거나,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된 후에 이를 변경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호 설정 신호의 수신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레벨이 변경되면, 변경된 레벨의 오디오 신호를 배경음으로 하여,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 전송한다(s16). 그에 따라, 사용자는 청취하고 있던 오디오 신호를 배경음으로 하여 상대방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배경음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대방의 통신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통화하는 상대방도 오디오 신호를 배경음으로 청취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사용자는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는 작업과 무선 통화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 응답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전화기와 사운드 입출력 장치가 결합된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통하여 선택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에서(s20),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될 것이다(s22). 이 때, 사용자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통하여 오디오 신호의 청취를 위하여, 자동 응답 기능을 선택한 상태일 것이다. 따라서,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되면,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된 자동 응답 메시지를 추출한다(s24). 추출된 자동 응답 메시지는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상대방에게 송신되고(s26), 상대방은 자동 응답 메시지의 지시에 따라 자신의 연락처 또는 음성 메시지를 녹음할 수 있을 것이다(s28). 이 때, 상대방으로부터 입력된 연락처 또는 음성 메시지는 무선 전화기에 저장되거나 또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오디오 신호의 청취를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대방과의 통화 내역을 저장하는 경우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전화기와 사운드 입출력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통하여 선택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고, 사운드 입출력 장치를 통하여 이를 청취하고 있을 것이다(s30).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되면(s32),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은 녹음 모드로 전환되고, 녹음 모드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사운드 입출력 장치를 통하여 상대방과의 통화를 수행한다(s34). 이와 같이, 사운드 입출력 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진 상대방과의 통화 내역은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되고(s36), 사용자는 저장된 통화 내역을 필요한 경우에 청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은 카세트 테이프, CD 플레이어 또는 MP3 플레이어 등 다양한 오디오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은 무선 전화기와 사운드 입출력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함으로써,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오디오 청취 기능 및 저장 기능을 무선 전화기와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기존에 사용하던 무선 전화기와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쉽게 연결할 수 있고, 큰 비용을 부담하지 않고도 무선 전화기와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기능을 함께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은 무선 전화기와 결합 가능한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통화 중의 배경음으로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통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은 상대적으로 대용량으로 구성되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메모리를 이용함으로써, 자동 응답 메시지 및 통화 내역의 저장 기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화기의 음성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기술하였지만, 그 내용은 하기 청구범위에 기술된 본 발명의 분야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경하거나 수정하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전체적인 연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에서, CPU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통화 중의 배경음으로 사용하는 경우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 응답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대방과의 통화 내역을 저장하는 경우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10: 무선 전화기 20: 사운드 입출력 장치
100: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110: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
120: CPU 130: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
140: 디스플레이 150: 메모리
122: 음성 신호 제어부 124: 오디오 신호 제어부
126: 자동 응답 제어부 128: 통화 내역 제어부

Claims (15)

  1. 무선 전화기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가 저장된 매체로부터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오디오 신호 재생부;
    무선 전화기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의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재생부,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오디오 신호 재생부를 통하여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레벨로 변경하고, 이를 음성 신호의 배경음으로 출력하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은
    카세트 테이프, CD 플레이어 및 MP3 플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인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3. 무선 전화기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가 저장된 매체로부터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오디오 신호 재생부;
    무선 전화기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의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재생부,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로부터 자동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동 응답 메시지를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가 설정된 상대방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4. 무선 전화기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가 저장된 매체로부터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오디오 신호 재생부;
    무선 전화기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의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
    음성 신호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재생부,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통화 내역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5. 오디오 신호가 저장된 매체로부터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오디오 신호 재생부;
    무선 전화기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의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상기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오디오 신호 재생부를 통하여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레벨로 변경하고, 이를 음성 신호의 배경음으로 출력하는 배경음 제어부를 포함하며,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외부에 형성되어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제어하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제어 장치.
  6. 오디오 신호가 저장된 매체로부터 선택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오디오 신호 재생부;
    무선 전화기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의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재생부, 무선 전화기 인터페이스, 사운드 입출력 장치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
  7. 무선 전화기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 설정 신호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레벨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레벨이 변경된 오디오 신호를 배경음으로 하여,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가 설정된 상대방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가 설정된 상대방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레벨이 변경된 오디오 신호를 배경음으로 하여, 호가 설정된 상대방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9. 무선 전화기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 설정 신호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메모리로부터 자동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자동 응답 메시지를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가 설정된 상대방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자동 응답 메시지의 지시에 따라 상대방이 입력한 텍스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11. 무선 전화기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 설정 신호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가 설정된 상대방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와 상대방 사이에 수행된 통화 내역을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통화 내역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13. 무선 전화기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 연결된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이,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 설정 신호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레벨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오디오 신호를 배경음으로 하여,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가 설정된 상대방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4. 무선 전화기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 연결된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이,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 설정 신호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메모리로부터 자동 응답 메시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자동 응답 메시지를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가 설정된 상대방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재품.
  15. 무선 전화기 및 사운드 입출력 장치와 연결된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기 위하여,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음성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이,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 설정 신호의 수신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호 설정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신호를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사운드 입출력 장치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무선 전화기를 통하여 호가 설정된 상대방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와 상대방 사이에 수행된 통화 내역을 휴대용 오디오 시스템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02-0023200A 2002-04-27 2002-04-27 무선 전화기의 음성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KR100501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200A KR100501668B1 (ko) 2002-04-27 2002-04-27 무선 전화기의 음성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3200A KR100501668B1 (ko) 2002-04-27 2002-04-27 무선 전화기의 음성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318A KR20020037318A (ko) 2002-05-18
KR100501668B1 true KR100501668B1 (ko) 2005-07-25

