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0099A -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099A
KR20000030099A KR1019990054259A KR19990054259A KR20000030099A KR 20000030099 A KR20000030099 A KR 20000030099A KR 1019990054259 A KR1019990054259 A KR 1019990054259A KR 19990054259 A KR19990054259 A KR 19990054259A KR 20000030099 A KR20000030099 A KR 20000030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witching
heterogeneous
input
mode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하령
Original Assignee
한상철
주식회사 아이텔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철, 주식회사 아이텔미디어 filed Critical 한상철
Priority to KR1019990054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0099A/ko
Publication of KR20000030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09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셀룰러/PCS/IMT-2000 등 이동통신용 단말기와 카세트플레이어/CD플레이어/MP3플레이어/미니디스크(MD)플레이어 등 휴대용 오디오기기 및 텔레비전(TV)/오디오/비디오/유무선전화기 등과 같은 각종 이기종 기기에서 일측의 기능(오디오 기능) 수행시에 타측의 기능(통화기능)으로 모드 전환을 자동으로 하고, 타측의 기능 수행후에는 원래 일측의 기능으로 자동 혹은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모드 전환시켜 사용자의 편익을 증대시키기 위한 이어폰의 모드변환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셀룰러/PCS/IMT-2000 등 이동통신용 단말기와 카세트플레이어/CD플레이어/MP3플레이어/미니디스크(MD)플레이어 등 휴대용 오디오기기 및 텔레비전(TV)/오디오/비디오/유무선전화기 등과 같은 각종 이기종 기기에서 상기 이기종 기기의 입출력 기능을 대신하여 무선 음성 통신 및 유선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입출력신호를 연결하는 입출력신호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기종 기기의 일측으로부터의 오디오 청취 기능 수행시에, 타측으로부터의 수신음을 감지하기 위한 수신음 감지수단; 상기 수신음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수신음을 상기 타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모드전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수단; 및 상기 수신음을 상기 입출력신호 연결장치로 전달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모드전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일측을 단절하고 상기 타측을 연결시키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카세트(Cassette)의 이어폰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 및 그 방법{APPRARTUS AND METHOD FOR SWITCHING MODE BETWEEN HETEROGENEOUS EQUIPMENTS}
본 발명은, 셀룰러(Cellular)/개인휴대통신시스템(PCS)/차세대무선통신시스템(IMT-2000) 등 이동통신용 단말기와 카세트 플레이어/컴펙트디스크(CD) 플레이어/고음질 오디오 압축기술(MP3) 플레이어/미니디스크(MD) 플레이어 등 휴대용 오디오기기 및 텔레비전(TV)/오디오/비디오/유무선전화기 등과 같은 각종 이기종 기기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이어폰의 모드변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인이 사용하고 있는 이어폰은 대부분 휴대용카세트 청취를 위한 용도의 스테레오 이어폰이며, 최근 이동단말기 보급의 대중화 이후 이동단말기용 이어폰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상기 이어폰의 경우 양 기기를 동시에 사용하지 못하고 각 기기별로 고유의 이어폰을 사용하여야만 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카세트로 음악 혹은 어학 등을 청취중 이동단말기로 전화가 걸려올 경우에, 카세트 음향의 영향으로 전화수신음을 미처 확인하지 못하여 통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비록 전화수신을 확인하였더라도 카세트 이어폰을 벗고 전화를 받아야 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통화에 실패하는 사례가 빈발하는 등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셀룰러/PCS/IMT-2000 등 이동통신용 단말기와 카세트플레이어/CD플레이어/MP3플레이어/미니디스크(MD)플레이어 등 휴대용 오디오기기 및 텔레비전(TV)/오디오/비디오/유무선전화기 등과 같은 각종 이기종 기기에서 일측의 기능(오디오 기능) 수행시에 타측의 기능(통화기능)으로 모드 전환을 자동으로 하고, 타측의 기능 수행후에는 원래 일측의 기능으로 자동 혹은 간단한 모드전환 스위치 조작에 의해 모드 전환시켜 사용자의 편익을 증대시키기 위한 이어폰의 모드변환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전환장치가 적용되는 이동단말기/휴대용카세트 겸용 이어폰의 구성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의 일실시예 회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를 수동으로 구현한 다른 실시예 회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 플립플롭(F/F)회로를 이용하여 구현한 다른 실시예 회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이어폰(Earphone) 12 : 이동단말기용 마이크
