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646B1 - 화장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646B1
KR970001646B1 KR1019930001558A KR930001558A KR970001646B1 KR 970001646 B1 KR970001646 B1 KR 970001646B1 KR 1019930001558 A KR1019930001558 A KR 1019930001558A KR 930001558 A KR930001558 A KR 930001558A KR 970001646 B1 KR970001646 B1 KR 970001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mpoo composition
shampoo
soap
composition
short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568A (ko
Inventor
샤나아 메이
챨스 스테어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 브이
에이치. 드 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070996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7000164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 브이, 에이치. 드 로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 브이
Publication of KR930017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4Alkylpolyglycosides;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장제 조성물
본 발명은 화장제 조성물, 특히 전신 또는 모발에 사용하기 위한 계면 활성제 배합물을 함유하는 액체 수성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샴푸 조성물은 함께 배합됨으로써 조성물이 다음과 같은 유익한 특성 중의 하나 이상을, 바람직하게는 그의 조합을 갖도록 하는 성분, 특히 계면 활성제 성분을 선택하여 조성될 수 있다.
(a) 샴푸 조성물이 안정하다. 즉, 조성물의 성분이 화학적 불안전성(분해) 및 (또는) 물리적 불안전성(침강/크림성/응고)을 가지지 않으며, 특히 샴푸 조성물의 성분이 서로 사용성이 없지 않아야 한다.
(b) 샴푸 조성물이 적절한 거품 발생 능력, 특히 거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발생시키며 풍부하고 크림 같은 거품을 발생시키는 능력을 가진다.
(c) 헤어 샴푸의 경우 조성물이 매끄러움, 부드러움, 광택, 정전기 방지 및 빗질 용이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콘디셔닝 이점을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이러한 이점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d) 보디 샴푸의 경우, 헤어 샴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성물이 피부에 순하며 피부 건조 또는 박편화를 조장하지 않는다.
(e) 샴푸 조성물이 매력적으로 보이며, 예를들면 시각적으로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할 수 있다.
(f) 조성물의 성분이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되고 쉽게 생분해되며, 이로 인해 환경 친화적인 제품을 제공하여야 한다.
알킬 폴리글리코시드(APG)는 보디 및 헤어 샴푸 조성물에 혼입되는 성분으로서 알려져 있으며, 순한 계면 활성제로서 생분해가 가능하며 회복가능한 원료 물질로부터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APG는 단지 중간 정도의 거품량만을 제공하며 거품이 느리게 발생된다. 또한, 거품 풍부성/크림성의 결여로 인해 거품의 질이 불량하며, 빈번히 APG로 처리된 모발 및 피부의 감각적 특성, 예를들면 매끄러움 및 광택이 열등하다.
영국 특허 출원 공보(GB-A) 제2139243호에는 APG와 함계 음이온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기재되어 있는데, 여기서 음이온 중합체의 역할은 APG의 세정력 및 그의 거품이 순함 정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영국 특허 출원 공보(GB-A) 제976008호에는 APG 그 자체와 이를 비누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비누 제품의 세정력 및 생분해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비누 바에 혼입시키는 것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유럽 특허 출원 공보(EP-A) 제0070074호 및 동 제0070075호에는 APG 및 음이온 공계면 활성제(비누포함)를 포함하는 계면 활성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거품 발생용 조성물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유럽 특허 출원 공보(EP-A) 제0463912호에는 거품 발생, 거품, 피부 촉감 및 보습, 라임 분산성 및 세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APG를 함유하는 화장 비누 바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출원 공보(US-A) 제4396520호에는 APG, 칼슘-민감성 음이온 세제, 예를들면 비누, 미 바람직하게 세정력 빌더를 포함하는 고체 세제 과립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이제,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주 계면 활성제 성분으로서 APG를 포함하는 수성 헤어 및 스킨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APG에 비해 적은 양의 짧은 탄소 사슬 길이를 가지는 특정 부류의 지방산 비누를 함께 혼입시킴으써, 현저하게 향상된 거품 특성을 가지며 동시에 다른 특성(특히, 피부 및 모발에 대한 순함 정도) 및 또한 유익한 감각적 특성, 예를들면 매끄러움, 및 모발의 경우 기타 콘디셔닝 속성과의 전체적인 균형이 보다 좋게 유지되는 샴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거품 발생과 다른 특성이 전체적인 최적 균형이 앞서 언급된 선행 기술에서 달성되지 않았거나 또는 심지어 제시되지도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면은 (a) 주 계면활성제 성분으로서, 1종 이상의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및 (b) 약 C16이하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가지는 1종 이상의 짧은 사슬 지방산 비누를 포함하는, 액체 수성 샴푸 조성물, 예를들면 헤어 샴푸, 보디 샴푸, 샤워 겔 등을 제공한다.