Family

ID=19720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3200A KR100501668B1 (ko) 2002-04-27 2002-04-27 무선 전화기의 음성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166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320A (ko) * 1993-08-30 1995-03-21 이헌조 오디오 겸용 휴대용 전화기 및 그 통화 방법
JPH09187060A (ja) * 1995-12-28 1997-07-15 Nec Corp ワイヤレスイヤホン付き携帯電話機
KR19980026533A (ko) * 1996-10-10 1998-07-15 구자홍 휴대용 통신 기기의 신호 수신 장치
KR19990073053A (ko) * 1999-02-18 1999-10-05 이흥무 이동통신기능을갖는휴대용카셋트
KR19990085349A (ko) * 1998-05-16 1999-12-06 김강묵 카 오디오 핸드프리 녹음장치
KR200181945Y1 (ko) * 1999-12-28 2000-05-15 명태성 착신검출에 의한 자동절환이 가능한 휴대용 오디오 기기및 무선전화기 공용 핸즈프리장치
KR20000030099A (ko) * 1999-12-01 2000-06-05 한상철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 및 그 방법
KR200214822Y1 (ko) * 2000-03-15 2001-02-15 이기창 외부 음향기기 자동 청취 기능이 부가된 휴대용 전화기
KR20010086908A (ko) * 2000-03-04 2001-09-15 김기영 다기능 마이크 겸용 이어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320A (ko) * 1993-08-30 1995-03-21 이헌조 오디오 겸용 휴대용 전화기 및 그 통화 방법
JPH09187060A (ja) * 1995-12-28 1997-07-15 Nec Corp ワイヤレスイヤホン付き携帯電話機
KR19980026533A (ko) * 1996-10-10 1998-07-15 구자홍 휴대용 통신 기기의 신호 수신 장치
KR19990085349A (ko) * 1998-05-16 1999-12-06 김강묵 카 오디오 핸드프리 녹음장치
KR19990073053A (ko) * 1999-02-18 1999-10-05 이흥무 이동통신기능을갖는휴대용카셋트
KR20000030099A (ko) * 1999-12-01 2000-06-05 한상철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 및 그 방법
KR200181945Y1 (ko) * 1999-12-28 2000-05-15 명태성 착신검출에 의한 자동절환이 가능한 휴대용 오디오 기기및 무선전화기 공용 핸즈프리장치
KR20010086908A (ko) * 2000-03-04 2001-09-15 김기영 다기능 마이크 겸용 이어폰
KR200214822Y1 (ko) * 2000-03-15 2001-02-15 이기창 외부 음향기기 자동 청취 기능이 부가된 휴대용 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318A (ko) 200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686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ource device and content delivery via wireless connection
US20030099367A1 (en) Portable radio terminal, and sound delivery method and sound intake method
JP2000115330A (ja) 携帯電話機及びこれと接続されるポータブルオーディオ
JP2002252566A (ja) 携帯電話用接続装置
US20030157969A1 (en) Portable telephone,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KR20020080557A (ko) 블루투스 통신기능을 갖는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와 이를이용한 휴대폰 통화를 위한 신호처리방법
KR100501668B1 (ko) 무선 전화기의 음성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KR20010059527A (ko) 휴대폰의 이어 마이크
JP4698349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音声出力制御プログラム
JP2002223279A (ja) 通信端末装置
KR100360899B1 (ko) 전화기의 음악재생방법
KR20050104783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알람 방법
KR100387962B1 (ko) 엠피쓰리 휴대폰에서의 엠피쓰리 음악 재생방법
KR20010003178A (ko) 미디어 데이터 및 정보 자료 재생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기기 및 그 운영 방법
JP2002171314A (ja) 音声入力機能付き情報機器
JPH11285069A (ja) 携帯電話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通話装置
KR20030018950A (ko) 이동전화 단말기를 녹음기로 사용하는 방법
KR20030076041A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를 위한 핸즈프리 겸용 리모콘
KR101121291B1 (ko) 핸즈프리 단자를 이용한 휴대폰 데이터의 재생 장치 및 그방법
KR200274628Y1 (ko) 휴대용 음향 기기 및 무선 전화기 공용 헤드폰
JP2002232957A (ja) 携帯電話通話方法および装置
JP2002152324A (ja) 移動体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音声入出力装置
JPH10209909A (ja) パーソナル通信装置
KR2006006018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대기음 제공 방법
JP2002223280A (ja) 通信端末装置及び基地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