13 : 모드전환장치 14 : 단자함
15 : 이동단말기 연결단자 16 : 카세트 연결단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셀룰러(Cellular)/개인휴대통신시스템(PCS)/차세대 무선통신시스템(IMT-2000) 등 이동통신용 단말기와 카세트 플레이어/컴펙트디스크(CD) 플레이어/고음질 오디오 압축기술(MP3) 플레이어/미니디스크(MD) 플레이어 등 휴대용 오디오기기 및 텔레비전(TV)/오디오/비디오/유무선전화기 등과 같은 각종 이기종 기기에서 상기 이기종 기기의 입출력 기능을 대신하여 무선 음성 통신 및 유선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입출력신호를 연결하는 입출력신호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기종 기기의 일측으로부터의 오디오 청취 기능 수행시에, 타측으로부터의 수신음을 감지하기 위한 수신음 감지수단; 상기 수신음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수신음을 상기 타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모드전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수단; 및 상기 수신음을 상기 입출력신호 연결장치로 전달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모드전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일측을 단절하고 상기 타측을 연결시키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셀룰러(Cellular)/개인휴대통신시스템(PCS)/차세대 무선통신시스템(IMT-2000) 등 이동통신용 단말기와 카세트 플레이어/컴펙트디스크(CD) 플레이어/고음질 오디오 압축기술(MP3) 플레이어/미니디스크(MD) 플레이어 등 휴대용 오디오기기 및 텔레비전(TV)/오디오/비디오/유무선전화기 등과 같은 각종 이기종 기기에서 상기 이기종 기기의 입출력 기능을 대신하여 무선 음성 통신 및 유선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입출력신호를 연결하는 입출력신호 연결장치에서의 모드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기종 기기중 일측으로부터의 오디오 청취 기능 수행시에, 타측으로부터의 수신음을 감지하는 제 1 단계; 및 감지된 상기 수신음을 상기 입출력신호 연결장치로 전달하고, 자동으로 혹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일측을 단절하고 상기 타측을 연결시켜 통화를 성사시키는 제 2 단계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핸드폰 및 카세트용 이어폰 2가지 기능을 통합하여 카세트 사용중 전화가 걸려올 경우에 전화수신음을 이어폰을 통하여 확인하고 1회의 버튼조작 혹은 자동으로 전화모드로 변경하여 통화하며, 통화가 끝날 경우 자동 혹은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카세트 모드로 전환하여 계속 카세트 내용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전환장치가 적용되는 이동단말기/휴대용카세트 겸용 이어폰의 구성 예시도로서, 도면에서 "11"은 이어폰, "12"는 이동단말기용 마이크, "13"은 음향조절 기능이 가능한 모드전환장치(13), "14"는 단자함, "15"는 이동전화기 연결단자, 그리고 "16"은 카세트 연결단자를 각각 나타낸다. 이 경우 "12", "13", "14"의 기능을 통합하여 1개의 장치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드전환장치(13)가 적용되는 셀룰러/PCS/IMT-2000 등 이동통신용 단말기와 카세트플레이어/CD플레이어/MP3플레이어/미니디스크(MD)플레이어 등 휴대용 오디오기기 및 텔레비전(TV)/오디오/비디오/유무선전화기 등과 같은 각종이기종 기기에서 상기 이기종 기기의 입출력 기능을 대신하여 핸즈프리 이동단말기용 마이크(12)/이어폰(11)을 통해 무선 음성 통신 및 유선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입출력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입출력신호 연결수단과, 이동단말기/카세트 전환 및 음향조절이 가능한 모드전환장치(13)와, 단자함(14)과, 단자함(14)으로부터의 일측의 연결단자를 이동단말기에 연결시키기 위한 이동단말기 연결단자(15)와, 단자함(14)으로부터의 타측의 연결단자를 카세트에 연결시키기 위한 카세트 연결단자(16)로 구성된다.
여기서, 단자함(14)은 이동단말기 또는 카세트 전용으로 마이크겸용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드전환장치(13)가 적용되는 이동단말기/휴대용카세트 겸용 이어폰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동단말기/휴대용카세트가 겸용 가능하다. 수동 절환 기능을 가질 경우에는 이를 위해, 이동단말기/휴대용카세트 전환버튼이 부착될 수 있다.