이제,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 및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알킬 폴리글리코시드(APG)로는 화장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APG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APG는 1개 이상의 글리코실기의 블록에 (임의 브리징기에 의해) 알킬기가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APG는 다음 일반식에 의해 나타내진다.
RO-(G)n
식중, R은 포화 또는 불포화 분지쇄 또는 직쇄 알킬기이며 G는 당류기이다.
R은 평균 알킬 사슬 길이가 약 C5내지 약 C2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의 평균 알킬 사슬 길이는 약 C9내지 약 C12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R의 값은 약 9.5 내지 약 10.5이다. G는 C5또는 C6단당류 잔기 또는 C5와 C6단당류 잔기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글루코시드가 바람직하다. G는 글루코스, 크실로스, 락토스, 프록톡스, 만노스 및 이러한 물질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글루코스가 바람직하다.
중합도(n)는 약 1 내지 약 10 또는 그 이상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의 값은 약 1.1 내지 약 2범위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n의 값은 약 1.5 이하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n의 값은 약 1.3 내지 약 1.5범위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알킬 폴리글리코시드는 시중 구입가능하며, 그의 예를들면 세픽사(Seppic) 제품인 오라믹스(Oramix) NS10 및 헨켈사(Henkel) 제품인 APG225, APG300[플란타렌(PLANTAREN)2000으로서 시판되는 물질에 해당함], APG350, APG550 및 APG600[플란타렌 1200으로서도 알려져 있음]으로서 시판되는 물질이 있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 존재하는 주 계면활성제 성분으로서 APG의 양은 약 1 내지 약 4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3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짧은 사슬 비누
짧은 사슬 비누로는 APG의 거품량, 거품 발생 속도 및(또는) 거품의 질을 향상시키는 어떠한 짧은 사슬 비누이어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짧은 사슬 비누는 샴푸 조성물에 용해될 수 있는 물질이 있다.
짧은 사슬 비누는 약 C16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C12또는 C14이하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가지는 비누이다. 짧은 사슬 비누는 직쇄 또는 분지쇄 비누로서 포화된 것일 수도 있고 불포화된 것일 수도 있다. 가장 바람직한 짧은 사슬 비누는 포화 직쇄의 짧은 사슬 비누이다.
특히 모발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에 가장 바람직한 짧은 사슬 비누의 길이는 약 C8내지 약 C12또는 C14, 특히 C8내지 C10또는 C12이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짧은 사슬 길이의 비누로는 카프릴산, 카프린산, 미리스틴산 및 라우린산 및 이러한 물질의 혼합물의 비누가 있다.
C8내지 C10비누는 거품량 및 밀도를 향상시켜주며 또한 헤어 샴푸에 있어서 광택과 같은 속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예를 들면 C12내지 C16비누에 비해 특히 우수하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보다 짧은 사슬 길이의 비누가 보다 긴 사슬 길이의 비누에 비해, 예를들면 거품 발생 속도, 거품의 양 및 크림성(시각 및 촉감 둘다에 의한 인지), 헹궁 용이성, 거품 보호 및 린스된 모발의 미끈성, 거친/건조한 느낌 및 젖은 모발의 빗질 용이성과 같은 변수에 의해 측정된 전체적인 거품성 향상면에서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샴푸 조성물에 존재하는 짧은 사슬 비누의 양은 거품의 질/양의 향상이 원하는 정도의 이루어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짧은 사슬 비누는 약 1 내지 약 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2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6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짧은 사슬 비누는 APG에 비해 비교적 낮은 함량으로, 비누 : APG 중량비가 바람직하게는 약 1 : 1미만, 특히 약 1 : 2미만이 되도록 존재한다. 비누 : APG의 바람직한 최적 중량비는 약 1 : 2 내지 약 1 : 2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 3 내지 1 : 10이다. 일반적으로, 비누 성분은 APG 계면활성제 성분과 함께 본 발명의 조성물의 특성의 유익한 조합을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여야 한다.
