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389Y1 -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389Y1
KR970001389Y1 KR2019940019917U KR19940019917U KR970001389Y1 KR 970001389 Y1 KR970001389 Y1 KR 970001389Y1 KR 2019940019917 U KR2019940019917 U KR 2019940019917U KR 19940019917 U KR19940019917 U KR 19940019917U KR 970001389 Y1 KR970001389 Y1 KR 970001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lass
unit glass
power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9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418U (ko
Inventor
박용하
Original Assignee
박용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하 filed Critical 박용하
Priority to KR2019940019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389Y1/ko
Publication of KR9600074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4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3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1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1/183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movable for non-convertible vehicles, including vehicles with versatile load area
    • B60J1/187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movable for non-convertible vehicles, including vehicles with versatile load area where the window is pivotable relative to a stationary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1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장치된 일실시예의 전체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의 일부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의 종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이 장치된 다른실시예의 전체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A-A선 단면도.
제8도 (a)는 제6도의 B-B선 단면도.
(b)는 제6도의 C-C선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의 작동상태도.
제10도 본 고안의 동력장치의 사시도로서,
(a)는 래크기어와 피니언기어를 사용한 것.
(b)는 와이어(Wire)를 사용한 것.
(c)는 체인을 사용한것.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크기어 2 : 피니언기어
3 : 체인 10, 20, 30 : 단위유리
4 : 회전축 50, 60 : 지지틀
70 : 회전구 80, 81 : 와이어
90 : 감속모터 100 : 동력장치
101 : 보강편 102, 108, 109 : 패킹
111 : 지붕 112, 114 : 상면커버
200 : 동력전달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뒷 유리를 개폐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뒷 유리를 다수의 단위유리로 구비하여 상기 단위유리를 동력장치와 동력전달장치로 하여 독립적으로 편리하게 개폐토록 이루어진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이다.
자동차 특히 승용차는 차내공기를 교환하거나 쾌적한 승차감을 얻기 위해 지붕(Hard Top)이 개폐되는 오픈카(Open Car)가 있고, 지붕의 일부분에 썬루프가 장치된 것 등이 있다.
상기 오픈카는 승용차 상단전체가 개폐되는 잇점은 있으나 구조는 복잡하고 고가인 단점이 있고, 썬루프로 구성된 승용차는 지붕의 일부분만 제한적으로 개폐되므로 차내의 공기 유통이 원활하지 못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즉, 도어의 창문을 오픈한 상태에서 고속 주행하면 차내로 유입되는 공기압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므로 주행이 어렵고 연료소모가 많았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승용차 뒷유리의 단위유리를 동력장치와 동력전달장치로 하여금 개폐되게 하므로 차내의 공기유통을 원활하게 하고 기존의 승용차 구조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자동차 뒷 유리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고안이 자동차에 장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뒷유리 프레임(a)(b) 내에는 지지틀 (50)(60)이 있고, 상기 지지틀(50)(60) 내에는 다수의 단위유리(10)(20)(30)가 중첩되어 있고, 양측에는 차단판(11)(21)(22)이 설치되어 있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확대 종 단면도로서, 오픈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실선)
각각의 단위유리(10)(20)(30)는 각 회전축(40)을 중심으로 약 30°정도 개폐되며, 닫힘 상태에서는 각각의 유리는 서로 중첩되므로 외부와 차단된다.
상기 각각의 유리(10)(20)(30) 양측에 설치된 차단판(11)(21)(22)은 유리의 회전축(40)과 동축에 축설되어 유리와 동시에 개폐된다.
도면 제3도 및 제4도와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
각각의 단위유리(10)(20)(30)의 양측에는 지지틀(50)(60)이 있고, 이 지지틀(50)(60)에는 요구(51)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틀(50)(60)과 단위유리(10)(20)(30)의 접면부위에는 상기 차단판(11)(21)(22)이 차폐되어 단위유리가 오픈 되었을때 외부로 차단된다.
상기 각각의 단위유리(10)(20)(30)의 회전축(40)에는 회전구(70)가 결합되고, 이 회전구(70)는 2줄의 와이어(80)(81)가 좌, 우측(71)(72)에 결합되어 있고, 와이어(80)(81)는 동력장치(100)인 감속모터(90)의 구동로울러(91)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구(70)는 우측의 지지틀(60)내에 설치되게 소형화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실시예로 동력장치의 동력을 전달시켜 단위유리를 회전개폐시키는 동력전달중치(200)는 와이어로 설치 하였으나 단위유리의 동력전달장치는 레크기어나 체인 등으로 단위유리의 개폐동작이 가능할 것이다.
