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875B1 - 페달식 파킹 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페달식 파킹 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875B1
KR970001875B1 KR1019940034037A KR19940034037A KR970001875B1 KR 970001875 B1 KR970001875 B1 KR 970001875B1 KR 1019940034037 A KR1019940034037 A KR 1019940034037A KR 19940034037 A KR19940034037 A KR 19940034037A KR 970001875 B1 KR970001875 B1 KR 970001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spring
cable
pedal
pedal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540A (ko
Inventor
츠요시 시미즈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샤 가부시키가이샤
츠지 요시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샤 가부시키가이샤, 츠지 요시후미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17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08Braking
    • B60Y2300/18141Braking for p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페달식 파킹 브레이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A-A선을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케이블 스토퍼기구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제5도는 릴리스 케이블 단부의 사시도.
제6도는 파킹 브레이크 작동시에 있어서의 케이블 스토퍼기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파킹 브레이크 해제시에 있어서의 케이블 스토퍼기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8도는 릴리스 케이블 단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9도는 릴리스 케이블 단부 및 케이블 가이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한 케이싱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플레이트 3 : 페달레버
8 :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 9 : 드럼
12 : 랩스프링 13 : 페달록기구
15 : 릴리스 칼라 20 : 릴리스 케이블
23 : 계지 블록 24 : 케이블 스토퍼기구
26 : 작동자 27 : 세트 스프링
31 : 스토퍼해제작동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페달식 파킹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페달식 파킹 브레이크장치중에서, 예를들면 일본국 실개평 2-219387호 공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록킹 코일방식의 페달록기구와, 그 록해제를 행하는 릴리스 칼라를 페달레버의 일측에 그 회동중심과 동축선상에 배치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축에 축부를 돌설하고, 이 축부에 페달레버에 일체로 형성된 드럼을 회동가능하게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드럼의 외주에 랩스프링을 긴축, 이완가능하게 배설하여 페달록기구를 구성하고, 또 축부의 단부에 릴리스 칼라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릴리스 칼라를 릴리스 케이블을 통해 한쪽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랩스프링 코일의 자유단부를 랩스프링이 이완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드럼과 랩스프링의 교착을 해제하는 록해지기구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릴리스 노브를 통해 릴리스 케이블을 견인하여 릴리스 칼라를 록해제위치까지 회동시켜 파킹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경우, 페달레버가 페달 리턴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이니셜위치까지 복귀되지 않은 상태에서 릴리스 노브로부터 손을 떼면, 다시 페달록기구가 록작동되어버리기 때문에, 페달레버가 완전히 이니셜위치에 복귀될때까지 릴리스 노브를 잡아당겨 두지 않으면 안되어서 릴리스 조작이 번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 대책으로서 상기 페달 리턴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세게 하면, 페달의 답입력이 커져버릴 뿐만 아니라, 록해제시에 페달레버의 복귀시의 타음(打音)이 커져버린다는 단점이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페달 리턴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세게 하지 않고, 릴리스 노브조작에 의해 릴리스 칼라가 일단 록해제 위치까지 회동되면, 노브 조작력의 해제가 빠른 경우라도 페달레버를 이니셜위치에 적정하게 복귀시켜서 파킹 브레이크의 해제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페달식 파킹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답입조작에 의해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을 견인하는 페달레버와, 페달레버의 일측에 그 회동중심과 동심적으로 고착된 드럼의 외주에 코일형상의 랩스프링을 긴축, 이완가능하게 삽입하여 구성되며, 페달레버의 답입방향의 회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페달레버의 답입위치를 록하는 페달록기구와, 드럼의 일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에 페달레버의 회동중심과 동축선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릴리스 케이블의 견인에 의해 회동되어 랩스프링 코일의 일측 종단부를 랩스프링이 이완하는 방향으로 삽입하여 드럼과 랩스프링의 교착을 해제하는 릴리스 칼라를 가진 록해제기구를 구비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케이블 도중에 계지 블록을 고정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릴리스 케이블과 직교상태로 배치된 작동자와 상기 작동자를 한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세트 스프링을 구비하고, 릴리스 케이블의 록해제위치로의 견인에 대해서는 계지 블록의 이동을 허용해서, 계지 블록과 작동자를 계합시켜서 계지 블록의 복귀방향의 이동을 구속하는 케이블 스토퍼기구를 배설하는 한편, 페달레버에는 상기 페달레버를 파킹위치로부터 이니셜위치로 복귀시키면 상기 작동자를 세트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밀어서 상기 작동자와 계지 블록의 계합을 해제하는 스토퍼 해제작동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릴리스 케이블을 견인하여 릴리스 칼라를 록해제위치에까지 회동시키면 이 릴리스 칼라에 의해 랩스프링 코일의 일측 종단부를 상기 랩스프링이 이완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페달록기구를 록해제한다.