기타 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임의 존재할 수 있는 기타 성분으로는 농화제, 예를들면 전분, 크산탄 고무, 카라게난 고무 등과 같은 천연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 일간산나트륨과 같은 알긴산염, 천연 가용성 전분, 합성 중합체, 예를들면 셀룰로스 고무 및 기타 셀룰로스 유도체(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등), 폴리아크릴레이트(천연 가용성 중점제와 함께 사용되거나 또는 단독으로 사용됨), 클레이, 및 염화나트륨 및 염화암모늄과 같은 염이 있다.
적합한 중점제는 약 0.01중량% 내지 약 4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중점제를 함유시키는 경우 그 양은 조성물의 약 0.2중량% 내지 약 1중량%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기타 임의의 성분으로는 캐스터 왁스, 칸델릴라 왁스, 카르누바 왁스 및 밀랍과 같은 왁스, 모노글리세리드, 수크로스 에스테르, 소르비탄 에스테르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또다른 임의의 성분으로는 양이온 콘디셔닝 중합체, 예를들면 구아 고무의 양이온 유도체가 있다. 적합한 양이온 구아 고무 유도체는 구아 히드록시프로필 트리모늄 클로라이드(CTFA명)로서 알려져 있는 물질이며, 예를들면 자구아(JAGUAR) C13S로서 시중 구입가능하다. 다른 적합한 유도체로서는 자구아 C15,C17,C16및 162로서 알려져 있는 물질이 있다. 양이온 중합체는 약 0.05내지 약 0.5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또다른 임의의 성분으로는 예를들면, 음이온, 비이온, 양쪽성 및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가 계면활성제, 콘디셔닝제, 완충제, 식물 또는 다른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되는 물질과 같은 오일, 예를들면 정향유, 및 샴푸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성분, 예를들면, 향료, 착색제, 에몰리언트, 현탁제, 안정화제, 유백제, 진주광택제, 방부제 및 완충제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존재하는 어떠한 임의의 성분도 천연적으로 유도되는 특성, 생분해성 및 본 발명의 특징인 유익한 범위의 물리적 및 감각적 특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면으로는, 앞서 기술한 바와같은 샴푸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는 물에 분산시킨 짧은 사슬 지방산에 염기성 용액, 전형적으로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하는 것이 포함된다. 혼합한 후에, 이 용액을 신속하게 혼합시키면서 APG에 가할 수 있다. 별법으로 APG용액을 짧은 사슬 지방산의 융점 보다 높은 온도에서 짧은 사슬 지방산과 함께 예비 혼합시킨 다음,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중화시킬 수 있다. 중점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전단하에 철저하게 혼합시키면서 중점제를 NaOH수용액에 가할 수 있다. 중점제가 분산됨으로써 덩어리 없이 완전히 혼합된 용액이 이루어지면 여기에 액체 지방산을 가할 수 있다.
지방산 대기 온도에서 고체이면 염기성 용액에 가하기 전에 용융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이 비누 용액에 신속하게 혼합시키면서 APG를 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유백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본 조성물에 유백제를 첨가시키는 경우에는 약 80℃ 정도의 온도로 APG와 함께 가열 혼합시킬 수 있다. 적합한 유백제로는 베헤닐 알콜 및 캐스터 왁스가 있다. 유백제를 APG중에 용융 및 분산시킨 다음, 이 혼합물을 신속하게 혼합시키면서 염기성 용액에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모든 양은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중량% 단위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6(표 1)은 헤어 샴푸 형태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예시한 것이다. 실시예 7 내지 14(표 2)의 조성물은 보디 샴푸/샤워 젤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1) C10알킬 글루코시도, DP 1.3-1.4
2) C12-14알킬 글루코시도, DP 1.4
3) 베헤닐 알콜
4) 글리세롤 모노리시놀레에이트
5) 글루코시도 왁스
6)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7) 완충제
비교예 1 및 2
다음의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짧은 사슬 비누를 전혀 함유하지 않은 대조용 조성물, 짧은 사슬 비누를 함유하는 조성물 A 및 B 긴 사슬 비누를 함유하는 조성물 C에 대해 다음과 같은 비교 시험 1 및 2를 수행하였다.