둘째, 카세트(혹은 라디오) 음악 청취중에 전화수신음의 청취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이동단말기/카세트 연결단자가 2개이상 구비된다.
셋째, 수신음향을 조절할 수 있는 음향조절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넷째, 전화통화시 카세트 음향을 단절시키고, 착신음 발생시 일측 이어폰의 음향을 단절시킨다.
음향조절기능이 구비된 모드전환장치(13)는 기존의 이동전화기 및 카세트용 이어폰 2가지 기능을 통합하여 카세트 사용중 전화가 걸려올 경우에 전화수신음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화모드로 변경하여 통화하며, 통화가 끝날 경우 자동 혹은 간단한 스위치 조작으로 카세트 모드로 전환하여 계속 카세트 내용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21"은 단말기 신호음(동작) 감지부, "22"는 스위치 구동부, 그리고 "23"은 스위치 모듈을 각각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13)는 셀룰러/PCS/IMT-2000 등 이동통신용 단말기와 카세트플레이어/CD플레이어/MP3플레이어/미니디스크(MD)플레이어 등 휴대용 오디오기기 및 텔레비전(TV)/오디오/비디오/유무선전화기 등과 같은 각종이기종 기기에서 상기 이기종 기기의 입출력 기능을 대신하여 무선 음성 통신 및 유선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입출력신호를 연결하는 입출력신호 연결장치(바람직하게는 상기 도 1의 이동단말기/휴대용카세트 겸용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이기종 기기의 일측(바람직하게는 휴대용카세트)으로부터의 오디오 청취 기능 수행시에, 타측(바람직하게는 이동단말기)으로부터의 수신음을 감지하기 위한 단말기 신호음(동작) 감지부(21)와, 단말기 신호음 감지부(21)로부터 전달된 수신음을 이어폰(11)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모드전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구동부(22)와, 수신음을 이어폰(11)으로 전달하고, 모드전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일측을 단절하고 상기 타측을 연결시키는 스위치 모듈(23)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전환장치(13)에서 모드전환방법을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드전환방법은, 카세트를 통해 음악 혹은 어학 등을 청취중에(301), 이동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와 수신신호가 감지되면(302), 자동으로 전화모드로 변환하여 전화 통화하고(305), 통화가 종료되면 자동 혹은 수동으로 모드 전환시켜(306) 사용자가 계속 카세트 내용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통화 개시전에 통화모드로의 전환을 자동 이외에 수동으로도 하는 이유는, 카세트 청취중에 잠깐 자리를 비운 사이에 이동전화기의 착신음이 감지되어 자동으로 통화모드로 변환되어 통화가 개시되면, 발착신자간에 원할한 통화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화개시전에 모드전환은 자동으로 하되, 통화개시여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할한 소통을 이루기 위함이다.
그리고, 통화후의 자동 모드전환은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부여하기 위함인데, 이는 수동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의 일실시예 회로 구성도로서, 자동 모드변환 회로를 나타낸다.
단말기 신호음(동작) 감지부(21)는 비교기(OP1,OP2)와, 저항(R1,R2,R3,R4), 커패시터(C1,C2)로 구성되어, 이동단말기의 작동여부 신호를 감지하여 스위치 구동부(22)로 신호를 전달한다.
스위치 구동부(22)는 인버터(INV1,INV2)로 구성되며, 단말기 신호음 감지부(21)에서 전달된 카세트 혹은 이동단말기 구동신호를 구분하여, 카세트와 이어폰 혹은 단말기와 이어폰을 연결해 주는 스위치(아날로그 스위치 혹은 소형릴레이 등)을 구동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스위치 모듈(23)은 스위치 구동부(22)의 신호 모드를 선택하여 카세트 혹은 이동단말기 사용여부를 결정한다. 스위치로는 아날로그스위치, 릴레이 등과 같이 구동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스위치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13)의 회로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비교기(OP1)가 이동단말기의 동작상태 여부(통화중 혹은 전화가 걸려온 상태)를 감지한다. 이때, 이동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동작 상태의 경우 스피커(Speaker) 단자로 수십mV-수V의 피크-피크(Peak-to-peak) 전압이 걸리므로 비교기(OP1)의 출력은 하이(High) 상태 혹은 하이-로(High-Low) 상태의 교호의 전압을 나타내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커패시터(C2)를 충전시키고 커패시터(C2)의 전압을 다시 비교기(OP2)에서 비교하여 통화중인 상태를 감지한다. 이때, 커패시터(C2)는 저항(R3)을 통하여 방전하게 되고, 일정 시간 이상 이동단말기가 동작 상태가 아니면 자동으로 카세트(Cassette)로 절환하게 된다.