이 릴리스 케이블의 록해제위치로의 견인에 의해 계지 블록이 케이블 스토퍼기구의 작동자와 계합해서 릴리스 케이블의 복귀방향의 이동이 구속되기 때문에, 릴리스 케이블의 견인력을 해방하더라도 릴리스 칼라의 상기 록해제위치는 유지된다.
상기 페달록기구의 록해제에 의해 페달레버가 이니셜위치에 완전히 복귀되면 스토퍼 해제작동부가 작동자를 세트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밀어서 상기 작동자와 계지 블록의 계합을 해제하고, 릴리스 케이블 및 릴리스 칼라의 원위치로의 복귀를 허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술한다.
제1도, 제2도에 있어서,(1)은 장착용 시이트부(1a)를 대시로어패널(D.P)에 도시하지 않은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로서, 그 일측면에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축부(22)를 돌설하고 있다.
(3)은 하단에 패드(4)를 배설한 페달레버로서, 페달 리턴 스프링(6)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회동력을 가하고 있으며, 그 상단부에는 원통형상의 베이스부(5)를 형성하고 있고, 이 베이스부(5)를 상기 축부(2)에 부시(7)를 회동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페달레버(3)의 베이스부(5)의 베이스 플레이트(1) 근처의 외주에는 대략 반둘레에 걸쳐서 풀리홈(5a)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베이스부(5) 후방에 형성한 계류부(3a)에 걸려있는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8)을 이 풀리홈(5a)에 걸고, 베이스 플레이트(1)의 전단측에 형성한 케이블 가이드(1b)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파킹 브레이크 유닛에 연결되어 있다.
페달레버(3)의 베이스부에는 그 일측으로부터 원통형상의 드럼(9)을 외감하고 상기 드럼(9)의 일단부에 형성한 플랜지(10)가 다수 개소에서 베이스부(5)에 코킹핀(11)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이 드럼(9)의 외주에 코일형상의 랩스프링(12)을 긴축, 이완가능하게 배치하여 페달록기구(13)를 구성하고 있다.
랩스프링(12)은 그 내경을 드럼(9)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고 있으며, 그 코일 종단부의 베이스 플레이트(1) 근처의 일단부(12a)를 직선상으로 연장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의 지지시이트(14)에 고정하는 한편, 코일 종단부의 타단부를 직경방향으로 구부려서 훅(12b)을 형성하고, 이 훅(12b)을 자유단으로 하고 있다.
이 랩스프링(12)은 페달레버(3)의 답입방향의 회동에 대해서는 랩스프링(12)이 드럼(9)의 마찰로 인해 되감는 방향의 외력을 받아서 이완되어 드럼(9)과의 사이에 슬라이딩을 일으키게 하여 페달레버(3)의 답입방향의 회동을 허용하지만, 페달레버(3)의 이니셜위치에의 복귀방향의 회동에 대해서는 랩스프링(12)이 긴축력에 의해 드럼(9)과 교착하여 페달레버(3)를 답입위치에서 록하는 것이며, 상기 훅(12b)을 랩스프링(12)이 이완하는 방향(코일 되감기 방향)으로 밀음으로써, 상기 록크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5)는 드럼(9)의 일측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의 축부(2) 중심에 돌설된 샤프트(2a)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릴리스 칼라이며, 그 둘레측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랩스프링(12)의 훅(12b)에 계합되는 수용부(16)와, 2개의 아암부(17)(18)를 구비하고 있으며, 아암부(17)와 베이스 플레이트(1)에 걸쳐서 팽팽파게 설치된 칼라 리턴 스프링(19)에 의해 한쪽방향으로 회동력을 가하고 있다.