비교 시험 1-팔 세정 시험
팔 세정 시험에서 시험 참가자로 하여금 거픔을 발생시키도록 하였다. 즉, 측정된 양의 샴푸를 손에 묻혀 거품을 일으킨 다음에 팔뚝의 안쪽에다 거품을 문질러 바르도록 하였다.
12명의 시험 참가자를 6명씩 2그룹으로하여 1쌍의 비교 시험을 수행하였다. 제1그룹은 처음에 한 제품을 사용하였고 제2그룹은 처음에 나머지 다른 제품을 사용하였다. 1쌍의 시험에서 또한 왼쪽 팔뚝과 오른쪽 팔뚝 사이에 균형을 맞추었다. 그 다음, 시험 참가자들로 하여금 등급 측정에 의해 여러 가지 변수에 대해 각 제품에 등급을 매기도록 하였다.
각 경우에, 제시된 제품이 선호되었다(유의수준≥95%). 따라서, 처음 3가지 변수에 대해서, 제시된 제품은 높은 점수를 얻었다(즉, 보다 거품 발생이 용이하고, 보다 거품량이 많으며 보다 거품이 크림과 같다).
결론-3가지 종류의 모든 비누가 APG와 함께 비누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해서 거품량 및 거품의 질을 상당히 향상시켰다.
비교시험 2-건조 모발 특성 시험
본 시험은 1쌍의 비교 시험으로서 3개의 모발 스위치를 한 제품과 나머지 3가지 제품으로 세정하였으며, 12명이 시험 참가자를 활용하였다. 이 모발 스위치를 1쌍씩 평가하였으며 시험 참가자들로 하여금 여러 가지 변수에 대해 2모발 스위치 중 그들이 선호하는 모발 스위치(왼쪽 또는 오른쪽)를 제시하도록 하였다.
각 경우에, 제시된 제품이 선호되었다(유의수준≥95%, n.s-별다른 차이가 없음).
결론-A 및 B(각각 카프릴산 및 카프린산 비누)가 C(올레인산 비누)에 비해 건조 모발 특성이 탁월하였다. A 및 B는 건조 모발 특성에 악영향을 나타내지 않은 반면에 C는 악영향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본 실시예는 스킨 샴푸 조성물의 거품 발생 특성 및 제품 안정성에 미치는 짧은 사슬 비누의 탄소 사슬 길이의 영향을 보여준다.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가지는 3가지 샴푸 D,E 및 F를 제조하였다.
상기 샴푸 각각에 대해 거품량 및 거품 크림성을 측정하기 위한 팔 세정 시험을 수행하였다. 수술용 장갑을 낀 20명의 교육받은 시험 참가자 각자에 대해, 우선 그들이 손을 물에 적신 다음 0.5g의 제품을 손에 분배시켜 거품을 일으키게 하였다.
4초 간격으로 등급 측정을 이용하여 거품량 및 크림성을 측정하였다. 다음에 나타낸 결과는 각 제품에 대해 표준화된 평균값을 취한 것이다. 또한 각 제품에 대한 실제 거품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가 하기 표에 나타나 있다.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해서, 각 조성물을 37℃에서 3개월간 보관하였다. 샴푸 D 및 E는 투명한 반면에 샴푸 F는 고체 비누 결정의 침전이 관찰되었다. 이는 제품이 불안정하다는 것을 시사해주는 것이다.
비교예 4
본 실시예는 스킨 샴푸 조성물의 거품 특성 및 순함에 미치는 짧은 사슬 비누 : APG중량비(C비누)의 영향을 보여준다.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가지는 3가지 샴푸 G,K 및 I를 제조하였다.