이동단말기가 동작 상태가 되면, 이동단말기 온/오프 신호가 하이(High) 상태가 되어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동단말기에 연결시키게 된다. 즉, 스위치 모듈(23)에서 이동단말기쪽 아날로그 스위치를 온(On)시키고, 카세트쪽 아날로그 스위치를 오프(Off)시킨다.
한편, 이동단말기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카세트 온/오프 신호가 하이(High) 상태가 되어 양쪽 스피커가 카세트쪽으로 연결되게 된다. 즉, 스위치 모듈(23)에서 카세트쪽 아날로그 스위치를 온(On)시키고, 이동단말기쪽 아날로그 스위치를 오프(Off)시킨다.
본 핸즈프리 킷에서 통화 버튼의 경우 이동단말기의 마이크 단자를 접지(GND)시켜서 이동단말기에 신호를 보내주게 된다.
전원은 건전지를 사용하거나 단자의 인터페이스를 바꾸어 이동단말기 또는 카세트에서 얻을 수도 있다. 즉, 전원 방전시 자동으로 이동단말기 또는 카세트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는 모드로 전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단말기 또는 카세트의 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자동으로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는 전자적 회로에 의존하지 않고, 수동으로 절환할 수 있도록 스위치 모듈(23)을 도 5와 같이 수동회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단말기 신호음 감지부(21)의 신호를 래치부(61)에 의해 래치하여 스위치를 구동하여 일측을 단절하고 타측을 연결하여 통화하고, 통화완료시에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다시 일측으로 모드전환하는 기능을 가진 이기종간의 모드변환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와 휴대용카세트의 동시 사용이 불가능하여 부득이 개별 기기를 각각 사용할 수 밖에 없었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용자로 하여금 양 기기를 하나의 이어폰(이기종 기기간 자동전환이 가능한)에 연결하여 필요에 따른 기기 사용을 가능케 함으로써 사용자 편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셀룰러(Cellular)/개인휴대통신시스템(PCS)/차세대무선통신시스템(IMT-2000) 등 이동통신용 단말기와 카세트 플레이어/컴펙트디스크(CD) 플레이어/고음질 오디오 압축기술(MP3) 플레이어/미니디스크(MD) 플레이어 등 휴대용 오디오기기 및 텔레비전(TV)/오디오/비디오/유무선전화기 등과 같은 각종 이기종 기기에서 상기 이기종 기기의 입출력 기능을 대신하여 무선 음성 통신 및 유선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입출력신호를 연결하는 입출력신호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기종 기기의 일측으로부터의 오디오 청취 기능 수행시에, 타측으로부터의 수신음을 감지하기 위한 수신음 감지수단;
    상기 수신음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수신음을 상기 타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모드전환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수단; 및
    상기 수신음을 상기 입출력신호 연결장치로 전달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모드전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일측을 단절하고 상기 타측을 연결시키는 스위칭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수신음을 상기 입출력신호 연결장치로 전달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모드전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일측을 단절하고 상기 타측을 연결시키되, 상기 타측의 통화 기능 종료후에 자동으로 상기 일측으로 모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수신음을 상기 입출력신호 연결장치로 전달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상기 모드전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일측을 단절하고 상기 타측을 연결시키되, 상기 타측의 통화 기능 종료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모드전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일측으로 모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수신음을 상기 입출력신호 연결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모드전환 구동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일측을 단절하고 상기 타측을 연결시키며, 상기 타측의 통화 기능 종료후에 상기 모드전환 구동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일측으로 모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수신음을 상기 입출력신호 연결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모드전환 구동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일측을 단절하고 상기 타측을 연결시키며, 상기 타측의 통화 기능 종료후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모드전환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일측측으로 모드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기종 기기는,
    실질적으로, 이동단말기/카세트(Casset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