(20)은 일단부를 상기 아암부(18)에 연결하고, 도시하지 않은 노브 조작에 의해 견인되어 릴리스 칼라(15)를 칼라 리턴 스프링(19)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록해제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릴리스 케이블로서, 이들 릴리스 칼라(5), 릴리스 케이블(20)로 록해제기구(21)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릴리스 케이블(20)의 아암부(18)와의 연결측 단부는 로드(22)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22)의 선단에 구부러진 훅(22a)을 아암부(18)의 선단에 형성한 훅(18a)에 계착시켜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로드(22)의 중간부에 원주형상의 계지 블록(23)을 배설하고 있다. 계지 블록(23)의 일측 단부는 테이퍼형상의 가이드(23a)로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타측부의 상부면에는 계지 단부(23b)를 형성하고 있다.
(24)는 베이스 플레이트(1)에 배설된 케이블 스토퍼기구를 나타내며, 제3도 및 제4도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이트(1)에 볼트·너트(24a)로 고정된 케이싱(25)과, 케이싱(25)에 내장되어 상기 계지 블록(23)과 계탈하는 작동자(26) 및 이 작동자(26)를 하부방향으로 미는 세트 스프링(27)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25)은 릴리스 케이블(20) 및 로드(22)를 삽입하는 케이블 가이드(25a)와, 그 대략 중앙부분에 직교방향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작동자(26) 및 세트 스프링(27)을 수용하는 작동자 가이드(25b)를 구비하고 있다.
세트 스프링(27)은 작동자(26)의 상단부에 형성한 스프링 시이트(26a)와 작동자 가이드(25b)의 상부벽 사이에 탄설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자(26)를 하부방향으로 밀고 있다.
작동자(26)의 하단부는 작동자 가이드(25b)의 하부벽을 관통하여 페달레버(3)의 베이스부(5) 외주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작동자(26)의 대략 중앙부에는 릴리스 케이블(20)의 로드(22) 및 계지 블록(23)을 삽통하는 관통홀(28)을 형성하고 있다.
또, 케이싱(25) 및 작동자(26)의 각 일측면의 중앙부에는 릴리스 케이블(20) 및 로드(22)를 케이블 가이드(25a) 및 관통홀(28)에 삽입하기 위한 슬릿(29)(30)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페달레버(3)의 베이스부(5) 외주에는 페달레버(3)를 제1도의 점선선으로 나타낸 파킹위치에서부터 실선으로 나타낸 이니셜위치로 복귀시켰을 때, 상기 작동자(26)의 하단부를 걸리게 하여 이 작동자(26)를 세트 스프링(27)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관통홀(28)이 로드(22) 및 계지 블록(23)과 대략 동심상이 되는 위치까지 밀어서 상기 작동자(26)와 계지 블록(23)의 계합을 해제하고, 상기 계지 블록(23)의 삽입을 자유롭게 하는 스토퍼 해제작동부(31)를 돌설하고 있다.
(32)는 베이스 플레이트(1)에 배설되어 페달레버(3)의 이니셜위치를 규제하는 페달스토퍼를 나타낸다.
이상의 실시예 장치에 의하면 페달레버(3)를 제1도의 점선으로 나타낸 파킹위치까지 답입해서 파킹 브레이크를 걸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스토퍼기구(24)의 작동자(26)의 하단부가 페달레버(3)의 베이스부(5)의 외주에 슬라이딩하여 관통홀(28)의 상부 가장자리가 로드(22)에 근접 혹은 접촉되는 위치에 있다.