상기 샴푸 각각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I-팔 세성 시험
20명의 교육받은 시험 참가자에 의해 팔 세정 시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팔뚝을 미리 물에 적신 다음 0.5g의 시험 제품을 손에 직접 분배시킨 다음 10초간 팔뚝에 거품을 일으킨다. 완전히 헹구어질 때까지 흐르는 물로 팔을 헹군 다음 종이 타월로 가볍게 두드려 건조시켰다. 세정 과정 동안 그리고 그 후 (2분 후)각 시험 참가자들이 시험된 각 제품이 다음의 판단 기준을 만족시킨다고 생각하는지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다 : 제품이 쉽게 분산된다 : 제품이 쉽게 거품이 발생된다 : 제품이 풍부한 거품이 발생된다 : 제품이 크림 같은 거품을 일으킨다. 아래의 표 결과는 각 판단기준을 만족시킨다고 생각하는 시험 참가자 백분율로서 표현된 것이다.
시험 Ⅱ-제인(Zein) 시험
제인 시험에 의해 각 조성물에 대해 피부에 대한 순함 정도를 시험하였다. 제인 시험의 수행 방법은 예를들면, 2가지 문헌[(i) E. Gott :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Congress of Surface Active Substances, Brussels 1964, Volume 3, pages 83-90 또는 (ii) M.J Schwinger : Kollid-Z.Z. Poly., 1969, Volume 233 page 898]에 기재되어 있다. 이 2가지 문헌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 문헌으로서 포함된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제안가(Zein value)가 낮을수록 제품이 순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6)

  1. (a) 주 계면활성제 성분으로서, 1종 이상의 하기 일반식을 가지는 알킬 폴리글리코시드 1 내지 40중량%, 및 (b) C8내지 C12의 탄소 사슬 길이를 가지는 1종 이상의 짧은 사슬 지방산 비누 1 내지 20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짧은 사슬 지방산 비누 대 상기 알킬 폴리글리코시드의 중량비는 1 : 2 내지 1 : 20인, 피부 또는 모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액체 수성 샴푸 조성물.
    RO-(G)n
    식중, R은 알킬 사슬 길이가 C5내지 C20인 분지쇄 또는 직쇄 알킬기이고, G는 C5또는 C6단당류 잔기, 또는 C5와 C6단당류 잔기들의 혼합물이며, n은 1 내지 10의 범위내의 중합도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n의 값이 1.5 이하인 샴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짧은 사슬 비누가 카프릴산, 카프린산 및 라운린산 및 이러한 물질의 혼합물의 비누로부터 선택되는 샴푸 조성물.
  4.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 콘디셔닝제, 완충제, 유백제, 농화제, 양이온 콘디셔닝 중합체 및 왁스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5.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샴푸 조성물이 헤어 샴푸인 것.
  6.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샴푸 조성물이 보디 샴푸 또는 샤워 젤인 것.
KR1019930001558A 1992-02-07 1993-02-05 화장제 조성물 KR970001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202568.3 1992-02-07
GB929202568A GB9202568D0 (en) 1992-02-07 1992-02-07 Cosmetic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568A KR930017568A (ko) 1993-09-20
KR970001646B1 true KR970001646B1 (ko) 1997-02-13

Family

ID=10709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558A KR970001646B1 (ko) 1992-02-07 1993-02-05 화장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0555086B1 (ko)
JP (1) JP2592573B2 (ko)
KR (1) KR970001646B1 (ko)
AT (1) ATE132032T1 (ko)
AU (1) AU666912B2 (ko)
BR (1) BR9300483A (ko)
CA (1) CA2088650C (ko)
DE (1) DE69301102T2 (ko)
ES (1) ES2082589T3 (ko)
GB (1) GB9202568D0 (ko)
IN (1) IN176912B (ko)
TW (1) TW234693B (ko)
ZA (1) ZA938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28832A1 (de) * 1997-07-05 1999-01-07 Wella Ag Mittel zur Erhöhung des Glanzes von Haaren
US6800302B2 (en) 2001-03-30 2004-10-05 L'oreal S.A. Heat activated durable styling compositions comprising C1 to C22 Substituted C3-C5 monosaccharides and methods for same
GB0121178D0 (en) * 2001-08-31 2001-10-24 Unilever Plc Foaming aerosol cosmetic compositions
DE10154628A1 (de) * 2001-09-25 2003-04-10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Alkylglucosiden zum Erzielen oder Erhöhen der Selektivität von Reinigungszubereitungen
US6906016B1 (en) * 2004-05-19 2005-06-14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A Division Of Conopco, Inc. Personal product liquid cleansers comprising combined fatty acid and water soluble or water swellable starch structuring system
CN102438703A (zh) * 2009-01-13 2012-05-02 宝洁公司 洗去型个人护理组合物
MX2013000718A (es) 2010-07-19 2013-02-27 Colgate Palmolive Co Composicion limpiadora con glucosidos de decilo y de coco.