(모터의 가동스위치는 운전에 설치된 도어유리 개폐 스위치와 인접되게 설치하므로 운전을 용이하게 하며, 모터의 동력원은 자동차 밧데리에 연결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상승 또는 하강스위치를 눌러 감속 모터를 가동시키면 고동 로울러 (91)의 회전방향에 따라 와이어(80) 또는 또 다른 와이어(81)가 상승한다.
즉, 전방의 와이어(80)를 상승 시키면 각 회전구(70)는 내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단위유리(10)(20)(30)를 열어주고
후방의 와이어(81)를 상승시키면 회전구(70)는 외측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유리를 닫아주게된다.
상기 각각의 단위유리(10)(20)(30)가 회전하여 열리게 되면 단위유리(10)(20)(30)의 회전축(40)과 동축에 축설된 차단판(11)(21)(22)도 함께 열리게 되고, 닫히게 되면 차단판은 단위유리와 지지틀 사이를 차폐하게 되므로 외부와 차단된다.
[실시예 2]
제6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에 다른 실시예가 장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자동차의 뒷유리 프레임(400)(500) 내에는 지지틀(50)(60)이 있고,
이 지지틀(50)(60)내에는 다수의 단위유리(10)(20)(30)가 중첩 설치되어 있다.
제9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도로서 각각의 단위유리(10)(20)(30)가 오픈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실선, 닫힘 상태는 일점쇄선이다.)
각각의 단위유리(10)(20)(30)의 양측 1/3 지점에는 보강편
(101)에 의해 각 회전축(40)을 설치하고, 이 각 회전축(40)를 중심으로 약 30° 정도 개폐되며, 단위유리(10)(20)(30)가 닫힌 상태에서는 각각의 단위유리(10)(20)(30)는 서로 중첩되므로 외부와 차단된다.
이때, 상기 단위유리(10)(20)(30)의 중첩되는 중첩부 T의 각 단위유리(10)(20)(30) 양단을형상으로 구비하면서 패킹(102)을 구비하여 중첩부 T를 완전밀폐시킨다.
이때, 상기 각 단위유리(10)(20)(30)의 중첩부 T 상부면은 평평한 평면을 이룬다.
또한, 지지틀(50)(60)의 받침편(103)에는 공간부(104)를 구비하여 단위유리(10)(20)(30)가 회전축(40)을 중심으로 회전시 단위유리의 상단부가 차내로 유입되면서 각각의 단위유리(10)(20)(30)이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면 제8도의 (a)(b)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단위유리(10)(20)(30)의 양측에는 지지틀(50)(60)이 있고 이 지지틀(50)(60)에 회전축(4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단위유리(10)(20)(30)의 중첩되는 중첩부 T 상면 부위에서는 도면 제8도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지지틀(50)(60)에 커버(105)가 구비되어 있어 단위유리가 오픈되었을때 외부로 차단한다.
한편, 상기 각각의 단위유리(10)(20)(30)가 닫히게 되면 중첩부T에 패킹(102)이 구비되어 있어 단위유리(10)(20)(30)가 동력장치(100)와 동력전달장치(200)에 의해 닫힘시 중첩되는 양단이 중첩부 T 사이를 차폐시키고, 각각의 단위유리(10)(20)(30)가 지지틀(50)(60)의 받침편(103)에 도면 제8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되므로 외부와 차단된다.
여기서, 동력장치(100)로서는 모터(90) 및 솔래노이드(300) 등을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단위유리(10)(20)(30)의 회전축(40)을 회전시켜 개폐시키는 동력장치(10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200)는 도면 제10도의 (a)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축(40)에 피니언 기어(2)가 축설되고, 이 피니언기어(2)는 레크기어(1)에 치합되어 있고, 레크기어(1)는 감소모터(90)의 구동기어(90a)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장치(200)는 도면 제10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유리(10)(20)(30)의 회전축(40)에는 회전구(70)가 결합되고, 이 회전구(70)는 2줄의 와이어(80)(81)가 좌, 우측에 결합되어 있고 와이어(80)(81)는 동력장치(100)인 감속모터(90)의 구동 로울러(9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장치(200)는 도면 제10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유리(10)(20)(30)의 회전축(40)에는 체인기어(3a)가 결합되고, 이 체인기어(3a)는 체인(3)이 연결되어있고, 체인(3)은 동력장치(100)인 감속모터(90)의 구동체인기어(3b)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단위유리(10)(20)(30)의 회전축(40)에 축설된 피니언 기어(2), 회전구(70), 체인기어(3a)는 좌, 우측 지지틀(50)(60)중 한측 내측에 설치되게 소형화 할 수 있다.
상기 동력장치(100)의 가동스위치는 운전석에 설치된 도어유리 개폐 스위치와 인접되게 설치하므로 운전시 단위유리(10)(20)(30)의 개폐작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동력장치의 동력원은 자동차 밧데리에 연결한다.