  7. 셀룰러(Cellular)/개인휴대통신시스템(PCS)/차세대무선통신시스템(IMT-2000) 등 이동통신용 단말기와 카세트 플레이어/컴펙트디스크(CD) 플레이어/고음질 오디오 압축기술(MP3) 플레이어/미니디스크(MD) 플레이어 등 휴대용 오디오기기 및 텔레비전(TV)/오디오/비디오/유무선전화기 등과 같은 각종 이기종 기기에서 상기 이기종 기기의 입출력 기능을 대신하여 무선 음성 통신 및 유선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입출력신호를 연결하는 입출력신호 연결장치에서의 모드전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기종 기기중 일측으로부터의 오디오 청취 기능 수행시에, 타측으로부터의 수신음을 감지하는 제 1 단계; 및
    감지된 상기 수신음을 상기 입출력신호 연결장치로 전달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일측을 단절하고 상기 타측을 연결시켜 통화를 성사시키는 제 2 단계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감지된 상기 수신음을 상기 입출력신호 연결장치로 전달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일측을 단절하고 상기 타측을 연결시키되, 상기 타측의 통화 기능 종료후에 자동으로 상기 일측으로 모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감지된 상기 수신음을 상기 입출력신호 연결장치로 전달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일측을 단절하고 상기 타측을 연결시키되, 상기 타측의 통화 기능 종료후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일측으로 모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감지된 상기 수신음을 상기 입출력신호 연결장치로 전달하고, 자동으로 상기 일측을 단절하고 상기 타측을 연결시키며, 상기 타측의 통화 기능 종료후에 자동으로 상기 일측으로 모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감지된 상기 수신음을 상기 입출력신호 연결장치로 전달하고, 자동으로 상기 일측을 단절하고 상기 타측을 연결시키며, 상기 타측의 통화 기능 종료후에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일측으로 모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방법.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기종 기기는,
    실질적으로, 이동단말기/카세트(Casset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방법.
KR1019990054259A 1999-12-01 1999-12-01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0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259A KR20000030099A (ko) 1999-12-01 1999-12-01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259A KR20000030099A (ko) 1999-12-01 1999-12-01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099A true KR20000030099A (ko) 2000-06-05

Family

ID=1962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259A KR20000030099A (ko) 1999-12-01 1999-12-01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00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668B1 (ko) * 2002-04-27 2005-07-25 주식회사 레인콤 무선 전화기의 음성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668B1 (ko) * 2002-04-27 2005-07-25 주식회사 레인콤 무선 전화기의 음성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64280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10200989A (ja) イヤホン
WO2003105450A1 (ja) 折畳式携帯電話機
KR100422475B1 (ko) 이어잭에 접속되는 스피커모듈과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JP3398699B2 (ja) 携帯端末装置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JPH10126466A (ja) 携帯電話機
JPH10341272A (ja) 遠隔制御装置
JP2954150B1 (ja) 携帯電話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通話装置
KR20000030099A (ko) 이기종 기기간의 모드전환장치 및 그 방법
KR100692773B1 (ko) 리시버-라우드 스피커 통합형의 이중 스피커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69847B1 (ko) 다기능 오디오폰
JPH0823366A (ja) 携帯電話機用音響信号制御装置
KR200293071Y1 (ko) 캐릭터가 움직이는 핸드폰 케이스
JP2894882B2 (ja)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KR100640409B1 (ko) 휴대전화의 통합 이어폰 연결장치
KR200258287Y1 (ko) 다기능 오디오폰
KR200178279Y1 (ko) 스위칭 기능을 가진 이어-마이크로폰
KR100251833B1 (ko) 디지털 셀룰러 무선 복합단말기의 오디오 이득 자동 조절방법
KR20035618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음악 기기를 겸용으로 사용하기위한 다기능 이어폰 장치
KR20040093244A (ko) 오디오 장치와 연동하여 모드를 전환하는 무선통신단말기및 그 방법
JPH03262239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392063B1 (ko) 전자신호에 의한 음성다이얼 기능을 가진 휴대폰용 리모콘
JP2956346B2 (ja) 電話装置
KR100413537B1 (ko) 유선전화기의 핸즈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