JP5700770B2 (ja) * 2010-10-15 2015-04-15 花王株式会社 皮膚洗浄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70077B2 (en) * 1981-07-13 1992-1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ght-duty detergent granule composition
JP2585032B2 (ja) * 1987-11-30 1997-02-26 株式会社資生堂 洗浄剤組成物
US5015414A (en) * 1988-09-08 1991-05-14 Kao Corporation Low-irritant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alkyl saccharide and sulfosuccinate surfactants
JPH0335807A (ja) * 1989-06-30 1991-02-15 Aichi Steel Works Ltd 鋼塊移載装置
JPH0623086B2 (ja) * 1989-07-19 1994-03-30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3032043B2 (ja) * 1991-06-21 2000-04-10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3023714B2 (ja) * 1991-06-21 2000-03-21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88650A1 (en) 1993-08-08
ATE132032T1 (de) 1996-01-15
AU666912B2 (en) 1996-02-29
GB9202568D0 (en) 1992-03-25
EP0555086A1 (en) 1993-08-11
DE69301102T2 (de) 1996-05-15
AU3288193A (en) 1993-08-12
DE69301102D1 (de) 1996-02-08
BR9300483A (pt) 1993-09-28
EP0555086B1 (en) 1995-12-27
ZA93808B (en) 1994-08-05
CA2088650C (en) 1997-11-04
JPH05286849A (ja) 1993-11-02
ES2082589T3 (es) 1996-03-16
IN176912B (ko) 1996-10-05
KR930017568A (ko) 1993-09-20
JP2592573B2 (ja) 1997-03-19
TW234693B (ko) 199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71434B2 (en) Hair shampoo containing acyl lactylate and alkyl polyglycoside
CA1163563A (en) Liquid surfactant skin cleanser with lather boosters
JP3525172B2 (ja) 改良されたアルキルポリグリコシド界面活性剤混合物の調製法
US5202048A (en) Personal cleansing product with odor compatible bulky amine cationic polymer with reduced odor characteristics
US5286406A (en) Liquid body-cleansing agents based on alkyl glycosides
US4941990A (en) Skin cleansing-cream conditioning bar
US5296159A (en) Mild soap-synbar
EP0409856A1 (en) Non-foaming skin cleansing-cream conditioning bar
AU3921293A (en) Skin pH cleansing bar
HU215704B (hu) Semleges pH-jú bőrtisztító készítmény, és eljárás előállítására
CA2078443A1 (en) Foaming personal cleansing product with foam enhancing polymer
US3766097A (en) Detergent (soap) compositions
KR970001646B1 (ko) 화장제 조성물
CN107603789B (zh) 一种调理型固态洗发皂
AU1319497A (en) Body soap composition
US5246695A (en) Use of alkylglycoside sulfosuccinates for the production of cosmetic preparations and cleaning agents
KR100346315B1 (ko) 세정제조성물
JPS63243200A (ja) クリ−ム状洗浄用組成物
WO1993004161A1 (en) Mild soap-synbar
JPH03115210A (ja) 臭気相容性嵩高アミン陽イオン重合体を有するパーソナルクレンジング製品
EP0999260A2 (en) Detergent composition
JPH0248520A (ja) 洗浄料
KR930007227B1 (ko) 세제와 로션 성분이 균형을 이룬 에멀젼 형태의 중성 액체 피부 세정 조성물
JPS6023156B2 (ja) クリ−ム状洗浄剤組成物
JPH0782139A (ja) 減少された浴槽リング、改善されたマイルドさおよび良好な泡用の所定の脂肪酸石鹸と合成界面活性剤とを有する改良パーソナルクレンジングフリーザー固形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