한편, 상기 단위유리(10)(30)의 상, 하단부는 지붕(111)에 구비된 상단커버(112)와 트렁크(113)에 구비된 하단커버(114)에 의해 단위유리(10)(20)(30)의 닫힘시 상, 하단부를 차폐시킨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이 단위유리(10)(20)(30)을 개페시에는 개폐스위치를 눌러 동력장치(100)를 정방향으로 가동시키면 동력전달장치(200)인 레크기어(1) 및 와이어(80)와 체인(3)을 화살표 R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전축(40)에 축설된 피니언기어(2) 및 회전구(70)와 체인기어(3a)를 내측방향인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회전축(40)이 회전하면서 단위유리(10)(20)(30)를 열어준다.
한편, 단위유리(10)(20)(30)를 닫고자 할때에는
개폐스위치를 눌러 동력장치(100)를 역방향으로 가동시켜 동력전달장치(200)를 열림상태시의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전축(40)을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단위유리(10)(20)(30)를 닫아준다.
이때, 닫힌 단위유리(10)(20)(30)는 커버(105)의 패킹(108) 및 받침편(103)의 패킹(109)에 의해 단위유리(10)(20)(30)와 지지틀(50)(60) 사이를 차폐하게 되므로 외부와 차단되고 중첩 T의 패킹(102)에 의해 딴위유리(10)(20)(30)의 접촉부를 완전 밀폐시켜 외부로 부터 차내로 침입되는 빗물 등을 완전 폐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존의 승용차에 큰 구조변경 없어도 뒷유리를 각각의 단위유리(10)(20)(30)로 구비하여 상기 단위유리(10)(20)(30)를 동력장치(100)와 동력전달장치(200)로 하여 금 개폐되게 설치 할 수 있어,차내 공기의 저항을 받지 않고 오픈카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차내의 공기유통을 원활히 하여 장시간 운전시에도 차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지붕을 갖는 자동치에서 뒷유리를 다수의 단위유리(10)(20)(30)로 구현하고, 상기 다수의 단위유리(10)(20)(30)를 동력장치(100)와 동력전달장치(200)로 하여금 독립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토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단위유리(10)(20)(30)는 회동으로 개폐되게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동력장치(100)는 감속모터(90)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동력장치(200)는 솔레노이드(300)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동력전달장치(50)는 레크기어(1)와 피니언기어(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동력전달장치(50)는 와이어(80)(8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동력전달장치(50)는 체인(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단위유리(10)(20)(30)의 양단이형상으로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
KR2019940019917U 1994-08-06 1994-08-06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 KR9700013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917U KR970001389Y1 (ko) 1994-08-06 1994-08-06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917U KR970001389Y1 (ko) 1994-08-06 1994-08-06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418U KR960007418U (ko) 1996-03-13
KR970001389Y1 true KR970001389Y1 (ko) 1997-03-04

Family

ID=1939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9917U KR970001389Y1 (ko) 1994-08-06 1994-08-06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3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418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49047Y2 (ko)
US6682149B1 (en) Roof that can be retracted into the trunk of a vehicle
US5031959A (en) Roof opening device with at least two orientable shutters
JPS58214414A (ja) 車体におけるサンル−フの安全装置
US8511735B2 (en) Panoramic roof apparatus for vehicle
ITRM970521A1 (it) Struttura di tettuccio per veicolo decappottabile
US3975048A (en) Rotary sunroof for an automotive vehicle
KR970001389Y1 (ko) 자동차 뒷유리 개폐장치
US7014245B2 (en) Convertible vehicle
KR0132361Y1 (ko) 자동차의 도어 유리 이중 구조
JP3673939B2 (ja) 車両用開閉体の開閉装置
KR100228255B1 (ko) 자동차 썬루프패널의 슬라이딩 개폐장치
KR100494727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자동개폐장치
JP2702712B2 (ja) 自動車の開放可能なルーフ構造
JPH052779Y2 (ko)
JPH022668Y2 (ko)
KR930006157B1 (ko) 자동차용 루우프 시스템
KR200155425Y1 (ko) 자동차 유리창문의 수동 개폐장치
KR0137228B1 (ko) 차량용 2중 윈도우 구조
KR100273540B1 (ko) 차량용 리어 윈도우 개폐장치
JP2889451B2 (ja) サンルーフ装置の開閉駆動機構
JP2768883B2 (ja) サンルーフ開閉方法及びその装置
JPH035444Y2 (ko)
JP2768882B2 (ja) サンルーフ開閉方法及びその装置
JPH01106725A (ja) 車両用開閉ルーフの開閉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