파킹 브레이크 해제를 위해 도시하지 않은 노브조작에 의해 릴리스 케이블(20)을 견인하면, 계지 블록(23)의 테이퍼형상 가이드(23a)가 작동자(26)의 관통홀(28)에 진입해서 상기 작동자(26)를 세트 스프링(27)의 스프링력에 대항해서 밀어올려서 상기 계지 블록(23)의 이동이 허용되고, 릴리스 칼라(15)를 칼라 리턴 스프링(9)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록해제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릴리스 칼라(15)가 록해제위치까지 회동되면 그 수용부(16)가 랩스프링(12)의 훅(12b)에 계합되어 랩스프링(12)이 이완하는 방향으로 밀려서 페달록기구(13)를 록해제한다.
여기서, 상기 릴리스 칼라(15)가 록해제위치까지 회동되었을 때에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침 상기 계지 블록(23)의 가이드(23a)가 작동자(26)의 관통홀(28)을 빠져나가고, 단차부(23b)에 관통홀(28)의 상부 가장자리가 함몰 계합되어, 계지 블록(23)의 복귀방향 이동이 구속된다.
따라서, 릴리스 케이블(20)을 일단 록해제위치까지 견인하면, 그 견인력의 해방시간이 빨라도 릴리스 칼라(15)의 록해제위치가 유지되기 때문에, 페달레버(3)가 이니셜위치로 완전 복귀되지 않는 사이에 페달록기구(13)가 다시 록작동하지는 않는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릴리스 케이블(20)을 록해제위치까지 견인함에 따라서, 계지 블록(23)의 단차부(23b)에 작동자(26)에 형성된 관통홀(28)의 상부 가장자리가 함몰 계합되어 드라이버에게는 클릭감이 얻어지며, 더구나 이 클릭감은 세트 스프링(27)의 스프링 정수를 바꿈으로써 임의로 증감할 수 있기 때문에, 릴리스 케이블(20)의 견인조작이 적정한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어서 릴리스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페달록기구(13)가 록해제되고, 페달레버(3)가 페달 리턴 스프링(6)의 스프링력에 의해 제1도의 점선으로 나타낸 파킹 위치에서부터 실선으로 나타낸 이니셜위치까지 완전히 복귀되면, 베이스부(5) 외주의 스토퍼 해제작동부(31)가 작동자(26)의 하단에 당접해서 상기 작동자(26)를 세트 스프링(27)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상부로 밀어서, 관통홀(28)이 로드(22) 및 계지 블록(23)과 동축선상에 모이게 된다.
그 결과 계지 블록(23)의 단차부(23b)와 관통홀(28)의 상부 가장자리의 계합이 해제되며, 칼라 리턴 스프링(19)의 스프링력에 의한 릴리스 칼라(15) 및 릴리스 케이블(29)의 원위치에 대한 복귀가 허용된다(제3도 참조).
상기 실시예에서는, 릴리스 케이블(20)의 로드(22) 선단부를 훅(22a)으로서 절곡형성하고, 상기 훅(22a)을 릴리스 칼라(15)의 아암부(18)에 형성된 훅(18a)에 계착되도록 하고 있으나, 훅(22a) 대신에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18a)에 감합된 긴 홀(22b)을 형성하면 이들 훅(18a)과 긴 홀(22b)의 계합에 의해 로드(22)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로드(22) 주변을 고정하고, 단차부(23b)의 방향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스토퍼 기능을 보다 더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릴리스 케이블(20)의 단부 전체를 로드(21)로 구성하고 있으나, 그밖에 제9도,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23)으로부터 아암부(18)측 단부를 릴리스 케이블(20)과 마찬가지로 와이어 케이블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케이블 가이드(25a)에 릴리스 칼라(15)의 외주를 따르는 활형상의 연장부(25c)를 설치하면 케이블 레이아웃을 정연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릴리스 케이블을 일단 릴리스 칼라가 록해제위치로 회동될때까지 견인하면, 계지 블록과 케이블 스토퍼의 작동자가 계합되어 릴리스 케이블의 복귀방향의 이동을 구속하고, 릴리스 칼라의 록해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만일 페달레버가 이니셜위치로 복귀되지 않은 사이에 릴리스 케이블의 견인조작력을 재빨리 해방하더라도 페달록기구의 재록작동을 방지하여 페달레버를 확실하게 이니셜위치로 돌아가게 하여 파킹 브레이크를 해제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릴리스 조작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수 있다는 실용상 많은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베이스 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답입조작에 의해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을 견인하는 페달레버와, 랩스프링의 일측에 그 회동중심과 동심적으로 고착된 드럼의 외주에 코일형상의 랩스프링을 긴축, 이완가능하게 삽입하여 구성되고, 페달레버의 답입방향의 회동을 허용함과 동시에, 페달레버의 답입위치를 록하는 페달록기구와, 드럼의 일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에 페달레버의 회동중심과 동축선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릴리스 케이블의 견인에 의해 회동되어 랩스프링 코일의 일측 종단부를 랩스프링이 이완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드럼과 랩스프링의 교착을 해제하는 릴리스 칼라를 가진 록해제기구를 구비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케이블의 도중에 계지 블록을 고착함과 동시에,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릴리스 케이블과 직교상태로 배치된 작동자와 상기 작동자를 한쪽방향으로 부세하는 세트 스프링을 구비하고, 릴리스 케이블의 록해제위치로의 견인에 대해서는 계지 블록의 이동을 허용하고, 계지 블록과 작동자를 계합시켜서 계지 블록의 복귀방향의 이동을 구속하는 케이블 스토퍼기구를 배설하는 한편, 페달레버에는 상기 페달레버를 파킹위치로부터 이니셜위치로 복귀시키면 상기 작동자를 세트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밀어서 상기 작동자와 계지 블록의 계합을 해제하는 스토퍼 해제작동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페달식 파킹 브레이크장치.
KR1019940034037A 1993-12-17 1994-12-13 페달식 파킹 브레이크장치 KR970001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18145 1993-12-17
JP5318145A JPH07165033A (ja) 1993-12-17 1993-12-17 足踏み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540A KR950017540A (ko) 1995-07-20
KR970001875B1 true KR970001875B1 (ko) 1997-02-18

Family

ID=1809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037A KR970001875B1 (ko) 1993-12-17 1994-12-13 페달식 파킹 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165033A (ko)
KR (1) KR9700018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1714A (ko) * 2003-12-18 2005-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족동식 파킹브레이크 장치
CN109838478A (zh) * 2017-11-24 2019-06-04 贵州兴建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半圆锁销锁止机构的单向驱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540A (ko) 1995-07-20
JPH07165033A (ja) 1995-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1085A (en) Vehicle gear shift lever locking apparatus
US5275262A (en) Pedal parking brake device
KR950010126B1 (ko) 조향 로크 장치의 케이블 연결기
JP3130732B2 (ja) 自動変速機操作装置のインターロック機構
US6382048B1 (en) Self-adjustable cable tensioning device for parking brake of motor vehicle
KR970001875B1 (ko) 페달식 파킹 브레이크장치
KR100401883B1 (ko) 주차브레이크 페달의 릴리즈 구조
JPS6128094Y2 (ko)
JP3127048B2 (ja) 足踏み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GB2258280A (en) Rotation locking device
KR101610410B1 (ko) 자동 장력 조절 파킹장치
JPH0725319A (ja) 足踏み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3132982B2 (ja) 機械式シフトロック装置
JP2902748B2 (ja) 足踏み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S6341249Y2 (ko)
JP3558171B2 (ja) 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のインターロックカム取付構造
JPH057623Y2 (ko)
JPH07132810A (ja) 足踏み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KR0125734Y1 (ko) 페달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JPH0132111Y2 (ko)
JP3270504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H07186910A (ja) 足踏み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JPH0999751A (ja) コラムatシフトレバー用シフトロック装置
KR0107638Y1 (ko) 자동차의 핸드 브레이크 레버
KR0141027B1 (ko) 와이어 해제장치를 갖춘 자동차 푸트 파킹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